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764B1 - 필름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764B1
KR101717764B1 KR1020160089283A KR20160089283A KR101717764B1 KR 101717764 B1 KR101717764 B1 KR 101717764B1 KR 1020160089283 A KR1020160089283 A KR 1020160089283A KR 20160089283 A KR20160089283 A KR 20160089283A KR 101717764 B1 KR101717764 B1 KR 10171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urntable
circuit
glass plat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일
Original Assignee
(주)신세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세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세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8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LED,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내지 LED 조명 등으로 사용되는 글래스(glass) 원판에 필름 등의 박판, 예를 들어 이방 전도성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부착하는 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방 전도성 필름을 글래스 원판에 본딩 접착할 때, 글래스 원판에 먼지 등의 미세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180 °반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턴테이블의 상면에 글래스 원판이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하여, 하부에 구비된 본딩유닛을 통해 턴테이블의 하면에 고정된 글래스 원판에 필름을 본딩 접착하도록 이루어진 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력방향과 대향되도록 필름을 이송 부착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심지어 먼지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되는 클린룸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이물질이 중력에 의하여 자연 낙하(하강)하여 글래스 원판의 부착면에 개재되는 상황 발생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름 부착 장치{BONDING APPARATUS FOR FILM}
본 발명은 OLED,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내지 LED 조명 등으로 사용되는 글래스(glass) 원판에 필름 등의 박판, 예를 들어 이방 전도성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부착하는 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방 전도성 필름을 글래스 원판에 본딩 접착할 때, 글래스 원판에 먼지 등의 미세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180 °반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턴테이블의 상면에 글래스 원판이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하여, 하부에 구비된 본딩유닛을 통해 턴테이블의 하면에 고정된 글래스 원판에 필름을 본딩 접착하도록 이루어진 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력방향과 대향되도록 필름을 이송 부착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심지어 먼지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되는 클린룸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이물질이 중력에 의하여 자연 낙하(하강)하여 글래스 원판의 부착면에 개재되는 상황 발생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상적으로 OLED,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내지 LED 조명의 제조에 있어서, 글래스 원판의 일면에 다양한 용도의 필름을 부착하여 제조한다.
예를 들어 글래스 원판에 형성된 전극(또는 소자)에 연결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징 필름 및/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등(이하 TFT 기판이라 통칭함.)을 글래스 원판 상에 접착하기 위해서, 이방 전도성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글래스 원판에 부착할 수 있다.
이방 전도성 필름이란, 미세 도전 입자를 접착수지(일반적으로 열경화성)에 혼합 내지 분산시켜 필름 상태로 만들어, 평면에 직교되는 수직방향으로는 전기가 통하는 도전성을, 평면과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성을 부여하여 전기가 한쪽 방향으로만 통하게 하는 것으로, 미세 도전 입자로는 Ni, carbon, solder ball 등이 사용되어, 글래스 원판과 TFT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이방 전도성 필름은, 글래스 원판에 TFT 기판을 단순 부착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전기 신호 인가를 위한 전극들 간의 독립적인 전기적 연결을 통해 도통 가능하면서 평판 디스플레이에 일체로 접착되기 때문에, 이방 전도성 필름의 부착 공정 중 이물질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이방 전도성 필름의 부착 공정은 먼지와 같은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 클린룸(clean room)에서 실시되며, 클린룸과 별도로 필름 부착 장치에 이오나이저 등이 구비되어 작업 중 정전기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극히 미세한 이물질이 글래스 원판 또는 이방 전도성 필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리된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10-2009-0110178호, 공개특허 제10-2001-0097569호, 등록특허 제10-0183896호, 등록특허 제10-0729246호와 같이, 종래의 필름 부착 장치는, 글래스 원판의 상부에 본딩유닛이 구비되어, 글래스 원판의 상면에 이방 전도성 필름을 부착하기 때문에, 공정 중 발생하는 미세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하여, 글래스 원판이나 이방 전도성 필름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클림룸 및/또는 이오나이저 등을 이용해 미세 이물질의 발생 및 부착을 엄격하게 관리, 유지하더라도, 이러한 미세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에 필요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초기 설계비용이 과도하게 필요하고,
