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34B1 -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34B1
KR101359534B1 KR1020120050623A KR20120050623A KR101359534B1 KR 101359534 B1 KR101359534 B1 KR 101359534B1 KR 1020120050623 A KR1020120050623 A KR 1020120050623A KR 20120050623 A KR20120050623 A KR 20120050623A KR 101359534 B1 KR101359534 B1 KR 10135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ship
hull
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044A (ko
Inventor
이주현
송윤영
안성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3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5/083Ice-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1/00Applications
    • B63B2211/06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는 하부가 선측에 선체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선체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측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복수개의 플랩 및 상기 플랩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Iceberg at Shipside and Ship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선측에 유빙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측의 형상을 바꾸어 유빙이 비스듬한 선측에 의해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유도되어 선측에 유빙이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극지방을 운항하는 쇄빙선은 쇄빙 작업에 유리하고, 깨진 얼음이 선체에 붙어 있지 않고 떨어지기 쉬운 선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는 쇄빙선은 기본적으로 진행방향으로 쇄빙을 하기 때문에 선수부의 쇄빙 능력만을 고려하여 설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극지용 해양 특수선(드릴쉽, FPSO 등)의 경우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한 장소에서 몇 달 동안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 때, 유빙이 떠내려오는 경우에 ice vaning을 통해 선수의 방향을 바꾸어 빙하중을 최소화 하게 된다.
그러나, 선체 주위가 유빙으로 둘러싸여 있는 경우에는 ice vaning이 힘들다. 그리고, 유빙이 선측 방향으로 유입될 경우 기존의 선형으로는 빙하중이 크게 증가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위치 제어를 위한 과도한 구조적 보강 및 추진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선체 외판의 흘수선 부근은 해상에 떠다니는 유빙과 가장 먼저 충돌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이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의 도입이 필요하다.
선행문헌1: 한국공개특허 10-2010-0101424 선행문헌2: 한국등록실용 20-040676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선측에 유빙이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유빙이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플랩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본 발명은 플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는 플랩 및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랩은 하부가 선측에 선체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선체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측과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랩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플랩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선측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랩의 길이가 가장 길고,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플랩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상기 플랩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선측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랩의 회전 각도가 가장 크고,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플랩의 회전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윈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랩의 일측은 상기 윈치와 연결되어 상기 윈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랩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는 3관절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관절 힌지는 일단이 선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플랩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플랩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관절 힌지는 일단이 선체에 선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플랩의 일측에 상기 플랩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랩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랩은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은 상술한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의하면 선측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플랩을 다수 구비하여 선측에 유빙이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의하면 플랩의 길이와 플랩의 회전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유빙이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의하면 3관절 힌지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플랩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의하면 플랩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각각의 플랩의 길이를 모두 다르게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중 플랩의 회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중 플랩의 회전 각도 및 플랩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중 3관절 힌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중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플랩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는 플랩(100) 및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중 플랩의 회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100)은 하부가 선측에 선체(1)의 외측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측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 때, 플랩(100)은 선체(1)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랩(100)은 선측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플랩(100)이 선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선체(1)의 전, 후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플랩(100)이 선체(1)의 선수 및 선미 부근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좌, 우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플랩(100)은 선측에 