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865B1 -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 Google Patents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865B1
KR101720865B1 KR1020150089446A KR20150089446A KR101720865B1 KR 101720865 B1 KR101720865 B1 KR 101720865B1 KR 1020150089446 A KR1020150089446 A KR 1020150089446A KR 20150089446 A KR20150089446 A KR 20150089446A KR 101720865 B1 KR101720865 B1 KR 10172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rude oil
current
cooler
oil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501A (ko
Inventor
이미자
Original Assignee
이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자 filed Critical 이미자
Priority to KR102015008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8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3/00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 A23C3/04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by freezing or coo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원유 냉각기 내부의 각종의 밸브 상태를 진단하여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는 원유 냉각기를 제시한다. 제시된 원유 냉각기는 원유 냉각기의 밸브 및 펌프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싱부; 원유 냉각기의 온수 밸브와 냉수 밸브에 흐르는 물의 양, 산성 세제 펌프와 알카리성 세제 펌프에 흐르는 세척수의 양을 계측하는 유량계; 원격지의 사용자의 휴대단말과 무선 통신하되,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 및 동작 명령을 수신하고 원유 냉각기의 상태 정보 및 동작 수행 결과를 휴대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에 따라 전류 센싱부의 결과를 근거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에게로 보내고, 휴대단말로부터의 동작 명령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시키고 그 결과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휴대단말에게로 보내고, 유량계에서 계측한 유량값을 근거로 그에 상응하는 밸브의 구동 제어 및 오류 진단을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Raw milk coller}
본 발명은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유 냉각기 내부의 각종의 밸브 상태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는 원유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장에서 젖소 또는 젖양으로부터 짜낸 원유는 일정한 체적공간을 갖는 저장용기에 보관되었다가 1 ~ 2일 걸쳐 한번씩 우유제조회사로 보내게 된다.
그런데, 착유시 원유의 온도가 사람의 체온과 유사한 약 36℃ 정도 되므로, 원유를 저장용기에 10시간 이상 보관하게 되면 세균에 의한 부패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대기온도 28℃ 이상의 하절기에는 원유가 부패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또한, 원유의 온도가 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균에 의해 부패 및 변질되기 쉽고, 원유온도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얼음으로 변하여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착유된 원유를 우유제조회사에서 수거하기 전까지 원유 냉각기에서 3 내지 6℃까지 급속 냉각시켜 원유를 안전하게 보존하고 있다.
우유회사에서 우유를 수거해 간 후 세균이 남아 있지 않게 세척을 깨끗이 해야 하는데, 종래의 원유 냉각기는 유량계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세척수를 정확하게 계량할 수 없다.
따라서, 수압이 변하면 물의 양이 다르게 들어가게 되며, 물의 양이 다르게 되면 세척이 정확하게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최악의 경우 세척수가 들어가지 않게 되어도 모르게 된다. 이 경우, 세척이 되지 않은 것이 되며, 산·염기성의 세척액으로 인하여 원유를 상하게 만든다. 이로 인해, 원유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목장 소비자가 손실을 입게 된다.
