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593B1 - 정보처리단말 및 그 제어 방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단말 및 그 제어 방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593B1
KR101719593B1 KR1020140115186A KR20140115186A KR101719593B1 KR 101719593 B1 KR101719593 B1 KR 101719593B1 KR 1020140115186 A KR1020140115186 A KR 1020140115186A KR 20140115186 A KR20140115186 A KR 20140115186A KR 101719593 B1 KR101719593 B1 KR 101719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formation
service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985A (ko
Inventor
토시아키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7Remote procedure calls [RPC]; Web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0
    • G06F2209/5015Service provider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단말은,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한 상기 기능 정보의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등록부;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제공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단말 및 그 제어 방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정보처리단말 및 그 제어 방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Web Intents(웹 인텐츠)등의 구조를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웹 사이트간에 처리를 위양할 경우, 기능을 호출하는 측은, 기능을 제공하는 측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나, REST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을 호출하는 방법을 알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다른 웹 사이트와의 연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능의 호출측은, 호출 규약에 따라 호출측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기능을 호출하는 측이 그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능을 제공하는 측에의 인증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기능을 호출하는 측은, 기능을 제공하는 측의 인증정보를 유지하고, 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등의 인증 기반을 이용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인증 정보를 가지면, 그 인증 정보를 정확하게 적절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SAML등의 인증 기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능의 제공자와 이용자간에 사전에 합의하는 것이 필요하여서, 그 기능의 이용자에게 부담이 되었다.
전용의 API를 사용하지 않고 임의의 웹 서비스(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와 연계하는 구조도 존재한다. 일례로서, 실행시 지연 바인딩(binding)에 의해 서비스의 이용자와 제공자간의 연계를 이들을 소결합(loosely coupling)하여서 실현하는 Web Intents(웹 인텐츠)라고 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기술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123607호는, PC등의 정보처리장치에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인스톨할 때에 생성된, 디바이스 스테이지의 상세 페이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디바이스가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각 서비스에 대응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마다, 주변기기의 관리기능인 디바이스 스테이지의 상세 페이지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를 피하기 위해서, 드라이버 인스톨시에, 디바이스 상세 페이지들은 하나의 페이지에 통합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123607호는, 서비스마다 상세 페이지를 준비하고, 필요에 따라, 상세 페이지들을 하나의 페이지로 통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Web Intents등의 어떠한 새로운 연계의 구조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웹 서비스가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이 상세화된 경우에도,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비스간의 연계를 유연하고 확실하게 실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가 상세화됨에 따라 관리된 웹 서비스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웹 서비스를 용이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서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단말로서,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한 상기 기능 정보의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등록부;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제공부를 구비한, 정보처리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단말이 포함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처리단말은,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제공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한 상기 기능 정보의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등록부;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제공부를 구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한 상기 기능 정보의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정보처리단말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단말이 포함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처리단말에서,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제공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한 상기 기능 정보의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한 상기 기능 정보의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등록부;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제공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Web Intents등의 연계의 구조에 있어서, 유저빌리티(usa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요도;
도 2는 정보처리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 3b는 Web Intents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
도 4는 Web Intents의 기능 등록용의 intent태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Web Intents기동용의 ECMAScrip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6b 및 6c는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7a, 7b, 7c 및 7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구성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능 등록 처리의 시퀀스 도;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intent태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공 기능 등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 1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능 실행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ECMAScrip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공 기능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intent태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a, 15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구성의 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능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intent태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ECMAScrip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a, 19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구성의 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능 등록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 2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능 실행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 2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제공 기능 등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는, 전용의 API를 사용하지 않고 임의의 웹 서비스(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와 연계하는 구조의 일례인 Web Intents를 실현하기 위한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Web Intents서비스(이하, 서비스라고 함)(103)는, Intents기술을 이용해서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한다. Web Intents클라이언트(이하, 클라이언트라 함)(101)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UA(User Agent)(106)는, 클라이언트(101)로부터의 요구를 서비스(103)에 건네주고, 서비스로부터의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건네주는 역할을 한다. 이 역할에 의해, UA(106)는, 클라이언트(101)와 서비스(103)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중계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UA(106)에는,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인 Web Intents가 등록된다.
본 구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101)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서비스(103)를 호출하는 버튼등을 배치하고 있는 웹 사이트다. UA(106)는, 웹 사이트를 표시하는 웹 브라우저다. 서비스(103)는, UA(106)를 거쳐서 클라이언트(101)가 관리하는 데이터를 접수해서 처리하는 클라이언트(101)의 연계처의 웹 사이트다. 예를 들면, 본 구조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적용했을 경우, 서비스(103)는 클라이언트(101)에서 관리하는 사진이나 코멘트의 투고를 접수해서 열람 사이트를 구성하는 투고처 서비스가 된다. 서비스(103)가 기능을 제공하는데 유저 인증이나 유저 조작이 필요할 경우, UA(106)상에서 유저가 조작을 행한다.
이때, UA(106)는, (후술하는) 서비스와 연계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면, 브라우저이외에도, 정보처리단말에서 동작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나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처리단말의 예들로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렛 디바이스, 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가 있다.
서비스(103)에 대해서는, 상기 투고처 서비스와 같은, 인터넷상의 서비스 제공자이외에도, 정보처리단말에 내장된 카메라, 화상형성장치, 또는 스캐너등의 디바이스도 서비스 제공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103)에 대해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화상형성장치, 스캐너, 또는 네트워크 카메라등의 주변기기나, 냉장고나 텔레비전 등의 가전제품이 제공하는 웹 서비스도, 서비스 제공자가 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1), UA(106) 및 서비스(103)의 임의의 조합은, 동일 시스템내에서 동작하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웹 브라우저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문서 편집 어플리케이션등은, 클라이언트(101)와 UA(10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동작하여도 된다.
