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698A -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 Google Patents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698A
KR20240028698A KR1020220106755A KR20220106755A KR20240028698A KR 20240028698 A KR20240028698 A KR 20240028698A KR 1020220106755 A KR1020220106755 A KR 1020220106755A KR 20220106755 A KR20220106755 A KR 20220106755A KR 20240028698 A KR20240028698 A KR 2024002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de oil
unit
temperature
ict
oil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옥란
Original Assignee
류옥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옥란 filed Critical 류옥란
Priority to KR102022010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698A/ko
Publication of KR2024002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3/00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 A23C3/04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by freezing or coo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ICT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ICT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는, 원유 냉각기에 설치한 압력센서 혹은 온도센서로부터 착유량, 집유량, 집유후 잔류량은 물론 세척수량(水量), 세척수온도 등의 이상 신호 검출시, 상기 원유 냉각기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 연결한 PC는 물론 휴대폰 혹은 태블릿pc(아이 패드)등을 통하여 현지와 동일 상황으로 보여주면서 원격지에서도 원유 냉각기의 필수 요소들의 이상 부분을 쉽게 제어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Milk Cooler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Based On ICT}
본 발명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에 관 한 것으로, 특히 원유 냉각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한 압력센서(중량)로부터 착유량, 집유량은 물론 세척용수의 수량(水量) 등의 필수 요소들에 대한 이상 신호 검출시, 원유 냉각기와 ICT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한 PC는 물론 휴대폰 혹은 태블릿pc(아이 패드)등을 통해 현장 제어표시창에서 보여주는 상황과 동일하게 보여주면서 원유 냉각기의 이상 부분을 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한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장에서는 젖소로 부터 대체적으로 1일 2회 착유를 하게 되는데, 착유량은 대략 1마리당 1회 약 15ℓ정도(1일은 30ℓ정도)이며, 착유시 원유의 온도는 약 35℃정도이다. 착유후 부패하기 쉬운 원유는 착유 종료후 60분 이내에 5℃로 냉각하는데 이때 이용되는 것이 이때 목장의 편의는 물론 고품질의 원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목장전용 원유 냉각기이다.
원유냉각기는 아직 국가 표준은 없으나, 원유냉각기의 냉각온도, 냉각기를 위생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척수의 세척온도, 세척수의 급수 온도 등은 모두 0.1℃ 정밀도에 의한 온도표시와 이를 설정 제어를 해야만 한다.
이러한 원유 냉각기의 일예가 등록특허 제10-17208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 제10-1720865호에 의하면 '원유 냉각기 내부의 각종의 밸브 상태를 진단하여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는 원유 냉각기를 제시한다. 제시된 원유 냉각기는 원유 냉각기의 밸브 및 펌프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싱부; 원유냉각기의 온수 밸브와 냉수 밸브에 흐르는 물의 양, 산성 세제 펌프와 알카리성 세제 펌프에 흐르는 세척수의 양을 계측하는 유량계; 원격지의 사용자의 휴대단말과 무선 통신하되,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 및 동작명령을 수신하고 원유 냉각기의 상태 정보 및 동작 수행 결과를 휴대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휴대단말로부터의 냉각기 상태 확인에 따라 전류 센싱부의 결과를 근거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에게로 보내고, 휴대단말로부터의 동작 명령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시키고 그 결과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휴대단말에게로 보내고, 유량계에서 계측한 유량값을 근거로 그에 상응하는 밸브의 구동제어 및 오류 진단을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는 것이고,
또 공개특허 제10-2021-0085760호의 '냉음수기'에 의하면, '냉수가 공급되어 냉각되는 타원형 탱크를 포함하는 냉음수기에 있어서, 내통과 외통으로 구분되며 물을 공급받아 처리하는 상기 타원형 탱크, 상기 내통 바닥면의 일정부분에 측면에서보면 원호형태로 설치되는 냉판, 상기 탱크 천정면에 설치되며 내통내에 물을 저어주기 위한 교반기 모터, 물의 공급과 냉음수기의 작동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내통으로 세척용 냉수 및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밸브, 내통으로 알칼리 및/또는 산성의 세제가 투입되도록 하는 세제펌프, 내통내의 물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 내통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 내통내의 천정부근에 설치되며 내통 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볼, 상기 냉판에 냉매를 공급 및 배출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실외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실외기를 통하여 냉각하여 냉각된 물을 용기내의 냉판(냉각판)에 공급함으로써 냉수를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입수관(정수위 밸브)를 통해 냉음수기 안에 물이 들어오면 실외기 및 딤플플레이트 냉판을 통해 냉음수기 안의 물이 컨트롤 박스에 의해 설정온도에 까지 냉각이 되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고,