클린룸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이물질이, 공기 중에 부유하면서 중력에 의하여 자연 낙하하여, 글래스 원판 등에 부착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가 없어, 대부분의 사업장에서는 미세 이물질의 발생 및 부착 방지를 위한 각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한 손실을 감수하면서 작업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린룸 및/또는 이오나이저 등을 이용한 미세 이물질의 부착 방지에서 더 나아가,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이물질이 글래스 원판으로 자연 낙하 후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 및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먼지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되는 클린룸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이물질이 중력에 의하여 자연 낙하(하강)하여 글래스 원판의 부착면에 개재되는 상황 발생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180 °반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턴테이블의 상면에 글래스 원판이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하여, 하부에 구비된 본딩유닛을 통해 턴테이블의 하면에 고정된 글래스 원판에 부착 필름을 본딩 접착하도록 이루어진 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글래스 원판에 필름의 연속 부착 및 부착 정확도를 항상 균일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턴테이블의 수평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결합되고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끼움홈을 구비한 고정블록, 상기 턴테이블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부를 구비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안착된 글라스를 정위치로 정렬하는 정렬수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의 전후좌후 측면에서 각각,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동일 스트로크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턴테이블의 측면에 안착된 글래스 원판의 전후좌후 측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정렬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턴테이블 하부에서 전후좌우 수평이동 및 상하 수직이동, 그리고 수평회전 가능도록 설치되어, 반전한 턴테이블의 하면에 고정된 글래스 원판에 부착 필름을 본딩 접착하는 본딩유닛으로써, 부착 필름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피딩되는 부착 필름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부, 커팅된 부착 필름을, 상기 글래스 원판으로 상승 가압하여 부착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서 부착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를 가로질러 좌우 수평이동 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글래스 원판에 부착된 부착 필름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 박리된 보호 필름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는,
상면에 글래스 원판이 안착되어 고정되고, 180 ° 반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수평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안착된 글라스를 정위치로 정렬하는 정렬수단;
상기 턴테이블 하부에서 전후좌우 수평이동 및 상하 수직이동, 그리고 수평회전 가능도록 설치되어, 반전한 턴테이블의 하면에 고정된 글래스 원판에 부착 필름을 본딩 접착하는 본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턴테이블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결합되고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끼움홈을 구비한 고정블록,
상기 턴테이블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부를 구비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에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턴테이블의 전후좌후 측면에서 각각,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동일 스트로크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턴테이블의 상면에 안착된 글래스 원판의 전후좌후 측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정렬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에서, 상기 본딩유닛은,
부착 필름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피딩되는 부착 필름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부,
커팅된 부착 필름을, 상기 글래스 원판으로 상승 가압하여 부착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서 부착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를 가로질러 좌우 수평이동 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글래스 원판에 부착된 부착 필름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
박리된 보호 필름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는, OLED,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내지 LED 조명의 제조에 있어서, 글래스 원판에 필름 등의 박판, 예를 들어 이방 전도성 필름과 같은 부착 필름을 부착할 때,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이물질의 자연 낙하에 의한 부착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부착 필름의 본딩 접착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클린룸에서 작업을 실시하더라도,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하여, 작업 중인 글래스 원판에 개재되는 상황를 극소화하여, 미세 이물질에 의한 불량품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따른 부분 도면들로써,
도 5, 도 7은 본 발명의 측면도이고, 도 6, 도 8,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턴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 도 14는 본 발명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본딩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내부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3을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정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글래스 원판의 부착면에 필름 등의 박판, 예를 들어 이방 전도성 필름과 같은 부착 필름을 본딩 접착할 수 있는 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는, 크게 이물질 유입 및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이오나이저(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밀폐 형성된 본체(1)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턴테이블(10), 상기 턴테이블(10)의 각 측면에 구비된 고정수단(20)과 정렬수단(30),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10) 하부에 구비된 본딩유닛(4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착 필름'이란, 부착대상체(글래스 원판(G))에 부착(또는 탑재)되는 다양한 피부착대상체, 특히 박판 소재를 대표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 '부착 필름'으로써 이방 전도성 필름을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본체(1)는 프레임에 결합된 투명 밀폐판이 결합되어 내부 공간이 밀폐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에 글래스 원판(G)을 공급 및 배출 이송하기 위한 투입로봇(I)이 인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투입부가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 상부에 집진기(4)가 설치되어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한다.
