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612B1 -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 Google Patents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612B1
KR101505612B1 KR1020130104298A KR20130104298A KR101505612B1 KR 101505612 B1 KR101505612 B1 KR 101505612B1 KR 1020130104298 A KR1020130104298 A KR 1020130104298A KR 20130104298 A KR20130104298 A KR 20130104298A KR 101505612 B1 KR101505612 B1 KR 10150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elicopter
skid
uni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019A (ko
Inventor
정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6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 B64F1/029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using a cable or t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비행중인 헬리콥터의 스키드를 홀딩하여 착륙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가 소개된다.
이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는 헬리콥터의 진행방향에 위치되는 와이어와, 와이어가 지지되는 걸이대를 회동시켜 와이어를 스키드에 홀딩시키는 홀딩유닛과, 와이어를 당겨 헬리콥터의 착륙을 유도하는 와인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APPARATUS FOR GUIDING LANDING OF HELICOPTER ON HELI-DECK}
본 발명은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헬리콥터를 착륙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헬리콥터를 안전하게 헬리데크에 착륙시킬 수 있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 이동을 위해서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 헬리데크(Helideck)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케익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플랭크가 다수 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케익 지지부는 플랭크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랭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알루미늄 H빔과, 알루미늄 H빔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알루미늄 H빔의 하측에 배치되어 알루미늄 H빔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틸 H빔을 포함할 수 있다.
해상에서 운용되는 헬리데크의 경우, 헬리콥터가 바람에 의해 받는 영향뿐만 아니라 헬리데크 자체가 수평, 수직 운동을 하기 때문에, 헬리콥터를 헬리데크에 안전하게 착륙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실질적으로 헬리데크가 설치되어 있는 부유식 구조물 또는 선박의 움직임을 헬리콥터의 착륙을 위해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은 실효성이 적으므로, 현재에는 헬리콥터 조종사의 조종 실력의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해상 조건은 기본적으로 바람이 강하고, 파도도 거셀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아무리 실력이 뛰어난 조종사라고 하더라도 불의의 상황에 안전하게 대처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헬리콥터가 해상에서 운용되는 헬리데크에 착륙할 때에는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보조해 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 : 미국공개특허 US2010/0067989 (2010.05.18. 공개) 특허문헌 2 : 미국공개특허 US2008/0247827 (2008.10.09.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헬리콥터의 안전한 착륙을 유도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행중인 헬리콥터의 스키드를 홀딩하여 착륙을 유도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로서, 상기 헬리콥터의 진행방향에 위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지지되는 걸이대를 회동시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스키드에 홀딩시키는 홀딩유닛; 및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헬리콥터의 착륙을 유도하는 와인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상기 헬리콥터의 전진 비행시 상기 스키드의 전단부에 홀딩되는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1 와이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걸이대가 회동될 때, 상기 스키드의 후단부가 홀딩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제 1 와이어를 지지하는 제 1 걸이대와, 상기 제 2 와이어를 지지하는 제 2 걸이대를 포함하는 걸이대; 상기 제 1 걸이대가 연결되는 제 1 회전기어와, 제 2 걸이대가 연결되는 제 2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회전기어; 및 상기 제 1 회전기어와 상기 제 2 회전기어를 구동 연결하는 회전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대가 회동될 때, 상기 제 1 걸이대와 상기 제 2 걸이대의 사이각도가 점차 줄어들도록, 상기 제 1 회전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 2 회전기어의 직경보다 더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인딩유닛은 