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998B1 -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998B1
KR101552998B1 KR1020150024236A KR20150024236A KR101552998B1 KR 101552998 B1 KR101552998 B1 KR 101552998B1 KR 1020150024236 A KR1020150024236 A KR 1020150024236A KR 20150024236 A KR20150024236 A KR 20150024236A KR 101552998 B1 KR101552998 B1 KR 101552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repeater
met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박부태
김정회
Original Assignee
평택시
(주)가암테크
(주)한일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택시, (주)가암테크, (주)한일아이앤씨 filed Critical 평택시
Priority to KR102015002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체(관체)에 유입되는 상수도의 사용량을 측정하고 또한 각 관체에 흐르는 유량의 합과 각 관체의 규격에 맞는 기준유량을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흐르는 관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신호를 데이터화하는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 중계기로부터 명령을 전송받는 제1송수신부와, 상기 관체의 크기에 맞추어 기준 유량을 계산하는 계산부를 포함하는 검침기, 상기 검침기와 중앙제어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저장부와, 상기 제3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관체의 유수 여부를 진단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독부는 상기 검침기의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기준유량과 상기 제3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파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REMOTE METER SMART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원격 무선검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체(관체)에 유입되는 상수도의 사용량을 측정하고 또한 각 관체에 흐르는 유량의 합과 각 관체의 규격에 맞는 기준유량을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도 공급을 위해 관체에 상수도를 흘려보내 각 가정 또는 공장 등 물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 공급하는 형태의 상수도 시스템이 주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검침원이 각 가정(또는 공장 등 물을 필요로 하는 곳)을 돌며 일일이 계량기의 눈금을 확인하는 형태로 상수도의 사용량을 측정하곤 했는데, 현대에 들어 이러한 계량기에 검침기를 도입하여 원격으로 상수도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 상수도 사용량 측정 기술과 관련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특허 제10-0808445호 (2008년02월22일) [전력량계 원격 검침 및 관리 시스템](종래기술1)에는 다양한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공통된 통신규격을 제공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통신을 원활히 하고 전력량계의 데이터를 객체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전력량계 원격 검침 및 관리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 종래기술1의 특징을 살펴보면 통일된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센터에서 원격으로 수요자측의 전력량계를 측정 및 관리하되, 전력량계에 필요한 데이터들 중에 유사한 특성을 지닌 데이터들끼리 각각의 객체로 연결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81695호 (2010년09월06일) [원격검침시스템](종래기술2)이 있는데, 종래기술2는 평상시에는 AC전원으로부터 DC변환된 DC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비상시에는 AC전원에서 DC변환된 DC전원 중 각 구성부에 인가되고 남은 충전된 충전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원격검침용 모뎀을 포함한 원격검침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 및 2에서는 관체의 누수 발생 시 이를 해결하거나 또는 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바, 수시로 계량기 및 검침기(또는 이에 대응하는 구성)를 감시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이를 해결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61200호 (2013년04월29일) [능동형 원격검침시스템](종래기술3)에는 각 계량기별로 매칭 되어 설치되되, 상기 계량기와 설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연결되어 계량기의 하나 이상의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판독하고, 고유의 ID정보가 부여되어 상기 측정데이터 및 ID정보를 포함하는 검침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며, 판독한 측정데이터에 대한 현황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측정부, 상기 각 측정부의 검침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하고, 각 ID정보별로 수신된 검침데이터에 대응되는 요금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계량기(10)의 제조사 및 모델별로 상이한 각 프로토콜 설정데이터가 저장되는 검침서버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전송된 검침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검침서버로 전송하여 중계하는 집중기를 포함하는 능동형 원격검침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특히 종래기술3은 각 측정부별로 매칭 되어 설치되되, 상기 측정부와 신호 연결되어 고장유무를 감지하는 고장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는 상기 고장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고장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검침데이터에 포함시켜 상기 집중기를 통해 검침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고장데이터에 대한 현황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3에서 고장감지부는 전원공급의 중단, 측정값의 이상 판단, 충격감지 등을 수행하는데, 이를 통해서는 관체의 누수 여부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89608호 (2014년04월21일) [무선단말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종래기술4)이 있는데, 이 종래기술4는 적산계량기가 구비된 거주지로 전입 신고한 유효한 거주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거주지의 적산계량기에 대한 검침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카메라를 통한 화상 인식을 개입시켜 상기 적산계량기의 적산표시부를 인식 및 검침함으로써, 원격 검침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중복 검침이나 이중 검침을 차단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4 역시 상기 종래기술1 및 2와 마찬가지로 누수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수단의 구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검침기에 계산부를 구비하여 각 관체에 크기에 맞는 기준 유량을 계산하고, 이를 실제로 계량기로부터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누수 여부를 확인하되, 특히 각 관체에 유입되는 양과 유출되는 양의 합을 비교하여 누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데이터 및 명령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제1중계기와 제2중계기로 나누어 구비하되, 제1중계기는 다수의 계량기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연동되게 하고, 제2중계기는 다수의 제1중계기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연동되게 하되, 특히 제2중계기를 모바일기기로 