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074B1 -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 Google Patents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074B1
KR101721074B1 KR1020150060735A KR20150060735A KR101721074B1 KR 101721074 B1 KR101721074 B1 KR 101721074B1 KR 1020150060735 A KR1020150060735 A KR 1020150060735A KR 20150060735 A KR20150060735 A KR 20150060735A KR 101721074 B1 KR101721074 B1 KR 10172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rame
horizontal
vehicl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618A (ko
Inventor
황성환
Original Assignee
황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1654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2107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필 filed Critical 황재필
Publication of KR2016000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받침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V 차량의 2열 탑승자가 시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 조절형 시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조절형 시트 받침대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 차량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수평 레일과; 상기 수평 레일을 따라서 이동 및 단속되는 이동 부재들과; 및 상기 이동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POSITION-ADJUSTABLE SEAT FRAME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받침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V 차량의 2열 탑승자가 시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 조절형 시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12인승 또는 9인승 형태의 RV 차량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고급화 경향에 따라 2열에는 한 사람씩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독립 시트들이 배열된다.
2열 독립시트들은 차량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시트를 뒤로 이동시켜 충분한 무릎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을 길게 설치한다면, 다리를 쭉 펼 수 있는 편안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2열 독립시트 사이로 이동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독립시트들을 문쪽에 가깝게 설치해야 하는 차량의 경우, 특히 문의 뒤쪽에서는 실내가 좁아지는 차량의 경우에는, 레일을 길게 설치하더라도 전후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이유로, 2열 시트용 레일은 3열 또는 4열 시트용 레일과 분리되어, 바닥에 짧게 설치된다.
또한, 2열 독립시트들은 문쪽에 너무 가깝게 설치되어 팔의 거동이 불편하고, 겨울철에는 어깨가 추워지는 등 여러 가지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기존의 바닥 레일을 뜯어내고, 2열 독립 시트들 사이에 이동통로가 없도록, 길게 연장된 4개의 레일을 설치하는 튜닝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튜닝은 비용이 과도할 뿐만 아니라, 바닥 레일 구조의 변경은 차량의 불법 개조로 간주 될 우려가 있다. 또 사고나 고장 시 신차의 무상 보증 기간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레일 바닥을 뜯어내지 않고, 시트를 전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시트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기존의 2열 독립 시트용 레일을 연장시키지 않고 무릎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시트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받침대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 차량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수평 레일과; 및
상기 수평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 부재들과; 및
상기 이동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부에 시트가 위치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단에 차량 바닥에 형성된 바닥 레일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돌출된 두 개의 돌출 프레임과;
상기 돌출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하여 상기 바닥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롤러와; 및
상기 레일 롤러의 이동을 단속하는 단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판형 프레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트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넓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형 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에 있어서, 상기 판형 프레임은 시트의 무게에 의해서 판재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바닥 레일의 연장 방향)의 테두리가 하향 절곡되어, 판형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시트 하부면의 외곽을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과 테두리 프레임을 사이를 가로형 격자형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수평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의 전방에서 연장되어 차량의 바닥 레일과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30 cm 정도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프레임은 한정적이지는 않지만 직사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닥 레일은 차량 내부 저면에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고정된 레일이며, 차량 제조사의 의해서 설치되어 개조되지 않은 레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닥 레일은 2열 독립 시트를 전후진 시키기 위해서형성된 짧은 레일이다. 상기 바닥 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로킹홈이 형성되고, 로킹 홈에 레일 롤러가 로킹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일 롤러는 바닥 레일에 끼워져 움직이는 다수의 바퀴가 달린 이동 몸체와 상기 바닥 레일의 로킹홈에 결합되는 로킹부와 상기 로킹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로킹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 롤러는 전단은 돌출 프레임에 결합되고, 후단은 수평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수평 프레임의 바닥의 중간에 위치한 돌출편에 결합한다. 상기 중간은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10~30 cm 정도 이격된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속기는 바닥 레일에 결합된 레일 롤러를 해제하거나 해제된 레일롤러를 바닥 레일에 결합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단속기는 레일롤러의 로킹 레버를 눌러서 바닥 레일과 레일 롤러의 결합을 분리시키는 단속 레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로킹 레버는 막대 형태의 레버가 이동 몸체에 있는 회동축에 시소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단속 레버에 맞물려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타측에서는 로킹핀이 결합되어 로킹핀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단속 레버들은 와이어로 연결된 조절 손잡이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 레일은 프레임의 상면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평 프레임의 전단과 후단에 나란하게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레일은 수평 프레임의 외부에 노출된 노출형 레일일 수 있으며, 예컨대 하부면이 수평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된 "
