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046B1 -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 Google Patents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046B1
KR101722046B1 KR1020150147692A KR20150147692A KR101722046B1 KR 101722046 B1 KR101722046 B1 KR 101722046B1 KR 1020150147692 A KR1020150147692 A KR 1020150147692A KR 20150147692 A KR20150147692 A KR 20150147692A KR 101722046 B1 KR101722046 B1 KR 10172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extension member
ship
flat portion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령
박종우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63B2701/1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선측 평탄부를 가지는 선체; 상기 선측 평탄부와 나란한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선측 평탄부의 선단 또는 후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연장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가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Ship with variable approaching equipment}
본 발명은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을 항구에 접안하기 위해 펜더(Fender)가 사용된다.
펜더는 선박의 선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선측 평탄부와 접한다. 즉, 선측평탄부가 길수록 펜더와 접촉하는 면적이 커져 안정적인 접안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세계 각국의 항구마다 접안을 위해 펜더와 접촉하는 선측 평탄부의 길이가 다르다. 따라서 고정된 형태의 선측 평탄부를 가지는 선박의 경우, 해당 선측 평탄부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의 선측 평탄부를 요구하는 항구에는 접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선측 평탄부를 가지는 선박(선박 1)과 상대적으로 긴 선측 평탄부를 가지는 선박(선박 2)에 의해 발생되는 파도를 나타내는 실험 데이터이다. 도 1에서 수평축은 선박의 선단인 기준점에서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파고를 나타내다.
도 1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선박 1및 선박 2에서 발생되는 파도가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에서는 선박 2에서 발생되는 파도가 선박 1에서 발생되는 파도에 비해 높은 파고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선측 평탄부의 길이가 클수록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선측 평탄부의 길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펜더와의 접촉 측면에서는 클 수록 유리하지만 조파 저항의 측면에서는 작을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항구 접안을 위한 펜더와의 접촉 면적을 확보함과 동시에 조파 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허출원 제10-2011-0126102호(2011.11.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파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접안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는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선측 평탄부를 가지는 선체; 상기 선측 평탄부와 나란한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선측 평탄부의 선단 또는 후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연장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가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측 평탄부는 상기 선체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선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선측 평탄부의 선단 또는 후단에서 출몰하도록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체에서 돌출된 상기 연장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는 상기 선체에서 돌출된 상기 연장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상기 연장부재 측으로 연장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와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된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선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며, 전후 방향으로 신축 동작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연장 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연장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 앤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재가 선체의 선측 평탄부의 선단 또는 후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선박의 정박 시 접안 성능을 향상시키고, 선박의 운항 시 조파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선측 평탄부를 가지는 선박(선박 1)과 상대적으로 긴 선측 평탄부를 가지는 선박(선박 2)에 의해 발생되는 파도를 나타내는 실험 데이터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B 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따른 구동부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운용 상태에 따른 연장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B 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선박(1)은 선체(10)와, 연장부재(20)와, 구동부(30)를 포함한다. 선체(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선측 평탄부(11)를 가진다. 선체(10)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선체(10)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선측 평탄부(11)는 도 3과 같이 수직한 평판 형상을 가진다.
선측 평탄부(11)에 펜더(F)가 접촉될 수 있다. 펜더(F)와의 접촉 부위는 선체(10)의 흘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선체(10)에는 연장부재(20)가 설치된다. 연장부재(20)는 선측 평탄부(11)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장부재(20)는 도 2와 같이 선측 평탄부(11)의 선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선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연장부재(2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선측 평탄부(11)의 후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선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연장부재(20)는 선측 평탄부(11)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제공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선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선체(10)에는 연장부재(20)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는 레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연장부재(20)는 선측 평탄부(11)와 나란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재(20)는 도 4와 같이 선측 평탄부(11)의 선단에서 출몰하도록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재(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채 선체(10) 내부에 격납될 수 있다. 그리고 선체(10) 내부에 격납된 연장부재(20)는 선측 평탄부(11)의 선단에서 선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선체(10)에는 연장부재(20)가 출입하는 출입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선체(10)에서 돌출된 연장부재(20)와 마주보는 선체(10)의 측면에는 선체(10)에서 돌출된 연장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40)는 선체(10)의 측면에서 연장부재(20) 측으로 연장된 지지부재(41)와 지지부재(4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42)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42)는 연장부재(20)와 접촉하고 연장부재(20)의 전후 방향 이동 과정에서 연장부재(20)를 지지하며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부(40')는 도 5와 같이 선체(10)의 측면에 설치된 팽창부재(46)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부(40)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팽창부재(46)는 실선과 같이 수축 상태를 유지하다가, 연장부재(20)가 선체(10)에서 돌출되면 점선과 같이 팽창하여 돌출된 연장부재(20)를 선체(10)의 측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연장부재(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례로, 구동부(3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실린더(3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1)는 일단이 선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연장부재(2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재(20)의 일측에는 실린더(31)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부재(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부(30')는 도 6과 같이 구동 모터(36)와 랙 앤 피니언 기어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구동부(30)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모터(36)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 모터(36)는 선체(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랙 앤 피니언 기어부(37)는 구동 모터(36)의 회전 구동력을 연장부재(20)로 전달하여 연장부재(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랙 앤 피니언 기어부(37)는 랙 기어(38) 및 랙 기어(38)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9)를 포함한다.
일례로, 랙 기어(38)는 도 6과 같이 연장부재(20)의 상측부에 연장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39)는 구동 모터(36)의 모터축에 결합된다. 구동 모터(36)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39)가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39)과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39)와 맞물린 랙 기어(38)가 형성된 연장부재(2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운용 상태에 따른 연장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의 운용 상태에 따른 연장부재(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은 항구에 정박 중이다. 이때, 연장부재(20)는 선체(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1)의 선측 평탄부(11)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어 선박(1)은 안정적으로 항구에 정박할 수 있다.
나아가 선체(10)의 선측 평탄부(11)의 길이가 항구에서 요구하는 선측 평탄부(11)의 길이보다 작을 경우 연장부재(20)는 선체(10)로부터 돌출되어 항구에서 요구하는 선측 평탄부(11)의 길이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선박(1)은 운항 중이다. 이때, 연장부재(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선체(10) 내부에 격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재(20)가 도 2와 같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조파 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선박
10 : 선체
11 : 선측 평탄부
20 : 연장부재
30, 30' : 구동부
31 : 실리더
36 : 구동 모터
37 : 랙 앤 피니언 기어부
38 : 랙 기어
39 : 피니언 기어
40, 40' : 지지부
41 : 지지부재
42 : 롤러
46 : 팽창부재