도입하여 검침원이 보다 편리하게 상수도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검침기는 관체에 계량기로부터 얻는 사용량 정보 외에 실제 유량, 유속, 관체에 가해지는 압력, 관체와 유체의 마찰음 등 다양한 정보를 더 입수하는 센싱부를 구비하여 보다 정확한 누수 형태, 원인, 상황 등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나아가 태양전지를 활용하는 제1중계기의 특성 상 야외에 설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저 전력으로 구동되며, 그 회로가 안정감 있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관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신호를 데이터화하는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 중계기로부터 명령을 전송받는 제1송수신부와, 상기 관체의 크기에 맞추어 기준 유량을 계산하는 계산부를 포함하는 검침기, 상기 검침기와 중앙제어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저장부와, 상기 제3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관체의 유수 여부를 진단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독부는 상기 검침기의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기준유량과 상기 제3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파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계기는 일방으로는 상기 검침기의 제1송수신부로와 통신하고 타방으로는 명령을 전송받는 제2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갖는 제1중계기 및 일방으로는 상기 제1중계기와 통신하고 타방으로는 상기 중앙제어실과 통신하는 제2중계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중계기는 모바일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검침기는 관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유량센서, 압력센서, 음향센서, 자이로센서 중 일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처리부를 통해 데이터화 되어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고, 제1송수신부를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중계기는 상기 계량기로부터 측정된 데이터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부 및 전송하는 전력소모의 최소화를 위한 상기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코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중계기는 상기 조합데이터를 해석하는 디코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실은 상기 암호화된 조합데이터를 해석하는 복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중계기의 제2송수신부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전송이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계기는 상기 데이터들의 직렬 전송 시 사용되지 않는 통신모듈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계기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 구동전원의 전압과 제1중계기의 작동을 위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과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부를 포함하는 전원단속부 및 상기 구동전원의 전압을 상기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앰프와 상기 앰프의 구동여부를 조작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전압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검침기에 계산부를 구비하여 각 관체에 크기에 맞는 기준 유량을 계산하고, 이를 실제로 계량기로부터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누수 여부를 확인하되, 특히 각 관체에 유입되는 양과 유출되는 양의 합을 비교하여 누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및 명령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제1중계기와 제2중계기로 나누어 구비하되, 제1중계기는 다수의 계량기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연동되게 하고, 제2중계기는 다수의 제1중계기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연동되게 하되, 특히 제2중계기를 모바일기기로 도입하여 검침원이 보다 편리하게 상수도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용이성을 제공하고,
아울러 검침기는 관체에 계량기로부터 얻는 사용량 정보 외에 실제 유량, 유속, 관체에 가해지는 압력, 관체와 유체의 마찰음 등 다양한 정보를 더 입수하는 센싱부를 구비하여 보다 정확한 누수 형태, 원인, 상황 등을 진단할 수 있고,
나아가 태양전지를 활용하는 제1중계기의 특성 상 야외에 설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저 전력으로 구동되며, 그 회로가 안정감 있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량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중계기의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저 전력 구동 및 안정화 회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밀폐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상체(관체(P))에 유입되는 상수도의 사용량을 측정하여 그 합을 이용하여 누수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그 위치를 추적하여 탐사를 위한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작업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S)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S)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대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을 통해 검침기(10), 중계기(20) 및 중앙제어실(30)의 구성들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를 통해 본 발명인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S)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S)은 검침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침기(10)는 유체가 흐르는 관체(P)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계량기로부터 나오는 신호는 아날로그인 펄스 신호일 수 있고, 또는 디지털 신호인 데이터일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계량기는 아날로그식이 많기 때문에 펄스 신호임을 가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만약 디지털 데이터 신호라면 후술하는 처리부(12)에 AD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검침기(10)는 감지부(11)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데이터화하는 처리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부(12)는 AC/DC 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처리부(12)를 통해 감지된 신호가 데이터화될 때, 다수의 관체(P) 중 어느 관체(P)의 유량 정보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위치정보 역시 함께 데이터화되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검침기(10)는 처리부(12)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저장부(13)는 일반적인 메모리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하여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하해고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검침기(10)는 제1저장부(13)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중계기(20)로부터 명령을 전송받는 제1송수신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명확하게 제1송수신부(14)는 제1중계기(21)의 제2송수신부(211)와 연결되어 데이터는 전송하고, 명령신호는 전송받는 구성이다.