Figure 112015041968198-pat00001
" 단면을 가지는 레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수평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 위를 이동, 예컨대 슬라이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
Figure 112015041968198-pat00002
" 단면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딩 커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 있어서, 이동 부재들은 다수의 이동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에 고정되어 동시에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이동 부재의 이동을 단속하여, 전체 이동 부재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의 단속은 수평 레일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톱니형 돌출부에 이동 부재에 부착된 걸림편이 결합 또는 해제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이동 부재를 따라서 연장된 회동축의 말단에 부착되어, 회동축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하여, 톱니형 돌출부에 결합되거나 톱니형 돌출부로부터 풀려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막대형 가로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막대형 가로부재들에는 시트의 하단이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상면에 시트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판재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RV 차량의 2열 독립시트를 레일을 따라 전후 및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별도의 레일의 설치나 기존 레일의 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차량 튜닝에 따른 불법 개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2열을 위한 레일의 길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무릎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인 인터넷 웹사이트에 개시된 2열에 독립 시트가 설치된 RV 차량의 내부 사진이다.
도 2는 인터넷 웹사이트에 개시된 시트가 제거된 상태의 RV 차량의 바닥 레일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바닥 레일에 결합된 상태의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시트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레일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받침대의 하부 프레임이 레일롤러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받침대의 하부 프레임이 레일롤러에 분리 또는 결합하는 작동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트 받침대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평 레일과 이동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받침대의 사진을 보여준다. 수평 레일이 수평 프레임의 표면에 직접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수평 프레임의 하부면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받침대가 추가적인 무릎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a) 본 발명과 같이 돌출 프레임이 있는 경우, (b) 종래 돌출 프레임이 없는 경우.
도 13은 종래 바닥 레일을 변경한 실내 튜닝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열 독립 시트 받침대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상을 가지며, 바닥 레일(500)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수평 프레임(100)과, 상기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에서 차량의 바닥 레일(500)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돌출된 두 개의 돌출 프레임(200)과, 상기 돌출 프레임(200)과 수평 프레임(100)의 하부면에 결합하여 상기 바닥 레일(500)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레일 롤러(300)와; 및 상기 레일 롤러(300)의 전후 이동을 단속하는 전후 단속기(400)와; 수평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 레일(510)과, 상기 수평 레일(51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이동 부재(520)과 상기 이동 부재(520)들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530)와 상기 이동 부재(520)의 좌우이동을 단속하는 좌우 단속기(5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프레임(100)은 상면 코너들에는 수평 레일(5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된 타워형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타워형 돌출부(110)에는 수평 레일(510)에 볼트 결합하기 위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구멍들(111)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상향 돌출된 2개의 고리형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은 테두리가 경사지게 하향 절곡되고, 후단은 직각으로 절곡된 후 다시 전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소정 높이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100)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전단의 절곡면에서부터 후단의 절곡면까지 지지프레임(130)이 설치되어, 판재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돌출 프레임(200)은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차량의 바닥 레일과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며,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에 10~20 cm 길이의 두 개의 직사각형 판재가 부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돌출 프레임(200)의 전단 에지는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고, 절곡면(230)에는 레일롤러(300)의 전단에 결합하는 볼트관통구(21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 프레임(200)의 상면에는, 돌출 프레임(200)의 하부에 장착되는 레일롤러(300)의 로킹레버(310)을 돌출 프레임(200)의 윗쪽에서 누를 수 있도록 레버용 절개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 프레임(200)의 연장선을 따라서 수평 프레임(100)의 하면에는 레일 롤러(300)의 후단이 안착되는 안착편(140)이 절곡면(230)에 대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편(140)에는 레일 롤러(300)의 후단에 결합하는 볼트 관통구(250)이 형성되고, 수평 프레임(100)에는 상기 볼트 관통구에 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용 절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롤러(300)는 상기 돌출 프레임(200)의 전단에 형성된 절곡면(230)과 수평 프레임(100)의 하면에 형성된 안착편(140)에 결합하여 시트 받침대를 지지하는 몸체부(310)과 상기 몸체부(310)의 하부에 부착되어 바닥 레일(400)에 삽입되는 바퀴부(320)와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에 시소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로킹 레버(330)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 레버(330)의 일단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로킹편(340)이 결합되고, 상기 로킹 레버(330)의 타단은 자유단(360)이다. 상기 자유단(360)이 상향 고정되도록 탄성코일(370)이 돌기에 끼워진다. 로킹편(340)의 하단에는 바닥 레일(500)에 형성된 로킹홈(510)에 끼워지는 로킹돌기(350)이 형성된다.