회전축이 구비된 와인딩 모터; 및 상기 와이어가 와인딩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와인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고리가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부에 마련되는 이동 롤러;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걸려 구속되도록 상기 바디의 저부에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스키드의 전단부에 홀딩되는 제 1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유닛; 및 상기 스키드의 후단부가 홀딩되는 제 2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 이동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부에 설치되는 제 1 스토퍼; 상기 제 2 이동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토퍼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가이드홈부에 설치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악천후나 강풍과 같이 날씨 상황이 악화되는 응급 상황에서 헬리콥터가 정상적으로 착륙하지 못하는 경우, 헬리콥터를 강제 유도하여 헬리데크 상에 안전하게 착륙시킴으로써, 착륙시 지면과의 충돌에 의한 승객 또는 탑승 화물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이동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에 헬리콥터가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의 와이어에 헬리콥터의 스키드가 홀딩되는 상태를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의 와이어에 의해 헬리콥터의 착륙이 유도되는 상태를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의 와이어에 의해 헬리콥터가 착륙 중인 상태를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의 와이어에 의해 헬리콥터의 착륙이 완료된 상태를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헬리데크는 데크플로어를 구성하는 팬케익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선체는 특수선(drillship, FPSO, War ship 등)일 수 있지만,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선박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수선 외의 다른 종류의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는, 비행중인 헬리콥터(10, 도 5 참조)의 스키드(11, 도 5 참조)를 홀딩하여 착륙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는 크게 와이어(100), 홀딩유닛(200), 와인딩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00)는 헬리콥터(10)의 진행방향에 위치되도록 걸이대(210)에 의해 지지되는 체인일 수 있으며, 걸이대(2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헬리콥터(10)의 스키드(11)를 홀딩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100)는 스키드(11)를 홀딩한 상태에서 와인딩유닛(300)에 의해 헬리데크의 착륙 지점으로 당겨질 수 있다.
와이어(100)는 스키드(11)의 전단부에 대한 홀딩이 이루어지는 제 1 와이어(100a)와, 제 1 와이어(100a)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스키드(11)의 후단부에 대한 홀딩이 이루어지는 제 2 와이어(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와이어(100a) 및 제 2 와이어(100b)는 스키드(11)의 홀딩을 위해 걸이대(210)에 연동되도록 회동될 수 있으며, 이때, 이 제 2 와이어(100b)의 회동 속도는 제 1 와이어(100a)의 회동 속도보다 빠른 속도일 수 있다.
즉, 제 1 와이어(100a)가 스키드(11)의 전단부에 홀딩된 상태에서, 헬리콥터(10)가 전진 비행하게 되면, 제 2 와이어(100b)는 홀딩유닛(200)에 의해 제 1 와이어(100a)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므로, 제 2 와이어(100b)는 스키드(11)의 후단부를 홀딩할 수 있다.
홀딩유닛(200)은 제 1 와이어(100a) 및 제 2 와이어(100b)를 순차적으로 스키드(11)에 홀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들 제 1 와이어(100a) 및 제 2 와이어(100b)를 홀딩하면, 이들 와이어(100)를 헬리데크 측으로 초기 안내할 수 있다.
홀딩유닛(200)은 걸이대(210), 회전기어(220) 및 회전벨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대(210)는 걸이구(211)를 통해 제 1 와이어(100a)를 지지하는 제 1 걸이대(210a)와, 제 1 걸이대(210a)의 후방측에 위치되며 걸이구(211)를 통해 제 2 와이어(100b)를 지지하는 제 2 걸이대(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걸이대(210a) 및 제 2 걸이대(210b)는 회전기어(220)에 구동 연결되며, 회전기어(2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기어(220)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기어(220)는 제 1 걸이대(210a)가 연결되는 제 1 회전기어(220a)와, 제 2 걸이대(210b)가 연결되는 제 2 회전기어(22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 1 회전기어(220a) 및 제 2 회전기어(220b)의 회전축에는 제 1 걸이대(210a) 및 제 2 걸이대(210b)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회전기어(220a) 및 제 2 회전기어(220b)의 외주면에는 회전벨트(230)를 통해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1 회전기어(220a)의 직경을 제 2 회전기어(220b)의 직경보다 더 크게 설계하면, 제 1 걸이대(210a)가 회동될 때, 제 1 걸이대(210a)와 제 2 걸이대(210b)의 사이각도가 점차 줄어들면서, 제 2 걸이대(210b)는 스키드(11)의 후단부를 홀딩할 수 있다.