또한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65621호에 의하면, '낙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원유냉각기의 온도관리 및 교반기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원유를 안전하게 보존하여 원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유냉각기용 온도 및 교반상황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에 저장된 일정량의 원유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며, 상기 원유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시켜주는 원유냉각기용 온도 및 교반상황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유냉각기에 인접하게 부착된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원유가 교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중 특허문헌1은 유량계에서 계측한 유량값을 근거로 그에 상응하는 밸브의 구동제어 및 오류 진단 결과를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휴대폰(스마트 폰)을 통하여 받게 되는경우, 사용자는 원유 냉각기의 구동 여부만을 제어할 뿐이고, 그리고 특허문헌 2,3 역시 단순히 스마트폰으로 하여금 원유 냉각기의 온도만을 제어하는 것이므로, 상기 특허문헌들의 선행기술은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으로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사항들이 극히 제한 적이라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원유냉각기에서 실행되는 전일 착유량, 익일 착유량, 집유차의 집유량, 집유 후 잔류량, 세척수량, 세척수의 온도제어 등의 복합적인 필수 요소를 원격지에서도 현지와 동일한 상황을 보면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원유 냉각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국내 등록특허 제10-1720865호 KR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0-2021-0085760호 KR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6562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원유 냉각기에 설치한 압력센서로부터 착유량, 집유량은 물론 세척용수의 수량(水量) 등의 이상 신호 검출시, 상기 원유 냉각기와 ICT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 연결한 PC는 물론 휴대폰 혹은 태블릿pc(아이 패드)등을 통하여 현지와 동일 상황으로 보여주면서 원격지에서도 원유 냉각기의 필수 요소들의 이상 부분을 쉽게 제어 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게 한 ICT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습기에 강한 압력센서의 설치로 원유 냉각기의 필수 제어요소들의 이상유무 검출에 대한 정밀도를 높인 ICT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ICT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ICT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는, 착유된 원유(原乳)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그리고 원유의 집유후 내부 세척에 제공되는 세척부와 같이 설치된 원유냉각용 저장탱크부; 상기 원유 냉각용 저장탱크부와 상기 세척부의 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무게 혹은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원유냉각용 저장탱크부와 상기 세척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원유냉각용 저장탱크부 혹은 세척부의 세척수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원유냉각용 저장탱크부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 혹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의 각 무게변화 혹은 온도변화 검출신호에 따라 표시창에는 전일 혹은 익일 착유량, 집유차의 집유량, 집유후 잔류량, 세척수량, 세척수 온도, 및 냉각 온도중 하나 이상의 이상유무의 화면을 숫자, 문자 혹은 이들의 결합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보고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 및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와 인터넷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센서 혹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의 무게변화 혹은 온도변화의 검출신호시 표시창에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의 표시 화면과 동일 화면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격지에서도 이 화면을 보면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된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는, 무게로부터 가해지게 되는 압력으로 유압이 작동하는 수중 압력센서 혹은 로드셀이고, 상기 압력센서를 복수개의 설치시 다접속용 허브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와 연결되어 유압 변화시 유도되는 전기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 