KR101722887B1 -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인쇄층을 구비하는 pet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인쇄층을 구비하는 pet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887B1
KR101722887B1 KR1020160109797A KR20160109797A KR101722887B1 KR 101722887 B1 KR101722887 B1 KR 101722887B1 KR 1020160109797 A KR1020160109797 A KR 1020160109797A KR 20160109797 A KR20160109797 A KR 20160109797A KR 101722887 B1 KR101722887 B1 KR 101722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ld
thermal transfer
transfer film
pr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우홍
Original Assignee
변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우홍 filed Critical 변우홍
Priority to KR102016010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31Making articles having hollow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25Applying surface layers, e.g. coatings, decorative layers, printed layers, to articles during shaping, e.g. in-mould printing
    • B29C37/0028In-mould coating, e.g. by introducing the coating material into the mould after forming the article
    • B29C2037/0046In-mould printing, in-mould transfe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43Means for feeding the lining or label into the mould, preform or parison,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몰드 방식을 사용하여, 열변형에 취약한 재질로 구성되는 용기에 대해서도 열전사 방식에 의한 인쇄 방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열전사 방식에 의한 인쇄층이 형성된 압력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구비하는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용기 표면에 전사될 인쇄층이 형성된 열전사 필름을 금형 캐비티 내면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금형의 캐비티에 용기의 프리폼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프리폼에 소정 범위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프리폼을 팽창시키는 단계와; 프리폼이 팽창되어 캐비티 형상에 맞게 형성된 용기의 표면에 열전사 필름이 부착되어 인쇄층이 융착되어 전사되는 단계와열전사 필름의 인쇄층이 전사된 용기를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한 인쇄층이 전사된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인쇄층을 구비하는 PET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 A PET container comprising a printed layer attached by thermal transfering and in-mold , and a manufacture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인쇄층이 전사된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열변형에 취약한 재질로 구성되는 용기에도 인몰드 방식과 열전사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양이나 패턴, 도형, 글자 등을 전사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표면에 원하는 문양이나 패턴, 도형, 글자등을 인쇄하기 위해서 열전사 방식의 인쇄 방법이 사용된다.
열전사 방식에 사용되는 열전사 필름은 기재부, 기재부의 일면에 마련되는 이형제층, 이형제층 일면에 마련되며 원하는 도안이나, 패턴, 문양, 글자 등이 나타나는 인쇄층, 인쇄층의 일면에 마련되는 핫멜트층으로 구성된다.
열전사 방식은 피전사체가 되는 용기에 열전사 필름을 부착시키고, 열을 가하여, 핫멜트 층이 녹으면서 열전사 필름의 인쇄층이 용기에 융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인쇄층 위에 있는 기재부를 떼어내면 용기 표면에 인쇄층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열전사 방식은 가열 과정이 필수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열변형에 영향을 받지않는 금속이나, 유리, 사기, 열경화성 수지 재질의 용기에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즉, PET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용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용기가 완성된 상태에서 이러한 열전사 방식 적용이 불가능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80769 호 ( 2015.12.28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몰드 방식을 사용하여, 열변형에 취약한 재질로 구성되는 용기에 대해서도 열전사 방식에 의한 인쇄 방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열전사 방식에 의한 인쇄층이 형성된 압력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용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구비하는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용기 표면에 전사될 인쇄층이 형성된 열전사 필름을 금형 캐비티 내면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금형의 캐비티에 용기의 프리폼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프리폼에 소정 범위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프리폼을 팽창시키는 단계와; 프리폼이 팽창되어 캐비티 형상에 맞게 형성된 용기의 표면에 열전사 필름이 부착되어 인쇄층이 융착되게하는 하는 단계와; 열전사 필름이 부착된 용기를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한 인쇄층이 형성된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프리폼은 표면 온도가 소정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표면에 열이 잔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형의 표면온도를 40℃~8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폼 및 용기는 PET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구부와, 입구부와 연통되며 블로윙 방식으로 팽창하여 형성되고, 입구부의 직경에 비해서 크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피전사면에 인몰드 라벨링 및 열전사 방식으로 부착되는 인쇄층을 구비한 열전사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의 재질은 PET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사 필름은 피전사면에 부착될 인쇄층과, 인쇄층과 피전사면을 연결하는 핫멜트층과, 인쇄층의 외면에 마련되는 이형층과, 이형층의 외면에 마려되는 기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열전사 방식을 적용할 수 없었던 PET 소재와 같이 열변형에 취약한 소재에도 열전사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전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물이 확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열 전사 방식의 경우, 용기를 먼저 완성하고, 그 후에 용기의 표면에 열전사 인쇄를 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용기의 블로윙 제작과 열전사 인쇄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원가 및 생산 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진다는 장점도 있다.