또한, 종래의 원유 냉각기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 및 펌프 등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밸브 및 펌프의 상태를 자동으로 체크하는 장비가 구비되지 않았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0465호(명칭 : 원유 냉각기)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33056호(명칭 : 세척수 분사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원유 냉각기 내부의 각종의 밸브 상태를 진단하여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는 원유 냉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량계를 이용하여 세척 유량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원유 냉각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지의 사용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 및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결과를 보고할 수 있는 원유 냉각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는, 원유 냉각기의 밸브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 1 전류 센서, 및 상기 원유 냉각기의 펌프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는 제 2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전류 센싱부; 상기 원유 냉각기의 온수 밸브와 냉수 밸브에 흐르는 물의 양, 산성 세제 펌프와 알카리성 세제 펌프에 흐르는 세척수의 양을 계측하는 유량계; 원격지의 사용자의 휴대단말과 무선 통신하되, 상기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 및 동작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원유 냉각기의 상태 정보 및 동작 수행 결과를 상기 휴대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에 따라 상기 전류 센싱부의 결과를 근거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에게로 보내고, 상기 휴대단말로부터의 동작 명령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시키고 그 결과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에게로 보내고,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한 유량값을 근거로 그에 상응하는 밸브의 구동 제어 및 오류 진단을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센서는 펌프를 제외한 밸브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밸브가 단선되었는지 또는 쇼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되, 상기 밸브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제1 전류 센서를 통해서 전류를 센싱하며, 이때 센싱 전류는 교류 전원이고, 이는 정류기를 거쳐 콘덴서에 충전된 후 직류 성분으로 바뀌고, 증폭기를 거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자로 입력되며, 만약, 오픈(open)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전압이 0V로 출력되고, 쇼트(short)가 발생하면 4.5V 이상으로 출력하게 되고, 나머지 상태는 밸브의 구동 전류에 맞게 전압으로 변경되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이 값을 통해서 밸브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을 근거로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전류 센서는 펌프의 구동 전류를 센싱하되, 이때, 센싱 전류는 교류 전원이고, 이 교류전원은 정류기를 거쳐 콘덴서에 충전된 후 직류 성분으로 바뀌고, 이후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상기 제어부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자로 입력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펌프의 문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펌프를 구동할 때 0V 입력이면 오픈(open) 상태이고, 4.5V 이상 인식하게 되면 쇼트(short) 상태이며, 나머지 상태는 펌프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전압을 입력받게 되며,
상기 휴대단말은 문자 메시지(SMS)를 통하여 상기 원유 냉각기의 상태 확인 및 상태 제어를 할 수 있고, 상기 원유 냉각기와 스마트폰 간의 전송 SMS 프로토콜은 명령 및 암호의 조합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태 제어 및 확인 명령을 전송하면서 암호 코드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원유 냉각기의 상태 제어 및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으로는 상태 요청, 냉각 시작, 냉각 종료, 세척 시작, 세척 종료, 집유 시작, 집유 종료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한 유량값이 설정 유량이면 상기 냉수 밸브와 온수 밸브를 닫고, 상기 설정 유량이 아니면 상기 냉수 밸브와 온수 밸브를 구동시키고, 상기 냉수 밸브와 온수 밸브의 구동 후 일정시간 동안 유량이 없다면 밸브 멈춤을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 및 동작 명령을 수신할 때 암호 코드를 함께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SMS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센싱부에서 측정한 값이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의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밸브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 밸브와 온수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유량계에서의 유량값을 근거로 유량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세척 밸브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배수 밸브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원유 냉각기의 상태 및 오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계를 사용하여 수압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세척수의 양을 계량할 수 있으며, 단수가 발생한 경우에도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원유를 완벽하게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
원유 냉각기 내부의 각종의 밸브 상태를 진단하여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간편하게 알려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량계를 사용함으로써 세척 유량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의 사용자의 단말과 양방향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원격지의 사용자로부터의 원유 냉각기 상태 확인 및 동작 명령에 근거한 동작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유 냉각기가 적용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동작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유 냉각기의 IP를 등록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서 원유 냉각기의 IP를 얻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서 원유 냉각기의 상태를 얻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에서 원유 냉각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원유 냉각기와 스마트폰 간의 SMS 송신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원유 냉각기와 스마트폰 간의 SMS 수신에 따른 동작 수행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원유 냉각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류 센싱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전류 센싱부에서의 전류 센싱에 따른 주변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전류 센싱부에서의 전류 센싱에 따른 동작 수행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유량계에서의 유량 센싱에 따른 주변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유량계에서의 유량 센싱에 따른 동작 수행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세척 밸브의 오류 검사를 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세척 밸브가 설치된 주변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유 냉각기에서의 세척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유 냉각기가 적용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는 스마트폰(2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서버(300)를 통해서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 확인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때, 원유 냉각기(10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또는 이더넷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그에 따라, 원유 냉각기(100)와 스마트폰(200)은 양방향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스마트폰(200)은 휴대단말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도 1에서는 스마트폰(200)으로 도시하였으나, 스마트폰 이외로 원유 냉각기(100)와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기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보통, 목장에서는 고정 IP 방식의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원유 냉각기의 IP 또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다. 그에 따라,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서버(300)를 두고 전원이 인가되면 서버(300)에 원유 냉각기(100)가 접근하여 자신의 IP 및 ID를 등록한다.
만약, 원유 냉각기(100)의 IP가 변경되면 재등록하는 절차를 실행하게 된다.
