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069B1 - 스위블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69B1
KR102190069B1 KR1020190069506A KR20190069506A KR102190069B1 KR 102190069 B1 KR102190069 B1 KR 102190069B1 KR 1020190069506 A KR1020190069506 A KR 1020190069506A KR 20190069506 A KR20190069506 A KR 20190069506A KR 102190069 B1 KR102190069 B1 KR 10219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disk
coupled
retaine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철
김동화
김량선
한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19006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단순한 조작에 따라 시트의 회전이 가능하거나 견고하게 시트를 고정시키는 스위블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블 장치는 제1중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의 일부는 상기 제1중공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환형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차량의 시트와 결합되는 상원판, 상기 상원판의 하부에서 제2중공을 둘러싸고, 외측 및 내측사이는 함몰되어 상기 제1경사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한 환형의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내측은 상기 상원판과 결합되는 하원판, 상기 상원판 및 하원판 사이에서 제3중공을 둘러싸고, 내측 일부는 상기 제3중공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환형의 제3경사면이 형성되며 외측은 상기 하원판의 외측에서 상기 하원판의 하부에 위치한 레일들과 결합되는 중원판 및상기 상원판 및 중원판 사이에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상원판의 외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1볼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환형의 제1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의 회전으로 상기 상원판은 상기 제1베어링부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스위블 장치{SWIVEL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순 조작을 통해 편리하게 시트를 회전 또는 고정시키는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들은 스위블 장치를 통해 회동이 가능하여, 후방에 탑승하는 탑승자들 간의 대화나 미팅을 가능하게 하고, 차량 내부에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스위블 장치를 통해 회동이 가능한 시트에는 스위블 구동을 위한 레버가 형성되어 시트의 회전 후에 시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지만, 스위블 장치를 구성하는 판들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면 레버의 구동이 불가능하고 시트의 회동문제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9874호는 자동차용 시트 회전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1012호는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스위블 장치를 구성하는 판들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상원판, 하원판 및 중원판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키는 스위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블 장치는 제1중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의 일부는 상기 제1중공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환형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차량의 시트와 결합되는 상원판, 상기 상원판의 하부에서 제2중공을 둘러싸고, 외측 및 내측사이는 함몰되어 상기 제1경사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한 환형의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내측은 상기 상원판과 결합되는 하원판, 상기 상원판 및 하원판 사이에서 제3중공을 둘러싸고, 내측 일부는 상기 제3중공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환형의 제3경사면이 형성되며 외측은 상기 하원판의 외측에서 상기 하원판의 하부에 위치한 레일들과 결합되는 중원판 및상기 상원판 및 중원판 사이에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상원판의 외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1볼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환형의 제1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의 회전으로 상기 상원판은 상기 제1베어링부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또한, 스위블 장치는 상기 중원판 및 하원판 사이에서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중원판의 외측 하부에 상기 제3중공을 둘러싸는 제2볼들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베어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부는 상기 제1경사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1볼을 둘러싸는 제1리테이너, 상기 상원판의 외측 저면에서 상기 제1볼을 둘러싸는 제2리테이너 및 환 형태의 내측은 상기 제1리테이너와 결합되고, 외측은 내측에서 외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확장 연장 및 절곡되어 상기 제2리테이너와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위블 장치는 상기 상원판에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레버의 일부가 상기 중원판의 외측에 형성된 통공들에 삽입되거나 상기 통공들에서 이탈하도록 형성되는 래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어링부는 상기 제2경사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2볼을 둘러싸는 제3리테이너, 상기 중원판의 외측 저면에서 상기 제2볼을 둘러싸는 제4리테이너 및 환 형태의 내측은 상기 제3리테이너와 결합되고, 외측은 내측에서 외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확장 연장 및 절곡되어 상기 제4리테이너와 결합되는 제2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블 장치는 상원판, 중원판 및 하원판들 각각에 형성된 경사면들 사이에 배치되는 환 형태의 베어링부들을 통해 상원판, 중원판 및 하원판들 각각의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발생을 최소화한다.
