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356B1 -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356B1
KR101721356B1 KR1020157035559A KR20157035559A KR101721356B1 KR 101721356 B1 KR101721356 B1 KR 101721356B1 KR 1020157035559 A KR1020157035559 A KR 1020157035559A KR 20157035559 A KR20157035559 A KR 20157035559A KR 101721356 B1 KR101721356 B1 KR 10172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rotective portion
protective
resin cur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302A (ko
Inventor
토모유키 토요다
츠토무 데지마
요시히사 신야
유스케 카마타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 G02F2202/025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thermocur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79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with poking during delaminating [e.g., jabbing, etc.]
    • Y10T156/1184Piercing layer during delaminating [e.g., cut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경화물에 의한 접합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 표시부 또는 보호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다. (b) 표시부와 보호부를 수지 조성물을 개재하여 밀착시킨다. (c) 보호부의 외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표시부와 보호부 사이에 수지 경화물층을 개재시킨다. 추가로 수지 경화물층의 문제점에 따라, (d) 보호부와 표시부가 접합된 수지 경화물층의 측면측으로부터 해당 수지 경화물층의 두께보다 직경이 작은 와이어를 접촉시켜 해당 수지 경화물층 내를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부와 보호부를 분리한다. (e) 분리된 표시부 및 보호부 위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 경화물을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제거용 용액에 의해 박리 제거한다. 그 후, (f) 공정 (a) 내지 (c)를 반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등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LCD) 등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표시부 위에 투명한 보호부를 설치한 표시 장치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액정 표시 장치 (101)은 액정 표시 패널 (102) 위에, 예를 들면 유리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투명한 보호부 (10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액정 표시 패널 (102) 표면 및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부 (103)과의 사이에 스페이서 (104)를 개재시킴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 (102)와 보호부 (103) 사이에 공극 (10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 패널 (102)와 보호부 (103) 사이의 공극 (105)의 존재에 의해, 빛의 산란에 기인하는 콘트라스트나 휘도가 저하되고, 패널 박형화가 저해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액정 표시 패널과 보호부 사이의 공극에 수지를 충전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표시 패널과 보호부 사이에 충전한 수지 내에 이물질이나 기포의 혼입이 확인된 경우에는, 표시 패널과 보호부를 박리하여 보수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과 보호부를 박리할 때, 이들 표시 패널과 보호부에 손상이 있거나 균열이 발생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표시 패널과 보호부에 부착된 수지 경화물을 용제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이 종류의 수지 경화물에 대하여 용해성이 높은 용제는 존재하지만,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해당 용제 그 자체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세정 공정이 필요로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55641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수지 경화물에 의한 접합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해당 표시부 위에 배치된 투광성의 보호부를 갖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보호부 사이에 투광성의 수지 경화물층이 개재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하의 공정 (a) 내지 (c) 이후에, 해당 표시 장치의 문제점에 따라 추가로 이하의 공정 (d) 내지 (f)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a)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보호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지 경화물의 원료인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b) 상기 표시부와 상기 보호부를 수지 조성물을 개재하여 밀착시키는 공정.
(c) 상기 보호부의 외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와 상기 보호부 사이에 상기 수지 경화물층을 개재시키는 공정.
(d) 상기 보호부와 상기 표시부가 접합된 상기 수지 경화물층의 측면측으로부터 해당 수지 경화물층의 두께보다 직경이 작은 와이어를 접촉시켜 해당 수지 경화물층 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와 상기 보호부를 분리하는 공정.
(e) 분리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보호부 위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 경화물을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제거용 용액에 의해 박리 제거하는 공정.
(f) 상기 공정 (a) 내지 (c)를 반복하는 공정.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명에서 상기 수지 경화물층의 탄성률이 1.0×105 Pa 미만인 경우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명에서 상기 유기 용제는, 경화 전의 상기 수지 조성물과 해당 유기 용제를 부피비 1:1로 혼합한 경우 상용하는 것으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제거용 용액이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 또는 톨루엔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제거용 용액이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 뿐만 아니라 에틸 알코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부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거용 용액이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명에서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와 보호부를 수지 경화물층을 개재하여 접합시킨 후, 문제점이 발견된 경우에는, 보호부와 표시부가 접합된 수지 경화물층의 측면측으로부터 해당 수지 경화물층의 두께보다 직경이 작은 와이어를 접촉시켜 해당 수지 경화물층 내를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부와 보호부를 분리하고, 분리된 표시부 및 보호부 위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 경화물을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제거용 용액에 의해 박리 제거함으로써 보수 작업시에 박리하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와 보호부에 손상이 있거나 균열이 발생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없다.