측으로 보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열 전달용 극판들의 사이에 센서를 배치하여 된 것이고, 상기 세척부의 온수의 중량변화에 대한 압력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부에 의한 상기 세척부의 온수탱크에 급수가 실행되게 제어시 세척부 온수 탱크의 세척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떨어지는 것이 온도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는 즉각적으로 온수 탱크의 급수를 차단하고 냉각기 원유 탱크에 대한 세척 불량임을 콘트롤러 및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원유냉각용 저장탱크부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유냉각용 저장탱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지지구와 하부 지지구로 된 지지용 발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지지구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부의 저부측의 소정 위치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부위는 편평부를 이루는 반면 하부는 반원홈부를 이루고, 상기 하부 지지구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부와 이 지지판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입설되어 상기 반원홈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반원홈부의 중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각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tablet)PC 등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혹은 PC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유 냉각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 저장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서버는 상기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 예에 따른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에 의하면, 원유 냉각기의 ICT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연결한 PC는 물론 휴대폰 혹은 태블릿pc(아이 패드)등을 통해서도 원유 냉각기의 제어요소인 착유량, 집유량은 물론 세척용수의 수량(水量) 등을 원격지에서도 현지에서와 같이 쉽게 제어 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습기에 약한 전자 로드셀과는 달리 수분에 강한 방수용 압력센서의 채용으로 원유 냉각기의 필수 제어요소들의 이상 유무를 상시 정확하게 검출 할 수 있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CT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구체화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 표시의 원유냉각용 저장 탱크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제어부의 연결 구성을 구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며,
도 4(a),(b)는 도 3을 우측과 좌측에서 보아 각각 표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6(a),(b) 및 (c)는 도 3의 원유냉각용 저장 탱크부의 저부측에 설치되는 압력센서들의 설치 일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압력센서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원유 저장 탱크부의 저부측에 압력센서와 같이 원유냉각용 저장 탱크부의 저부 측으로 설치되는 지지발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온도 센서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3의 압력센서의 유압을 모아주는 작용을 하는 허브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11(a),(b),(c),(d)는 단말기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창 화면의 일예를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CT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구체화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CT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100)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원유냉각용탱크부(110), 압력센서(120), 온도센서(130),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 단말기(150), 및 데이터 저장서버(160)를 포함한다.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는 목장에서 착유된 원유가 부패되는 일이 없도록 안전하게 저장하면서 냉각하게 되는데,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동체(胴體) 둘레에는 통상의 냉각부(112)가 설치되어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를 냉각한다.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에 냉각하고자 저장하게 되는 원유(原乳)는 목장의 젖소 혹은 젖양으로부터 보통 1일 2회 착유를 하여 하루에 1 ~ 2회에 걸쳐 우유제조회사로 보내게 되는데, 이때 착유량은 1마리당 1회 약 15ℓ정도(1일은 30ℓ정도)이며, 착유시 원유의 온도는 대략 35℃정도이다.
착유된 원유는 부패하기 쉬우므로 착유 종료후 60분 이내에 5℃로 냉각 상태를 유지하여 우유 제조 회사로 보내는 것인데, 특히 대기온도 28℃ 이상의 하절기에는 원유가 부패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아지게 되므로, 착유후에는 즉시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에 의해 냉각 상태를 유지하며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우유 제조회사로 보내게 된다.