결국,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해당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00)을 통해 서버(300)로부터의 원유 냉각기(100)의 IP를 확인하고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를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300)의 동작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서버(300)는 클라이언트(즉, 원유 냉각기(100) 및 스마트폰(200))의 접근을 대기하고 있는다(S10). 서버(300)는 대기하고 있다가 클라이언트가 접근하면 알게 된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대기하고 있는 중에 원유 냉각기(100)에서의 ID를 수신하게 되면(S12에서 “Yes”) 수신한 ID를 저장함과 더불어 해당 원유 냉각기(100)의 IP를 저장한다(S14, S16).
이와 같이 하여 서버(300)와 원유 냉각기(100)는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200)이 원유 냉각기(100)에 접근하기 위해 서버(300)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스마트폰(200)은 서버(300)에 접근하면서 해당 원유 냉각기(100)의 접근 ID와 암호(password)를 입력한다(S18에서 “Yes”). 여기서, 암호는 원유 냉각기(100)에 설정되어져 있는 암호이다.
그에 따라, 서버(300)는 원유 냉각기(100)에 ID, 암호, IP를 전달한다.
서버(300)로부터 ID, 암호, 및 IP를 입력받은 원유 냉각기(100)는 ID와 암호를 조회하여 자신의 ID 및 암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20).
일치하면 원유 냉각기(100)는 해당 IP로 접속한다(S22). 이렇게 접속하면 원유 냉각기(100)와 스마트폰(2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만약, S20의 단계에서 틀리면 원유 냉각기(100)는 IP로 접속하지 않으며, 서버(300)에 잘못된 정보라고 알려준다. 그에 따라, 서버(300)는 이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달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잘못 입력함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원유 냉각기(100)에서 스마트폰(200)으로 접근한 이후에는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200)으로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 확인 및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유 냉각기(100)의 IP를 등록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원유 냉각기(100)가 자신의 IP를 서버(300)에 등록하기 위해 입력하면 서버(300)는 수신한 IP를 읽고(30), 읽은 IP가 정상적인 IP인지를 확인한다(S32).
정상적인 IP이면 이미 등록된 IP인지를 확인한다(S34).
이미 등록된 IP이면 재차 등록시킬 필요가 없지만, 등록되지 않은 IP라면 해당 IP를 등록함과 더불어 ID를 등록한다(S36).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200)에서 원유 냉각기(100)의 IP를 얻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마트폰(200)이 서버(300)에 접속하여 자신의 ID와 암호를 입력한다(S40, S42).
스마트폰(200)로부터 ID 및 암호를 입력받은 서버(300)는 기등록된 ID 및 암호를 근거로 현재의 스마트폰(200) 사용자가 정상 사용자(즉,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조회한다. 만약, 기등록된 ID 및 암호와 일치하면 서버(300)는 정상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고 통보한다(S44).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원유 냉각기(100)의 IP를 서버(300)로부터 얻는다(S46).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00)으로 해당 원유 냉각기(100)에 연결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200)에서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를 얻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00)으로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으로 원하는 원유 냉각기(100)에 접속함에 따른 접속 확인(S50, S52)이 이루어진 후에는, 해당하는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를 요청한다(S54).
그에 따라, 원유 냉각기(100)는 자신의 상태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달한다.
이에, 상태 정보를 수신한 스마트폰(200)은 화면 상태를 갱신하여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6).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200)에서 원유 냉각기(100)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마트폰(200)과 원유 냉각기(100)와의 접속에 따른 접속 확인(S60, S62)이 이루어진 후에는, 사용자(즉, 스마트폰 사용자)는 원유 냉각기(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64).
그에 따라, 원유 냉각기(10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신호 또는 제어 명령에 근거한 동작을 수행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한다.
이어, 스마트폰(200)은 응답 확인을 하고 상태 갱신을 한다(S66, S68).
한편, 원유 냉각기(10)와 스마트폰(200)은 예를 들어 WCDMA를 이용하여 서로 무선통신할 수 있다.