본 발명에서, 수지 경화물층의 탄성률이 1.0×105 Pa 미만인 경우에는, 보다 원활하면서도 신속하게 수지 경화물층을 절단하여 표시부와 보호부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기 용제로서 경화 전의 수지 조성물과 해당 유기 용제를 부피비 1:1로 혼합한 경우 상용하는 것으로부터 선택함으로써(예를 들면, 리모넨 또는 톨루엔), 분리된 표시부 및 보호부 위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 경화물을 용해시켜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거용 용액으로서,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 또는 톨루엔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표시부의 표면에 설치된 편광판에 대하여 변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거용 용액이 유기 용제인 리모넨 뿐만 아니라 에틸 알코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면, 수지 경화물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거용 용액의 휘발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표시부의 표면에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보수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 경화물에 의한 접합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 (a) 내지 (c): 동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a) 내지 (c): 동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본 발명에서의 수지 경화물층의 절단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 본 발명에서의 수지 경화물층의 절단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 (a) 내지 (c): 수지 경화물의 유기 용제에 의한 불식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종래의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표시부, 3…보호부, 5…수지 경화물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a) 내지 (c) 및 도 3(a) 내지 (c)는 동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표시부 (2)의 표면에 광 경화형 수지 조성물(이하, 적절하게 "수지 조성물", "수지" 등으로 칭함)을 소정량 적하하여, 수지 조성물층 (4)를 도포 형성한다(스텝 S1).
본 발명의 경우, 이 수지 조성물층 (4)는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표시부 (2)와 보호부 (3)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스페이서는 사용하지 않고, 위치 결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표시부 (2)와 보호부 (3)의 간격을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표시부 (2) 위에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보호부 (3)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유리판, 아크릴 수지(예를 들면, 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고분자 재료(플라스틱)를 포함하는 기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 (3)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하강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승강 기구에 의해 보호부 (3)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 (2)와 보호부 (3) 사이의 공극에 해당 수지 조성물층 (4)를 배치 충전한다(스텝 S2).
본 발명의 경우, 광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서는 경화 후 투과율이 90 % 이상, 25 ℃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5 Pa 이하, 경화 수축률이 5 %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젖어 퍼지는 속도, 불거져 나오기 어려움(표면 장력)의 관점에서는 점도가 1000 mPaㆍs 내지 5000 mPaㆍs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mPaㆍs 내지 3000 mPaㆍs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등의 광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재료와 광중합 개시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기타 첨가제, 예를 들면 증감제, 가소제, 투명 입자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IRGACURE) 184: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주) 제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 (3)은, 표시부 (2)에 대한 자외선 보호의 관점에서 자외선 영역을 차단하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가시광 영역에서도 경화할 수 있는 광중합 개시제(예를 들면, 상품명 스피드 큐어(Speed Cure) TPO: 닛본 시베르헤그너(주)사 제조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수지 조성물은, 이것을 UV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얻어지는 수지 경화물의 저장 탄성률(25 ℃)을 1×105 Pa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3 내지 1×105 Pa로 하고, 수지 경화물의 굴절률을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 1.5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 이상 1.52 이하로 하고, 수지 경화물의 두께가 100 ㎛인 경우의 가시광 영역의 투과율을 90 % 이상으로 하여 제조한 것이다.