종래의 스티커 부착이나 인몰드 방식으로 라벨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라벨지가 용기의 재질(예, PET)과 이종 재질이기 때문에 용기 재활용을 위한 작업시 이를 떼어내는 작업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환경 부담금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열전사 필름에 있는 인쇄층이 용기에 전사되도록 하는 방식을 인몰드 라벨링 방식을 차용하되, 실제 용기 표면에는 라벨지가 아니라 인쇄된 잉크이기 때문에 재활용시 라벨이 부착된 용기에 비해서 재활용 작업이 수월하고 환경 부담금의 부담도 상대적으로 적다.
그리고, 라벨이 부착된 용기의 경우, 장기간 보관이나 오.습도 등 주위환경에
따라 라벨이 훼손되거나 떨어져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열전사의 경우, 말 그대로 열전사필름에 있는 인쇄층이 용기 표면에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인몰드 라벨과 같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도1은 본 발명 열전사 필름의 인쇄층이 전사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열전사 필름과 분리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열전사 필름의 인쇄층이 용기로 전사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하여 열전사 필름이 인몰드 방식으로 부착 후 전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작과정을 요약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전사 필름(200)이 전사되는 용기(100)는 입구부(110)와, 입구부(110)보다 직경이 큰 몸체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100)는 그 내부에 소정 이상의 압력으로 채워질 액체의 압력을 버틸 수 있는 압력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로윙 사출에 의하여 구현되는 용기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몸체부(120)의 외주면에는 열전사 필름(200)이 부착되어 있으며, 라벨(200)의 테두리에는 열전사 필름(200)이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전사를 위한 부착이 되면서, 단차부(121)가 형성된다.
다만 여기서 도1에서는 열전사 필름(200)중 기재부(201)가 떨어져 나간 상태를 도시한 것이나, 기재부(201)는 용기에 붙어 있을 수도 있다.
단차부(121)는 용기(100)의 팽창과정에서 열전사 필름(200)과 접촉하면서 열전사 필름(200)의 부착되는 부분과, 열전사 필름(200)이 부착되지 않은 부분간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며, 열전사 필름(200)이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열전사 필름(200)이 부착된 부분보다 약간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열전사 필름(200)은 기재부(201)와, 기재부(201) 내면에 마련되어 압력 용기(100) 외주면에 전사되는 인쇄층(202)을 포함한다.
인쇄층(202)에는 원하는 문자나 도형, 문양, 패턴, 그림 등이 202a처럼 표시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기재부(201)와 인쇄층(202) 사이에는 이형층(203)이 마련되어, 상온에서는 기재부(201)와 인쇄층(202)이 상호 부착되도록 하다가, 가열이 된 이후에는 기재부(201)가 인쇄층(202)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인쇄층(202)의 내면에는 핫멜트층(204)가 마련되어 열전사 필름(200)과 용기(100)의 표면이 상호 부착된 상태에서 열이 가해지는 경우, 인쇄층(202)을 용기(100)의 표면에 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형층(203)이나, 핫멜트층(204)의 재질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용기(100)의 형태가 완전히 완성된 상태에서 열전사 과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프리폼(pre-form)을 이용하여 이를 블로윙 성형을 하여 부피를 팽창시키면서 동시에 열전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종래의 열전사 공정은 용기가 완전하게 완성된 상태에 열전사 필름을 부착하고, 열전사 필름을 부착부분을 가열하여 인쇄층이 용기의 표면에 부착되게 하는 것이었으나, PET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용기에 대해서는 이러한 열전사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열에 취약한 용기에 대해서도 열전사가 가능하도록 하되, 더 나아가 용기 제작 공정과, 인쇄 공정을 분리해서 하지 않고, 한꺼번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열전사의 경우, 라벨을 부착하는 경우(스티커로 부착하거나, 또는 인몰드 방식으로 부착하는 방식)에 비해서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어서 사용한다.