[기본 시퀀스]
도 3a, 3b는, Web Intents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에 관한 기본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다. 본 시퀀스 도는, 단계 S301로부터 단계 S307까지의 서비스 제공 기능 등록 처리와, 단계 S308로부터 단계 S322까지의 서비스 제공 기능 실행 처리로 구성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시퀀스 도에 있어서 파선 화살표는, 처리 주체간의 데이터의 흐름(송수신)을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 기능 등록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 S301에서, UA(106)는 유저의 조작에 근거해 서비스(103)에 액세스한다. 단계 S302에서, 서비스(103)는, 자신이 제공하는 기능을 UA(106)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용 마크업을 포함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응답을 작성한다. 단계 S303에서, 서비스(103)는, 그 작성한 HTML응답을 UA(106)에 회신한다.
도 4에 나타낸 예를 참조하여 서비스(103)로부터 UA(106)에 회신된 HTML문서의 내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intent태그에는 제공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action 속성은, 제공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type 속성은 제공 기능이 처리 가능한 데이터등의 종류를 나타낸다. href 속성은 제공 기능의 접속처(URL: Uniform Resource Locator)를 나타내고, title 속성은 제공 기능의 타이틀을 나타낸다. 또한, disposition속성은, 호출된 제공 기능이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나타낸다. intent 태그에 있어서의 각 속성 및 그 값은, 예를 들면 Web Intents에 일반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action속성에 있어서는, "edit", "share", "pick", "view", "subscribe", 및 "save"등의 값이 규정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 제공 기능의 카테고리가 "share(공유)"이며, 처리 가능한 데이터등의 종류가 "image/*(모든 포맷(*)의 화상 데이터)"이며, 접속처는 "share.html"이다. 또한, 타이틀은 "Share image using e-mail"이며, 이 기능이 UA(106)를 거쳐 또 다른 윈도우에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UA(106)는, 단계 S304에서 서비스(103)로부터 HTML응답을 수신하면, 단계 S305에서, 유저에 대하여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을 UA(106)에 등록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UA(1O6)가 웹 브라우저이면, 팝업 윈도우를 표시시켜 유저에게 선택을 재촉한다. 유저가 이 제공 기능을 Web Intent로서 등록하는 것을 선택하면(단계 S306에서 YES), 단계 S307에서, UA(106)는, 단계 S304에서 수신한 정보를 내부의 기억부 등에 기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공 기능에 관한 정보가, UA(106)가 동작하는 정보처리단말의 기억영역에 기억되고, UA(106)에 Web Intent로서 등록된다.
다음에, 서비스 제공 기능 실행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 S308에서, UA(106)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클라이언트(101)에 액세스한다. 단계 S309에서, 클라이언트(101)는,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Web Intent)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정보가 기재된 HTML문서를 작성한다. 단계 S310에서, 클라이언트(101)는, 그 작성한 HTML문서를 UA(106)에 회신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101)로서의 웹 사이트에서, 화상과 "공유"버튼이 표시될 경우에, 상기 웹 사이트는 도 5에 나타낸 ECMAScript를 포함하는 HTML문서를 UA(106)에 되돌려 놓는다.
도 5에 나타낸 예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101)로부터 UA(106)에 회신되는 HTML응답의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ECMAScript는 회신된 HTML문서에 포함되고, HTML문서내의 ID "share-photo"에 대응하는 버튼(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이 클릭되었을 경우에, 지정된 무명함수(function ())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무명함수는, 신규의 Intent object를 작성하고, 이 작성된 Intent object를 인수로 해서 startActivity()함수를 호출한다. 이 함수를 실행하면, UA(106)는 지정된 Intent object의 action과 type 속성이 일치하는, 자신에 등록되어 있는 그들의 Web Intents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Web Intents의 일람을 표시시킴으로써, 유저에게 선택을 요구한다. 상기 무명함수내에서 호출된 getImageFrom()함수를 실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101)가 보유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단계 S311에서, UA(106)는, 클라이언트(101)로부터 HTML문서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단계 S312에서, UA(106)는, 유저에 의해 표시 화면상의 "공유"버튼이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 Web Intents기동용의 ECMAScript를 실행하고, 클라이언트(101)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 취득 요구를 발행한다.
단계 S312에서 발행한 화상 데이터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단계 S313에서, 클라이언트(101)는, 화상 데이터를 준비한다. 단계 S314에서, 클라이언트(101)는, UA(106)에 그 준비된 화상 데이터를 회신한다.
UA(106)는, 클라이언트(101)가 보유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UA(106)는, 단계 S312에서의 "공유"버튼의 가압에 의해, 자신에 등록되어 있는 Web Intents의 일람을 표시한다(단계 S315에서 YES, 단계 S316). 이때, Web Intents의 일람에 제공 기능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단계 S315에서 NO), 단계 S321의 처리로 진행되고, UA(106)는, 처리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클라이언트(101)에 회신한다.
Web Intents의 일람으로부터 유저에 의한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을 나타내는 Web Intent의 선택을 검출하면, 단계 S317에서, UA(106)는, 그 선택된 서비스(103)에 HTTP요구를 송신한다. 이때, UA(106)는, 송신 데이터에, 도 5의 ECMAScript가 작성한 Intent object의 내용을 포함시킨다.
단계 S318에서, 서비스(103)는, HTTP요구로부터 Intent object를 추출하고, UA(106)를 거쳐서 유저와 상호작용하면서, 상기 선택된 제공 기능(본 예시에서는, 클라이언트(101)의 화상 데이터의 "공유")의 이용을 실현한다.