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주요한 수지 성분이 공통인 경우에도, 함께 배합하는 수지 성분 또는 단량체 성분 등이 상이하면, 그것을 경화시킨 수지 경화물의 저장 탄성률(25 ℃)이 1×105 Pa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수지 경화물이 되는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이 수지 조성물은 경화 수축률이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가 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그 때문에, 수지 조성물이 경화될 때 수지 경화물에 축적되는 내부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지 경화물층 (5)와 표시부 (2) 또는 보호부 (3)의 계면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을 표시부 (2)와 보호부 (3) 사이에 개재시키고, 그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우, 수지 경화물층 (5)와 표시부 (2) 또는 보호부 (3)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빛의 산란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표시 화상의 휘도를 높임과 동시에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수지 조성물을 경화할 때 수지 경화물에 축적되는 내부 응력의 정도는, 수지 조성물을 평판 위에 적하하고, 그것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수지 경화물의 평균 표면 조도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 2 ㎎을 유리판 위 또는 아크릴판 위에 적하하고, 그것을 UV 조사에 의해 90 % 이상의 경화율로 경화시켜 얻어지는 수지 경화물의 평균 표면 조도가 6.0 ㎚ 이하이면, 표시부와 보호부 사이에 수지 조성물을 개재시키고, 그것을 경화시킨 경우 이들의 계면에 발생하는 왜곡이 실용상 무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따르면, 이 평균 표면 조도를 6.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유리판으로서는, 액정 셀의 액정을 협지(挾持)하는 유리판이나 액정 셀의 보호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판으로서는, 액정 셀의 보호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리판이나 아크릴판의 평균 표면 조도는, 통상적으로 1.0 ㎚ 이하이다.
그 후,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조성물층 (4)에 대하여 보호부 (3)을 개재하여 자외선 UV를 조사함으로써 수지를 경화시킨다(스텝 S3).
본 발명의 경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의 보다 균일한 경화를 달성하는 관점에서, 표시부 (2)가 보호부 (3)의 표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외선의 조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동시에, 예를 들면 광 섬유 등을 사용하여 표시부 (2)와 보호부 (3) 사이의 수지 조성물층 (4)에 대하여 수지 조성물층 (4)의 바깥쪽 측면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직접 조사할 수도 있다.
그 후, 표시부 (2)와 보호부 (3) 사이에 충전된 수지 경화물층 (5) 내에 이물질이나 기포의 혼입 유무를 검사한다(스텝 S4).
또한, 스텝 S5에서 검사의 결과가 양호한 경우에는, 해당 공정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5에서 표시부 (2)와 보호부 (3) 사이의 수지 경화물층 (5) 내에 이물질이나 기포가 혼입되어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보수를 수행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도 3(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20)을 사용하여 수지 경화물층 (5)를 절단함으로써 표시부 (2)와 보호부 (3)을 분리시킨다(스텝 S6).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수지 경화물층 절단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한 쌍의 풀리 (10), (11)에 걸쳐진 와이어 (20)을 표시부 (2) 및 보호부 (3)의 폭 방향인 도면 중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서 표시부 (2)와 보호부 (3) 사이의 수지 경화물층 (5)를 와이어 (20)에 가압하고, 그 상태에서 패널 (1)을 와이어 (2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지 경화물층 (5)를 절단하여 표시부 (2)와 보호부 (3)을 분리시킨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예의 경우에는, 한 쌍의 활차를 구성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풀리 (10) 내지 (13) 사이에 와이어 (20)을 걸치고, 풀리 (10), (11) 사이의 와이어 (20)의 느슨함을 흡수하는 인장 용수철 (14), (15)를 활차로서 이동하는 풀리 (12), (13)에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표시부 (2)와 보호부 (3) 사이의 수지 경화물층 (5)를 와이어 (20)에 가압하고, 그 상태에서 패널 (1)을 와이어 (2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지 경화물층 (5)를 절단하여 표시부 (2)와 보호부 (3)을 분리시킨다.
이 경우, 풀리 (10), (11) 사이의 와이어 (20)의 느슨함은 인장 용수철 (14), (15)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되여 풀리 (10), (11) 사이의 와이어 (20)은 항시 팽팽해진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와이어 (20)으로서는, 탄소강에 의해 제조된 금속선(예를 들면 피아노선)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 (20)의 굵기는, 표시부 (2)와 보호부 (3) 사이의 수지 경화물층 (5)의 두께보다 가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절단성의 관점에서는 50 ㎛ 내지 10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부 (2)와 보호부 (3)을 분리한 후에는, 표시부 (2)와 보호부 (3)의 표면에 남아 있는 수지 경화물을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제거용 용액에 의해 불식 제거한다(스텝 S7).