이러한 본체(1)는 일측에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와, 필름 부착 장치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패널(3)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와 조작 패널(3)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 통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투입로봇(I)은 양측 지지바가 글래스 원판(G)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부로 전진 이동하여 글래스 원판(G)을 턴테이블(10)로 인계한 후 다시 후진 이동하여 대기하고, 부착 필름의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투입부로 다시 전진 이동하여 작업이 완료된 글래스 원판(G)을 인계받아 후진 이동하여 글래스 원판(G)을 배출한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10)은, 상면에 글래스 원판(G)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180 ° 반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턴테이블(10)은 전후 측면에 연결된 회전축(11a)이 본체(1)의 프레임에 축 결합되어, 회전 모터(11)에 의해 회전축(11a)을 축으로 턴테이블(10)이 180 ° 회전하여 상면에 안착된 글래스 원판(G)을 반전시킨다.
상기 턴테이블(10)의 상면에 글래스 원판(G)을 고정, 안착하기 위한 안착수단, 특히 턴테이블(10)이 180 ° 반전 회전한 상태에서도 하면에 배치된 글래스 원판(G)이 낙하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안착수단은, 턴테이블(10)의 상면에 마련된 흡착부(12)에 진공 압력을 걸어주는 진공 흡착기(미도시)로 이루어져, 부착 필름의 부착 작업 시 본딩유닛(4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턴테이블(10)은, 반전 회전 시 수평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싱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며,
후술하는 고정수단(20) 및 정렬수단(30)과 함께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투입로봇(I)이 본체(1) 내부로 진입하였을 때, 글래스 원판(G)을 지지바에서 인계받거나, 글래스 원판(G)을 지지바로 인계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턴테이블(10)의 수평 상태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턴테이블(10)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결합되고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끼움홈(21a)을 구비한 고정블록(21),
상기 턴테이블(10)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끼움홈(21a)에 끼워지는 끼움돌부(22a)를 구비하여 상기 턴테이블(10)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22)를 포함한다.
즉, 글래스 원판(G)이 턴테이블(10)의 상면 또는 턴테이블(10)의 하면에 배치되도록 턴테이블(10)이 180 °회전하였을 때, 회전 모터(11)의 제어 정밀도가 부정확하여 수평 상태가 틀어질 수 있으므로, 턴테이블(10)의 반전 회전 전후에 각각, 상기 클램핑부재(22)가 전진 이동하여 끼움돌부(22a)가 고정블록(21)의 끼움홈(21a)에 끼워지면서 턴테이블(10)의 측면을 가압하여 턴테이블(10)이 항상 동일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강제한다.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클램핑부재(22)의 끼움돌부(22a)를 전후진 시키는 실린더(22b)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수단(20)은, 턴테이블(10)의 전후좌우 네 측면에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턴테이블(10)의 반전 회전 구조 상, 회전축(11a)의 축방향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수평 상태가 주로 틀어지게 되므로, 턴테이블(10)의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전후 측면에 고정수단(2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턴테이블(10)의 수평 상태가 좌우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고정수단(20)이, 턴테이블(10)의 전후 측면에서 양측 각 모서리부에 인접한 위치에 수평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수단(30)은, 상기 턴테이블(10)의 상면에 안착된 글래스 원판(G)을 정위치로 정렬하는 것으로,
상기 턴테이블(10)의 전후좌후 측면에서 각각,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동일 스트로크(stroke, 길이)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턴테이블(10)의 상면에 안착된 글래스 원판(G)의 전후좌후 측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정렬하는 정렬부재(31)를 포함한다.