서비스(103)는, 단계 S318의 처리가 종료하면, 단계 S319에서, 처리 결과를 클라이언트(101)에 통지하기 위한 ECMAScript를 포함하는 응답을 회신한다. 단계 S320에서, UA(106)는 서비스(103)로부터의 응답중에 포함되는 ECMAScript를 실행하고, 단계 S311의 startActivity()함수의 인수로 지정된 콜백(callback)함수 onSuccess()을 호출한다. 단계 S321에서, UA(106)는 콜백 함수 onSuccess()에 의해 클라이언트(101)에 처리 결과를 되돌린다. 최후에, 단계 S322에서, 클라이언트(101)는, UA(106)로부터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도 3a, 3b에 나타낸 시퀀스를 참조하여 Web메일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웹 브라우저(UA)를 사용하여서, 사진 데이터를 관리하는 웹 스토리지(클라이언트(101))의 Web Intents의 호출 버튼이 준비된 사이트를 방문한다. 유저에 의해서 해당 버튼이 눌려지면, 웹 브라우저(UA)는, 등록된 서비스의 일람을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표시한다. 유저가 Web메일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 사이트가 또 다른 윈도우에 표시되어, 처리 결과로서 그 윈도우상에는 사진 데이터를 첨부한 신규 메일이 작성되어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클라이언트(101)는, UA(106)를 거쳐서, 서비스(103)가 제공하는 Web Intents의 기능(본 예에서는, 화상의 "공유")을 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b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Web Intents의 구조를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정보처리단말(102)상에서는, Web Intents의 유저 에이전트(UA)로서 기능하는 웹 브라우저가 동작한다. 또한, 서버104상에서는, Web Intents의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고, 서버105상에서는, Web Intents의 서비스가 동작한다. 정보처리단말(102)과 서버(104, 105)는, 네트워크(107)를 거쳐서 서로 통신 가능하다. 네트워크(107)로서는, LAN, 인터넷이나 그 조합이 상정된다. 접속 형태는, 유선 접속이나 무선 접속이어도 된다.
[하드웨어 구성]
도 2는, UA(106)로서 기능하는 프로그램(웹 브라우저나 OS등)이 실행되는 정보처리단말의 하드웨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또한, 클라이언트(101) 및 서비스(103)로서 기능하는 프로그램(웹 사이트등)이 동작하는 서버도, 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처리단말은, CPU(202), RAM(203), ROM(204), 및 외부기억장치(209)를 구비한다. CPU(202)는, ROM(204)과 외부기억장치(209)에 기억된 프로그램, 또는 LAN등의 네트워크(107)로부터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시스템 버스(211)에 접속된 각 디바이스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RAM(203)은, CPU(202)의 주 메모리, 워크 메모리 등으로서 기능한다. 외부기억장치(209)는, 하드 디스크(HD)와 플로피(등록상표)디스크(FD)를 포함한다. 외부기억장치(209)는, 부트 프로그램, OS, 인증 서버 및 인증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각종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유저 파일 등을 기억한다.
상기 정보처리단말에 있어서, 키보드 콘트롤러(KBDC)(206)는, 키보드(KBD)(205)나 포인팅 디바이스(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CPU(202)에 보낸다. 비디오 콘트롤러(VC)(208)는, CRT, LCD등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207)의 표시를 제어한다. 디스크 콘트롤러(DKC)(210)는, 외부기억장치(209)에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통신 콘트롤러(COMM I/F)(212) 및 각 처리부는, 서버(104)의 외부기억장치(209)에 보존된 파일로서 존재한다. 이들의 파일 각각은, 실행시에 OS나 그 처리부를 이용하는 또 다른 처리부에 의해 RAM(203)에 로드(load)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소프트웨어 구성]
클라이언트(101)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와 문서 데이터의 보관등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클라이언트(101)는, HTTP리퀘스트에 응답해서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도 6a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101)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101)는, Intent 처리 요구 작성부(602), 프리젠테이션부(603), 상세 액션 작성부(604), 및 데이터 관리부(605)를 구비한다.
Intent 처리 요구 작성부(602)는, Intent의 처리 요구인 ECMAScript를 작성한다. 프리젠테이션부(603)는, 통신부(601)를 거쳐서 수신한 페이지 취득 요구등에 응답하여, HTML문서를 작성한다. 상세 액션 작성부(604)는, 클라이언트(101)가 Web Intents 서비스에의 처리 요구를 작성할 때에, 액션을 상세하게 지정한다.
데이터 프리젠테이션부(60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관리부(605)는 클라이언트 데이터 격납부(606)로부터 화상등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격납한다. 클라이언트 데이터 격납부(606)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또 다른 처리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를 격납하고 판독한다. 통신부(601)는, 외부기기로부터의 HTTP리퀘스트 메시지를 수신해서, 프리젠테이션부(603)에 리퀘스트의 내용을 통지한다. 통신부(601)는, 프리젠테이션부(603)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해서, HTTP의 리스폰스 메시지를 외부기기에 송신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데이터 격납부(606)는, 서버(104)와는 다른 기기상에 존재하여도 된다.
도 6b는, 서버(105)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105)에 있어서, 서비스(103) 및 각 처리부는 서버(105)의 외부기억장치(209)에 보존된 파일로서 존재한다. 이들의 파일 각각은, 실행시에 OS나 그 처리부를 이용하는 또 다른 처리부에 의해 RAM(203)에 로드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서비스(103)는, 화상 데이터와 문서 데이터의 보관 기능과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서버(105)는, Intents기술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Web Intents서비스의 기능을 가진다. 서비스(103)는, HTTP리퀘스트에 응답해서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서비스(103)는, Intent처리부(632), 프리젠테이션부(633), intent태그 작성부(634), 및 데이터 관리부(635)를 구비한다.
Intent처리부(632)는, Intent object를 해석하고 처리한다. 프리젠테이션부(633)는, 통신부(631)를 거쳐서 받은 페이지 취득 요구등에 따라, HTML문서를 작성한다. intent태그 작성부(634)는, 서비스 데이터 격납부(636)에 격납되어 있는 제공 기능의 정보를 UA에 통지하기 위한 intent태그를 작성한다. 데이터 관리부(635)는, 다른 처리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데이터 격납부(636)로부터 화상등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서비스 데이터 격납부(636)에 화상등의 데이터를 격납한다. 서비스 데이터 격납부(636)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intent태그 작성부(634)나 데이터 관리부(635)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의 판독과 격납을 행한다. 통신부(631)는, 외부기기로부터의 HTTP리퀘스트 메시지를 수신해, 프리젠테이션부(633)에 그 리퀘스트의 내용을 통지한다. 또한, 통신부(631)는, 프리젠테이션부(633)로부터의 요구를 받아서, HTTP의 리스폰스 메시지를 외부기기에 송신한다. 이때, 서비스 데이터 격납부(636)는 서버(105)와는 다른 기기상에 존재하여도 된다.