도 6(a) 내지 (c)는, 수지 경화물에 대한 유기 용제에 의한 불식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예를 들면 LCD 셀) 또는 보호부(예를 들면, 플라스틱판, 유리판) 위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경우를 생각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제거용 용액을 수지 경화물 위에 예를 들면 적하나 분무법에 의해 도포하고, 예를 들면 5분 정도 실온에서 방치하여 수지 경화물을 함침 팽윤시킨다.
또한, 수지 경화물 위에 도포한 제거용 용액의 유기 용제와 동일한 용제를 함침시킨 엘라스토머 등을 포함하는 와이프 부재를 사용하여, 수지 경화물을 불식한다.
본 발명의 경우, 제거용 용액에 함유되는 유기 용제로서는, 경화하기 전의 수지 조성물과 해당 유기 용제를 부피비 1:1로 혼합한 경우 상용하는 것, 즉 용해 매개 변수(SP값)가 작은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해당 용해 매개 변수가 9 미만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제거용 용액에 따르면, 표시부 (2)와 보호부 (3)의 표면에 남아 있는 수지 경화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표시부 (2) 위에 설치되는 편광판(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함)에 대하여 변질 등의 손상을 주지 않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는 유기 용제로서, 예를 들면 리모넨(C10H16, 용해 매개 변수: 0.6), 톨루엔(C7H8, 용해 매개 변수: 8.8)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거용 용액에는, 불식성, 휘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부 (3)로서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기판(특히 PMMA 기판)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을 사용하면, 기판 표면에 변질을 일으키지 않고 수지 경화물을 불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용제가 리모넨인 경우에는,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첨가함으로써 불식성, 휘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불식 공정 후, 표시부 (2)와 보호부 (3)의 불식 표면을 예를 들면 현미경에 의한 외관 변화 관찰에 의해 검사하여(스텝 S8), 수지 경화물의 잔사가 없고, 표면에 변질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최초로부터의 공정을 반복한다(스텝 S9).
한편, 스텝 S9에 있어서, 표시부 (2)와 보호부 (3)의 표면에서 수지의 잔사가 남아 있거나, 표면 변질이 발생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불량품으로서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경화물층 (5)를 절단할 때 와이어에 대하여 표시 장치측을 이동시키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장치에 대하여 와이어측을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액정 표시 장치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유기 EL 장치 등의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공액의 제조〕
폴리이소프렌 중합물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 70 중량부,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부, 2-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10 중량부, 테르펜계 수소 첨가 수지 30 중량부, 부타디엔 중합체 140 중량부, 광중합 개시제 4 중량부, 가시광 영역용 광중합 개시제 0.5 중량부를 혼련기로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수지 경화물의 물성: 참고예>
〔투과율, 탄성률〕
상술한 배합으로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보호부용인 두께 100 ㎛의 백색의 유리판 위에 적하하고, 자외선 조사 장치 내의 UV 컨베이어로 반송하여 수지를 경화시켰다(수지 경화물의 두께 100 ㎛).
이 수지 경화물에 대하여,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닛본 분꼬(주) 제조 V-560)에 의해 투과율을 측정한 바, 90 % 이상이었다.
이어서, 이 수지 경화물에 대하여, 점탄성 측정 장치(세이코 인스트루먼트(주) 제조 DMS6100)를 사용하여 탄성률(측정 주파수 1 Hz, 25 ℃)을 측정한 바, 1.0×104 Pa였다.
〔경화 수축률〕
또한, 경화 수축률에 대해서는, 경화 전의 수지액과 경화 후의 고체의 비중을 전자 비중계(미라지(MIRAGE)사 제조 SD-120L)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양자의 비중차에 기초하여 이하의 수학식 1로부터 산출한 바, 1.8 %였다.