또한 검침기(10)는 관체(P)의 크기에 맞추어 기준 유량을 계산하는 계산부(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관체(P)마다 그 직경이 다를 수 있고 각 관체(P)의 크기마다 기준 유량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이를 계산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는 하기(下記)할 누수 여부 진단을 위한 필요조건이 된다.
아울러 검침기(10)는 관체(P)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센싱부(16)는 유량센서, 압력센서, 음향센서, 자이로센서 중 일 이상을 포함하는데, 유량센서는 관체(P)에 흐르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고, 압력센서는 관체(P)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유량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하고, 음향센서는 관체(P) 내벽과 유체의 마찰음을 측정하여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자이로센서 역시 유체가 관체(P)에 가하는 충격 방향을 감지하거나 유체가 흐르고 있는 기울기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센싱부(16)에 초음파센서, 빛감지 센서 등을 추가로 적용하여 보다 상세한 관체(P) 내 유체의 상태 정보를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센싱부(16)를 통해 감지된 신호는 처리부(12)를 통해 데이터화 되어 제1저장부(13)에 저장되고, 제1송수신부(14)를 통해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계량기로부터 얻는 정보와, 관체(P)의 위치정보와 더불어 한 블록으로 코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S)은 검침기(10)와 중앙제어실(3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중계기(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계기(20)는 제1중계기(21)와 제2중계기(22)로 이루어지는데, 제1중계기(21)는 다수의 검침기(10)를 한 그룹으로 묶어 이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고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제1중계기(21) 역시 다수 구비되어 다수의 제1중계기(21)를 한 그룹으로 묶어 제2중계기(22)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계기(21)는 일방으로는 상기 검침기(10)의 제1송수신부(14)로와 통신하고 타방으로는 제2중계기(22) 또는 중앙제어실(30)로부터 명령을 전송받는 제2송수신부(211)와 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213)를 갖는다.
또한 제2중계기(22)는 일방으로는 상기 제1중계기(21)와 통신하고 타방으로는 중앙제어실(30)과 통신하는 구성인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2중계기(22)는 모바일기기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제2중계기(22)가 모바일기기인 것은 다양한 기능적 소스를 제공하는데, 먼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본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S)의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레이케이션을 통한 인터페이스의 제작은 기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 보다 훨씬 간단하며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도 4 참조)
또한 제2중계기(22)가 모바일기기인 특징을 통해, 3G 또는 4G 망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데이터 및 명령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이는 새로운 통신망을 개설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이득을 갖는다.
아울러 기존에 기 사용되던 단말을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단말기의 개발을 필요치 않기 때문에 원가 절감의 효과 역시 가질 수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 특히 스마트폰에 탑재된 GPS기능은 각 검침기(10)의 설치 위치를 한눈에 맵핑(Mapping)하여 확인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실시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나아가 모바일기기 특히 스마트폰에 탑재된 다양한 기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고, 이는 범용적 사용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S)은 상기 제1중계기(21) 또는 상기 제2중계기(22)와 연결되어 명령을 전송하고, 데이터를 전송받는 중앙제어실(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앙제어실(30)은 제1중계기(21) 또는 제2중계기(22)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전송받고 명령을 전송하는 제3송수신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중앙제어실(30)은 중계기(2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저장부(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저장부(13)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저장부(213) 및 제3저장부(33) 역시 일반적인 메모리에 지나지 않는다.
아울러 중앙제어실(30)은 제3저장부(33)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관체(P)의 유수 여부를 진단하는 판독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판독부(37)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 중 하나이다.