도 6c는, 정보처리단말(102)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처리단말(102)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로 대표되는 UA(106) 및 각 처리부는, 정보처리단말(102)의 외부기억장치(209)에 보존된 파일로서 존재한다. 이것들의 파일 각각은, 실행시에 OS나 그 처리부를 이용하는 다른 처리부에 의해 RAM(203)에 로드되어 실행된 프로그램 모듈이다.
UA(106)는, 표시부(652), 해석부(653), 및 제공 기능 관리부(654)를 구비한다. 표시부(652)는, HTML문서를 렌더링 한다. 또한, 표시부(652)는, 다른 처리부의 요구에 따라, 제공 기능의 선택을 접수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해석부(653)는, HTML문서를 해석한다. 또한, 해석부(653)는, Intent처리 요구인 ECMAScript도 해석한다.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후술하는) 제공 기능 격납부(655)로부터 등록된 제공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고, 제공 기능 격납부(655)에 등록된 제공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를 격납한다.
제공 기능 격납부(655)는,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을 포함하는 Web Intents 서비스의 일람을 관리하고, 제공 기능 관리부(654)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의 격납과 판독을 행한다. 통신부(651)는, 다른 처리부로부터의 요구를 받아서, HTTP의 리퀘스트 메시지를 외부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651)는, 외부기기로부터의 HTTP리스폰스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석부(653)에 그 리스폰스의 내용을 통지한다. 이때, 제공 기능 격납부(655)는, 정보처리단말(102)과는 다른 기기상에 존재하여도 된다.
[관리 테이블]
도 7a는, 서버(104)의 클라이언트 데이터 격납부(606)가 관리하는 테이블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이때, 도 7a에 나타낸 테이블 구성은 일례이며, 도 7a에 나타낸 구성과는 다른 테이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데이터 관리 테이블(701)은, 클라이언트(101)가 처리한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데이터 관리 테이블(701)이 관리하는 정보는, "ID" 및 "파일"이다. "ID" 정보는, 클라이언트(101)내에서 각종 데이터를 독특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내고, "파일" 정보는 각종 데이터의 각각의 파일명을 나타낸다. 즉, 데이터 관리 테이블(701)의 예에서는, "imageOOl.jpg"과 "docOO2.pdf"의 2개의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고 있다.
도 7b는, 서버(105)의 서비스 데이터 격납부(636)가 관리하는 테이블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이때, 도 7b에 나타낸 테이블 구성은 일례이며, 본 예와는 다른 테이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서비스 데이터 격납부(636)는, 기능 관리 테이블(702)과 데이터 관리 테이블(703)을 관리한다. 기능 관리 테이블(702)은,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기능 관리 테이블(702)에는, 미리,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상정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103)가 서버(105)에 인스톨될 때에, 서비스(103)가 제공 기능의 정보를 기능 관리 테이블(702)에 등록하여도 된다. 또한, 서비스(103)의 버전이 업그레이드될 때에, 기능 관리 테이블(702)이 갱신되어도 된다.
기능 관리 테이블(702)에서 관리하는 정보는, "ID", "action", "type", "href", "title", 및 "disposition"이다. 이들 정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intent태그가 나타낸 정보와 거의 같다. "ID" 정보는, 서비스(103)내에서 제공 기능을 독특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action " 정보는 제공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type" 정보는 제공 기능이 처리 가능한 데이터등의 종류를 나타낸다. "href" 정보는, 제공 기능의 접속처(URL)를 나타내고, "title" 정보는 제공 기능의 타이틀을 나타낸다. "dis position" 정보는, 호출된 제공 기능이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나타낸다.
데이터 관리 테이블(703)은, 서비스(103)가 처리하는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데이터 관리 테이블(703)이 관리하는 정보는, "ID" 및 "파일"이다. "ID" 정보는, 서비스(103)내에서 각종 데이터를 독특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파일" 정보는, 각종 데이터 각각의 파일명을 나타낸다. 즉, 데이터 관리 테이블(703)의 예에서는, "imageOll.jpg"과 "docO12.pdf"의 2개의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고 있다.
도 7c는, 정보처리단말(102)의 제공 기능 격납부(655)가 관리하는 테이블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이때, 도 7c에 나타낸 테이블 구성은 일례이며, 도 7c에 나타낸 테이블 구성과는 다른 테이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은, UA(106)를 거쳐 제공될 수 있는 Web Intents 서비스의 제공 기능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이 관리하는 정보는, "ID", "act-main", "act-detail", "type", "href", "title", 및 "disposition"이다. 이 정보들은, "act-main", "act-detail"을 제외하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intent태그로 나타낸 정보와 거의 같다. "ID" 정보는, 서비스(103)내에서 제공 기능을 독특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act-main" 및 "act-detail"의 정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intent태그의 action속성을 주요부와 상세부로 분할하여서 얻어진다. "act-main" 정보는, 제공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act-detail" 정보는 카테고리의 상세를 나타낸다. "type" 정보는, 제공 기능이 처리 가능한 데이터등의 종류를 나타낸다. "href" 정보는 제공 기능의 접속처(URL)를 나타내고, "title" 정보는 제공 기능의 타이틀을 나타낸다. "disposition" 정보는, 호출된 제공 기능이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action속성을 주요부와 상세부로 구성하고 있다. 그 action속성의 주요부는, Web Intents의 사양에서 정의된 정보이며, "edit", "share", "pick", "view, "subscribe", 또는 "save"등의 값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action속성의 정보를 "제1 분류 정보"라고도 기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특유한 action속성의 상세부에는, 이를테면 "image" 또는 "pdf"등의 정보가 정의되고, 이 정보를 "제2 분류 정보"라고 기술한다.
[처리 시퀀스]
(등록 처리)
도 8에 나타낸 시퀀스 도를 참조하여, 정보처리단말(102)이 서버(105)의 서비스(103)에 액세스하고,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을 UA(106)에 등록하는 동작(도 3a 및 3b에 나타낸 서비스 제공 기능 등록 처리에 해당함)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 S801로부터 단계 S804까지의 처리는, 도 3의 단계 S301로부터 단계 S304까지의 처리와 거의 같다.
단계 S801에서, UA(106)는, 서비스(103)에 액세스한다. 단계 S802에서, 서비스(103)의 intent태그 작성부(634)가 기능 관리 테이블(702)로부터 intent태그를 작성하고, 프리젠테이션부(633)가 HTML응답을 작성한다. 이 경우에, 기능 관리 테이블(702)에 등록되어 있는 3개의 서비스를 의미하는 intent태그가 작성된다.
