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195B1 -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195B1
KR101719195B1 KR1020140140988A KR20140140988A KR101719195B1 KR 101719195 B1 KR101719195 B1 KR 101719195B1 KR 1020140140988 A KR1020140140988 A KR 1020140140988A KR 20140140988 A KR20140140988 A KR 20140140988A KR 101719195 B1 KR101719195 B1 KR 10171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go hold
moving means
frame
tes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443A (ko
Inventor
신창민
홍성범
강성원
우종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1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셀로 구획된 컨테이너선의 화물창(10)을 검사하는 기구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된 프레임(21)을 길이변동 가능하게 맞물린 테스트용 컨테이너(20); 상기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길이 축소 상태에서 인접한 셀로 위치변동을 수행하는 이동수단(30); 및 상기 이동수단(30)에 출력을 인가하여 설정된 검사를 수행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검사에 있어서 테스트용 컨테이너를 화물창의 다음 열로 쉽게 이동시켜서 검사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크레인 사용량을 줄여 전반적인 공정관리의 유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cargo hold on container vessel}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선에 구비된 화물창에서 컨테이너 적재 상태를 사전이 시범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 화물창에 대한 검사는 테스트용 컨테이너를 제작해서 크레인을 활용하여 화물창 내부로 내리면서 셀가이드 사이의 통과여부와 측면 및 하단부의 간격을 측정하고 다시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다음 열(Row)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내부 검사가 필요한 카고 수가 증가하면서 화물창 데모(DEMO.) 검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시간 단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타 작업과 동시 진행되는 경우에 크레인 독점 사용이 불가하여 사용에 제한이 있을 뿐더러 이에 따른 많은 공정 및 대기 로스가 발생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6619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11815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컨테이너 운송 선박의 갑판에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적용 가이드 구조물과 래싱 아이(Lashing Eye)가 설치되고 상기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상기 래싱 아이에 걸기 위한 고박용 로프를 포함하고,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에 고정하거나 계류를 위한 계류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출항지의 선적이나 기항지의 하적시에 컨테이너 적하 시간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캐리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 개의 레이저 거리 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캐리지 주행과 함께 각각의 레이저 거리 센서가 셀가이드의 횡간격, 종간격 및 캐리지 높이를 동시에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횡격벽 내 스트링거를 오르내리는 고소 작업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수동 검사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1에 의한 착탈식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검사에 투입하여 효과를 나타내기 미흡하고, 상기한 선행문헌 2에 의한 센서 측정 기반의 시뮬레이션으로 화물창 검사를 대체하기에 한계성을 보인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6619호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공개일자 : 2013. 5. 30.)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11815호 "선박의 셀가이드 측정 시스템" (공개일자 : 2014. 1. 2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스트용 컨테이너의 측면부의 길이를 변동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셀로 구획된 화물창의 다음 열로 쉽게 이동시켜서 검사작업 소요 시간을 단축하는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윈치대차나 와이어로봇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중량물인 테스트용 컨테이너의 위치를 변동하는 방식으로 크레인 사용량을 줄여 공정관리의 유연성을 높이는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셀로 구획된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을 검사하는 기구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된 프레임을 길이변동 가능하게 맞물린 테스트용 컨테이너; 상기 테스트용 컨테이너의 길이 축소 상태에서 인접한 셀로 위치변동을 수행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출력을 인가하여 설정된 검사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테스트용 컨테이너는 관절구로 연결되어 일측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대의 단부에 연결되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수단은 화물창의 상측에 대항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 상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와, 테스트용 컨테이너에 인상력을 제공하도록 대차에 탑재되는 윈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수단의 가이드레일은 래싱브리지 상에 클램프를 개재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화물창의 셀에 대응한 테스트용 컨테이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와, 위치센서의 신호를 입력하여 이동수단에 출력을 인가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검사에 있어서 테스트용 컨테이너를 화물창의 다음 열로 쉽게 이동시켜서 검사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크레인 사용량을 줄여 전반적인 공정관리의 유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치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테스트용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테스트용 컨테이너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이동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한 검사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의 셀로 구획된 컨테이너선의 화물창(10)을 검사하는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컨테이너선의 화물창(10)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셀가이드(12)를 이용하여 다수의 셀로 구획된다. 