이러한 판독부(37)는 검침기(10)의 계산부(15)로부터 계산된 기준유량과 3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파트(37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독부(37)의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S)은 추가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계기(21)는 상기 계량기로부터 측정된 데이터 및 상기 센싱부(16)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부(215) 및 전송하는 전력소모의 최소화를 위한 상기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코딩부(217)를 더 포함하고,
제2중계기(22)는 상기 조합데이터를 해석하는 디코딩부(227)를 더 포함하고,
중앙제어실(30)은 상기 암호화된 조합데이터를 해석하는 복호화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계량기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와, 센싱부(16)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 그리고 관체(P)의 위치정보 등과 같은 정보들(이하 종합정보로 통칭, 이 중 불특정 하나를 언급하는 경우 개별정보로 명명한다.)은 암호화부(215)를 통해 암호화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고, 종합정보 또는 각 개별정보들은 중앙제어실(30)에서 복화화부를 통해 해석되어 중앙제어실(30) 이외의 사용자가 쉽게 유출, 도용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 전력을 위해 코딩부(217)를 통해 처리되는 각 개별정보(또는 종합정보)들은 전송하는 전력을 최소화 하는 형태로 변형되는데, 이러한 코딩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에 의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코딩 처리는 제2중계기(22)인 모바일기기에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저 전력 전송은 야외 또는 실내, 즉 관리자가 상시 관리할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된 제1중계기(21)가 과도한 전력을 소모하게 되면 유지 관리에 있어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도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가 상시 관리할 수 있는 제2중계기(22)의 경우에는 이러한 코딩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디코딩부(227)는 제2중계기(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통해 상기한 검침기(10)의 계산부(15) 및 중앙제어실(30)의 판독부(37)의 실시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로1에 구비된 구성을 제1~로, 관로 2 및 관로 3에 구비된 구성을 제2~ 및 제3~ 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서 관로1(P1)은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관체(P)이다.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관로1(P1)에 구비된 제1계량기(m1)로부터 측정되어 제1검침기(10A)에 전송된 유량정보를 100이라고 가정하면, 동일 크기의 관로인 관로2(P2)와 관로3(P3)에 각각 구비된 제2계량기(m2)와 제3계량기(m3)로부터 측정되어 제2검침기(10B)와 제3검침기(10C)에 전송된 유량정보는 각각 50이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여기에서 관로3(P3)의 제3검침기(10C)에 전송된 유량 값이 40이라면, 10만큼 관로3(P3)에서 누수가 일어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관로1 내지 관로3(P1)(P2)(P3) 중 어느 위치에서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독하는 구성이 상기한 판독부(37)이다. 이 후 누수 여부가 발생하면 판독부(37)에서는 보다 정확한 누수 여부의 판단을 위해 중계기(20)를 통해 검침기(10)에 명령 전송 신호를 보내고 검침기(10)는 관체(P)에 해당하는 각 개별정보를 중앙처리실로 전송하며, 판독부(37)는 다시 각 관로에 설치된 검침기(10)의 계산부(15)로부터 전송받은 기준유량과 제3저장부(33)에 저장된(실제로 측정된) 유량을 비교파트(371)를 통해 비교하여 누수 여부를 관리자에게 알린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관리자는 보다 용이하게 누수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시간 및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제1중계기(21)는 반영구적인 사용과 주기적인 관리(상시 관리가 아닌 주기적 관리)를 위해 태양전지를 전원공급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태양전지의 효율이 현재로써는 일반전지만 못하기 때문에 제1중계기(21)는 저 전력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제1중계기(21)의 저 전력 구동'은 각 소자가 작은 전력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소자의 구동에 안정성을 각별히 요하는 바이다.