도 9는, 단계 S802에서 intent태그 작성부(634)가 작성하는 intent태그의 예를 나타낸다. 기능 관리 테이블(702)에서 "ID"가 "1"인 레코드의 정보를 예로 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intent태그와의 차이는, action속성에서 "share"를 상세화한 "share image"가 지정되어 있는 점이다. 즉, action속성에는, 주요부와 상세부로 구성된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단계 S803에서, 서버(105)의 통신부(631)는, 그 작성된 HTML응답을 UA(106)에 회신한다.
단계 S804에서, 정보처리단말(102)의 통신부(651)가, 서버(105)로부터 송신된 HTML응답을 수신한다. 단계 S805에서, 해석부(653)는, 수신한 HTML응답으로부터 검출한 intent태그의 action속성이 세분화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action속성이 세분화 가능한가 아닌가는, action속성에 지정된 문자열에 세퍼레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에 따라 판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ction속성의 세퍼레이터로서의 소정의 문자(혹은 문자열)가 스페이스(" ")이라고 가정한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문자열의 "share"와 "image"와의 사이에 스페이스가 있으므로, 해석부(653)는, 그 action속성의 세분화가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그 action속성의 세분화가 가능할 경우에는(단계 S805에서 YES), 단계 S806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 세분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는(단계 S805에서 NO), 단계 S808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06에서, 해석부(653)는, 그 action속성을 세퍼레이터에 대해서 주요부와 상세부로 분할한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share"가 주요부가 되고, "image"이 상세부가 된다.
단계 S807에서, 단계 S804에서 UA(106)가 수신한 HTML응답에 복수의 intent태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UA(106)는 action속성의 주요부가 동일한 intent태그를 그룹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능 관리 테이블(702)의 "ID"가 "1"인 레코드와, "ID"가 "3"인 레코드의 intent태그에 있어서, action속성의 주요부("share")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레코드가 그룹화된다.
단계 S808에서, 표시부(652)는 UA(106)상에 제공 기능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 도 10은, 단계 S808에서 표시된 제공 기능 등록 화면(1000)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버튼(1001)은, 단계 S804에서 수신한 HTML응답에 포함되는 intent태그가 표현하는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 모두를 UA(106)에 등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버튼(1002)은, 단계 S807에서 그룹화된 intent태그의 세트마다 제공 기능을 UA(106)에 등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버튼(1003)은, 개별적으로 그 제공 기능을 UA(106)에 등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단계 S809에서, 표시부(652)는, 제공 기능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제공 기능은, 제공 기능 등록 화면(1000)상에서 유저가 버튼(1001∼1003) 중 하나를 누를 때 선택된다. 제공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단계 S809에서 YES), 단계 S810의 처리로 진행되고; 제공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단계 S809에서 NO), 본 시퀀스를 종료한다.
단계 S810에서,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선택된 제공 기능의 정보를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에 등록한다. 단계 S806에서 분할된 action속성의 주요부는 act-main필드에 등록되고, action속성의 상세부는 act-detail필드에 등록된다. 그리고, 본 시퀀스를 종료한다.
(실행 처리)
도 11a 및 11b에 나타낸 시퀀스 도를 참조하여, 정보처리단말(102)이 서버(104)의 클라이언트(101)에 액세스하고, 서버(105)의 서비스(103)에 Intent 처리 요구를 중개하는 동작(도 3a 및 3b에 나타낸 서비스 제공 기능 실행 처리에 상당함)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1Ol∼단계 S11O7의 처리는, 도 3a 및 3b의 단계 S308∼단계 S314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1O2에서, 클라이언트(101)는, 도 12에 예시된 것처럼, 세분화가능한 action속성을 포함하는 HTML응답을 작성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계 S11O2에서 작성된 HTML응답의 내용의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예와의 차이는, 신규의 Intent object를 작성할 때에 지정된 그 action속성이 세분화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이다.
단계 S11O8에서, 도 3b의 단계 S315와 마찬가지로,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제공 기능 격납부(655)에 Web Intent의 일람이 등록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에 1개이상의 엔트리가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일람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단계 S11O8에서 YES), 단계 S11O9의 처리로 진행되고;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1O8에서 NO), 단계 S1120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1O9에서, 해석부(653)는, 단계 S11O4에서 수신한 HTML문서에 포함되는 ECMAScript의 action속성의 값이 세분화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값이 세분화 가능한가 아닌가의 판정은, 도 8의 단계 S805와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해석부(653)는 그 값을 세분화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11O9에서 YES), 단계 S11lO의 처리로 진행되고; 세분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는(단계 S11O9에서 NO), 단계 S111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1lO에서, 해석부(653)는, ECMAScript의 actiong속성을 세퍼레이터에 대해서, 주요부와 상세부로 분할한다. 도 12에 나타낸 예에서는, "share"가 주요부가 되고, "image"가 상세부가 된다.
단계 S1111에서,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의 엔트리들로부터, 단계 S11lO에서 세분화한 주요부 및 상세부와 같은 값을 갖는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러한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단계 S1111에서 YES), 단계 S1112의 처리로 진행되고;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단계 S1111에서 NO), 단계 S111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112에서, 표시부(652)는, 단계 S1111에서 추출한 엔트리를 UA(106)상에 일람 형식으로 표시한다. 도 13은, 단계 S1112에서 표시된 제공 기능 선택 화면(1300)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버튼(1301)은, 단계 S1111에서 추출된 엔트리의 title이 표시된, 제공 기능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단계 S1111에서 복수의 엔트리가 추출된 경우에는, 제공 기능 선택 화면(1300)상에 복수의 버튼이 표시된다.
단계 S1113에서, 해석부(653)는, ECMAScript의 action속성의 값을 주요부로서 판정한다.