즉, 라벨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라벨지가 용기의 재질(예, PET)와 이종 재질이기 때문에 용기 재활용을 위한 작업시 이를 떼어내는 작업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환경 부담금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사의 경우, 재활용시 라벨이 부착된 용기에 비해서 휘발성이 강한 잉크가 전사된 것이기 때문에 재활용 작업이 수월하고 환경 부담금의 부담도 상대적으로 적다.
그리고, 라벨이 부착되면, 라벨이 떨어져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열전사의 경우, 말 그대로 열전사 필름에 있는 인쇄층을 용기 표면에 인쇄하기 때문에 라벨과 같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없다.
따라서, 용기에 별도의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에 비해서 열전사를 이용해서 용기 표면에 인쇄하는 방식이 유리하다.
도2는 열전사 필름(200)과 용기(1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용기(100)의 몸체부(120)의 일부에는 열전사 필름(200)이 부착되어 인쇄층(201)이 전사되는 피전사면(122)이 형성된다.
피전사면(122)은 다른 부분과 구분되는데, 피전사면(122)의 테두리에는 단차부(121)가 형성된다.
단차부(121)는 인몰드 과정에서 열전사 필름(200)이 배치되는 부분과, 배치되지 않은 부분과의 경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피전사면(122)은 다른 면에 비해서 단차부(121)의 깊이만큼 들어가 있는 형태가 된다.
이는 인몰드 과정에서 피전사면(122)에 부착되는 열전사 필름(200)의 외면과 피전사면(122)이 아닌 다른 면과 외면상으로 일치가 되기 때문이다.
피전사면(122) 위에 인쇄층(202)이 배치될 수 있고, 인쇄층(202) 내면에는 핫멜트층(204)이 있다.
핫멜트층(204)은 가열시 녹으면서 인쇄층(202)과 피전사면(122)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층(202)이 피전사면(122)에 인쇄 또는 전사되도록 한다.
한편 기재부(201)는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구성되며, 그 내면에 도포되어 있는 이형층(203)에 의하여 인쇄층(202)으로부터 제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사 방식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사 필름(200)은 기재부(201), 이형층(203), 인쇄층(202), 핫멜트층(204)로 구성된다.
열전사 필름(200)이 금형 내부의 캐비티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프리폼에 공기가 주입되며 용기(100)가 형성되며 팽창된다.
이때, 용기(100)의 피전사면(122)이 열전사 필름(200)의 내면으로 향한다.
프리폼은 뜨거운 사출물로 구성되며, 더 나아가 외부에서 가열을 할 수 있어서 그 표면 온도가 뜨겁게(예, 40~80℃) 구현된다. 그리고, 금형의 표면온도도 상온이 아니라 뜨겁게(예, 40~80℃)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폼이 팽창하여 형성된 용기도 열전사 필름에 대한 인몰드 배치 공정 동안에는 위 온도 범위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피전사면(122)이 핫멜트 층(204)에 접촉하게 되면, 용기(100)의 온도와 금형의 온도로 인하여 핫멜트층(204)이 녹게 된다.
이에 의하여 도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피전사면(122)의 표면에 인쇄층(204)이 전사 또는 인쇄된다.
그리고 기재부(201)를 떼어내면 인쇄층(202)만 용기(100)의 피전사면(122)에 전사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에 블로윙 방식에 따른 용기 제작 과정 중 인몰드 에 의한 부착 및 열전사 방식이 이루어지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0)의 형상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310, 320)을 상호 이격시킨다.