도 5에는 이러한 '저 전력 구동 및 안정화 회로'에 관한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제1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중계기(21)의 제2송수신부(211)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들(각 개별정보)은 직렬 또는 병렬로 전송이 이루어지되, 전송 전력의 절감을 위해 제1중계기(21)는 상기 데이터들(각 개별정보)의 직렬 전송 시 사용되지 않는 통신모듈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보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중계기(2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통신모듈의 선택은 선택부(40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음보정부(40)는 노이즈가 선택부(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통신모듈1(211a)과 통신모듈2(211b)의 선택을 위한 신호는 직렬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VDD가 구동전압으로 인가된다. 이때 VDD가 가지는 전압레벨은 다이오드(D1)가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압이다. 즉, 구동전압 VDD와 접지전압과 두 저항(R1, R2)에 의해서 노드의 일정한 전압레벨이 유지되고, 그 전압레벨이 선택부(400)의 구동전압보다 다이오드(D1)가 턴 오프를 유지할 만큼 높다면, 다이오드(D1)는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두 저항(R1, R2)은 같은 저항 값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다른 저항 값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통신모듈1(211a)과 통신모듈2(211b) 둘 중 하나가 선택된 직렬 동작 시 잡음보정부(40)의 다이오드가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사용하지 않는 모듈을 위한 통신채널(통신모듈1(211a)이 활성화되는 경우엔 통신모듈2(211b)의 채널, 통신모듈2(211b)가 활성화된 경우엔 통신모듈1(211a)의 채널)을 통해 선택부(400)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경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 하부 영역 좌측 박스 내에는 잡음보정부(40)가 제2송수신부(211)와 선택부(400)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선택부(400)와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이에 병렬로 연결된 두 저항(R1, R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하부 영역 우측 박스 내에는 선택부(400)와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1) 및 이에 병렬로 연결된 두 저항(R1, R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다이오드(D1) 양단에 걸리는 전압(다이오드의 턴 오프를 위한 전압)이 제2송수신부(211)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1중계기(21)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19)(태양전지)로부터 공급받는 구동전원의 전압과 제1중계기(21)의 작동을 위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51)와 과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부(53)를 포함하는 전원단속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속부(50)는 배터리(219)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변압기(220)에 의해 변압된 후, 이 변압기(220)의 출력단자로부터 전송받은 전력에 의해 인가되는 인가전압과 제1중계기(21)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기준 전압과의 정량적인 차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각 구성에 인가되는 미세한 전압의 차이에 의해서도 불량이나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동작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이러한 전원단속부(50)의 구비가 필요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검출부(51)는 전압 분배용으로 병렬 연결된 2개의 분배 저항(R3, R4)과, 이를 통해 분배된 전압과 제1중계기(21)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전류비교기(Com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검출부(53)는 전압 분할용으로 병렬 연결된 4개의 분할 저항(R5, R6, R7, R8)과 캐패시터(C1, C2), 저항(R9) 및 이를 통해 분할된 전압과 제1중계기(21)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부하비교기(Com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비교기(Com1)의 (+)단에는 부하비교기(Com2)의 (+)단이 연결되고, (-)단에는 분배 전압이 입력된다. 아울러 부하비교기(Com2)의 (+)단은 전류비교기(Com1)의 (+), 4개의 분할 저항(R5~R8), 캐패시터(C2), 저항(R10)을 거쳐 분할 전압이 입력되고, (-)단에는 저항(R9)과 캐패시터(C1)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류검출부(51)에서 과전류가 검출되거나 부하검출부(53)에서 과부하가 검출되면 제1중계기(21)의 전압을 인가하는 동작이 차단되거나 인가전압을 낮추는 동작이 수행된다.(이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 중앙처리장치인 CPU 또는 MCU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하기(下記)할 전압조절부(60)에 의해 인가전압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제1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전원의 전압을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앰프(61)와 상기 앰프(61)의 구동여부를 조작하는 구동회로(63)를 포함하는 전압조절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프(61)는 반전 단자(-) 및 비반전 단자(+)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에 따라 일정한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전압조절부(60)는 앰프(61)의 반전 단자 및 비반전 단자 각각에 앰프(61)(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기준전압회로(6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구동회로(63)는 제1중계기(21)의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 시(전원이 인가될 시)에 앰프(61)를 동작(Wake-up)시킨다.
그밖에도 전압조절부(60)는 인가전압(VDD)을 이용하여 앰프(61)의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출력하는 PMOS 트랜지스터들(PM1,PM2)과, PMOS 트랜지스터들(PM1,PM2)에 전원전압(VDD)을 공급하는 PMOS트랜지스터(PM3)를 더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MOS 트랜지스터(PM3)는 반전된 파워다운 신호(pwdb)에 따라 PMOS 트랜지스터들(PM1,PM2)에 인가전압(VDD)을 공급한다. 상기에서 pwdb는 파워다운(pwd) 신호에 반전된 신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pwd가 하이(high)일 때는 pwdb는 로우(low)이고, pwd가 로우(low)일 때는 pwdb가 하이(high)로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구동회로(63)는 앰프(61)의 출력 전압에 따라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저항들(R11, R12)에 일정 기준 전류를 공급하여 분할된 밴드 갭 출력 전압을 생성시키는 PMOS 트랜지스터(PM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저항들(R11, R12)은 동일한 저항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NMOS 트랜지스터(NM5)의 드레인 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PM5)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며, 휴면모드 시(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밴드갭 출력 전압이 0볼트가 되게 한다. 그로써 전체적인 회로의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NMOS 트랜지스터(NM6)는 파워다운 신호(pwd) 입력에 따라 동작하며 소스 단자는 기저전압(GND)에 접속된다.