단계 S1114에서,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의 엔트리들로부터, 단계 S11lO 또는 단계 S1113에서 주요부로서 판정된 값과 같은 값을 갖는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러한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단계 S1114에서 YES), 단계 S1115의 처리로 진행되고;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단계 S1114에서 NO), 단계 S1120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115에서, 표시부(652)는, 단계 S1114에서 추출한 엔트리를 UA(106)상에 일람 형식으로 표시한다. 본 단계 S1115에 표시된 화면의 예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116∼단계 S1121에서의 처리는, 도 3b의 단계 S317∼단계 S322와 같아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도 8을 참조하여, UA(106)가, 상기 수신된 intent태그의 action속성을 해석해서 제공 기능을 그룹화하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action속성과는 무관계의 신규 속성을 도입함으로써, 제공 기능이 그룹화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기능 관리 테이블(702)과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 각각에는, 신규 속성에 대응한 필드가 추가된다. 단계 S805에 해당하는 단계에서는, intent태그내에 신규 속성이 포함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 S806 및 단계 S807에 해당하는 단계에서는, 신규 속성이 서로 일치하는 intent태그를 그룹화한다. 이때, 신규 속성의 예들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더를 의미하는 vendor속성과, 키워드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keyword속성이 있다. 그러나, 새로운 속성은 그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규 속성은 본 발명에 특유하기 때문에, 제2 분류 정보로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이 그룹화 방법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UA(106)가 서비스(103)에 액세스한 직후에, 제공 기능 등록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렇지만, 제공 기능 등록 화면은, 예를 들면, UA(106)의 기동시나 종료시에 표시되어도 된다. 또는, 유저가 임의의 타이밍에서 UA(106)의 메뉴를 통해 지시하여도 된다. 이 경우, UA(106)는 서비스(103)에 액세스한 후, 제공 기능 등록 화면에 표시해야 할 정보를 RAM(203)이나 외부기억장치(209)에 일시적으로 유지해둔다. UA(106)는, UA(106)의 기동이나 종료나 RAM(203)이나 외부기억장치(209)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정보를 판독하라는 유저 지시를, 트리거로서 사용하여서, 그 정보를 제공 기능 등록 화면상에 표시한다.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action속성을 주요부와 상세부로 분할하는 경우를 설명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type속성을 확장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Web Intents의 사양에서 정의한 action속성의 정보가, "제1 분류 정보"가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특유한 구성을 갖는 type속성의 정보가 "제2 분류 정보"가 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103)의 intent태그 작성부(634)가 작성하는 intent태그의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intent태그와의 차이는, type속성에 복수의 데이터의 종류가 지정되어 있는 점이다.
도 15a에 나타낸 기능 관리 테이블(150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05)의 서비스 데이터 격납부(636)가 관리하는 테이블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도 7b에 나타낸 기능 관리 테이블(702)과 유사하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낸 테이블 구성은 일례이며, 본 예와는 다른 테이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기능 관리 테이블(702)의 action필드에, 상세화 가능한 action속성의 값을 지정 가능하지만, 기능 관리 테이블(1501)의 type필드에서 type속성으로서 복수의 값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b에 나타낸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1502)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단말(102)의 제공 기능 격납부(655)가 관리하는 테이블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도 7c에 나타낸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과 유사하다. 이때, 도 15b에 나타낸 테이블 구성은 일례이며, 본 예와는 다른 테이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제1 실시예에서 서술한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에서는, 상기 상세화된 action속성의 정보를 격납하기 위해서, act-main필드와 act-detail필드가 설치되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1502)은, intent태그의 type속성에 복수의 데이터 종류가 지정된 경우를 대처하기 위해서, type필드에 복수의 데이터 종류의 정보를 격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리 시퀀스]
(등록 처리)
도 16에 나타낸 시퀀스 도를 참조하여, 정보처리단말(102)이 서버(105)의 서비스(103)에 액세스하고,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을 UA(106)에 등록하는 동작(도 3a 및 3b에 나타낸 서비스 제공 기능 등록 처리에 상당함)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601∼단계 S1606의 처리는, 도 3a의 단계 S301∼단계 S306과 같아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607에서, 해석부(653)는, 단계 S1606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제공 기능에 대응하는 intent태그의 type속성이 세분화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type속성이 세분화 가능한가 아닌가는, type속성으로 지정되어 있는 문자열에 세퍼레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에 따라 판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type속성의 세퍼레이터로서의 소정의 문자(혹은 문자열)가 스페이스(" ")라고 가정한다.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image/*"과 "application/pdf"의 사이에 스페이스가 있으므로, 상기 type속성을 세분화 가능하다고 판정된다.
단계 S1608에서, 해석부(653)는, type속성을 그 세퍼레이터에 대해서 개개의 요소로 분할한다.
단계 S1609에서,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선택된 제공 기능의 정보를 제공 기능 관리 테이불(1502)에 등록한다. 단계 S1608에서 분할한 type속성의 개개의 요소는 type필드에 등록된다. 그 후,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능 등록 처리가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능 실행 처리는, 단계 S315에 해당하는 단계이외는 제1 실시예에서 서술한 도 3a 및 3b에 나타낸 서비스 제공 기능 실행 처리와 같아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S315에 해당하는 단계에서는, 제공 기능 관리부(654)가,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1502)로부터, action필드의 값과, type필드에 등록된 요소 중 하나와 각각 일치하는 값을 갖는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action속성에 더해서, 신규 속성 "sub-action"을 추가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Web Intents의 사양에서 정의된 action속성의 정보가 "제1 분류 정보"가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새롭게 제공된 특징적인 sub-action속성의 정보는, "제2 분류 정보"가 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103)의 intent태그 작성부(634)가 작성하는 intent태그의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intent태그와의 차이는, action속성을 보충하기 위한 sub-action속성이 새롭게 추가되어 있는 점이다. 이때, sub-action속성의 값은,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분리하여서 복수로 지정되어도 된다. 도 17에 나타낸 예에서는, action속성에, "edit" ("편집"의 뜻)가 지정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sub-action속성의 값으로서, "format"("포맷 변환"의 뜻)과 "color"("색 변환"의 뜻)이 지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처리나 처리될 데이터의 속성들에 따라 설정 값이 정의되어도 된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101)로부터 UA(106)에 회신된 HTML응답에 포함된 ECMAScript의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ECMAScript와의 차이는, action속성을 보충하기 위한 sub-action속성이 추가되어 있는 점이다. 이때, sub-action속성의 값은,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분리하여서 복수로 지정되어도 된다.