[수학식 1]
경화 수축률(%)=(경화물 비중- 수지액 비중)/경화물 비중×100
〔표면 조도의 측정〕
상술한 수지 조성물 2 ㎎을 LCD셀용 유리판에 적하하고,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 반응시에 생성되는 내부 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유리판 표면의 소정 영역(2.93 ㎜×2.20 ㎜)의 왜곡(Ra: 평균 표면 조도)을 3차원 비접촉 표면 조도 측정계(자이고(Zygo) 가부시키가이샤 제)로 측정한 바, 2.7 ㎚였다.
본 예의 경우, 수지 경화물은 탄성률이 1×104 Pa이고, 경화 수축률은 1.8 %였으며, 그 때문에 평균 표면 조도가 Ra=2.7 ㎚로서 왜곡이 거의 없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따라서, 이러한 수지 경화물을 표시부와 보호부 사이에 배치 충전시킴으로써, 왜곡이 없는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상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수지 조성물을 상기 보호부용 유리판 또는 LCD셀용 유리판 위에 도포하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 톨루엔 또는 MEK를 수지 경화물 위에 도포하고, 5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또한, 수지 경화물 위에 도포한 유기 용제와 동일한 용제를 함침시킨 와이프 부재를 사용하여, 수지 경화물을 불식하였다.
그 후, 각 샘플의 불식성을 현미경에 의한 외관 변화 관찰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여기서는, 외관상 문제없이 불식할 수 있었던 것을 ○, 외관상 문제가 발생한 것을 ×로 하였다.
Figure 112015122970955-pat00001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 톨루엔을 사용한 경우에는 외관상 문제없이 불식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한편, 유기 용제로서 MEK를 사용한 경우에는, 불식을 완전히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LCD셀용 유리판 위의 편광판에 변질이 관찰되었다.
<실시예에서의 불식 공정 후의 수지 경화물의 물성>
〔수지 경화물 불식 후의 투과율, 탄성률, 경화 수축률〕
불식 공정이 종료된 보호부용 유리판 위에 상기 참고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수지 조성물을 적하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경화시켰다.
이 수지 경화물에 대하여 상기 참고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투과율을 측정한 바, 상기 참고예의 경우와 동등한 결과(오차 범위 내)가 얻어졌다.
이어서, 이 수지 경화물에 대하여 상기 참고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탄성률을 측정한 바, 상기 참고예의 경우와 동등한 결과(오차 범위 내)가 얻어졌다.
또한, 상기 참고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경화 수축률을 측정ㆍ산출한 바, 상기 참고예의 경우와 동등한 결과(오차 범위 내)가 얻어졌다.
〔수지 경화물 불식 후의 표면 조도의 측정〕
한편, 불식 공정이 종료된 LCD셀용 유리판에 상기 참고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수지 조성물을 적하하고, 상기 참고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의 왜곡을 측정한 바, 평균 표면 조도 Ra가 상기 참고예의 경우와 동등한 결과(오차 범위 내)가 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보수 전후에 투과율, 탄성률, 경화 수축률, 평균 표면 조도가 모두 변하지 않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 경화물에 의한 접합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왜곡이 없는 표시 장치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 실시예>
〔도공액의 제조〕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히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20 중량부, 광중합 개시제 3 중량부, 가시광 영역용 광중합 개시제 1 중량부를 혼련기로 혼련하여 참고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투과율, 탄성률, 경화 수축률〕
상술한 배합으로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상술한 보호부용의 유리판 위에 적하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경화시켰다.
이 수지 경화물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투과율을 측정한 바, 90 % 이상이었다.
이어서, 이 수지 경화물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탄성률을 측정한 바, 2.0×107 Pa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경화 수축률을 측정ㆍ산출한 바, 5.6 %였다.
〔표면 조도의 측정〕
LCD셀용 유리판에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적하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면의 왜곡을 측정한 바, 12.4 ㎚였다.
본 예의 경우, 수지 경화물은 탄성률이 2×107 Pa이고, 경화 수축률은 5.6 %였으며, 그 때문에 평균 표면 조도가 Ra=12.4 ㎚으로 왜곡이 상기 실시예에 비해 커졌다.