또한 구동회로(63)가 휴면모드(오프 상태)에서 동작모드(온 상태)로 또는 동작모드에서 휴면모드로 전환할 시에, 구동회로(63)는 앰프(61)의 입출력에 요구되는 안정된 동작점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안정된 동작점을 갖도록 하기 위해 구동회로(63)는 상기한 PMOS 트랜지스터(PM3)와 함께 PMOS 트랜지스터(PM4)와 4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NM1,NM2,NM3,NM4)을 구비한다.
한편, 구동회로(63)가 휴면모드일 때, NMOS 트랜지스터들(NM2,NM4)은 반전된 파워다운 신호(pwdb)에 의해 턴 오프 되고, NMOS 트랜지스터(NM3)는 휴면모드에 따른 0볼트[V]의 밴드 갭 출력 전압에 의해 턴 오프 된다. 그리하여, 휴면모드에서는 기준전압 발생회로의 전체 전류 소모가 0㎂가 된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PM3)는 구동회로(63)의 휴면모드 시에 턴 온(turn on)되며, PMOS 트랜지스터(PM3)가 턴 온 됨에 따라 앰프(61)의 출력이 전원전압(VDD)으로 충전되어 PMOS 트랜지스터들(PM1,PM2)을 턴 오프 시킨다.
한편, 제1중계기(21)는 반영구적인 사용과 주기적인 관리(상시 관리가 아닌 주기적 관리)를 위해 태양전지를 전원공급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충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제1중계기(21)는 야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우천, 낙설 등의 날씨 환경 및 공기 중의 습기 등에 의해 내부가 침습되는 문제를 방지해야 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다.
도 6에는 이러한 방수를 위한 밀폐수단(70)과 관련한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통해 제2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중계기(21)는 외부를 감싸고 상호 결합되는 제1커버(1) 및 제2커버(2)로 이루어진 하우징(H)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밀폐수단(70)은 제1커버(1)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결합돌기(71), 제2커버(2)의 결합부위에 형성되고 결합돌기(71)가 수용되는 결합홈(73), 결합돌기(71) 및 결합홈(73) 사이에 배열되고 내부에 팽창부재(750)를 갖는 밀폐부재(75) 및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팽창부재(750)를 팽창시키는 발열부재(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은 상호 결합되는 제1커버(1) 및 제2커버(2)로 이루어지고, 제1커버(1)에는 결합부위에 결합돌기(71)가 형성되어 있고, 제2커버(2)에는 결합부위에 결합홈(73)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돌기(71)가 결합홈(73)에 삽입된 채로 제1커버(1)와 제2커버(2)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돌기(71)는 제1 및 제2결합돌기(712)로 구성되는데, 제1결합돌기(711)는 제2결합돌기(712)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하기(下記)할 밀폐부재(75)와 관련한 특성으로 아래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수단(70)은 결합돌기(71) 및 결합홈(73) 사이에 배열되고, 내부에 팽창부재(750)를 갖는 밀폐부재(7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팽창부재(750)는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물질로, 고체 또는 겔(Gel)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열부재(77)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면 부피가 팽창하여 결합홈(73) 내부를 밀폐시키고, 이 후 전원공급이 끝나 온도가 하강하면 부피가 축소되어 결합홈(73)의 밀폐를 해제한다.(도 5 원 영역 내 참조)
한편, '제1결합돌기(711)가 제2결합돌기(712)보다 짧은 특성' 및 '밀폐수단(70)의 내부에 팽창부재(750)가 구비된 특성'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 중 하나인데, 이러한 특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일반 상태에서 팽창부재(750)는 수축해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결합홈(73) 내측에 빈 공간이 많아지게 된다.
이때는 결합홈(73)과 결합돌기(71)의 결합 및 결합해제가 쉽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쉽게 제1커버(1)와 제2커버(2)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결합홈(73) 내측에 구비된 발열부재(77)에서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은 팽창부재(750)를 가열하게 된다.