도 19a에 나타낸 기능 관리 테이블(190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05)의 서비스 데이터 격납부(636)가 관리하는 테이블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도 7b에 나타낸 기능 관리 테이블(702)과 유사하다. 이때, 도 19a에 나타낸 테이블 구성은 일례이며, 도 19a에 나타낸 구성과는 다른 테이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 관리 테이블(1901)에는, 전술한 기능 관리 테이블(702)에는 존재하지 않는, sub-action속성의 값을 유지하기 위한 sub-action필드가 추가되어 있다.
도 19b에 나타낸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1902)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단말(102)의 제공 기능 격납부(655)가 관리하는 테이블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도 7c의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과 유사하다. 이때, 도 19b에 나타낸 테이블 구성은 일례이며, 도 19b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테이블 구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1902)에는,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704)에는 존재하지 않는, sub-action속성의 값을 유지하기 위한 sub-action필드가 추가되어 있다.
[처리 시퀀스]
(등록 처리)
도 20에 나타낸 시퀀스 도를 참조하여, 정보처리단말(102)이 서버(105)의 서비스(103)에 액세스하고, 서비스(103)의 제공 기능을 UA(106)에 등록하는 동작(도 3a 및 3b에 나타낸 서비스 제공 기능 등록 처리에 상당함)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낸 시퀀스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6에 나타낸 시퀀스와 거의 동일하다. 도 16의 단계들과 차이가 있는 단계들만 설명한다. 단계 S2001∼단계 S2006의 처리는, 단계 S1601∼단계 S1606과 같아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007은, 도 16의 단계 S1607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분화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대상이 되는 속성이, sub-action속성이다. 단계 S2008은, 도 16의 단계 S1608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요소로 분할되는 속성이, sub-action속성이다. 단계 S2009는, 도 16의 단계 S1609에 해당한다. 제공 기능의 정보의 등록처가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1902)이고, 단계 S2008에서 분할된 개개의 요소가 sub-action필드에 등록된다.
(실행 처리)
도 21에 나타낸 시퀀스 도를 참조하여, 정보처리단말(102)이 서버(104)의 클라이언트(101)에 액세스하고, 서버(105)의 서비스(103)에 Intent의 처리 요구를 중개하는 동작(도 3a 및 3b에 나타낸 서비스 제공 기능 실행 처리에 상당함)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낸 시퀀스는,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도 11a 및 11b에 나타낸 시퀀스와 유사하고, 도 11a 및 11b와 다른 단계들만 설명한다. 단계 S2101∼단계 S2108의 처리는, 단계 S11Ol∼단계 S11O8과 같아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109에서, 해석부(653)는, 단계 S2104에서 수신한 HTML문서가 sub-action속성을 포함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sub-action속성이 포함되는 경우(단계 S2109에서 YES), 해석부(653)는, sub-action속성의 값을 스페이스(" ")등의 세퍼레이터에 대해서 개개의 요소로 분할한다.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1902)의 엔트리들로부터, sub-action속성의 모든 요소와 같은 값을 갖는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때, 모든 요소의 값과 같은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일부의 요소의 값과 같은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러한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단계 S2109에서 YES), 단계 S2110의 처리로 진행되고;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단계 S2109에서 NO), 단계 S2111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2110에서, 도 11b의 단계 S1112와 마찬가지로, 표시부(652)가 단계 S2109에서 추출한 엔트리를 UA(106)상에 일람 형식으로 표시한다. 단계 S2110에서 표시된 화면의 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3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111에서, 제공 기능 관리부(654)는,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1902)의 엔트리들로부터, action속성의 값과 같은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러한 엔트리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단계 S2111에서 YES), 단계 S2112의 처리로 진행되고;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단계 S2111에서 NO), 단계 S211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2112에서, 도 11b의 단계 S1115와 마찬가지로, 표시부(652)가 단계 S2111에서 추출한 엔트리를 UA(106)상에 일람 형식으로 표시한다. 단계 S2112에서 표시된 화면의 예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113∼단계 S2118의 처리는, 단계 S1116∼단계 S1121과 같아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것처럼,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예시한 제공 기능 등록 화면(1000)이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디바이스 등의 표시 영역이 작은 정보처리단말상에서 표시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공 기능 등록 화면(2200)의 예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정보처리단말(102)은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디바이스등의 정보처리단말이며, UA(106)는, 브라우저등의 UA다. 제공 기능 등록 화면(2200)은, UA(106)상에 표시된 제공 기능 등록 화면이다.
아이콘(2201)은 제공 기능을 나타내고, HTML문서를 회신할 때(단계 S303/S803/S1603/S2003)에, 서비스(103)로부터 UA(106)에 건네준다. 아이콘(2201)에 관해서, 서비스마다 또는 제공 기능마다 1개의 아이콘을 제공하여도 된다. 이것들의 아이콘은 미리 등록된다. 서비스마다 1개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경우, 회신된 HTML문서의 head태그의 link태그가 아래와 같이 기재될 때, UA(106)는 아이콘 파일을 취득할 수 있다.
<link rel="ico n" href=
"http//aaa.com/favicon.ico" type=
"image/vnd.micronsoft.icon"/>
한편, 제공 기능마다 1개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경우, 회신된 HTML문서의 intent태그내에 아이콘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속성(예를 들면, icon속성)이 기재될 때, UA(106)는 아이콘 파일을 취득할 수 있다. 취득한 아이콘의 정보는,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 704, 1502 또는 1902에 icon필드를 추가하여서 관리될 수 있다.
툴팁(2202)은, 아이콘의 툴팁이며, 제공 기능 관리 테이블 704, 1502 또는 1902의 title필드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다.