한편, 상술한 수지 조성물을 상기 보호부용 유리판 또는 LCD셀용 유리판 위에 도포하고, 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또한,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 또는 톨루엔을 수지 경화물 위에 도포하고, 5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또한, 수지 경화물 위에 도포한 유기 용제와 동일한 용제를 함침시킨 와이프 부재를 사용하여, 수지 경화물을 불식하였다.
그 후, 각 샘플의 불식성을 현미경에 의한 외관 변화 관찰에 의해 확인한 바, 불식을 완전히 수행할 수 없었으며, 외관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단, 실용 가능한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수지 경화물의 탄성률은 1×105 Pa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4)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해당 표시부 위에 배치된 투광성의 보호부를 갖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보호부 사이에 투광성의 수지 경화물층이 개재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하의 공정 (a) 내지 (c) 이후에, 해당 표시 장치의 문제점에 따라 추가로 이하의 공정 (d) 내지 (f)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보호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지 경화물의 원료로서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b) 상기 표시부와 상기 보호부를 수지 조성물을 개재하여 밀착시키는 공정,
    (c) 상기 보호부의 외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와 상기 보호부 사이에 상기 수지 경화물층을 개재시키는 공정,
    (d) 상기 보호부와 상기 표시부가 접합된 상기 수지 경화물층의 측면측으로부터 해당 수지 경화물층의 두께보다 직경이 작은 와이어를 접촉시켜 해당 수지 경화물층 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와 상기 보호부를 분리하는 공정,
    (e) 분리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보호부 위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 경화물을 유기 용제로서 용해 매개 변수가 9 미만이고 리모넨 또는 톨루엔을 함유하는 제거용 용액에 의해 박리 제거하는 공정,
    (f) 상기 공정 (a) 내지 (c)를 반복하는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용 용액은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 뿐만 아니라 에틸 알코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거용 용액이 유기 용제로서 리모넨을 함유하는 것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7035559A 2007-07-17 2008-07-16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21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86360 2007-07-17
JP2007186360 2007-07-17
JPJP-P-2008-005027 2008-01-11
JP2008005027 2008-01-11
JP2008105109A JP2009186962A (ja) 2007-07-17 2008-04-14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8-105109 2008-04-14
PCT/JP2008/062855 WO2009011369A1 (ja) 2007-07-17 2008-07-16 表示装置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012A Division KR101581967B1 (ko) 2007-07-17 2008-07-16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02A KR20160003302A (ko) 2016-01-08
KR101721356B1 true KR101721356B1 (ko) 2017-03-29

Family

ID=402597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012A KR101581967B1 (ko) 2007-07-17 2008-07-16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7035559A KR101721356B1 (ko) 2007-07-17 2008-07-16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012A KR101581967B1 (ko) 2007-07-17 2008-07-16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152947B2 (ko)
EP (1) EP2169456B1 (ko)
JP (1) JP2009186962A (ko)
KR (2) KR101581967B1 (ko)
CN (1) CN101743505B (ko)
HK (1) HK1141865A1 (ko)
TW (1) TWI440929B (ko)
WO (1) WO2009011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7417B2 (ja) * 2007-07-17 2014-04-2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
JPWO2010044291A1 (ja) * 2008-10-17 2012-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45862A1 (ja) * 2009-10-16 2011-04-21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透明樹脂充填剤
JP5728010B2 (ja) 2010-06-21 2015-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前面板付表示パネル、表示装置及び樹脂組成物
KR101211371B1 (ko) 2010-09-16 2012-12-13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WO2012099171A1 (ja) 2011-01-18 2012-07-26 シャープ株式会社 平面板付き表示パネル、平面板付き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
JP2012172064A (ja) 2011-02-22 2012-09-10 Nitto Denko Corp 紫外線硬化型光学樹脂接着剤組成物
US20120315382A1 (en) * 2011-06-10 2012-12-13 Aliphcom Component protective overmolding using protective external coatings
US9069380B2 (en) 2011-06-10 2015-06-30 Aliphcom Media device, application, and content management using sensory input
CN104629573B (zh) 2011-10-21 2016-09-14 日本化药株式会社 光学构件的制造方法及用于该制造方法的紫外线固化型树脂组合物的应用
JP4968755B1 (ja) * 2012-01-17 2012-07-04 サン工業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保護板製造方法
TWI557204B (zh) 2012-02-17 2016-11-11 Three Bond Fine Chemical Co Ltd Optically hardened sheet-like adhesive composition
CN103507390A (zh) * 2012-06-20 2014-01-15 苏州工业园区赫光科技有限公司 一种oca光学胶分离装置