발열부재(77)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된 팽창부재(750)의 부피는 팽창하고, 밀폐부재(75)는 결합홈(73) 내측 공간을 가득 채워 결합홈(73) 내부를 완전 밀폐시킨다. (도 6 참조)
이 때, '제1결합돌기(711)가 제2결합돌기(712)보다 짧은 특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기인하는데, 제1결합돌기(711)가 제2결합돌기(712)에 비해 짧기 때문에, 결합홈(73) 내측 공간 중 제1결합돌기(711)가 구비된 쪽은 제2결합돌기(712)가 구비된 쪽에 비해 더 적은 압박을 받게 되고, 이를 통해 밀폐가 이루어진 가열상태에서도 제1커버(1)와 제2커버(2)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전원이 공급되는 도중에 하우징(H)의 분리가 불가능하다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하우징(H)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 인가되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어느 정도 냉각될 때까지 기다려야하기 때문에, 특히 계량기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전원공급의 차단은 잘못된 측정 값을 야기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결합돌기(711)가 제2결합돌기(712)보다 짧은 특성'을 통해 사용 중 하우징(H)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너무나도 중요한 문제이다.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팽창부재(750)와 관련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P: 관체
10: 검침기 11: 감지부
12: 처리부 13: 제1저장부
14: 제1송수신부 15: 계산부
16: 센싱부
20: 중계기 21: 제1중계기
211: 제1송수신부 213: 제1저장부
215: 암호화부 217: 코딩부
219: 배터리 22: 제2중계기
227: 디코딩부
30: 중앙제어실 31: 제3송수신부
33: 제3저장부 35: 복호화부
37: 판독부 371: 비교파트
40: 잡음보정부 50: 전원단속부
60: 전압조절부 70: 밀폐수단

Claims (4)

  1. 유체가 흐르는 관체(P)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11), 상기 신호를 데이터화하는 처리부(12),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13),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 중계기(20)로부터 명령을 전송받는 제1송수신부(14) 및 상기 관체(P)의 크기에 맞추어 기준 유량을 계산하는 계산부(15)를 포함하는 검침기(10);
    상기 검침기(10)와 중앙제어실(3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중계기(20); 및
    상기 중계기(2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저장부(33) 및 상기 제3저장부(33)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관체(P)의 유수 여부를 진단하는 판독부(37)를 포함하는 중앙제어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독부(37)는 상기 검침기(10)의 계산부(15)로부터 계산된 기준유량과 상기 제3저장부(33)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파트(37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20)는 일방으로는 상기 검침기(10)의 제1송수신부(14)와 통신하고 타방으로는 명령을 전송받는 제2송수신부(211)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213)를 갖는 제1중계기(21) 및 일방으로는 상기 제1중계기(21)와 통신하고 타방으로는 상기 중앙제어실(30)과 통신하고 모바일기기로 이루어진 제2중계기(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계기(21)는 외부를 감싸고 상호 결합되는 제1커버(1) 및 제2커버(2)로 이루어진 하우징(H) 및, 상기 제1커버(1)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결합돌기(71), 상기 제2커버(2)의 결합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71)가 수용되는 결합홈(73), 상기 결합돌기(71) 및 결합홈(73) 사이에 배열되고 내부에 팽창부재(750)를 갖는 밀폐부재(75) 및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팽창부재(750)를 팽창시키는 발열부재(77)를 포함하는 밀폐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돌기(71)는 제1결합돌기(711)와 이 제1결합돌기(711)보다 길이가 긴 제2결합돌기(7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기(10)는 관체(P)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16)는 유량센서, 압력센서, 음향센서, 자이로센서 중 일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16)를 통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처리부(12)를 통해 데이터화 되어 상기 제1저장부(13)에 저장되고, 제1송수신부(14)를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중계기(21)는 상기 계량기로부터 측정된 데이터 및 상기 센싱부(16)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의 조합(조합데이터)을 암호화 하는 암호화부(215) 및 전송하는 전력소모의 최소화를 위한 상기 조합데이터를 처리하는 코딩부(2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중계기(22)는 상기 조합데이터를 해석하는 디코딩부(22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실(30)은 상기 암호화된 조합데이터를 해석하는 복호화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21)의 제2송수신부(211)는 복수의 통신모듈(211a)(211b)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전송이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계기(21)는 상기 데이터들의 직렬 전송 시 사용되지 않는 통신모듈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보정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계기(21)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19)로부터 공급받는 구동전원의 전압과 제1중계기(21)의 작동을 위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51)와 과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부(53)를 포함하는 전원단속부(50) 및
    상기 구동전원의 전압을 상기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앰프(61)와 상기 앰프의 구동여부를 조작하는 구동회로(63)를 포함하는 전압조절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KR1020150024236A 2015-02-17 2015-02-17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KR101552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236A KR101552998B1 (ko) 2015-02-17 2015-02-17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236A KR101552998B1 (ko) 2015-02-17 2015-02-17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998B1 true KR101552998B1 (ko) 2015-09-16