즉, 턴테이블(10)의 상면에 글래스 원판(G)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부재(31)가 글래스 원판(G)의 전후좌우 네 측면을 향해, 동시에 동일한 스트로크만큼 전진 이동하면, 글래스 원판(G)이 정렬부재(31)들에 의해 항상 동일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고,
이렇게 글래스 원판(G)이 정위치로 정렬된 상태에서, 턴테이블(10)의 흡착부(12)에 진공 압력이 발생하면, 턴테이블(10)의 반전 회전 및 글래스 원판(G)의 교체에 상관없이 글래스 원판(G)의 위치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어, 본딩유닛(40)을 이용한 부착 필름의 본딩 접착이, 입력된 좌표를 따라 정확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31)는 실린더(31b)에 의해 전후진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접촉롤러(31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정렬부재(31)들의 가압에 의해 글래스 원판(G)이 이동하여 정렬될 때 정렬부재(31)와 글래스 원판(G)의 접촉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정렬수단(30)은, 턴테이블(10)의 전후좌우 네 측면에 모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정렬수단(30)이 턴테이블(10)의 전후좌우 네 측 측면에서, 양측 각 모서리부에 인접한 위치에 수평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수단(30)은, 상기 각 정렬부재(31) 상부에 설치되어, 정렬된 글래스 원판(G)의 각 모서리부를 촬영하여 정위치 정렬 여부를 측정하는 얼라인(align) 비젼 카메라(32)를 포함한다.
상기 얼라인 비젼 카메라(32)는, 측정 레이저를 직하방으로 직선 조사하여, 글래스 원판(G)의 각 모서리부가, 측정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를 판단하며,
글래스 원판(G)이 정위치로 정렬되지 않았을 경우, 정렬부재(31)를 다시 작동시켜 글래스 원판(G)이 정위치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정렬부재(31)의 재작동 시에는, 전진 이동하는 접촉롤러(31a)의 스트로크가 최초 작동 시와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딩유닛(40)은, 상기 턴테이블(10) 하부에서 전후좌우 수평이동 및 상하 수직이동, 그리고 수평회전 가능도록 설치되어, 반전한 턴테이블(10)의 하면에 고정된 글래스 원판(G)에 부착 필름을 본딩 접착하는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바닥면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전후 수평 프레임(41)과, 상기 전후 수평 프레임(41)과 직교되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전후 수평 프레임(41)을 따라 전후 수평이동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된 좌우 수평 프레임(42)과, 상기 좌우 수평 프레임(42)을 따라 좌우 수평이동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며 360° 수평회전하도록 구비된 회전판(43)을 포함한다.
상기 본딩유닛(40)은, 부착 필름이 부착될 글래스 원판(G)의 규격(크기)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턴테이블(10)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4개의 본딩유닛(40)이 전후로 배열되어, 총 8개의 본딩유닛(40)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2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본딩유닛(40)은, 부착 필름의 부착 작업 전에, 좌우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상기 턴테이블(10)의 반전 회전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턴테이블(10)의 반전 회전이 완료되면, 턴테이블(10) 하부로 수평 이동한 후 상승한 상태에서, 입력된 부착 필름의 부착 좌표를 따라 전후좌우 수평이동 및 회전하여 글래스 원판(G)의 하면에 부착 필름을 본딩 접착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딩유닛(40)은, 서보모터와 볼스크류로 이루어진 승강수단(40A)을 통해 수직 플레이트가 1차 상승된 상태에서, 승강 실린더(47B)에 의해 상하로 수직 이동하도록 결합된 헤드부(47)가 부착 필름을 상승 가압하여 글래스 원판(G)에 본딩 접착하며,
수직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 상하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피딩롤러(44)가 설치되어 부착 필름을 헤드부(47)로 공급함과 동시에, 부착 필름에서 박리된 보호 필름을 배출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딩유닛(40)은,
부착 필름을 공급하는 공급부(45),
상기 공급부(45)에서 피딩되는 부착 필름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부(46),
커팅된 부착 필름을, 상기 글래스 원판(G)으로 상승 가압하여 부착하는 헤드부(47),
상기 헤드부(47)의 상면에서 부착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를 가로질러 좌우 수평이동 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글래스 원판(G)에 부착된 부착 필름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48),
박리된 보호 필름을 회수하는 회수부(49)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45)는, 부착 필름이 권취된 공급릴(45a)이 장착되는 것으로, 피딩롤러(44)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공급릴(45a)에서 풀어지는 부착 필름을 커팅부(46), 헤드부(47)로 순차 공급한다.