상기 전후 단속기(400)는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을 따라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축(410)과 회동축(410)의 양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회동축(410)의 회동에 의해서 함께 회동하는 2개의 단속 레버(420)와 상기 회동축(410)을 회동시키기 위해서 회동축(420)과 상기 회동축(420)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동 손잡이(430)와 상기 회동축(4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440)을 포함한다.
회동축(410)은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에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돌출편(450)들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탄성 스프링(440)은 일측이 회동 손잡이(430)에 결합되고 타측은 수평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축(410)에 돌출편(480)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편(480)에 와이어(470)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을 수평 프레임(100)의 하면 후단에 설치된 회동 레버(460)에 연결한다. 수평 프레임(100)의 후단에는 하면에 설치된 회동 레버(460)을 수평 프레임(100)의 윗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회동 레버용 절개구(170)을 형성한다.
와이어(470)는 양단이 고정된 와이어 케이블(471)을 통과하고, 와이어 케이블(471)의 일단은 케이블 고정편(472)에 끼워져 고정되고 와이어 케이블(471)의 타단은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 절곡부의 절개부(473)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수평 레일(510)은 수평 프레임(100)의 코너들에 설치된 타워형 돌출부(110)의 전단과 후단에 나란하게 2개가 설치된다. 상기 홈형 레일에 이동 부재(520)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된다.
수평 레일(510)과 이동 부재(520)의 결합관계를 예시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레일(510)은 길게 연장된 홈(511)에 좌우 상단에 걸림편(512)이 형성된 "
Figure 112015041968198-pat00003
" 단면을 가지는 홈형 레일이다.
한편, 상기 이동 부재(520)는 수평 레일(510)의 홈(511)의 바닥에 지지되어 바퀴이동하는 바닥편(521)과 수직 지지편(522)과, 수직 지지편(522)에 결합되어 홈(511)을 커버하는 커버편(523)과 커버편(523)의 좌우에서 하향 절곡되어 내측으로 구부러져 걸림편(512)에 걸리도록 구성된 결합편(5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 부재(520)는 상기 수평 레일(51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며, 수평레일(520)을 커버하도록 수평 레일(510)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520)와 후단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520)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전후단의 이동부재(52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30)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전단에 설치된 이동부재(520)의 좌우 움직임을 단속할 경우, 후단에 설치된 이동부재(520)의 좌우 움직임이 함께 단속된다.
좌우 단속기(580)는 수평 레일(510)를 따라서 길게 형성된 톱니형 돌출부(560)과 이동부재(520)를 따라서 길게 연장된 회동축(57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560)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가지는 걸림편(590)과 상기 회동축에 삽입된 코일형 스프링(591)과, 상기 회동축(570)의 일단에 형성된 회동 손잡이(571)로 이루어진다.
