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43U -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43U
KR20180001243U KR2020160006157U KR20160006157U KR20180001243U KR 20180001243 U KR20180001243 U KR 20180001243U KR 2020160006157 U KR2020160006157 U KR 2020160006157U KR 20160006157 U KR20160006157 U KR 20160006157U KR 20180001243 U KR20180001243 U KR 20180001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variable
collision mitigation
impac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정
장창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243U/ko
Publication of KR20180001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8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 F16F3/1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combined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16F3/1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combined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the steel spring being in contact with the rubber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2043/18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using shock absorbing telescoping buffers
    • B63B2732/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는, 선박의 선수부가 외부와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로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가변선수부, 및 상기 가변선수부의 후방에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RELIEF APPARATUS FOR COLLISION OF SHIP AND SHIP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충돌 상황 발생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가변선수부의 상단 블록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항해 또는 정박 시에 선수부의 충돌로 인해 선박의 파손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선박과 교량의 충돌 문제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항로를 가로지르는 장대 교량의 증가 및 선박의 증가와 선박의 운항량 증가 등으로 인하여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운항중 다른 선박과의 충돌시 선박의 선수부 충돌로 인하여 선박에 상당한 구조적 피해를 발생시키고, 충돌에 의한 충격을 방지하는 수단이 없는 경우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도 발생하며 침몰하는 경우에는 인명 피해도 발생시킨다.
더욱이, 선박과 충돌한 교량 등의 구조물 피해도 커서 구조물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범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의 범퍼(100)는 범퍼부(40), 완충부(50), 및 가압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범퍼부(40)는 범퍼 판넬(42)과 샤프트(44)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 판넬(42)은 편평한 판 형상으로, 충격에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박(1)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범퍼 판넬(42)은 선박(1)의 외판(2)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범퍼 판넬(42)은 포물선 형상의 구조물이며, 범퍼 판넬(42)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44)가 체결되어 있다.
샤프트(44)는 일단이 범퍼부(40)에 체결되고 타단이 선박(1)의 외판(2)을 관통하여 선박(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범퍼부(40)는 선박(1)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범퍼부는 구조가 복잡하고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충격에 의한 구조적인 손상을 막기 위하여 선체외관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선체의 외판에 다수개의 프레임과 스티프너를 장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선체 외판의 보강 역할을 할 뿐 직접적인 충격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14-0000205 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선박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선수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선수부가 외부와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로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가변선수부; 및
상기 가변선수부의 후방에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선수부는 전방에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댐퍼는 가변선수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스프링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변선수부의 하부에는 가변선수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가변선수부의 중앙에 또는 가변선수부의 양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돌 완화 장치는 가변선수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 완화 장치는 가변선수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 완화 장치는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돌 완화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선박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선수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박과 충돌하는 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의 범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의 일부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에 충격이 가해진 예를 나타내는 일부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의 일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의 일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의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에 충격이 가해진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일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선박의 선수부가 외부와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는 가변선수부(110) 및 완충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변선수부(110)는 선박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전방에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 댐퍼(112)를 구비하고 있다.
고무 댐퍼(112)는 가변선수부(11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재(12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 재질이며 스프링 구조이다.
가이드 레일(130)은 가변선수부(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가변선수부(110)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레일(130)은 가변선수부(110)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위치 센서(140)는 가변선수부(1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모터(150)는 가변선수부(11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60)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모터(150)를 제어하여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는 가변선수부(110)가 충격을 받으면 고무 댐퍼(112)에 의해 충격이 일부 감소된다.
강한 충격인 경우에, 가변선수부(110)가 선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3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한다. 가변선수부(1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완충부재(120)에 의해 잔여 충격이 감소된다. 완충부재(120)는 고무 재질이며 스프링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충격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구조이다.
완충부재(120)에서 충격을 흡수하면 위치 센서(140)에 의해 가변선수부(1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송신한다. 제어부(160)는 모터(150)를 구동하여 가변선수부(110)를 전방의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의 일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131, 132)은 가변선수부(110)의 양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31, 132)이 가변선수부(110)의 양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후방으로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가이드 레일(131, 132)의 위치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3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는 구동을 위해 위치센서(140), 모터(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가 충돌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면, 위치센서(140)가 가변선수부(110)의 위치를 제어부(160)로 송신한다. 제어부(160)는 후방으로 후퇴된 가변선수부(110)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모터(150)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가변선수부(110)가 원위치로 이동을 완료하면 제어부(160)는 모터(150)를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10: 가변선수부 112: 고무 댐퍼
120: 완충부재 121: 구멍
130, 131, 132: 가이드 레일 140: 위치 센서
150: 모터 160: 제어부

Claims (12)

  1. 선박의 선수부가 외부와 충돌 시에 충격을 완화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로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가변선수부; 및
    상기 가변선수부의 후방에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선수부는 전방에 충격을 완화하는 고무 댐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댐퍼는 가변선수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스프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선수부의 하부에는 가변선수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가변선수부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가변선수부의 양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완화 장치는 가변선수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완화 장치는 가변선수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완화 장치는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에 따른 충돌 완화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KR2020160006157U 2016-10-24 2016-10-24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800012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57U KR20180001243U (ko) 2016-10-24 2016-10-24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57U KR20180001243U (ko) 2016-10-24 2016-10-24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43U true KR20180001243U (ko) 2018-05-03

Family

ID=6216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57U KR20180001243U (ko) 2016-10-24 2016-10-24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2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5619A (zh) * 2020-12-23 2021-03-09 浙江国际海运职业技术学院 船体防撞报警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205A (ko) 2010-09-22 2014-01-02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과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205A (ko) 2010-09-22 2014-01-02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 촬상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과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5619A (zh) * 2020-12-23 2021-03-09 浙江国际海运职业技术学院 船体防撞报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8065B2 (en) Bumper structure for automobile
JP2005510395A (ja) 自動車のフロント構造
CN107148373B (zh) 用于机动车的行人保护装置
KR20090063028A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US20040160071A1 (en)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CN108312994A (zh) 大型货运车辆尾部抗撞击装置
KR100921993B1 (ko) 차량
JP5994321B2 (ja) 車体前部構造
CN111465531A (zh) 一种用于在车辆中悬挂灯的装置
KR20180001243U (ko) 선박의 충돌 완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216150B1 (ko) 충격력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
KR101760582B1 (ko) 선박 접안 장치
JP2008001242A (ja) 車両用安全装置
JP5026822B2 (ja) 車両用安全装置
CN106985776B (zh) 一种抗撞结构的导向刚度补偿装置
CA2904712A1 (en) Vehicle bumper structure
KR101691803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1704003B1 (ko) 보행자 보호장치
KR102054476B1 (ko) 도로용 충격흡수 장치
KR100597369B1 (ko) 차량용 후드 힌지장치
JP2020082875A (ja) 車両の歩行者保護装置
CN220114580U (zh) 一种减震抗冲击型汽车保险杠
KR101011000B1 (ko) 보행자 충격을 완화한 범퍼
KR102063067B1 (ko) 차량용 범퍼장치
CN211809471U (zh) 一种保险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