또한, 스위블 장치는 중원판에 형성된 경사면 및 외측면 상하부에 중공을 둘러싸는 볼들 및 상기 볼들을 둘러싸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어링부들을 통해 안정적으로 상원판 및 시트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위블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락킹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제1 및 제2 베어링부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스위블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스위블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락킹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 장치(100)는 상원판(200), 중원판(400), 하원판(300), 래치부(500), 제1베어링부(600) 및 제2베어링부(700)들을 포함한다.
스위블 장치(100)는 상원판(200), 중원판(400) 및 하원판(300)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베어링부(600, 700)들을 통해 상원판(200), 중원판(400) 및 하원판(300)들 각각의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 발생을 최소화 한다.
구체적으로, 상원판(200)은 원형의 제1중공(1)을 둘러싸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중공(1)에 인접한 내측 테두리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환 형태로 함몰되어 내측 테두리 및 외측면 사이에는 환 형태로 제1중공(1)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면(220)이 형성된다.
상원판(200)의 저면 모서리들에 인접한 위치에는 슬라이딩부(240)들은 중원판(400)의 모서리들에 형성된 가이드(342)들과 스위블 장치(100)의 중심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부(240)의 상측부는 원호 형태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원판(200)의 외측 저면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제1 내지 제3중공(1, 2, 3)들이 겹쳐진 공간인 통공(5)에 인접한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슬라이딩부(240)의 하측부 끝단 일부분은 상원판(20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후 다시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후술될 가이드(342)의 상측부 끝단과 맞물린다.
가이드(342)의 하측부는 중원판(40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원호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240)의 직하방에서 중원판(40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중원판(400)의 외측에 인접한 상측부의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연장된 후 끝단이 통공(5)쪽을 향해 절곡되어 슬라이딩부(240)의 하측부 끝단과 맞물리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240)들 및 가이드(342)들은 서로 맞물리는 형태이면서 스위블 장치(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원판(200) 및 중원판(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슬라이딩부(240) 및 가이드(342)들 각각의 맞물린 구조는 강한 외력에 의해 결합구(10)들이 분리되어 상원판(200)이 상부를 향해 분리되는 경우에 슬라이딩부(240)들과 결합된 상원판(2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제1경사면(220)의 안쪽에는 제1중공(1)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1중공(1)을 둘러싸는 제1결합면(230)이 형성되고, 제1결합면(230)은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은 후술될 하원판(300)의 제2결합면(340)과 면결합된다.
하원판(300)은 제2경사면(320), 제4경사면(330), 제2결합면(340) 및 제2지지면(350)들을 포함한다.
하원판(300)은 상원판(200)의 하부에서 제1중공(1)의 외경과 동일한 제2중공(2)을 둘러싸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 및 내측 사이의 일부는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단면이 제2중공(2)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환 형태의 제2경사면(320)이 형성된다.
하원판(300)의 외측 및 내측 사이의 일부가 하부를 향해 함몰되면서 제2경사면(320)의 안쪽에는 제2경사면(320)과 연결된 제4경사면(330)이 형성되고, 제4경사면(330)은 단면이 제2중공(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제2결합면(340)은 제4경사면(330)의 안쪽에서 제2중공(2)을 둘러싸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2결합면(340)의 상부면은 제1결합면(230)의 저면과 결합구(10)들을 통해 면결합된다.
제2지지면(350)은 하원판(300)의 가장자리쪽에서 제2경사면(320)의 외측에 형성되고,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베어링부(70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중원판(400)은 제3경사면(420), 제3지지면(430), 절곡면(440) 및 외측면(450)을 포함한다.
중원판(400)은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의 사이에서 원형의 제3중공(3)을 둘러싸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원형의 내측 일부분은 절곡되어 단면이 제3중공(3)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환형의 제3경사면(420)이 형성된다.
제3경사면(420)의 외측에는 제3경사면(420)과 연결되어 제3경사면(420)을 둘러싸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의 제3지지면(430)이 형성되고, 제3지지면(430)은 제2지지면(350)의 직상방에 배치된다.