금형(310, 320)에는 열전사 필름(200)이 부착되는 경우, 열전사 필름(200)을 진공흡착하기 위한 흡착 유로(311, 321)가 형성된다.
금형(310, 320)이 열려진 상태에서 금형(310, 320)의 위에 있는 공급 장치(400) 수직 암(401)이 하강하여 열전사 필름(200)을 금형(310, 320) 내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공급 장치(400) 수직암(401)에는 수평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움직이는(또는 텔레스코픽 다단 방식으로 움직이는) 파이프(403)가 마련된다.
파이프(403)에도 진공 흡착력이 있어서 열전사 필름(200)이 파이프(403)에 부착된 상태가 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403)가 각각의 금형 내면을 이동하면 파이프(403)에 부착된 열전사 필름(200)이 금형 내부에 부착된다.
금형(310, 320) 내면에 진공 흡입압에 의하여 열전사 필름(200)이 부착되면, 파이프(403) 내면의 진공압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403)가 원상복귀하면, 열전사 필름(200)은 캐비티 내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프리폼(700)이 립 플레이트(600)에 거꾸로 배치된 상태로 열려진 금형(310, 320) 사이로 들어온다.
그리고, 금형(310, 320)의 상부에는 나중에 압력 용기(100)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 형성부(500)가 배치된다.
그리고 도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310, 320)이 닫히고, 바닥 형상부(500)도 금형(310, 320)의 상부를 밀폐한다.
이 상태에서 금형(310, 320)의 하부는 립 플레이트(600)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프리폼(700)을 팽창시키기 위한 블로윙 작업을 위해서 공기 주입 장치의 파이프(800)가 립 플레이트(600)의 하부에서 들어와서 프리폼(700) 내부에 들어온다.
이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도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폼(700)이 팽창하여 밀폐된 금형(310, 320) 캐비티 내면의 형상에 맞게 변형된다.
도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사 필름(200)의 내면에는 핫멜트층(204)이 형성되고, 이 핫멜트층(203)은 일정 온도 (예, 40℃) 이상의 분위기에서 녹는다.
따라서, 뜨거운 프리폼(700)의 표면 온도 및 금형(310, 320)의 온도에 의하여 프리폼(700)의 표면과 밀착되면 녹아서 인쇄층(202)을 압력 용기(100) 표면에 전사시킨다.
용기(100)의 형성을 위해서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20~40 bar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더 늘어날 수 있다.
그리고, 인쇄층(202)이 압력 용기(100) 표면에 안정적으로 전사되도록 핫멜트층(204)이 용이하게 용융될 수 있게, 금형(310,320)의 표면 온도를 40~8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 온도는 위 온도 범위를 벗어나 상황에 따라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압력 용기를 구성하는 재질은 플라스틱 수지인데, 특히 압력용기에 적합한 PET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 라벨링 및 열전사 방식을 통한 용기 인쇄 방식에 대해서 도5를 이용하여 정리하도록 하겠다.
우선, 용기를 제작하기 이전에 프리폼 성형장치를 이용해서 프리폼을 성형한다(S1).
그 이후에,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블로윙 금형을 개방하고(S2), \공급 장치를 이용해서 열전사 필름을 블로윙 금형 내부의 캐비티 내면에 진공 흡착 방식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S3).
그리고, 블로윙 금형 내부(정확하게는 아랫부분)에 프리폼을 위치시키고(S4), 블로윙 금형을 폐쇄시킨다(S5).
이 상태에서는 금형 및 프리폼의 온도는 대략 40~80 도 범위로 유지된다.
그리고 블로윙 작업(공기 주입 작업)을 수행하면(S6), 프리폼이 팽창하면서 용기가 성형되고, 용기 표면에 열전사 필름이 배치된다(S7).