힌지결합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선박이 운항중일 때에는 접혀있다가 선박이 정박하여 작업 시에는 선체(1)의 외측으로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선측의 일부가 경사를 가지도록 하여 선측으로 유입되는 유빙이 선체(1)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플랩(100)을 펼쳤을 경우 흘수선이 플랩(100)의 중앙부에 오는 위치에 플랩(100)을 설치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플랩(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중 플랩의 회전 각도 및 플랩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랩(100)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측 중앙부에 위치하는 플랩(100)의 길이가 가장 길고,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플랩(100)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선박을 상측에서 내려다볼 때 각각의 플랩(100)이 모여 삼각형을 이룸으로써 유빙이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플랩(100)의 길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빙이 선체(1)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식으로든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빙이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각각의 플랩(100)은 펼쳐지는 각도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중앙부에 위치하는 플랩(100)의 회전 각도가 가장 크고,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플랩(100)의 회전 각도가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선측으로 유입되는 유빙이 보다 효과적으로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플랩(100)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거나 혹은 각각의 플랩(100)이 모두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면 유빙이 선체(1)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유빙이 플랩(100) 부근에 정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플랩(100)이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하지만 길이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회전 각도가 작은 플랩(100) 부근에는 시야 확보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길이가 서로 다른 각각의 플랩(100)이 서로 다른 각도만큼 회전함으로써 선측으로 유입되는 유빙이 보다 효과적으로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유도되면서 시야 또한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200)는 윈치(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치(200)는 데크(2)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랩(100)의 일측은 윈치(200)와 연결되어 상기 윈치(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랩(100)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랩(100)의 구동 수단은 윈치(20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플랩(1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으로든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는 3관절 힌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관절 힌지(300)는 일단이 선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플랩(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랩(1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관절 힌지(300)의 일단이 데크(2)에 결합되고, 타단이 플랩(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관절 힌지(300)의 일단은 선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중 3관절 힌지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관절 힌지(300)의 순서대로 제 1 힌지(310), 제 2 힌지(320), 제 3 힌지(330)라고 칭하기로 한다. 제 1 힌지(310)는 데크(2)에 고정되고, 제 3 힌지(330)는 플랩(100)에 고정되며, 제 2 힌지(320)는 제 1 힌지(310)와 제 2 힌지(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힌지(310)와 제 2 힌지(320) 사이에는 제 1 링크(340)가 구미되고, 제 2 힌지(320)와 제 3 힌지(330) 사이에는 제 2 링크(3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플랩(100)의 구동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윈치(200)를 풀면 케이블(210)에 의해 플랩(100)이 선체(1) 외측으로 회전하며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제 1 링크(340)와 제 2 링크(350)가 이루는 각이 점점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340)와 제 2 링크(350)가 완전히 수평을 이루었을 때 플랩(100) 또한 완전히 펼쳐져 회전을 멈출 수 있다.
그리고, 윈치(200)를 감으면 케이블(210)이 짧아지면서 플랩(100)이 데크(2)을 향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힐 수 있다. 이 때, 제 1 링크(340)와 제 2 링크(350)가 이루는 각은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여기서, 3관절 힌지(300)는 일단이 선체(1)에 선체(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플랩(100)의 일측에 상기 플랩(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310)는 데크(2)에 선체(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데크(2)에는 제 1 힌지(310)를 가이딩할 수 있는 가이드(360) 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3 힌지(330)는 플랩(100)에 플랩(1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플랩(100)에는 제 3 힌지(330)를 가이딩할 수 있는 가이드(3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힌지(310) 및 제 3 힌지(330)와 가이드(360) 사이에는 스톱퍼(미도시)가 구비되어 제 1 힌지(310) 및 제 3 힌지(3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360)로는 레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360)는 레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 1 힌지(310) 및 제 3 힌지(320)가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플랩(100)의 회전 각도를 다르게 하기 위해서 제 1 링크(340) 및 제 2 링크(350)의 길이를 모두 다르게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중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플랩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1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의 플랩(100)은 선체(1)에 고정되는 고정부(110) 및 고정부(110)에 대하여 고정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120)를 포함하여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10)와 이동부(120) 사이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고정부(110)와 이동부(120)를 고정하여 이동부(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톱퍼(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는 고정부(110)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에 이동부(12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플랩(100)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고정부(110)와 이동부(12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동부(120)가 고정부(110)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플랩(10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3관절 힌지(300)의 제 3 힌지(330)는 플랩(100)의 고정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플랩(10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운항 중 플랩(100)을 모두 접었을 경우 플랩(100)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플랩(100)을 모두 접었을 경우 플랩(100)의 길이가 모두 동일해짐으로써 선체(1) 중앙부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선체 2: 데크