Claims (8)

  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선측 평탄부를 가지는 선체;
    상기 선측 평탄부와 나란한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선측 평탄부의 선단 또는 후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연장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가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측 평탄부는 상기 선체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선체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선측 평탄부의 선단 또는 후단에서 출몰하도록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서 돌출된 상기 연장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는 상기 선체에서 돌출된 상기 연장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설치되는,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상기 연장부재 측으로 연장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와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된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선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며, 전후 방향으로 신축 동작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연장 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연장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 앤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KR1020150147692A 2015-10-23 2015-10-23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KR10172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92A KR101722046B1 (ko) 2015-10-23 2015-10-23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92A KR101722046B1 (ko) 2015-10-23 2015-10-23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046B1 true KR101722046B1 (ko) 2017-03-31

Family

ID=5850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692A KR101722046B1 (ko) 2015-10-23 2015-10-23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670B1 (ko) * 2017-08-03 2018-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펜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272U (ko) * 1995-03-27 1996-10-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저상 트랙터용 접이식 휀더의 구조
US5732645A (en) * 1995-10-18 1998-03-31 Lemke; Stuart H. Marine fending system
KR20110126102A (ko) 2008-12-02 2011-11-22 아리조나 보드 오브 리젠츠 퍼 앤 온 비하프 오브 아리조나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유연성 기판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그것으로부터의 유연성 기판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272U (ko) * 1995-03-27 1996-10-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저상 트랙터용 접이식 휀더의 구조
US5732645A (en) * 1995-10-18 1998-03-31 Lemke; Stuart H. Marine fending system
KR20110126102A (ko) 2008-12-02 2011-11-22 아리조나 보드 오브 리젠츠 퍼 앤 온 비하프 오브 아리조나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유연성 기판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그것으로부터의 유연성 기판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670B1 (ko) * 2017-08-03 2018-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펜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2546A1 (en) Slide rail assembly
KR101146638B1 (ko)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JP2006256353A (ja) モニタ装置
KR101722046B1 (ko) 가변형 접안 장치를 가지는 선박
KR101883970B1 (ko)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JP2007045396A (ja) ラジエータの受け構造
KR20150145367A (ko) 차량용 범퍼 스티프너 장치
US20160144791A1 (en) Vehicle-mounted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0095238A (ja) 船舶の波浪中抵抗増加低減装置
KR101359534B1 (ko)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21046001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5375718B2 (ja) 移動体の受止装置
JP2008074301A (ja) 車両用可動バンパ装置
JP2008039478A (ja) 物体検出手段の試験装置、及び試験車両
JP2005325870A (ja) 電気機器駆動系のピニオン・ラック装置
CN105523144B (zh) 一种嵌套式主、副轨道架滑行机构
JP6412823B2 (ja) 車載用電子機器
KR20180001243U (ko)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21020557A5 (ko)
JP6984411B2 (ja) 表示パネル駆動機構および電子機器
JP5838478B2 (ja) 船舶の安定航行装置
JP6294369B2 (ja) 蓋移動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収納装置
JP2010058233A (ja) 伸縮カバー装置
KR20150095288A (ko) 개선된 스테빌라이저를 구비한 선박
JP2005178547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