스마트폰(200)은 문자 메시지(SMS)를 통하여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 확인 및 상태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200)은 상태 제어 및 확인 명령을 전송하면서 암호 코드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승인되지 않은 사용자가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원유 냉각기(100)는 정상적인 암호 코드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응답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 제어 및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으로는 상태 요청, 냉각 시작, 냉각 종료, 세척 시작, 세척 종료, 집유 시작, 집유 종료 등이 명령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명령 뒤에는 암호 코드를 넣어야 한다. 암호 코드는 원유 냉각기(100)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원유 냉각기(100)와 스마트폰(200) 간의 전송 SMS 프로토콜은 명령 및 암호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원유 냉각기(100)와 스마트폰(200) 간의 SMS 송신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원유 냉각기(100)는 자신의 상태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하기 위해 상태 메시지를 생성한다(S70).
그리고 나서, 원유 냉각기(100)는 상태 메시지를 SM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00)에게로 문자 전송한다(S72).
이후, 전송이 제대로 되었음을 확인(S74)하게 되면 송신을 종료한다. 반대로, 전송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에는 원유 냉각기(100)는 원유 냉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오류 표시를 한다(S76). 이때의 오류 표시는 표시부상에 문자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램프 또는 부저를 통해 알릴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원유 냉각기(100)와 스마트폰(200) 간의 SMS 수신에 따른 동작 수행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수신한 원유 냉각기(100)는 명령에 수반된 암호를 확인한다(S80).
그 결과, 암호가 비정상적이면 암호 오류로 인식하고 해당 명령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S82).
반대로, 암호가 정상적이면 해당 명령이 상태 요청, 냉각 시작, 세척 시작, 집유 시작, 냉각 종료, 세척 종료, 집유 종료 중에서 어느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태 요청이면(S84) 원유 냉각기(100)는 자신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한다(S86).
만약, 냉각 시작이면(S88) 원유 냉각기(100)는 냉각을 시작하고 이를 알리는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한다(S90, S92).
만약, 세척 시작이면(S94) 원유 냉각기(100)는 세척을 시작하고 이를 알리는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한다(S96, S98).
만약, 집유 시작이면(S100) 원유 냉각기(100)는 집유를 시작하고 이를 알리는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한다(S102, S104).
만약, 냉각 종료이면(S106) 원유 냉각기(100)는 냉각을 종료하고 이를 알리는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한다(S108, S110).
만약, 세척 종료이면(S112) 원유 냉각기(100)는 세척을 종료하고 이를 알리는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한다(S114, S116).
만약, 집유 종료이면(S118) 원유 냉각기(100)는 집유를 종료하고 이를 알리는 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한다(S120, S122).
만약, 정의되지 않은 명령이면(즉, 상태 요청, 냉각 시작, 세척 시작, 집유 시작, 냉각 종료, 세척 종료, 집유 종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명령도 아닌 경우) 원유 냉각기(100)는 명령 오류를 스마트폰(200)에게로 전송한다(S124).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원유 냉각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원유 냉각기(100)는 구동부(30), 전류 센싱부(32), 유량계(34), 표시부(36), 무선 통신부(38), 입력부(40), 및 제어부(42)를 포함한다.
구동부(30)는 제어부(42)의 제어에 의해 램프(10), 부저(12), 온수 밸브(14), 냉수 밸브(16), 산성 세제 펌프(18), 알카리성 세제 펌프(20), 교반기(22), 배수 밸브(24), 세척 밸브(26), 집유 밸브(28) 등을 구동한다.
도 9에서는 구동부(30)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응되게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구동부(30)는 상기 예로든 램프(10), 부저(12), 온수 밸브(14), 냉수 밸브(16), 산성 세제 펌프(18), 알카리성 세제 펌프(20), 교반기(22), 배수 밸브(24), 세척 밸브(26), 집유 밸브(28) 만을 구동하는 것이 아니다. 원유 냉각기(100)는 상기 예로든 램프(10), 부저(12), 온수 밸브(14), 냉수 밸브(16), 산성 세제 펌프(18), 알카리성 세제 펌프(20), 교반기(22), 배수 밸브(24), 세척 밸브(26), 집유 밸브(28) 이외로 다른 밸브 또는 펌프 등을 더 갖추고 있을 수 있으므로, 구동부(30)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밸브 또는 펌프도 구동할 수 있다.
전류 센싱부(32)는 각종의 밸브 및 펌프의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센싱한다.