와인딩유닛(300)은 헬리콥터(10)의 착륙을 유도하기 위해, 와이어(100)를 풀어주거나 당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와인딩유닛(300)은 와이어(100)를 풀어주거나 당겨주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와인딩 모터(310)와, 회전축에 구동 연결되고 외주면에 와이어(100)가 권취되는 와인딩 롤러(3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인딩유닛(300)은 와인딩 모터(310) 및 와인딩 롤러(320)를 포함하는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헬리콥터(10)가 홀딩된 와이어(100)를 헬리데크에 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와이어(100)를 당김으로써, 헬리콥터(10)를 헬리데크에 안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홀딩유닛(200) 및 와인딩유닛(300)은 가이드레일(40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400)은 헬리콥터(10)의 착륙이 이루어지는 헬리데크 상에 설치되고, 해당 상면에는 가이드홈부(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가이드홈부(410)에는 와이어(100)를 지지하는 이동유닛(5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동유닛(500)은 헬리데크에 대한 헬리콥터(10)의 안착을 위해 와이어(100)를 지지하고, 가이드홈부(4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유닛(500)은 제 1 와이어(100a)를 지지하고 제 1 가이드홈부(410a)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유닛(500a)과, 제 2 와이어(100b)를 지지하고 제 2 가이드홈부(410b)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유닛(5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C"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이동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 1 이동유닛(500a) 및 제 2 이동유닛(500b)은, 바디(510)와, 와이어(100)를 지지하도록 바디(5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고리(511)와, 바디(510)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롤러(520)와, 가이드홈부(410)에 걸려 구속되도록 바디(510)의 저부에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100)의 일단은 지지고리(511)에 고정되고, 와이어(100)가 헬리콥터(10)의 스키드(11)를 홀딩하도록 와이어(100)의 타단은 지지고리(511)를 관통하여 와인딩유닛(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100)가 와인딩유닛(300)에 의해 당겨지면, 이동유닛(500)은 와이어(100)에 의해 당겨지면서 가이드홈부(410)를 따라 와인딩유닛(3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 1 이동유닛(500a) 및 제 2 이동유닛(500b)은 가이드레일(400)에 마련된 스토퍼(600)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스토퍼(600)는 제 1 이동유닛(500a)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1 스토퍼(600a)와, 제 2 이동유닛(500b)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2 스토퍼(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600a)는 제 1 가이드홈부(410a)의 경로상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 2 스토퍼(600b)는 제 2 가이드홈부(410b)의 경로상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스토퍼(600a)는 와인딩유닛(300)에 근접한 지점에 위치되어, 제 1 이동유닛(500a)의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스키드(11)의 전단부가 제 1 스토퍼(600a)의 언저리에서 착륙되도록 할 수 있고, 제 2 스토퍼(600b)는 와인딩유닛(300)에서 먼 지점에서 위치되어, 제 2 이동유닛(500b)의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스키드(11)의 후단부가 제 2 스토퍼(600b)의 언저리에서 착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에 헬리콥터가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의 와이어에 헬리콥터의 스키드가 홀딩되는 상태를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의 와이어에 의해 헬리콥터의 착륙이 유도되는 상태를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의 와이어에 의해 헬리콥터가 착륙 중인 상태를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의 와이어에 의해 헬리콥터의 착륙이 완료된 상태를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콥터(10)가 헬리데크에 진입하는 상태에서, 제 1 걸이대(210a)는 헬리콥터(10)의 진행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걸이대(210b)는 제 1 걸이대(210a)의 후방측에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걸이대(210a) 및 제 2 걸이대(210b)는 와인딩유닛(300)으로부터 일정 장력이 인가되므로, 제 1 걸이대(210a) 및 제 2 걸이대(210b)는 해당 위치에서 자세 및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콥터(10)가 직진 이동하게 되면, 스키드(11)의 전단부는 제 1 걸이대(210a)에 지지된 제 1 와이어(100a)에 걸릴 수 있고, 제 1 와이어(100a)가 스키드(11)의 전단부에 걸린 상태에서 헬리콥터(10)의 이동에 의해 직진 이동하게 되면, 스키드(11)의 후단부는 제 2 와이어(100b)에 걸릴 수 있다.