Family

ID=5424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236A KR101552998B1 (ko) 2015-02-17 2015-02-17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99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96B1 (ko) * 2016-02-29 2016-09-12 (주)효성파워택 스마트 유량 관제 시스템
KR101764127B1 (ko) 2016-04-07 2017-08-14 채서령 스마트 누수 검침 화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80125856A (ko) * 2017-05-16 2018-11-26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원격 누수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누수탐지 방법
KR102270449B1 (ko) * 2021-01-26 2021-06-29 주식회사 세주아이씨티 도시가스 원격 검침 및 감지 시스템
KR102308540B1 (ko) * 2021-02-24 2021-10-06 (주)엔티모아 수도 원격 자동 검침 시스템
KR102336373B1 (ko) 2021-05-11 2021-12-08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원격검침 단말기
KR102355010B1 (ko) 2021-08-05 2022-01-24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보안 기능을 구비한 원격검침 단말기
KR102392566B1 (ko) 2021-12-01 2022-04-29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원격검침 단말기
KR102403913B1 (ko) 2021-11-23 2022-06-02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 단말기
KR20220085308A (ko) 2020-12-15 2022-06-22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피측정자의 개인정보와 체온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체온계
KR20240027980A (ko) 2022-08-24 2024-03-05 에스알(주)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96B1 (ko) * 2016-02-29 2016-09-12 (주)효성파워택 스마트 유량 관제 시스템
KR101764127B1 (ko) 2016-04-07 2017-08-14 채서령 스마트 누수 검침 화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80125856A (ko) * 2017-05-16 2018-11-26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원격 누수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누수탐지 방법
KR101972650B1 (ko) * 2017-05-16 2019-04-26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원격 누수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누수탐지 방법
KR20220085308A (ko) 2020-12-15 2022-06-22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피측정자의 개인정보와 체온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체온계
KR102270449B1 (ko) * 2021-01-26 2021-06-29 주식회사 세주아이씨티 도시가스 원격 검침 및 감지 시스템
KR102308540B1 (ko) * 2021-02-24 2021-10-06 (주)엔티모아 수도 원격 자동 검침 시스템
KR102336373B1 (ko) 2021-05-11 2021-12-08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원격검침 단말기
KR102355010B1 (ko) 2021-08-05 2022-01-24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보안 기능을 구비한 원격검침 단말기
KR102403913B1 (ko) 2021-11-23 2022-06-02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 단말기
KR102392566B1 (ko) 2021-12-01 2022-04-29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원격검침 단말기
KR20240027980A (ko) 2022-08-24 2024-03-05 에스알(주)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998B1 (ko)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JP4792851B2 (ja) フィールド機器
US10676901B2 (en) Interactive water monitoring system
US93384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utility meter reading
JP2021513182A (ja) 無線水制御システム
JP7021976B2 (ja) 水環境センシング装置
CN105156906A (zh) 一种天然气智能远程监测管理系统
KR20190026305A (ko) 홈 오토 원격 검침 월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홈 오토 원격 검침 및 첨단 계량 인프라 시스템
KR101134514B1 (ko) 온도센서 이상 진단기능을 구비한 적산열량계 및 이상 진단방법
KR20170127923A (ko) IoT 기반 가스 누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27557A (ko) 데이타가 저장되는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원격검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2650B1 (ko) 원격 누수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누수탐지 방법
WO2019176626A1 (ja) ガス遮断装置およびガス遮断装置用無線装置
RU105780U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объектами на расстоянии
KR200171149Y1 (ko) 안전기능이 부가된 무선원격 검침장치
KR100971845B1 (ko) 기초생활정보 통합정보 관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60015059A (ko)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192745B1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90085923A (ko)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누출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2752A (ko) 전력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가스 계량기의 원격검침 및 전력공급 장치와 그 방법
WO2018128538A1 (en) Fluid meter with supplementary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110026208A (ko) 연산 기능을 통합한 통합원격검침시스템
JP2005326330A (ja) 送・配水管の自動流量測定装置及び自動流量測定方法
KR100375966B1 (ko) 적산 계량기의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294764Y1 (ko) 자기진단형 디지탈전력량계 개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