셀가이드(12)는 인접한 컨테이너가 충돌하지 않도록 벽체에서 돌출된 구조를 이룬다. 컨터이너선의 건조나 운항 과정에서 화물창(10)의 변형에 의한 컨테이너의 적재 오류, 파손 등을 방지하도록 적절한 시기에 테스트용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데모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한편, 화물창(10)의 상측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컨테이너의 결속을 위한 래싱브리지(15)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용 컨테이너(20)는 양측으로 분할된 프레임(21)을 길이변동 가능하게 맞물린 구조를 지닌다. 테스트용 컨테이너(20)는 다수의 형강부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와 동일한 크기의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도 2에서 부호 21a 및 21b로 나타내는 것처럼 테스트용 컨테이너(20)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암수로 맞물린다.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길이변동 범위는 셀가이드(12)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프레임(21)에서 길이를 길게 형성한 부호 21a은 '고정부'로, 길이를 짧게 형성한 부호 21b은 '가동부'로 명명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테스트용 컨테이너(20)는 관절구(23)로 연결되어 일측의 프레임(21)을 지지하는 지지대(22)와,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대(22)의 단부에 연결되는 회전판(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판(25)은 프레임(21)의 고정부(2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대향하는 면에 회전판(25)을 각각 설치하고 상호 축으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지지대(22)는 회전판(25)을 중심으로 양단에 "X"자 형태로 연결하여 구조적 보강을 도모한다. 프레임(21)의 고정부(21a)에 연결되는 지지대(22)는 부호 22a와 같이 고정된 길이를 지닌다. 반면, 프레임(21)의 가동부(21b)에 연결되는 지지대(22)는 부호 22b와 같이 관절구(23)를 개재하여 가변되는 길이를 지닌다. 부호 22a의 지지대(22)는 회전판(25)과 연결되지 않으나, 부호 22b의 지지대(22)는 회전판(25)에 링크축(26)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이때, 회전판(25)은 별도의 모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회전 구동하지만, 핸들(28)로 회전되는 수동방식을 대체 또는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어느 경우에나,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회전판(25)이 회전하면 지지대(22)의 관절구(23)가 일정 각도로 꺾이면서 프레임(21)의 가동부(21b)를 고정부(21a) 측으로 당겨서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전체적인 길이축소가 유발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수단(30)이 상기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길이 축소 상태에서 인접한 셀로 위치변동을 수행하는 구조를 지닌다. 이동수단(30)은 테스트용 컨테이너(20)를 하나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ㆍ수평의 적어도 일방향 운동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수단(30)은 화물창(10)의 상측에 대항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과, 가이드레일(32) 상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34)와, 테스트용 컨테이너(20)에 인상력을 제공하도록 대차(34)에 탑재되는 윈치(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레일(32)은 화물창(10)에 설치된 각각의 래싱브리지(15)에 결합된다. 대차(34)는 2대의 윈치(36)를 긴밀하게 지지한 상태로 가이드레일(32) 상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한다. 대차(34)의 수평운동은 별도의 모터(도시 생략)를 결합하여 수행한다. 총 4대의 윈치(36)는 각각의 로프(38)로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상면을 결속하여 인상한다.
한편, 이동수단(30)의 윈치(36)는 종래에 크레인에 의존하는 방식을 탈피하는 것으로서 와이어로봇(도시 생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수단(30)의 가이드레일(32)은 래싱브리지(15) 상에 클램프(46)를 개재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램프(46)는 가이드레일(32)을 래싱브리지(15)에 긴밀하게 고정하면서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용이한 구조로 설치한다. 클램프(46)는 컨테이너의 무게에 따른 전복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외에 대차(34)가 가이드레일(32)의 특정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작업중 불필요한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46)를 부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40)이 상기 이동수단(30)에 출력을 인가하여 설정된 검사를 수행하는 구조를 지닌다. 설정된 검사는 테스트용 컨테이너(20)를 화물창(10)의 각 셀에 직접 투입하여 향후 컨테이너 적재의 원활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제어수단(40)은 적어도 부분적인 자동화를 기반으로 하지만 수동식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화물창(10)의 셀에 대응한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42)와, 위치센서(42)의 신호를 입력하여 이동수단(30)에 출력을 인가하는 제어기(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센서(42)는 대차(34)에 설치되어 화물창(10)의 셀가이드(12)를 검출하는 동시에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현재 위치도 검출한다. 제어기(44)는 대차(34)의 수평운동, 윈치(36)의 상하운동 외에 전술한 회전판(25)의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어수단(40)은 반드시 자동화에 의존하지 않고 리모컨(도시 생략)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제어하는 반자동식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작동을 설명하면, 도 5(a)처럼 작업자가 제어수단(40)으로 윈치(36)를 가동하여 테스트용 컨테이너(20)를 특정의 셀에 내리면서 컨테이너의 탑재 원활성을 검사한 다음, 도 5(b) 및 도 5(c)처럼 회전판(25)을 회전시켜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길이를 축소한 상태로 대차(34)를 인접한 셀로 이동시키고, 이 과정에서 축소된 테스트용 컨테이너(20)는 돌출된 셀가이드(12)와 간섭하지 않으며, 도 5(d)처럼 인접한 다음 셀에서 회전판(25)을 복귀시키고 테스트용 컨테이너(20)를 승하강시켜 컨테이너의 탑재 원활성을 검사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화물창 12: 셀가이드