상기 커팅부(46)는, 보호 필름이 합지된 부착 필름에서, 부착 필름만을 부착 규격에 맞게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것으로, 도 13의 우측 하부 확대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45)와 헤드부(47) 사이의 중간 높이 일측에 설치되며,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하는 절단칼날(46A)을 구비한 커팅블록(46A)포함한다.
이러한 커팅부(46)는, 상기 공급릴(45a)의 부착 필름이 피딩되어 헤드부(47)로 이동할 때, 절단칼날(46A)이 부착 필름을 향해 전진 이동하여 부착 필름만을 절단한 후 다시 후진 이동한다.
다시 도 12, 그리고 도 13의 우측 상부 확대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47)는, 상기 커팅부(46)에서 절단된 부착 필름이 상부를 향하도록 안착되는 접착블록(47A)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딩유닛(40)의 수직 플레이트가 1차 상승된 상태에서, 승강 실린더(47B)에 의해 헤드부(47)가 상승하여 접착블록(47A)의 상면에 안착된 부착 필름을 글래스 원판(G)의 하면에 가압하여 본딩 접착하고, 본딩 접착 후 헤드부(47)가 하강하면 부착 필름에서 박리된 보호 필름이 접착블록(47A)에 안착된 상태로 회수부(49)로 배출 회수된다.
상기 박리부(48)는, 상기 헤드부(47)를 이용한 부착 필름의 본딩 접착 중, 부착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를 가로지르면서 좌우 수평이동하여, 부착 필름을 글래스 원판(G)에 가압 부착시킴과 동시에 보호 필름을 분리시키는 것으로,
좌우 수평 이동하는 박리실린더(48A)와, 상기 박리실신더(48A)의 끝단부에 접착블록(47A)의 가이드부(47a)와 접촉하면서 수평 이동하는 분리봉(48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접착블록(47A)의 가이드부(47a)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측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봉(48a)은 박리실린더(48A)의 중심에서 벗어난 일측에 편심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헤드부(47)의 상승 가압에 의해 부착 필름이 본딩 접착할 때, 헤드부(47)의 상승 속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속도록 박리실린더(48A)가 제1 수평부를 따라 제2 수평부 방향으로 수평이동을 하게 되면, 편심 결합된 분리봉(48a)이 수직부에 접촉하면서 편심 회전하여 제2 수평부를 타고 올라가 부착 필름을 글래스 원판(G)에 가압 부착함과 동시에 보호 필름이 박리되고,
보호 필름의 박리 후 박리실린더(48A)가 제2 수평부를 따라 제1 수평부 방향으로 수평이동을 하게 되면, 분리봉(48a)이 수직부에 의해 본래 위치로 편심 회전하여 하강하면서 제1 수평부를 타고 원상 복귀되면서 하부의 보호 필름을 가압하여 보호 필름이 부착 필름과 함께 상승하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부(49)는, 피딩롤러(44)들에 의해 헤드부(47)에서 배출되는 보호 필름이 권취되는 회수릴(49a)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부(45)의 공급릴(45a) 및 피딩롤러(44)들과 연동 회전하여, 부착 필름에서 박리된 보호 필름을 회수릴(49a)에 감아서 회수한다.