그 후, 금형을 개방하고, 열전사 필름이 부착된 용기를 취출한 후(S8), 용기 표면이 냉각된 후, 기재부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인쇄층이 전사된 용기를 얻을 수 있다(S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용기 120: 몸체부
122: 피전사면
200: 열전사 필름 201: 기재부
202: 인쇄층 203: 이형층
204: 핫멜트 층

Claims (7)

  1. PET 용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구비하는 금형을 준비하고 금형을 가열하는 단계와;
    금형을 개방하는 단계와;
    용기 표면에 전사될 인쇄층이 형성된 열전사 필름을 금형 캐비티 내면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금형의 캐비티에 용기의 PET 프리폼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금형을 폐쇄하고, 금형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 주입 장치의 파이프를 PET프리폼 내부에 삽입시키면서 PET 프리폼에 소정 범위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PET 프리폼을 팽창시키는 단계와;
    프리폼이 팽창되어 캐비티 형상에 맞게 형성된 PET 용기의 표면에 열전사 필름이 부착되어 인쇄층이 융착되어 전사되는 단계와
    열전사 필름의 인쇄층이 전사된 PET 용기를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한 인쇄층이 전사된 PET 용기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T 프리폼은 표면 온도가 40~80℃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표면에 열이 잔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한 인쇄층이 전사된 PET 용기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표면온도를 40℃~8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한 인쇄층이 전사된 PET 용기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09797A 2016-08-29 2016-08-29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인쇄층을 구비하는 pet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2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97A KR101722887B1 (ko) 2016-08-29 2016-08-29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인쇄층을 구비하는 pet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97A KR101722887B1 (ko) 2016-08-29 2016-08-29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인쇄층을 구비하는 pet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887B1 true KR101722887B1 (ko) 2017-04-03

Family

ID=5858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97A KR101722887B1 (ko) 2016-08-29 2016-08-29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인쇄층을 구비하는 pet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8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5652A (ja) * 1992-04-30 1993-11-19 Nissha Printing Co Ltd ラベル付膨張プラスチックボトルとその製造方法
JPH1083140A (ja) * 1996-09-05 1998-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ラベル
KR101580769B1 (ko) 2015-09-25 2015-12-28 신인식 용기 라벨 고속 열전사 방법 및 용기 라벨 고속 열전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5652A (ja) * 1992-04-30 1993-11-19 Nissha Printing Co Ltd ラベル付膨張プラスチックボトルとその製造方法
JPH1083140A (ja) * 1996-09-05 1998-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ラベル
KR101580769B1 (ko) 2015-09-25 2015-12-28 신인식 용기 라벨 고속 열전사 방법 및 용기 라벨 고속 열전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916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立体形状を有する圧力容器の製造方法
CN111645301B (zh) 兼具立体凹凸图案和油墨印刷图案的塑料包装瓶生产方法
JPS63249616A (ja) 樹脂成形方法
US3787157A (en) Apparatus for making composite plastic articles
KR101722887B1 (ko)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인쇄층을 구비하는 pet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TWI727147B (zh) 包含模內標籤及三維形狀之壓力容器的製造方法
JP5160658B2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20060123677A1 (en)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478569B1 (en) Hybri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for enhancing cosmetic appearance of molded articles
US20130193027A1 (en) Localized shaping for container decoration
JP2012000986A (ja) 装飾膜の予備成型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加熱装置
JPH0825563B2 (ja) ラベル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12228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ckaging articles, and a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achine
JPH05338018A (ja) 全周ラベル付きボトルのブロー成形方法
JP2001213098A (ja) 物品に装飾を付ける方法
US1168510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ermoplastic container and system for pulling a tube apart
KR101716092B1 (ko)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JP6990595B2 (ja) 燃料タンクの成形方法
JPH1170543A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JPH04331132A (ja) 発泡成形容器の絵付け方法
JP7183379B2 (ja) 容器の金型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JPH09216631A (ja) ラベル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038190B2 (ja) 金型および中空成形品および成形方法
US20050200043A1 (en) Transfer printing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process
JPH04338526A (ja) ラベル封入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