유량계(34)는 온수 밸브(14)와 냉수 밸브(16)에 흐르는 물의 양, 산성 세제 펌프(18)와 알카리성 세제 펌프(20)에 흐르는 세척수의 양을 계측한다.
표시부(36)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해당 원유 냉각기(1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태 메시지의 전송 오류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6)는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IP, ID, 암호를 확인을 위해 표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8)는 서버(300)와의 무선 통신 및 스마트폰(20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입력부(40)는 IP, ID, 암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42)는 해당 원유 냉각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2)는 CPU를 포함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류 센싱부(32)의 내부 회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전류 센싱부(32)에서의 전류 센싱에 따른 주변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류 센서(32a)는 펌프를 제외한 밸브(예컨대, 온수 밸브(14), 냉수 밸브(16), 교반기(22), 배수 밸브(24), 세척 밸브(26), 집유 밸브(28)를 포함)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밸브가 단선되었는지 또는 쇼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밸브(예컨대, 온수 밸브(14), 냉수 밸브(16), 교반기(22), 배수 밸브(24), 세척 밸브(26), 집유 밸브(28)를 포함)가 구동하게 되면 전류 센서(32a)를 통해서 전류를 센싱하게 된다. 이때, 센싱 전류는 교류 전원이고, 이는 정류기(D1)를 거쳐 콘덴서(C1)에 충전된 후 직류 성분으로 바뀐다. 미약한 밸브 전류는 증폭기(A1)를 통해서 증폭되어 제어부(42)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자로 입력된다. 한편, 미약하지 않은 밸브 전류는 증폭기(A2)를 통해서 약간만 증폭되어 제어부(42)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자로 입력된다.
만약, 오픈(open)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전압이 0V로 출력되고, 쇼트(short)가 발생하면 4.5V 이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나머지 상태는 밸브의 구동 전류에 맞게 전압으로 변경되어 제어부(42)에 입력된다. 제어부(42)는 이 값을 통해서 밸브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을 근거로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전류 센서(32a)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전류 센서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전류 센서(32b)는 펌프(예컨대, 산성 세제 펌프(18), 알카리성 세제 펌프(20))의 구동 전류를 센싱한다.
전류 센서(32b)는 펌프(예컨대, 산성 세제 펌프(18), 알카리성 세제 펌프(20))를 구동하면서 발생한 전류를 센싱한다. 이때, 센싱 전류는 교류 전원이고, 이는 정류기(D2)를 거쳐 콘덴서(C2)에 충전된 후 직류 성분으로 바뀐다. 이는 증폭기(A3)에서 증폭되어 제어부(42)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자로 입력된다. 그에 따라, 제어부(42)는 펌프의 문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펌프를 구동할 때 0V 입력이면 오픈(open) 상태이고, 4.5V 이상 인식하게 되면 쇼트(short) 상태이며, 나머지 상태는 펌프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전압을 입력받게 된다.
상술한 전류 센서(32b)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2 전류 센서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도 10에서, common_pump는 펌프쪽 전류만 센싱하는 것을 의미하고, common_other는 펌프를 제외한 모든 전류를 센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분리하는 것은 펌프가 전류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common 이 붙은 이유는 교류 전원의 두 선을 온(on)/오프(off)하는 것이 아니라 한 선만 온(on)/오프(off)하기 때문에, 온/오프하지 않는 선을 common 이라고 표시한 것이다.
한편, 도 11에서, 밸브와 펌프를 별개로 도시하여야 되겠지만, 편의상 밸브로 통칭하였다. 그에 따라, 도 11에서의 밸브는 온수 밸브(14), 냉수 밸브(16), 산성 세제 펌프(18), 알카리성 세제 펌프(20), 교반기(22), 배수 밸브(24), 세척 밸브(26), 집유 밸브(28)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도 11에서 증폭기는 도 10에서의 증폭기(A1, A2, A3)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도 11에서 릴레이를 도시하였는데, 그 릴레이는 구동부(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도 된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전류 센싱부(32)에서의 전류 센싱에 따른 동작 수행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밸브 오류를 검사하기 위해, 밸브를 구동시킨다(S130).