상기 원유의 온도가 8℃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균에 의해 부패 및 변질되기 쉽고, 원유온도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얼음으로 변하여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에 저장하여 원유의 온도를 3 ~ 7℃ 까지 급속냉각시켜 원유를 안전하게 보존하였다가 집유차에 의해 우유 제조회사로 보내게 한다.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는 이 원유냉각용탱크부(110)에 설치한 상기 온도센서(130)로 하여금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냉각온도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측으로 출력함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의 제어프로그램으로 하여금 검출된 온도를 기 설정된 범위와 비교 판단하면서 상기 냉각부(112)를 제어할 수 있게 하여, 탱크 내에 저장되는 원유의 변질 우려가 없게 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냉각온도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의 표시창(142)이나 혹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와 ICT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모바일 폰, 태블릿 PC, 혹은 일반 PC 등의 단말기(150)의 표시창에 표시되게 하여 현장은 물론 원격지에서도 온도 상황을 보면서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정상 작동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냉각 온도 및 냉각기의 작동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 및 냉각부의 구성 등은 통상적인 기술이라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력센서(120)는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와 세척부(114)의 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원유저장용 냉각탱크부(110) 혹은 세척부(114)의 무게 혹은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측으로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측으로 출력되는 상기 원유저장용 냉각탱크부(110) 혹은 세척부(114)의 무게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의 표시창(142)이나 혹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와 ICT를 활용하는 네트워크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모바일 폰, 태블릿 PC, 혹은 일반 PC 등의 단말기(150)의 표시창에 표시되게 하여, 현장은 물론 원격지에서도 상기 원유저장용 냉각탱크부(110)의 무게 상황을 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는 힘-균형 압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센서의 내부를 채운 유체의 압력 변화를 통해 무게를 측정하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120)로는 로드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는 상기 원유저장용 냉각탱크부(110)와 의 인접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센서(120), 상기 온도센서(130)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원유저장용 냉각탱크부(110)의 각 무게변화, 온도변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에 저장되는 원유에 대한 전일 혹은 익일 착유량, 집유차의 집유량, 집유후 잔류량, 세척수량, 세척수 온도, 및 냉각 온도중 하나 이상의 이상유무를 표시창(142)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하면서 즉각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표시창(142)의 화면에는 숫자, 문자 혹은 이들의 결합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보고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단말기(150)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10)와 ICT를 활용하는 인터넷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센서(120), 상기 온도센서(130)로부터의 무게변화나 온도변화의 검출신호시 표시창에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의 표시창(142) 화면과 동일 화면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격지에서도 이 화면을 보면서 제어할 수 있게 하 였다.
상기 데이터 저장서버(160)는 상기 원유저장용 냉각탱크부(110)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서버(160)는 상기 무선단말기(150)와 ICT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되어 원격지에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혹은 입력하게 할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10)는 아날로그 인풋 4 접점, 아날로그 아웃풋 4 접점, 디지털 인풋 8 접점, 디지털 아웃풋 8 접점으로 구성된 입출력 포트가 구비되어 각종 센서(압력센서, 온도센서 등)와 그리고 세척부 , 및 냉각부등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무선단말기(150)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10)간의 무선 통신은 ICT 기반으로 하는 모든 무선통신(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유 냉각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10) 및 상기 단말기(150)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데이터 저장서버(160)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취득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 표시의 원유 저장 탱크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제어부와의 연결 구성을 구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며, 도 4(a),(b)는 도 3의 우측과 좌측에서 보아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는 타원형의 동체(胴體)부(113)로 이루어져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냉각판(미도시)이 설치되어, 상부에는 덮개를 갖는 원유투입구(115)가 그리고 하부에는 배출구(116)가, 그리고 내부로는 원유의 응고를 방지하는 교반기(117)가 설치되고, 저부에는 압력센서(120)에 지지되는 지지발(118)이 설치된다.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원유 냉각 온도와 그리고 무게를 표시하며 대략 장방형체를 이루어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와 인접 배치되어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입설되게 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의 본체(144)의 상부로는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와 세척부(114)의 무게변화와 그리고 온도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는 표시창(142)이 배치되고, 그 하측의 내부로는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직수와 연결되는 온수 탱크(114-1)가 설치되어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동체(胴體)부(113)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의 본체(144)의 저부로도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동체(胴體)부(113)의 저부에 설치된 압력센서(120)와 동일의 압력센서(120)가 상기 지지발(118)을 지지하는 상태로 동일하게 설치되어 온수 탱크의 무게(압력)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140)측으로 출력한다.