전후 이동은 도 7~8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에 앉아서 회동 손잡이(430)를 누르면 회동축(410)이 회동하게 된다. 회동축(410)의 회동에 따라 회동축(410)의 양말단에 부착된 2개의 단속 레버(420)이 회동하면서, 레버용 절개부(220)을 통과하여 로킹레버의 자유단(360)을 누르게 된다. 자유단(360)이 하강하면 로킹레버(330)의 타단이 시소 회동에 의해서 상향 이동하게 되며, 로킹레버(330)의 타단에 결합된 로킹편(340)이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차량 레일(500)의 로킹홈(510)에 삽입되어 있는 로킹 돌기(350)들이 빠지면서 차량 레일(500)을 따라서 시트가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시트의 뒷쪽에서, 회동 레버(460)를 잡아 당기면, 회동 레버(460)에 연결된 와이어(470)을 통해서 회동축(410)이 회동하게 되고, 동일하게 로킹 돌기(350)들이 빠지면서 차량 레일(500)을 따라서 시트가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반대로 회동 손잡이(430)을 누르지 않거나 회동 레버(460)을 잡아당기지 않게 되면, 스프링 탄성에 의해서 회동축(410)이 원래 위치로 회동된다. 회동축(41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단속 레버(420)가 원 위치되면서 자유단(460)이 몸체부(410)에 형성된 돌기에 삽입된 탄성 코일(370)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상향 이동시키게 되며, 로킹레버(330)의 타단이 하향 이동하게 된다. 로킹레버(330)의 타단이 하향이동하게 되면, 로킹레버(330)의 타단에 결합된 로킹편(340)이 하향 이동하면서, 로킹 돌기(350)들이 바닥 레일(500)의 로킹홈(510)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좌우 이동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레일(510)를 따라서 길게 형성된 톱니형 돌출부(560)에, 걸림편(590)이 끼워져 좌우 이동이 단속된다. 회동 손잡이(571)을 회동시켜 회동축(570)을 회동시키면 말단에 결합된 걸림편(590)이 회동하여 톱니형 돌출부(560)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걸림편(590)이 톱니형 돌출부(56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수평 레일(510)을 따라서 이동부재(520)이 슬라이딩하게 된다.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회동 손잡이(571)을 놓게 되면, 회동축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591)이 회동축(570)을 회동시켜 회동축(570)에 결합된 걸림편(590)이 다시 톱니형 돌출부(560)에 삽입시킨다.
도 10 및 도 11은 이동 레일(510)이 수평 프레임(100)의 표면에 직접 부착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전후이동의 단속을 위한 단속 장치(400)는 수평 프레임(100)의 바닥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회동편(490)에 와이어 로프(491)가 연결되고, 와이어 로프(491)은 수평 프레임(100)의 하부로 연결되어, 수평 프레임(100)과 돌출 프레임(220)의 하부에 걸쳐서 설치되는 레일롤러(도시되지 않음)를 단속하기 단속 레버(420)을 회동시킨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520)와 후단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520)는 연결부재(530)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530) 위에는 회전 판재(6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판재(600) 위에는 의자 회전을 위한 회전부재(610)이 설치되며, 회전부재(610)에 설치되는 2열 독립시트는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2열 독립시트는 전후좌우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열 독립 시트를 위한 바닥 레일은 차량 구조상 짧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12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에 2열 독립시트를 설치할 경우, 수평 프레임을 최대한 뒤로 밀더라도 여유 있는 무릎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반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00)의 전방에 돌출 프레임(200)을 형성하고, 이동 롤러(300)를 돌출프레임(200)에서 수평 프레임(100)의 중간 부분 영역에 걸쳐서 결합할 경우, 돌출 프레임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무릎 공간이 추가로 확보된다.
100: 수평 프레임
200: 돌출 프레임
510: 수평 레일
520: 이동 부재
530: 연결 부재
600: 회전 판재

Claims (4)

  1.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하부프레임,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부에 시트가 위치하는 판재형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단에 차량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 레일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방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두개의 돌출 프레임과;
    전단이 상기 돌출프레임에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부 중간영역에 결합하여 상기 바닥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레일롤러와; 및
    상기 레일 롤러의 이동을 단속하는 전후 단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평프레임 상면에 위치하며, 차량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 레일을 따라서 이동 및 단속되는 이동부재들과; 및
    상기 이동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시트가 무릎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차량의 레일보다 더 뒤쪽까지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형 시트 받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 부재의 단속은 수평 레일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톱니형 돌출부에 이동 부재에 부착된 걸림편을 결합 또는 해제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형 시트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에는 회전 판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위치 조절형 시트 받침대.