100: 플랩 110: 고정부
120: 이동부 130: 스톱퍼
200: 구동부 210: 케이블
300: 3관절 힌지 310: 제 1 힌지
320: 제 2 힌지 330: 제 3 힌지
340: 제 1 링크 350: 제 2 링크
360: 가이드

Claims (8)

  1. 하부가 선측에 선체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선체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측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플랩; 및
    상기 플랩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선측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랩의 회전 각도가 가장 크고,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플랩의 회전 각도가 작아지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선측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랩의 길이가 가장 길고,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플랩의 길이가 짧아지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윈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랩의 일측은 상기 윈치와 연결되어 상기 윈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랩이 회전하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선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플랩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플랩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3관절 힌지를 더 포함하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데크에는 상기 3관절 힌지의 일단을 상기 선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플랩에는 상기 3관절 힌지의 타단이 상기 플랩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선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8.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20050623A 2012-05-14 2012-05-14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5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23A KR101359534B1 (ko) 2012-05-14 2012-05-14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23A KR101359534B1 (ko) 2012-05-14 2012-05-14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44A KR20130127044A (ko) 2013-11-22
KR101359534B1 true KR101359534B1 (ko) 2014-02-24

Family

ID=4985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623A KR101359534B1 (ko) 2012-05-14 2012-05-14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060B1 (ko) 2014-06-20 2016-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170025823A (ko) 2015-08-31 2017-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지방 운항 선박의 선체 보호장치 및 그 선체 보호장치를 구비하는 극지방 운항 선박
FI128421B (en) * 2017-02-24 2020-04-30 Aker Arctic Tech Oy Device for water construction and water construction
CN112009620A (zh) * 2020-09-24 2020-12-01 连云港栋梁国际货运代理有限公司 撞船神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725A (en) * 1978-06-30 1983-01-25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Method and means for increasing the maneuverability of a ship in ice-covered waters
JPS5966697U (ja) * 1982-10-27 1984-05-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砕氷船
US5511922A (en) 1991-08-23 1996-04-30 Kayaba Macgregor Navire Kabushiki Kaisha Ship weight cargo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JP2001219894A (ja) 2000-02-08 2001-08-14 Nkk Corp 砕氷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725A (en) * 1978-06-30 1983-01-25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Method and means for increasing the maneuverability of a ship in ice-covered waters
JPS5966697U (ja) * 1982-10-27 1984-05-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砕氷船
US5511922A (en) 1991-08-23 1996-04-30 Kayaba Macgregor Navire Kabushiki Kaisha Ship weight cargo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JP2001219894A (ja) 2000-02-08 2001-08-14 Nkk Corp 砕氷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44A (ko)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534B1 (ko) 선측 유빙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4874296B2 (ja) 船舶用舵
KR102385300B1 (ko) 예인선
EP2988992B1 (en) A stabilizing device for a ship or craft, a ship comprising such device, a method for moving the stabilizing device
KR102480010B1 (ko) 예인선
RU2570936C2 (ru) Средство 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с одним подводным крылом
US9242705B2 (en) Icebreaking vessel and method of breaking ice
KR101334832B1 (ko) 사이드 스러스터의 유동방향 조절장치
KR20160061648A (ko) 접안용 펜더
KR20160031789A (ko) 드릴쉽의 라이저 프로텍팅 시스템
ES2941469T3 (es) Embarcación a motor con hidroalas retráctiles por basculamiento
WO2011057913A1 (en) A rudder device for a vessel
JP4334532B2 (ja)
FI122504B (fi) Parannetut jäissäkulkuominaisuudet omaava vesialus
US6461206B2 (en) Impact rudder
EP1992559A1 (en) Stabilizing fin for watercraft
KR101284490B1 (ko) 고부하 평형 키
KR101505612B1 (ko)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EP2647564B1 (en) Floating vessel
JP6531294B2 (ja) 揚陸用の船舶および揚陸用の船舶の設計方法
KR20160063027A (ko) 가변형 스포일러를 구비한 선박
KR20190079910A (ko) 접이식 펜더
US20220234686A1 (en) A variable beam vessel
KR102438944B1 (ko) 조종성능 향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1477402A1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a vessel hu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