즉, 제 1 와이어(100a)가 헬리콥터(10)의 이동에 의해 직진 이동하게 되면, 제 1 와이어(100a)를 지지하는 제 1 걸이대(210a)가 직진 이동하게 되고, 제 1 걸이대(210a)의 직진 이동에 의해 제 1 걸이대(210a)에 연결된 제 1 회전기어(220a)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 1 회전기어(220a)의 회전력은 회전벨트(230)를 통해 제 2 회전기어(220b)에 전달되고, 제 2 회전기어(220b)의 회전력이 제 2 걸이대(210b)를 통해 제 2 와이어(100b)에 전달됨에 따라, 제 2 와이어(100b)는 제 2 걸이대(210b)의 이동에 의해 스키드(11)의 후단부에 걸릴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콥터(10)는 와인딩유닛(300)의 당김에 의해 헬리데크로 착륙이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와이어(100a)는 제 1 이동유닛(500a)을 통해 제 1 가이드홈부(410a)를 따라 와인딩유닛(3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2 와이어(100b)는 제 2 이동유닛(500b)을 통해 제 2 가이드홈부(410b)를 따라 와인딩유닛(3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콥터(10)는 제 1 스토퍼(600a) 및 제 2 스토퍼(600b)가 위치한 지점에 수직으로 착륙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스토퍼(600a)는 와인딩유닛(300)에 근접한 위치에서, 제 1 이동유닛(500a)의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스키드(11)의 전단부를 제 1 스토퍼(600a)의 언저리에서 착륙시킬 수 있고, 제 2 스토퍼(600b)는 와인딩유닛(300)에서 먼 위치에서 제 2 이동유닛(500b)의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스키드(11)의 후단부를 제 2 스토퍼(600b)의 언저리에서 착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악천후나 강풍과 같이 날씨 상황이 악화되는 응급 상황에서 헬리콥터가 정상적으로 착륙하지 못하는 경우, 헬리콥터를 강제 유도하여 헬리데크 상에 안전하게 착륙시킴으로써, 착륙시 지면과의 충돌에 의한 승객 또는 탑승 화물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와이어 100a :제 1 와이어
100b :제 2 와이어 200 :홀딩유닛
210 :걸이대 210a :제 1 걸이대
210b :제 2 걸이대 220 :회전기어
230 :회전벨트 300 :와인딩유닛
310 :와인딩 모터 320 :와인딩 롤러
400 :가이드레일 410 :가이드홈부
420 :지지대 500 :이동유닛
510 :바디 520 :이동 롤러
530 :이동 가이드

Claims (9)

  1. 비행중인 헬리콥터의 스키드를 홀딩하여 착륙을 유도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로서,
    상기 헬리콥터의 진행방향에 위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지지되는 걸이대를 회동시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스키드에 홀딩시키는 홀딩유닛;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헬리콥터의 착륙을 유도하는 와인딩유닛;
    가이드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헬리콥터의 전진 비행시 상기 스키드의 전단부에 홀딩되는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1 와이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걸이대가 회동될 때, 상기 스키드의 후단부가 홀딩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제 1 와이어를 지지하는 제 1 걸이대와, 상기 제 2 와이어를 지지하는 제 2 걸이대를 포함하는 걸이대;
    상기 제 1 걸이대가 연결되는 제 1 회전기어와, 제 2 걸이대가 연결되는 제 2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회전기어; 및
    상기 제 1 회전기어와 상기 제 2 회전기어를 구동 연결하는 회전벨트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가 회동될 때, 상기 제 1 걸이대와 상기 제 2 걸이대의 사이각도가 점차 줄어들도록, 상기 제 1 회전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 2 회전기어의 직경보다 더 크게 설계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유닛은
    회전축이 구비된 와인딩 모터; 및
    상기 와이어가 와인딩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와인딩 롤러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고리가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부에 마련되는 이동 롤러;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걸려 구속되도록 상기 바디의 저부에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스키드의 전단부에 홀딩되는 제 1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이동유닛; 및
    상기 스키드의 후단부가 홀딩되는 제 2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 이동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부에 설치되는 제 1 스토퍼;