이어, 전류 센싱부(32)는 밸브 구동에 따른 전류를 센싱하여 제어부(42)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42)는 센서 전압을 읽어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의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132, S134, S136). 예를 들어, 온수 밸브(14) 및 냉수 밸브(16)의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의 범위(즉, 정상 임계범위)는 10mA ~ 60mA일 수 있다. 그리고, 배수 밸브(24)의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의 범위는 20mA ~ 80mA일 수 있다. 그리고, 세척 밸브(26) 및 집유 밸브(28)의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의 범위는 100mA ~ 400mA일 수 있다. 그리고, 산성 세제 펌프(18) 및 알카리성 세제 펌프(20)의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의 범위는 50mA ~ 200mA일 수 있다. 그리고, 교반기(모터를 포함함)(22)의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의 범위는 500mA ~ 4A일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예로든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즉,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 이하이거나 이상일 경우(S134 및 S136에서 “Yes”) 제어부(42)는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S138, S140).
이후, 제어부(42)는 상태 초기화를 수행한다(S142).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유량계(34)에서의 유량 센싱에 따른 주변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 유량계(34)는 온수 밸브(14)와 냉수 밸브(16)의 물의 양을 계측할 수 있고, 산성 세제 펌프(18)와 알카리성 세제 펌프(20)의 세척수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계(34)에 의해 계측된 유량값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42)에게로 전송된다. 제어부(42)는 수신한 유량값을 근거로 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서, 미설명 부호 44는 원유를 저장하는 원유 탱크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3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는 유량계(34) 내부에 갖추어지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유량계(34)에서의 유량 센싱에 따른 동작 수행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유량을 설정해 둔다(S150). 예를 들어, 40 리터로 설정을 하였다면 냉수만 입력될 때에는 냉수로 40 리터를 채우는 것을 의미하고, 온수만 입력될 때에는 온수로 40 리터를 채우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냉온수로 40 리터를 채우는 것은 냉수와 온수의 양을 합쳐서 40리터가 되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42)는 유량계(34)에서 센싱한 유량값을 읽는다(S152).
그리고 나서, 읽은 유량값이 설정 유량이면(S154에서 “Yes”) 제어부(42)는 밸브 멈춤을 행한다(S156). 여기서, 설정 유량은 세척하기 위해서 유입되는 냉온수의 양을 합한 양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계 S156에서 밸브 멈춤은 온수 밸브(14) 및/또는 냉수 밸브(16)를 닫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현재 단계가 냉수 단계이면 냉수 밸브(16)를 닫고, 온수 단계이면 온수 밸브(14)를 닫고, 냉온수 동시 주입 단계이면 냉수 밸브(16) 및 온수 밸브(14)를 닫는다.
한편, 설정 유량이 아니면 제어부(42)는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온수 밸브(14) 및 냉수 밸브(16)를 구동시킨다(S158).
그리고 나서, 일정시간 동안 유량이 없다면(S160에서 “Yes”) 제어부(42)는 밸브 멈춤을 행하고(S162), 표시부(36)에 오류 표시를 행한다(S164). 물론, 제어부(42)는 오류 표시를 램프(10) 및/또는 부저(12)를 통해서도 할 수 있다. 아니면 램프(10)와 부저(12) 및 표시부(36)를 모두 이용하여 오류 표시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계(34)를 사용함으로써, 세척 유량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온수 밸브의 오동작도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세척 밸브(26)의 오류 검사를 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세척 밸브(26)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해, 우선 제어부(42)는 유량계(34)의 유량값을 읽고 유량을 확인한다(S170, S172).
만약, 유량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즉, 밸브(예컨대, 온수 밸브(14) 및 냉수 밸브(16))를 닫았음에도 불구하고 물이 공급된다면 이는 비정상적으로 원유에 물이 유입되는 것이므로, 제어부(42)는 구동부(30)를 제어하여 배수 밸브(24)를 연다(S174).
그리고, 제어부(42)는 오류 상태를 표시부(36) 상에 표시한다(S176). 물론, 제어부(42)는 오류 표시를 램프(10) 및/또는 부저(12)를 통해서도 할 수 있다. 아니면 램프(10)와 부저(12) 및 표시부(36)를 모두 이용하여 오류 표시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원유 냉각기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냉수 밸브(16) 및 온수 밸브(14)에 이물질이 끼여서 밸브가 완벽하게 닫히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밸브가 고장나서 열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밸브를 닫았음에도 불구하고 물이 공급된다면, 유량계(34)를 통해서 물 공급이 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적으로 원유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비정상적인 물이 공급되면 배수 밸브(24)를 열어서 물이 빠지도록 하며 경고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한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세척 밸브(26)가 설치된 주변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유 냉각기에서의 세척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세척 밸브(26)를 전동 밸브라고 할 수 있다. 세척 밸브(26)를 통해 원유 탱크(44)의 내부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즉, 제어부(42)는 세척을 시작하는 경우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세척 밸브(26)를 열고 집유 밸브(28)를 닫는다(S180).