상기 압력센서(120)는, 무게로부터 가해지게 되는 압력으로 유압이 작동하는 수중 압력센서이고, 상기 압력센서(120)의 복수개의 설치시 다접속용 허브(170)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와 연결되어 유압 변화시 유도 되는 전기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측으로 속히 출력되게 한다.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압력센서(120)의 설치 갯수가 달리되어 다접속용 허브(170)의 접속부가 3개 설치된 것만이 달리 할 뿐,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여 동일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6(a),(b) 및 (c)는 도 3의 원유 저장 탱크부의 저부측에 설치되는 압력센서들의 설치 일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 6(a)는 압력센서(120)를 원유저장용 냉각탱크부(110)의 동체(胴體)부(113)의 저부 4개소에 설치되어 지지발(118)을 지지하게 하여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무게(압력)변화를 정밀하게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는 도 6(a)와는 달리 상기 압력센서(120)를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동체(胴體)부(113)의 저부 2개소에 설치한 것이고,
도 6(c)는 상기 압력센서(120)를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동체(胴體)부 (113)의 저부 1개소에 설치한 것을 일 예로 표시한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120)의 설치 갯수는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크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 설치가 가능한 것임을 상기 실시예의 도면들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압력센서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압력센서(120)는 힘-균형 압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부의 다이아프램(122)에 무게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변화가 센서의 내부를 채운 유체의 압력 변화를 통해 무게를 측정하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도 8은 도 6의 원유냉각용탱크부의 저부측에 압력센서와 같이 원유냉각용탱크부의 저부 측으로 설치되는 지지발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지지발(118)은 압력센서(120)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원유 저장탱크부(110)의 동체(113)(도 3참조)저부에 설치되어 압력센서(120)에 의해 받쳐지게 지지되면서 압력센서(120)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지 않게 상기 원유냉각용 탱크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발(118)은 상기 원유냉각용 탱크부(110)의 저부와 직접적으로 대면하게 위치하여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구(118-1)와 그리고 상부 지지구(118-1)를 자연스럽게 받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부 지지구(118-1)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구(118-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지지구(118-1)는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저부측의 소정위치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부위는 편평부(118-1a)를 이루는 반면 하부는 반원홈부(118-1b)를 이루고, 상기 하부 지지구(118-2)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부(118-2a)와 이 지지판부(118-2a)로부터 소정 높이로 입설되어 상기 반원홈(118-1b)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반원홈부(118-1b)의 중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각부(118-2b)로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1의 온도 센서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온도센서(130)는 열 전달용 극판(132)의 사이에 센서(134)를 위치한 것으로, 원유 저장용 냉각탱크부(110)와 세척부(114)(도 3참조)에 각각 부착되어 온도변화 검출시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로 보내어서,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에 저장되는 원유에 대한 전일 혹은 익일 착유량, 집유차의 집유량, 집유후 잔류량, 세척수량, 세척수 온도, 및 냉각 온도중 하나 이상의 이상유무를 표시창(142)(도 3참조)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즉각 확인과 아울러 필요한 제어를 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도 3의 압력센서의 유압을 모아주는 작용을 하는 허브만을 분리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다접속용 허브(170)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분기용 접속구(171)를 구비하고 있어서, 다수개의 압력센서(120)(도 3참조)로부터 검출되는 무게(압력)변화 신호는 다수개의 압력센서(120)와 연결된 다접속용 허브(170)의 다수개의 분기용 접속구(171)를 통해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로 보내어져서 상기 원유저장용 냉각탱크부(110)에 저장되는 원유에 대한 전일 혹은 익일 착유량, 집유차의 집유량, 집유후 잔류량, 세척수량, 세척수 온도, 및 냉각 온도중 하나 이상의 이상유무를 표시창(142)(도 3참조)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즉각 확인과 아울러 필요한 제어를 할 수 있게 한다.
도 11(a),(b),(c),(d)는 단말기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제어 화면의 일예를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의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는 물론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와 ICT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연결되는 휴대폰, 테블릿 PC 등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모든 화면 표시창에는 온도 , 탱크의 무게는 물론 원유냉각용탱크부의 세척에대한 처리 상태가 표시되어 원격지에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원유냉각용탱크부(110)(도 3참조)에 저장되는 원유에 대한 전일 혹은 익일 착유량, 집유차의 집유량, 집유후 잔류량, 세척수량, 세척수 온도, 및 냉각 온도중 하나 이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원유 냉각기(100)는, ICT를 활용하는 네트워크에 의한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와 PC는 물론 휴대폰 혹은 태블릿pc(아이 패드)등의 연결에 의해, 원유 냉각기의 제어요소인 착유량, 집유량은 물론 세척용수의 수량(水量) 등을 원격지에서도 현지에서와 같이 쉽게 제어 할 수 있다.