US10220537B2 (en) 2012-10-17 2019-03-05 Saxum,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screen shield replacement
CN104968697B (zh) * 2013-02-04 2018-03-13 株式会社普利司通 光固化性弹性体组合物、硬盘驱动器用垫片和硬盘驱动器
JP6609093B2 (ja) 2013-05-13 2019-11-2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US9254636B2 (en) * 2013-09-24 2016-02-09 Apple Inc. Display module reworkability
JP2014142648A (ja) * 2014-02-27 2014-08-07 Dexerials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透明樹脂充填剤
JP5994011B2 (ja) * 2015-10-21 2016-09-2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8353507B (zh) * 2015-10-30 2020-11-27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加工与第二基材粘结的第一基材的方法
US9946104B2 (en) 2015-12-28 2018-04-17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677A (ja) * 2002-12-03 2004-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分離方法と表示パネル分離装置
JP2006169470A (ja) * 2004-12-20 2006-06-29 Sanyo Chem Ind Ltd エレクトロニクス用洗浄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12515T2 (de) * 1991-03-08 1996-12-05 Nat Starch Chem Invest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JP2812844B2 (ja) * 1992-11-30 1998-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剥離装置
JPH06345499A (ja) * 1993-06-08 1994-12-2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からガラスを回収する方法
JPH07114010A (ja) * 1993-10-14 1995-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US5514294A (en) * 1994-11-22 1996-05-07 Alliedsignal Inc. Limonene and tetrahydrofurfuryl alcohol cleaning agent
US5717475A (en) * 1996-01-30 1998-02-1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substrate, process for producing the substrate, liquid crystal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device
JPH1195210A (ja) * 1997-09-16 1999-04-09 Optrex Corp 偏光膜剥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081212B2 (ja) * 1999-09-16 2008-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シール剤組成物およびこのシール剤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681978B2 (ja) * 2000-12-19 2005-08-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光反射板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7208206B2 (en) * 2003-03-10 2007-04-24 Nitto Denko Corporation Glass crack preventio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217097B2 (ja) * 2003-04-03 2009-01-2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
JP2004325788A (ja) * 2003-04-24 2004-11-18 Sony Corp 光学的検査方法及び光学的検査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5055641A (ja) 2003-08-04 2005-03-03 Yokogawa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5179481A (ja) * 2003-12-18 2005-07-07 Nitto Denko Corp 積層シ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4370207B2 (ja) * 2004-06-29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6184872A (ja) * 2004-12-03 2006-07-13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4241697B2 (ja) 2005-09-06 2009-03-18 ユーテ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剥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677A (ja) * 2002-12-03 2004-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分離方法と表示パネル分離装置
JP2006169470A (ja) * 2004-12-20 2006-06-29 Sanyo Chem Ind Ltd エレクトロニクス用洗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86962A (ja) 2009-08-20
CN101743505A (zh) 2010-06-16
US20100178834A1 (en) 2010-07-15
EP2169456B1 (en) 2016-12-14
KR20160003302A (ko) 2016-01-08
CN101743505B (zh) 2011-10-19
EP2169456A1 (en) 2010-03-31
WO2009011369A1 (ja) 2009-01-22
US20120118483A1 (en) 2012-05-17
KR101581967B1 (ko) 2015-12-31
KR20100037106A (ko) 2010-04-08
TW200916887A (en) 2009-04-16
TWI440929B (zh) 2014-06-11
US8152947B2 (en) 2012-04-10
EP2169456A4 (en) 2010-10-13
HK1141865A1 (en)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356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502642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4984083B2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23323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명 수지 충전제
KR101379126B1 (ko) 수지 조성물 및 표시 장치
EP2144219A1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9186954A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90129452A (ko) 화상 표시 장치, 수지 조성물, 수지 경화물층,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5894557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994011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4142648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透明樹脂充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