상술한 것처럼, 제공 기능의 등록시에, 아이콘과 툴팁을 사용하여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표시 영역이 작은 정보처리단말에서도 유저의 편리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제공 기능을 그룹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소자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9)

  1.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단말로서,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해, 상기 중계 기능의 관리 테이블에 상기 기능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등록부;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능 정보는,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액션(action) 영역 및 상기 기능에 의해 처리 가능한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하는 type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분류 정보는, 상기 기능 정보 내의 상기 액션(action) 영역 및 상기 type 영역과는 다른 또 다른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처리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인, 정보처리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및 상기 중계 기능은, 단일의 장치상에서 동작하는 기능인, 정보처리단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에서, 복수의 제2 분류 정보는, 상기 또 다른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처리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에서 상기 제1 분류 정보로서, "share", "edit", "view", "pick", "subscribe" 및 "save" 중 하나가 기술되어 있는, 정보처리단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는, 웹 인텐츠(Web Intents)의 인텐트(intent)태그로 나타내어지고,
    상기 제1 분류 정보는, 웹 인텐츠에서 규정된 action속성의 정보인, 정보처리단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기능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2 분류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여 표시 화면을 거쳐서 유저 입력에 따라 상기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처리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제1 분류 정보 혹은 상기 제2 분류 정보가 동일한 기능을 그룹화하고, 그룹마다 유저의 입력이 가능하게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처리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그룹화된 기능을 표시할 때에, 상기 그룹에 포함된 기능 각각을 아이콘으로 나타내는, 정보처리단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중계 기능의 기동시 혹은 종료시에, 상기 기능 정보의 등록 처리에 대한 유저의 입력을 접수하는 상기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정보처리단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기능은, 브라우저의 기능 또는 상기 정보처리단말의 OS로서 제공되는, 정보처리단말.
  15.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단말이 포함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처리단말은,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제공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해, 상기 중계 기능의 관리 테이블에 상기 기능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등록부;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능 정보는,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액션(action) 영역 및 상기 기능에 의해 처리 가능한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하는 type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분류 정보는, 상기 기능 정보 내의 상기 액션(action) 영역 및 상기 type 영역과는 다른 또 다른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및 상기 중계 기능은, 단일의 장치상에서 동작하는 기능인, 시스템.
  17.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해, 상기 중계 기능의 관리 테이블에 상기 기능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기능 정보는,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액션(action) 영역 및 상기 기능에 의해 처리 가능한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하는 type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분류 정보는, 상기 기능 정보 내의 상기 액션(action) 영역 및 상기 type 영역과는 다른 또 다른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처리단말의 제어 방법.
  18. 데이터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연계시키는 중계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단말이 포함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처리단말에서,
    상기 서비스가 제공하는 제공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기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분류 정보와,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상세 분류를 나타내는 제2 분류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 기능에 의해, 상기 중계 기능의 관리 테이블에 상기 기능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분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기능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기능 정보는, 상기 기능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상기 제1 분류 정보의 액션(action) 영역 및 상기 기능에 의해 처리 가능한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하는 type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분류 정보는, 상기 기능 정보 내의 상기 액션(action) 영역 및 상기 type 영역과는 다른 또 다른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청구항 제17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115186A 2013-08-30 2014-09-01 정보처리단말 및 그 제어 방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1719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0356 2013-08-30
JP2013180356A JP6271916B2 (ja) 2013-08-30 2013-08-30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985A KR20150026985A (ko) 2015-03-11
KR101719593B1 true KR101719593B1 (ko) 2017-03-24

Family

ID=5139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186A KR101719593B1 (ko) 2013-08-30 2014-09-01 정보처리단말 및 그 제어 방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67173A1 (ko)
EP (1) EP2843553A3 (ko)
JP (1) JP6271916B2 (ko)
KR (1) KR101719593B1 (ko)
CN (1) CN104519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0957B (en) * 2015-07-31 2019-12-25 Arm Ip Ltd Managing interaction constraints
JP2018041146A (ja) 2016-09-05 2018-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766793B2 (ja) * 2017-10-26 2020-10-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1038966B1 (en) 2020-04-28 2021-06-15 Arm Ip Limited Remote device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1349B2 (ja) 2009-12-09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48457A (ja) * 2010-08-26 2012-03-08 Canon Inc 印刷サーバ装置、印刷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69037B2 (en) * 2010-11-30 2014-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tag clouds
JP5309121B2 (ja) * 2010-12-21 2013-10-09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
JP5360106B2 (ja) * 2011-03-25 2013-12-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124590B2 (en) * 2011-07-19 2015-09-01 Sk Planet Co., Ltd. Intellig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JP2013196356A (ja) * 2012-03-19 2013-09-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297413A1 (en) * 2012-05-03 2013-11-07 Google Inc. Using actions to select advertisements
US20140026067A1 (en) * 2012-07-23 2014-01-23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ovement of web object based on intent
US8589911B1 (en) * 2012-07-26 2013-11-19 Google Inc. Intent fulfillment
KR102038962B1 (ko) * 2012-08-13 2019-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서 웹 인텐트 메시지 및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195519B2 (en) * 2012-09-06 2015-11-24 Box, Inc. Disabling the self-referential appearance of a mobile application in an intent via a background registr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 Billock et al. "Web Intents W3C - Working Group Note 23 May 2013", 23 May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67173A1 (en) 2015-03-05
JP2015049658A (ja) 2015-03-16
EP2843553A3 (en) 2016-04-13
CN104519118B (zh) 2019-05-28
KR20150026985A (ko) 2015-03-11
JP6271916B2 (ja) 2018-01-31
CN104519118A (zh) 2015-04-15
EP2843553A2 (en)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91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AU2013215233B2 (en) Sharing services
JP6179231B2 (ja) 端末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2005098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
US20100005387A1 (en) Terminal, content display method, and content display program
US20210019106A1 (en) Desktop Shar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719593B1 (ko) 정보처리단말 및 그 제어 방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JP20062605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管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30339B1 (ko) 정보 처리 단말 및 제어 방법
EP2840500A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JP6168839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8071116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用プログラム
US20190155873A1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CN112948844A (zh) 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590005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1248670A (ja) Web閲覧システム、中継サーバおよびWeb閲覧方法
JP4710408B2 (ja) 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16091092A (ja) ブラウザ、ブラウザ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67710B1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1650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612906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15264B1 (ko) 배너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JP5381204B2 (ja) サービス統合利用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統合利用方法、並びに情報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174929A (ja) サービス連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