즉,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압력센서(120)에 의한 무게(중량) 검출에 의한 도 11(a) 내지 (d)와 같은 각 표시창의 표시는 사용자로 하여금 전일 착유량, 익일 착유량, 집유차의 집유량, 집유 후 잔류량, 세척수량을 확인할 수 있게한다.
예컨데, 표시창의 무게 표시가 대기중으로 하여 0kg(도 11(a)참조)으로 확인되는 상태에서 목장에 착유된 원유가 저장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의 표시창에는 현재무게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전일 착유량은 물론 이어서 착유되어 저장되는 원유에 대한 무게 변화량의 검출에 따른 표시에 따라서 사용자는 전일 혹은 익일 착유량이 얼마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이에 대한 모든 데이터는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여 원유 냉각기의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로부터 우유 공장으로 가는 집유차량에 의한 원유의 집유에 의한 무게 변화 검출은 집유차의 집유량과 집유 후 잔류량을 원격지에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착유량 내지는 집유량을 쉽게 콘트롤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는 위생상 청결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세척을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세척은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에 원유가 없음이 압력센서의 무게 검출 신호로 확인되는 경우 실행된다.
예컨데, 원유 냉각기의 세척은, 도 1 및 도 2의 표시와 같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에 의한 세척부(114)의 제어를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114)에 의한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110)의 세척은 위생적인 세척을 위하여 세척부(114)의 온수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온된 온수로만 실행된다.
상기 세척부(114)의 온수의 중량변화에 대한 압력센서의 검출신호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측으로 보내지게 되어 세척에 제공되는 온수 용량이 충분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데 온수에 의한 원유냉각기의 동체를 세척 중 압력센서에 의한 온수의 용량(중량) 검출 신호가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에 의해 규정치의 용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는 즉각 콘트롤러부와 단말기의 각 표시창에 온수 용량 부족임을 표시함과 아울러 온수탱크 측의 수전 밸브(미도시)를 개방되게 제어하여 세척용 물을 보충할 수 있게 제어한다.
이때 온수부의 온수탱크의 온수 온도가 보충되는 급수에 의하여 세척용 온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떨어지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이 검출신호를 받게 되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140)는 즉각적으로 온수 탱크의 수전 밸브를 폐쇄하고 냉각기 원유 탱크에 대한 세척수의 불량임을 콘트롤러 및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관리자)가 신속하게 확인하여 해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관리자)로 하여금 원유 냉각기의 세척수 문제를 즉각 적으로 해결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격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온도나 세척 냉각기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고, 집유시 집유량, 집유 후 잔류량, 원격세척 명령시 실수 없는 의사 결정 정확성, 나아가 집유회사는 농가의 원유냉각기의 원유량 냉각기의 냉각온도를 사전에 알 수 있어, 우천시의 집유여부, 긴급 집유여부, 천재지변시 익일 집유, 결정을 할 수 있고, 인력난으로 인한 외국인이나 초보자에 의한 실수의 냉각기 가동여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실수에 의한 농가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원유 처리용 냉각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원유를 발효시키어 처리하는 우유 발효기에도 적용하여 발효기에 투입되는 원유의 무게 변화를 체크함으로써 우유 발효기의 발효 온도 제어 등의 모든 발효 공정을 원격 제어 할 수 있음을 상기 실시 예로부터 충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원유 냉각기에 적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원유 냉각기의 필수 사항들을 누구라도 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유용성을 제공한다.