그리고 나서, 세척 밸브(26)에 세척수 및 세제(세척액)가 공급됨에 따라, 세척 밸브(26)는 펌프를 통해 세척수 및 세제를 원유 탱크(44)의 내부로 보내어 세척 한다(S182, S184).
이후, 세척이 끝나면 세척된 오염수를 배수 밸브(24)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시킨다(S186).
자유 배출 시간에는 세척 밸브(26)와 집유 밸브(28)를 열어서 내부에 남아 있던 세척수를 모두 배출시킨다(S188, S190).
자유 배출 시간이 종료되면 세척 밸브(26) 및 집유 밸브(28)를 닫는다(S192, S194).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램프 12 : 부저
14 : 온수 밸브 16 : 냉수 밸브
18 : 산성 세제 펌프 20 : 알카리성 세제 펌프
22 : 교반기 24 : 배수 밸브
26 : 세척 밸브 28 : 집유 밸브
30 : 구동부 32 : 전류 센싱부
34 : 유량계 36 : 표시부
38 : 무선 통신부 40 : 입력부
42 : 제어부 100 : 원유 냉각기
200 : 스마트폰 300 : 서버

Claims (7)

  1. 원유 냉각기의 밸브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제 1 전류 센서, 및 상기 원유 냉각기의 펌프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는 제 2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전류 센싱부; 상기 원유 냉각기의 온수 밸브와 냉수 밸브에 흐르는 물의 양, 산성 세제 펌프와 알카리성 세제 펌프에 흐르는 세척수의 양을 계측하는 유량계; 원격지의 사용자의 휴대단말과 무선 통신하되, 상기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 및 동작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원유 냉각기의 상태 정보 및 동작 수행 결과를 상기 휴대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에 따라 상기 전류 센싱부의 결과를 근거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에게로 보내고, 상기 휴대단말로부터의 동작 명령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시키고 그 결과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에게로 보내고,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한 유량값을 근거로 그에 상응하는 밸브의 구동 제어 및 오류 진단을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센서는 펌프를 제외한 밸브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밸브가 단선되었는지 또는 쇼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되, 상기 밸브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제1 전류 센서를 통해서 전류를 센싱하며, 이때 센싱 전류는 교류 전원이고, 이는 정류기를 거쳐 콘덴서에 충전된 후 직류 성분으로 바뀌고, 증폭기를 거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자로 입력되며, 만약, 오픈(open)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전압이 0V로 출력되고, 쇼트(short)가 발생하면 4.5V 이상으로 출력하게 되고, 나머지 상태는 밸브의 구동 전류에 맞게 전압으로 변경되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이 값을 통해서 밸브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을 근거로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전류 센서는 펌프의 구동 전류를 센싱하되, 이때, 센싱 전류는 교류 전원이고, 이 교류전원은 정류기를 거쳐 콘덴서에 충전된 후 직류 성분으로 바뀌고, 이후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상기 제어부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자로 입력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펌프의 문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펌프를 구동할 때 0V 입력이면 오픈(open) 상태이고, 4.5V 이상 인식하게 되면 쇼트(short) 상태이며, 나머지 상태는 펌프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전압을 입력받게 되며,
    상기 휴대단말은 문자 메시지(SMS)를 통하여 상기 원유 냉각기의 상태 확인 및 상태 제어를 할 수 있고, 상기 원유 냉각기와 스마트폰 간의 전송 SMS 프로토콜은 명령 및 암호의 조합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태 제어 및 확인 명령을 전송하면서 암호 코드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원유 냉각기의 상태 제어 및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으로는 상태 요청, 냉각 시작, 냉각 종료, 세척 시작, 세척 종료, 집유 시작, 집유 종료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한 유량값이 설정 유량이면 상기 냉수 밸브와 온수 밸브를 닫고, 상기 설정 유량이 아니면 상기 냉수 밸브와 온수 밸브를 구동시키고, 상기 냉수 밸브와 온수 밸브의 구동 후 일정시간 동안 유량이 없다면 밸브 멈춤을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 및 동작 명령을 수신할 때 암호 코드를 함께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SMS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센싱부에서 측정한 값이 기설정된 밸브 구동 전류의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밸브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 밸브와 온수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유량계에서의 유량값을 근거로 유량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세척 