절곡면(440)은 제3지지면(430)의 외측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절곡면(440)의 외측 및 안쪽을 연결하는 복수의 통공(442)들이 절곡면(440)을 따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서로 균일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외측면(450)은 절곡면(440)의 외측을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면(440)과 연결되고, 외측면(450)의 가장자리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상원판(200)의 외측 가장자리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결합구(10)들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은 시트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원판(20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고, 절곡면(440)에 형성된 통공(442)들로 후술될 래치부(500)의 일부가 삽입되면,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들의 회전이 정지된다.
래치부(500)는 지지판(510), 플랜지(520)들, 힌지축(525), 레버(530)들 및 토션스프링(540)들을 포함한다.
래치부(500)는 상원판(200)에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손잡이(레버)의 회동에 따라 손잡이의 일부가 중원판(400)의 외측에 형성된 통공(442)들에 삽입되거나 통공(442)들에서 이탈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3들을 참조하면, 지지판(510)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원판(200)의 외측 가장자리쪽 상부면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사각형태의 래치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통공은 상원판(200)의 외측을 직사각 형태로 상하부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20)과 연결된다.
통공(20)은 중원판(400)에 형성된 통공(442)들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통공(20)을 통해 상원판(200)의 상부에 해당하는 외부공간과 상원판(200) 및 중원판(40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이 개방된다.
플랜지(520)들 각각의 일단은 지지판(510) 상부의 제1방향(21) 및 제2방향(22)쪽에 각각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지지판(510)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마주하는 표면은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힌지축(525)의 일단은 제1방향(21)쪽 플랜지(5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2방향(22)을 향해 연장되어 제2방향(22)쪽 플랜지(520)와 결합되며, 토션스프링(540)은 힌지축(525)을 둘러싸는 형태로 힌지축(525) 및 지지판(510)과 결합된다.
레버(530)의 일단은 복수의 포크들이 형성되어 통공(442)에 삽입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된 후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통공(20) 및 상기 래치부통공을 지나 토션스프링(540) 및 상원판(200)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다.
레버(530)의 중앙부 양측 일부분은 토션스프링(540)을 사이에 두고 플랜지(520)들 사이에서 힌지축(525)과 힌지축(525)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레버(53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원판(20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후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상기 포크들이 통공(442)에서 상원판(200)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여 중원판(400)과 분리된다.
레버(530)의 포크들이 중원판(400)과 분리된 상태에서 시트,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들은 회동이 가능하고, 레버(530)의 타단을 상부를 향해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토션스프링(54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포크들이 원위치로 이동하여 통공(442)들에 삽입된다.
한편, 통공(442)들은 절곡면(440)의 표면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절곡면(440)의 표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후 상기 포크들이 삽입될 수 있어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들이 회전한 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각도범위가 증가한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제1 및 제2 베어링부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어링부(600)는 제1연결프레임(610), 제1리테이너(620), 제1볼(625), 제2리테이너(630) 및 제1볼(635)들을 포함한다.
제1연결프레임(610)은 전체적으로 통공(5)을 둘러싸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단면은 아치 형태로 절곡되어 상부면은 통공(5) 및 상부를 향해 돌출되고 저면은 통공(5) 및 상부를 향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연결프레임(610)의 내측부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면은 통공(5) 및 상부를 향하도록 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부는 내측부에서 외측을 향해 절곡된 후 확장 연장되어 내측을 둘러싸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도 3 내지 5들을 참조하면, 제1리테이너(620)의 일단은 제1경사면(220)의 하부에서 제1연결프레임(610)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통공(5)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축소 연장되면서 제1볼(625)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2리테이너(630)의 일단은 제1리테이너(620)의 외측에 해당하는 제1연결프레임(610)의 외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원판(200) 및 중원판(400)의 사이에서 상원판(200)의 외측을 향해 축소 연장되어 제1볼(635)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볼(625, 635)들 각각의 상부 및 하부는 상원판(200)의 저면 및 중원판(400)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원판(200) 및 중원판(400) 사이의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제1볼(635) 및 제2리테이너(630)들 각각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원판(200) 및 중원판(400)의 상하부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상원판(200) 및 중원판(400)의 상하부 유격을 방지한다.