100 : 원유냉각기
110 : 원유냉각용탱크부
120 : 압력센서
130 : 온도센서
140 :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
150 : 단말기
160 : 데이터 저장서버
170 : 다접속용 허브

Claims (6)

  1. 착유된 원유(原乳)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그리고 원유의 집유후 내부 세척에 제공되는 세척부와 같이 설치된 원유냉각용탱크부;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와 상기 세척부의 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무게 혹은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와 상기 세척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 혹은 세척부의 세척온수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원유냉각용탱크부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 혹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의 무게변화 혹은 온도변화 검출신호에 따라 표시창에는 전일 혹은 익일 착유량, 집유차의 집유량, 집유후 잔류량, 세척수량, 세척수 온도, 및 냉각 온도중 하나 이상의 이상유무의 화면을 숫자, 문자 혹은 이들의 결합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보고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 및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와 인터넷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센서 혹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의 무게변화 혹은 온도변화의 검출신호시 표시창에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MCU)의 화면 표시와 동일 화면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격지에서도 이 화면을 보면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된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무게로부터 가해지게 되는 압력으로 유압이 작동하는 수중 압력센서 혹은 로드셀이고, 상기 압력센서를 복수개의 설치시 다접속용 허브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와 연결되어 유압 변화시 유도되는 전기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 측으로 보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열 전달 극판의 사이에 센서를 위치한 것이고, 상기 세척부(114)의 온수의 중량변화에 대한 압력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부에 의한 상기 세척부의 온수탱크에 급수가 실행되게 제어시 세척부 온수 탱크의 세척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떨어지는 것이 온도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부는 즉각적으로 온수 탱크의 급수를 차단하고 냉각기 원유 탱크에 대한 세척수의 불량임을 콘트롤러 및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원유 저장탱크부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유 저장탱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부 지지구와 하부 지지구로 된 지지용 발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지지구는 상기 원유 저장탱크부의 저부측의 소정위치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부위는 편평부를 이루는 반면 하부는 반원홈부를 이루고, 상기 하부 지지구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부와 이 지지판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입설되어 상기 반원홈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반원홈부의 중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각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tablet)PC 등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혹은 PC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유 냉각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서버는 상기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 됨을 특징으로 하는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KR1020220106755A 2022-08-25 2022-08-25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KR20240028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55A KR20240028698A (ko) 2022-08-25 2022-08-25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55A KR20240028698A (ko) 2022-08-25 2022-08-25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698A true KR20240028698A (ko) 2024-03-05

Family

ID=9029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755A KR20240028698A (ko) 2022-08-25 2022-08-25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69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621A (ko) 2007-12-18 2009-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원유냉각기용 온도 및 교반상황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720865B1 (ko) 2015-06-24 2017-03-28 이미자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KR20210085760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케이.엠 냉음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621A (ko) 2007-12-18 2009-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원유냉각기용 온도 및 교반상황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720865B1 (ko) 2015-06-24 2017-03-28 이미자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KR20210085760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케이.엠 냉음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2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actively and remotely diagnosing an HVAC system
CN206434191U (zh) 一种智能饮水机控制系统及智能饮水机
US20070017448A1 (en) Monitoring of critical dairy farm conditions
US20170335550A1 (en) Interactive Water Monitoring System
KR20190106872A (ko) 자동 채수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6973986B2 (ja) 用水管理システム
CN207600794U (zh) 一种微型水质自动监测留样系统
KR20240028698A (ko) Ict를 기반으로하는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원유 냉각기
CN109442850B (zh) 一种冷却水装置及控制方法
EP0791809A2 (en) Method and equipment in the beverage distribution to the large tanks of the distribution area of a brewery
WO2020046139A1 (en) An improved dairy refrigeration system
JP2011041482A (ja) 乳量計
CN205352771U (zh) 一种便携式水质采样器
KR101563184B1 (ko) 다기능 컨트롤러를 이용한 수질 계측용 이동식 감시제어장치
KR20220124908A (ko) 착탈식 아이오티 기반 스마트 수도미터
KR101720865B1 (ko) 진단기능을 가진 원유 냉각기
CN206610162U (zh) 一种更加安全的泵房控制系统
JP6976356B2 (ja) 状態解析システム及び状態解析装置
WO2009110784A1 (en) Measuring device to be provided in a milk reservoir, measuring arrangement comprising a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a milk reservoir and/or an amount of milk present in the milk reservoir.
CN214896308U (zh) 一种变压器绝缘油漏油监测智能自动告警装置
JP5344434B2 (ja) 流体作業監視装置、パイプラインミルカー、バルククーラー
CN106322913B (zh) 一种制冷设备用电控系统
CN204318439U (zh) 网络化的多功能饮料机
CN210214900U (zh) 一种自动加投水处理药剂的装置
CN208186500U (zh) 一种远程控制中央热水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