    상기 제 2 이동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토퍼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가이드홈부에 설치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KR1020130104298A 2013-08-30 2013-08-30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KR10150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298A KR101505612B1 (ko) 2013-08-30 2013-08-30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298A KR101505612B1 (ko) 2013-08-30 2013-08-30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19A KR20150026019A (ko) 2015-03-11
KR101505612B1 true KR101505612B1 (ko) 2015-03-30

Family

ID=5302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298A KR101505612B1 (ko) 2013-08-30 2013-08-30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144A (ko) 2017-06-30 2019-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의 착륙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1050A (en) 1973-02-23 1974-04-02 Kaman Aerospace Corp Helicopter haul-down and securing system
JPH05330493A (ja) * 1992-06-04 1993-12-14 Mitsubishi Heavy Ind Ltd 航空機の着船誘導装置
US7264204B1 (en) 2005-12-12 2007-09-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nmanned aerial vehicle catcher
JP2013123946A (ja) * 2011-12-13 2013-06-24 Ihi Aerospace Co Ltd 飛行体の海上着艦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1050A (en) 1973-02-23 1974-04-02 Kaman Aerospace Corp Helicopter haul-down and securing system
JPH05330493A (ja) * 1992-06-04 1993-12-14 Mitsubishi Heavy Ind Ltd 航空機の着船誘導装置
US7264204B1 (en) 2005-12-12 2007-09-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nmanned aerial vehicle catcher
JP2013123946A (ja) * 2011-12-13 2013-06-24 Ihi Aerospace Co Ltd 飛行体の海上着艦装置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144A (ko) 2017-06-30 2019-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의 착륙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19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494B2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CN104619585B (zh) 全方位无摩擦的拖曳点
CN109415106B (zh) 紧急停船系统和方法
CN104229066B (zh) 一种船舶系泊定位方法
KR20130000733U (ko) 선박의 앵커 주시용 플랫폼
KR20190101956A (ko) 선박용 보조 돛 시스템 및 그에 대한 안전 시스템
KR101505612B1 (ko)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EP2167372B1 (en) Anchor handling device
EP2417012B1 (en) Anchor shackle and anchor positioning system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KR20180038700A (ko) 회전 계선주가 구비되는 선박의 계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계류방법
KR101567871B1 (ko) 선박용 앵커링 장치
WO2016140347A1 (ja) 追加プロペラを装備する船
KR20150030950A (ko) 헬리데크 격납부를 갖는 선박
US20120227654A1 (en) Marine craft depolyment and recovery
KR101400013B1 (ko) 선박의 긴급 제동장치
JP2016159824A5 (ko)
JPH0656076A (ja) 海底ケーブル敷設工法及びその敷設作業船
WO2016130002A1 (en) Marine transfer system
US20100199444A1 (en) Rotating Gangway Support Platform
KR20150002780U (ko) 구명보트 진수장치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WO2016204726A1 (en) Escort vessel stable torque aligning winch system
US9056655B1 (en) Escort vessel staple torque aligning winch system
KR200477310Y1 (ko) 선박의 구명정 진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