또한, 제1볼(625) 및 제1리테이너(620)들 각각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경사면(220) 및 제3경사면(420) 사이의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상원판(200) 또는 중원판(400)의 좌우 유격을 방지한다.
제2베어링부(700)는 제2연결프레임(710), 제3리테이너(720), 제2볼(725), 제4리테이너(730) 및 제2볼(735)들을 포함한다.
제2연결프레임(710)은 전체적으로 통공(5)을 둘러싸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단면은 아치 형태로 절곡되어 상부면은 통공(5) 및 상부를 향해 돌출되고 저면은 통공(5) 및 상부를 향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연결프레임(710)의 내측부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면은 통공(5) 및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부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절곡된 후 확장 연장되어 내측을 둘러싸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도 3 내지 5들을 참조하면, 제3리테이너(720)의 일단은 제3경사면(420)의 하부에서 제2연결프레임(710)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통공(5)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축소 연장되면서 제2볼(725)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4리테이너(730)의 일단은 제3리테이너(720)의 외측에 해당하는 제2연결프레임(710)의 외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중원판(400) 및 제2지지면(350)의 사이에서 중원판(400)의 외측을 향해 축소 연장되어 제2볼(735)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2볼(725, 735)들 각각의 상부 및 하부는 중원판(400)의 저면 및 하원판(300)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중원판(400) 및 하원판(300) 사이의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제2볼(735) 및 제4리테이너(730)들 각각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중원판(400) 및 하원판(300)의 상하부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중원판(400) 및 하원판(300)의 상하부 유격을 방지한다.
또한, 제2볼(725) 및 제3리테이너(720)들 각각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3경사면(420) 및 제2경사면(320) 사이의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상원판(200) 또는 중원판(400)의 좌우 유격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장치(120)는 고정부(8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스위블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스위블 장치(120)는 고정부(800)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800)는 제1고정유닛(820), 연결유닛(830) 및 제2고정유닛(840)들을 포함한다.
고정부(800)의 일단은 제1리테이너(620)의 타단 및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1리테이너(62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는 제4경사면(330)을 따라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절곡되어 제2경사면(320)을 따라 제3리테이너(720)의 타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3리테이너(720)의 타단 및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3리테이너(72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유닛(820)의 일단은 제3리테이너(720)의 양측면 및 타단을 집게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1고정유닛(820)의 상부 및 하부면들 각각은 제3경사면(420) 및 제2경사면(320)들 각각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고정유닛(840)의 일단은 제1리테이너(620)의 양측면 및 타단을 집게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2고정유닛(840)의 상부 및 하부면들 각각은 제1경사면(220) 및 제3경사면(420)들 각각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연결유닛(830)의 일단은 제1고정유닛(82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4경사면(330)을 따라 통공(5)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고정유닛(840)의 타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베어링부(600) 및 제2베어링부(700)들 각각은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들이 회동하면 고정부(800)에 의해 함께 회전하고,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들이 회동하는 동안 제1볼(625, 635)들 각각의 직하방에는 제2볼(725, 735)들 각각이 위치한다.