KR1020150060735A 2014-06-26 2015-04-29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KR101721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890 2014-06-26
KR1020140078890 2014-06-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825A Division KR101796186B1 (ko) 2014-06-26 2017-03-22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18A KR20160001618A (ko) 2016-01-06
KR101721074B1 true KR101721074B1 (ko) 2017-03-29

Family

ID=5516544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735A KR101721074B1 (ko) 2014-06-26 2015-04-29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KR1020170035825A KR101796186B1 (ko) 2014-06-26 2017-03-22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KR1020170138978A KR20170122699A (ko) 2014-06-26 2017-10-25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825A KR101796186B1 (ko) 2014-06-26 2017-03-22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KR1020170138978A KR20170122699A (ko) 2014-06-26 2017-10-25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7210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410A (ko) 2018-04-24 2019-11-01 문동제 전후 및 좌우 간격조절용 자동차 시트용 받침대
KR102052109B1 (ko) 2019-09-10 2020-01-08 지대헌 승합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KR102271507B1 (ko) 2021-02-16 2021-06-30 지대헌 승합차량의 2열 독립시트용 시트 이송장치
KR102388873B1 (ko) 2021-11-08 2022-04-20 정일교 위치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받침대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01054A1 (en) 2017-09-22 2020-09-24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0491954Y1 (ko) * 2018-06-12 2020-07-07 김의철 의자용 슬라이딩 이동장치
KR102144904B1 (ko) * 2018-06-25 2020-08-14 손정훈 차량용 시트 이동 장치
KR102115023B1 (ko) 2018-08-21 2020-05-25 윤동길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차량용 시트 고정장치
KR102190069B1 (ko) * 2019-06-12 2020-12-1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스위블 장치
KR102263921B1 (ko) * 2020-11-24 2021-06-11 강호준 위치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CN116080489B (zh) * 2022-12-12 2023-09-08 常州轩瑜机械有限公司 一种汽车用座椅滑轨装置
KR102646402B1 (ko) * 2023-08-24 2024-03-11 아트원 주식회사 시트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레버 구조물
KR102620395B1 (ko) * 2023-09-26 2024-01-02 강호준 승합차 시트 전동위치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491A (ja) * 2009-01-29 2010-08-1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回転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1630U (ko) * 1988-02-29 1989-09-06
JPH0540027U (ja) * 1991-11-05 1993-05-28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回転シート
KR200370562Y1 (ko) 2004-09-24 2004-12-14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491A (ja) * 2009-01-29 2010-08-1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回転シート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410A (ko) 2018-04-24 2019-11-01 문동제 전후 및 좌우 간격조절용 자동차 시트용 받침대
KR102052109B1 (ko) 2019-09-10 2020-01-08 지대헌 승합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KR102271507B1 (ko) 2021-02-16 2021-06-30 지대헌 승합차량의 2열 독립시트용 시트 이송장치
KR102388873B1 (ko) 2021-11-08 2022-04-20 정일교 위치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18A (ko) 2016-01-06
KR20170035871A (ko) 2017-03-31
KR101796186B1 (ko) 2017-12-01
KR20170122699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186B1 (ko)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US8622476B2 (en) Child vehicle seat
US9108535B2 (en) Longitudinally adjustable vehicle seat
US7669926B2 (en) Headrest actuator for juvenile vehicle seat
US9758062B2 (en) Rail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 rail
EP1870277B1 (en) Seat slide locator
US20080238127A1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US9085250B2 (en) Base for child safety carrier
US9878643B2 (en) Juvenile vehicle seat with headrest adjustor
KR101774793B1 (ko)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KR101353959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US7032969B1 (en) Booster seat with adjustable seat back
JP6051288B2 (ja) イージーエントリー機能を備えた車両シート用のロック解除装置とロック解除装置動作方法
KR200476776Y1 (ko) 자동자 시트 받침대 프레임
KR101695613B1 (ko) 벨트 버클을 구비한 차량 시트
JP5845949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100283300A1 (en) Vehicle seat apparatus
KR102201315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1942612B1 (ko) 자동자 리어 시트 받침대
KR20100130002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80055424A (ko) 차량용 시트레일장치
KR10110827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8162401B2 (en) Bracket system adapted for use in a raising and lowering mechanism of an adjustable headrest of a vehicle seat
KR101013912B1 (ko) 차량의 리클라이너 레버의 연결장치
CN113475887A (zh) 一种带有头枕的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