15: 래싱브리지 20: 테스트용 컨테이너
21: 프레임 22: 지지대
23: 관절구 25: 회전판
26: 링크축 28: 핸들
30: 이동수단 32: 가이드레일
34: 대차 36: 윈치
40: 제어수단 42: 위치센서
44: 제어기 46: 클램프

Claims (5)

  1. 다수의 셀로 구획된 컨테이너선의 화물창(10)을 검사하는 기구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된 프레임(21)을 길이변동 가능하게 맞물린 테스트용 컨테이너(20);
    상기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길이 축소 상태에서 인접한 셀로 위치변동을 수행하는 이동수단(30); 및
    상기 이동수단(30)에 출력을 인가하여 설정된 검사를 수행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테스트용 컨테이너(20)는 관절구(23)로 연결되어 일측의 프레임(21)을 지지하는 지지대(22)와,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대(22)의 단부에 연결되는 회전판(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2. 다수의 셀로 구획된 컨테이너선의 화물창(10)을 검사하는 기구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된 프레임(21)을 길이변동 가능하게 맞물린 테스트용 컨테이너(20);
    상기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길이 축소 상태에서 인접한 셀로 위치변동을 수행하는 이동수단(30); 및
    상기 이동수단(30)에 출력을 인가하여 설정된 검사를 수행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수단(30)은 화물창(10)의 상측에 대항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과, 가이드레일(32) 상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34)와, 테스트용 컨테이너(20)에 인상력을 제공하도록 대차(34)에 탑재되는 윈치(36)를 구비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3. 다수의 셀로 구획된 컨테이너선의 화물창(10)을 검사하는 기구에 있어서:
    양측으로 분할된 프레임(21)을 길이변동 가능하게 맞물린 테스트용 컨테이너(20);
    상기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길이 축소 상태에서 인접한 셀로 위치변동을 수행하는 이동수단(30); 및
    상기 이동수단(30)에 출력을 인가하여 설정된 검사를 수행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수단(30)은 화물창(10)의 상측에 대항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32)은 래싱브리지(15) 상에 클램프(46)를 개재하며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40)은 화물창(10)의 셀에 대응한 테스트용 컨테이너(2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42)와, 위치센서(42)의 신호를 입력하여 이동수단(30)에 출력을 인가하는 제어기(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5. 삭제
KR1020140140988A 2014-10-17 2014-10-17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KR101719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988A KR101719195B1 (ko) 2014-10-17 2014-10-17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988A KR101719195B1 (ko) 2014-10-17 2014-10-17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43A KR20160045443A (ko) 2016-04-27
KR101719195B1 true KR101719195B1 (ko) 2017-03-23

Family

ID=5591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988A KR101719195B1 (ko) 2014-10-17 2014-10-17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1998B (zh) * 2020-03-13 2021-10-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基于共同基点的集装箱船模拟试箱方法
CN111661270B (zh) * 2020-06-14 2022-02-22 陈盼 一种基于试箱装置的集装箱船货舱导轨试箱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401Y1 (ko) 1996-10-07 1999-12-15 이해규 셀 가이드 클리어런스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511A (en) * 1979-08-06 1981-03-09 Sumitomo Heavy Ind Ltd Measuring device for precision of cell guide
KR0129833Y1 (ko) * 1995-10-30 1999-05-01 경주현 컨테이너 셀가이드의 클리어런스 측정시스템
KR20130056619A (ko) 2011-11-22 2013-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착탈식 컨테이너 저장부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송 선박
KR20140011815A (ko) 2012-07-20 2014-01-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셀가이드 측정 시스템
KR20140089930A (ko) * 2013-01-08 2014-07-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테스트용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401Y1 (ko) 1996-10-07 1999-12-15 이해규 셀 가이드 클리어런스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43A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4268B (zh) 船舶建造中半宽型双跨总组搭载方法
EP3013677B1 (en) Lashing bridge for a cargo ship
CN103057663B (zh) 一种万吨滚装船活动甲板水下安装工艺
KR101719195B1 (ko) 컨테이너선 화물창 검사장치
CN105882890A (zh) 集装箱船导轨架的安装方法及其专用胎架
WO2019214357A1 (zh) 集装箱检查系统、港口设施及集装箱检查方法
CN105984562A (zh) 一种散货船舱口围与舱口盖的建造方法
JP2007320727A (ja) コンテナ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コンテナ輸送用パレット、コンテナ搬送車、および、コンテナ輸送方法
TW201433524A (zh) 用來將待運送的貨櫃支撐在貨船上的支撐件,用來在貨船上載運貨物的貨櫃,支撐貨櫃的方法及用來支撐貨櫃的繫橋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CN109399449B (zh) 一种折臂式吊装设备吊具
CN210063307U (zh) 码头梯与舷墙梯搭接构件
US3833140A (en) Load handling equipment
CN108495783B (zh) 在集装箱船和码头之间转移标准化集装箱的方法
KR100985654B1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데몬스트레이션을 위한해치커버상단용 지그
WO2019192368A1 (zh) 集装箱检查系统、港口设施及集装箱检查方法
KR20120122056A (ko) 물체 이송장치
CN204751989U (zh) 桥式起重机及其升降装置
CN210175076U (zh) 一种集装箱船用新型货舱结构
KR20150133361A (ko) 화물창 검사장비
KR20150104825A (ko) 래싱 브리지
RU2443593C1 (ru) Способ правки перегиба корпуса судна
CN216034941U (zh) 一种适用于超长钢结构桥梁的船运支撑绑扎装置
CN106596086B (zh) 集装箱堆码吊顶试验柔性可调装置
CN203319049U (zh) 一种用于收纳硫化梁和硫化板的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