제1볼(625, 635)들 각각의 직하방에 제2볼(725, 735)들 각각이 배치되면서 상원판(200) 및 하원판(300)들이 회동하는 동안 제2볼(725, 735)들 각각이 제1볼(625, 635)들 각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제1볼(625, 635)들 각각은 제2볼(725, 735)들의 압력에 의해 중원판(400)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스위블 장치 200: 상원판
400: 중원판 300: 하원판
500: 래치부 800: 고정부

Claims (5)

  1. 제1중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의 일부는 상기 제1중공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환형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차량의 시트와 결합되는 상원판;
    상기 상원판의 하부에서 제2중공을 둘러싸고, 외측 및 내측사이는 함몰되어 상기 제1경사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한 환형의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내측은 상기 상원판과 결합되는 하원판;
    상기 상원판 및 하원판 사이에서 제3중공을 둘러싸고, 내측 일부는 상기 제3중공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환형의 제3경사면이 형성되며 외측은 상기 하원판의 외측에서 상기 하원판의 하부에 위치한 레일들과 결합되는 중원판; 및
    상기 상원판 및 중원판 사이에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상원판의 외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1볼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환형의 제1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의 회전으로 상기 상원판은 상기 제1베어링부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원판 및 하원판 사이에서 상기 제3경사면 및 상기 중원판의 외측 하부에 상기 제3중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2볼들을 둘러싸며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어링부는,
    상기 제2경사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2볼을 둘러싸는 제3리테이너;
    상기 중원판의 외측 저면에서 상기 제2볼을 둘러싸는 제4리테이너; 및
    환 형태의 내측은 상기 제3리테이너와 결합되고, 외측은 내측에서 외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확장 연장 및 절곡되어 상기 제4리테이너와 결합되는 제2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어링부는,
    상기 제1경사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1볼을 둘러싸는 제1리테이너;
    상기 상원판의 외측 저면에서 상기 제1볼을 둘러싸는 제2리테이너; 및
    환 형태의 내측은 상기 제1리테이너와 결합되고, 외측은 내측에서 외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확장 연장 및 절곡되어 상기 제2리테이너와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원판에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레버의 일부가 상기 중원판의 외측에 형성된 통공들에 삽입되거나 상기 통공들에서 이탈하도록 형성되는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장치.

















KR1020190069506A 2019-06-12 2019-06-12 스위블 장치 KR102190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06A KR102190069B1 (ko) 2019-06-12 2019-06-12 스위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06A KR102190069B1 (ko) 2019-06-12 2019-06-12 스위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069B1 true KR102190069B1 (ko) 2020-12-11

Family

ID=73786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506A KR102190069B1 (ko) 2019-06-12 2019-06-12 스위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996A (ko) * 2021-07-13 2023-01-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회전 시트 장치
KR102540207B1 (ko) * 2022-08-25 2023-06-07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238A (ko) * 1996-06-18 1998-03-30 박병재 차량용 시트의 스위블 시스템
KR19990042830A (ko) * 1997-11-28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링 장치
KR20160001618A (ko) * 2014-06-26 2016-01-06 황성환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KR20190048405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파워 스위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238A (ko) * 1996-06-18 1998-03-30 박병재 차량용 시트의 스위블 시스템
KR19990042830A (ko) * 1997-11-28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링 장치
KR20160001618A (ko) * 2014-06-26 2016-01-06 황성환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KR20190048405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파워 스위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996A (ko) * 2021-07-13 2023-01-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회전 시트 장치
KR102522146B1 (ko) * 2021-07-13 2023-04-1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회전 시트 장치
US11919424B2 (en) 2021-07-13 2024-03-05 Hyundai Transys Inc. Rotary seat device for vehicle
KR102540207B1 (ko) * 2022-08-25 2023-06-07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069B1 (ko) 스위블 장치
US9856909B1 (en) Hinge assembly
JP4928969B2 (ja) 内視鏡の湾曲保持機構
JP5094957B2 (ja) 車両シート用ラッチアセンブリー
US9265167B2 (en) Torque balancing device applied to synchronous dual-shaft system
WO2017043665A1 (ja) 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シート
US7992254B2 (en) Caster device
JP2011144506A (ja) ロック装置
JP2012101786A (ja) 車両用シートのための調節機構
KR101360601B1 (ko) 힌지장치 및 개폐장치 및 휴대기기
JP2013533947A5 (ko)
WO2001075258A1 (fr) Charniere
US20100031473A1 (en) Tilt hinge capable of easily switching a movable range by a pushing operation
JP2007283885A (ja) サービスカートのブレーキ装置
US7802271B2 (en) Disk clamping device
JP7017190B2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JP2020063750A (ja) ヒンジ
JP2022525032A (ja) シート高さ調整アクチュエータ
JP6033188B2 (ja) ゲーム機用蝶番
JP2017181598A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備えた事務機器
CN101453841A (zh) 电子装置
US20090320238A1 (en) Cam interference assembly of hinge and foldable device
CN102235419A (zh) 枢纽器
US9360072B2 (en) Brake mechanism and clutch unit
JP2007162780A (ja) ブレーキライニ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