밸브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배수 밸브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유 냉각기의 상태 및 오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KR1020150089446A 2015-06-24 2015-06-24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KR10172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446A KR101720865B1 (ko) 2015-06-24 2015-06-24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446A KR101720865B1 (ko) 2015-06-24 2015-06-24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01A KR20170000501A (ko) 2017-01-03
KR101720865B1 true KR101720865B1 (ko) 2017-03-28

Family

ID=5779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446A KR101720865B1 (ko) 2015-06-24 2015-06-24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698A (ko) 2022-08-25 2024-03-05 류옥란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362B1 (ko) * 2020-12-28 2023-04-10 주식회사 케이.엠 보안기능이 강화된 스마트폰을 통한 원유냉각기 작동방법
KR102647182B1 (ko) * 2021-08-12 2024-03-12 이국하 원유 관리용 콜드체인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407A (ja) 1999-09-28 2001-04-10 Yokobe Setsubi:Kk 集乳システム
JP2004344104A (ja) 2003-05-23 2004-1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牛乳の温度監視システムおよび牛乳の温度監視方法
KR100742528B1 (ko) * 2006-12-29 2007-07-25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냉동기 및 냉각탑 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JP2011041473A (ja) * 2009-08-19 2011-03-03 Orion Machinery Co Ltd 流体作業監視装置、パイプラインミルカー、バルククーラ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391B1 (ko) 1998-11-19 2000-12-15 이미자 세척수 분사장치
KR101252234B1 (ko) 2011-03-29 2013-04-10 김태섭 원유 냉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407A (ja) 1999-09-28 2001-04-10 Yokobe Setsubi:Kk 集乳システム
JP2004344104A (ja) 2003-05-23 2004-1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牛乳の温度監視システムおよび牛乳の温度監視方法
KR100742528B1 (ko) * 2006-12-29 2007-07-25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냉동기 및 냉각탑 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JP2011041473A (ja) * 2009-08-19 2011-03-03 Orion Machinery Co Ltd 流体作業監視装置、パイプラインミルカー、バルククーラ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698A (ko) 2022-08-25 2024-03-05 류옥란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01A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865B1 (ko)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CN109959870B (zh) 适用于工具系统部件的诊断装置、诊断系统和诊断方法
KR101832962B1 (ko) 냉장고 진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냉장고
JP5802867B1 (ja) 内視鏡漏洩検査装置
CN104329509B (zh) 智能阀及其控制方法
JP2005522069A (ja) 自動バス検知付き携帯式診断通信装置
KR101552998B1 (ko)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CN104006539A (zh) 一种电热水器及其控制方法
US20160273786A1 (en) Monitoring and operation of a liquid flow circuit containing a chemical additive
CN104110879B (zh) 热水器的售后服务提供方法、系统以及热水器
JP5568243B2 (ja) 医療用ポンプ
CN101999875B (zh) 洗碗机以及合适的控制方法
KR102010971B1 (ko) 정수기 제어방법
JP5158884B2 (ja) 乳量計
EP1221282B1 (en)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cleaning a milking machine, and a milking machine
CN104101809A (zh) 一种消毒柜远程故障诊断系统
KR2010008837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
CN107271163B (zh) 用于冷却器的本地诊断和验证系统及方法
KR20230017896A (ko) 생활용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시스템
CN104189991A (zh) 伤口渗出液颜色识别方法、装置及负压治疗系统
CN108415407B (zh) 找平故障检测控制器、摊铺机找平控制装置和方法
CN110057109A (zh) 管线饮水机防冻系统及方法
JP2002195578A (ja) 温水暖房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30095012A (ko)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및 냉온수 공급기 진단 시스템
JP5333122B2 (ja) ふろ給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