상기 공급부(45)와 회수부(49)는 각각, 공급릴(45a) 및 회수릴(49a)을 탈부착하여 부착 필름의 소모 시 각 릴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본딩유닛(4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플레이트(보다 엄밀하게는 접착블록(47A)이 결합된 수직 플레이트의 반대면)에 반전된 글래스 원판(G)을 촬영하여 검사할 수 있는 검사 비전 카메라(40C)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검사 비전 카메라(40C)는, 본딩유닛(40)이 부착 필름을 부착할 때, 필름이 부착될 영역 및 부착된 필름의 적합 여부를 촬영하여 검사한다.
검사 결과, 필름이 부착될 영역 또는 부착된 필름이 불량으로 부착된 경우, 해당 글래스 원판에 대한 불량 정보를 저장하거나, 작업자에게 부적합 여부를 알려, 시정 조치를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상기한 구성의 필름 부착 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로봇(I)의 지지바에 작업할 글래스 원판(G)이 고정되면, 투입로봇(I)이 전진 이동하여, 본체(1) 내부로 진입한다.
투입로봇(I)에 의해 글래스 원판(G)이 턴테이블(10)의 상부로 이동되면,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수단(20)이 작동하여 상부에 글래스 원판(G)이 안착된 턴테이블(10)의 수평 상태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상기 턴테이블(10)이 상승하여, 턴테이블(10)의 상면에 글래스 원판(G)이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바가 벌어져 글래스 원판(G)을 턴테이블(10)로 전달하고, 투입로봇(I)은 다시 후진 이동하여 본체(1) 외부로 이탈하여 대기한다.
투입로봇(I)이 이탈하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에 의해 턴테이블(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수단(30)이 작동하여 글래스 원판(G)을 정위치로 정렬하며, 만약 얼라인 비젼 카메라(32)에 의해 글래스 원판(G)이 정위치에 정렬되지 않을 경우 정렬부재(31)를 재작동시킨다.
그리고 글래스 원판(G)의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턴테이블(10)의 흡착부(12)에 진공 압력을 걸어주면, 글래스 원판(G)은 정위치에 고정,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고정수단(20)과 정렬수단(30)의 원상 복귀하도록 작동한 다음, 턴테이블(10)이 180 °반전 회전한 후, 다시 고정수단(20)이 작동하면, 턴테이블(10)은 글래스 원판(G)의 정렬 전 수평 상태와 동일하게 수평 유지되고, 따라서 정렬 후 반전된 글래스 원판(G)은 항상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 본딩유닛(40)에 의한 부착 필름의 본딩 접착이 정확하게 실시된다.
다음으로 글래스 원판(G)의 정렬 후 반전이 완료되면, 도 11과 같이, 상기 본딩유닛(40)이 턴테이블(10) 하부로 수평이동 후,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승강수단(40A)이 작동하여 수직 플레이트가 1차 상승한다.
그리고 피딩롤러(44)의 작동을 통해 보호 필름이 합지된 상태의 부착 필름이 공급부(45)의 공급릴(45a)에서 풀려 헤드부(47)로 공급된다.
부착 필름의 이동 중, 상기 커팅부(46)가 전후진 작동하면, 부착 필름이 소정 길이만큼 절단된 상태로 보호 필름과 함께 헤드부(47)로 이동한다.
헤드부(47)의 접착블록(47A) 상면에, 절단된 부착 필름이 이동되면 승강 실린더(47B)가 작동하여 헤드부(47)를 상승시켜 접착블록(47A)의 상승 가압에 의해 부착 필름이 글래스 원판(G)의 하면에 본딩 접착된다.
이와 동시에, 박리부(48)의 박리실린더(48A)가 좌우 수평이동을 하여 분리봉(48a)이 연속된 보호 필름과 절단된 부착 필름 사이를 가로질러, 보호 필름에서 부착 필름이 분리되면서 글래스 원판(G)에 부착된다.
이때 박리실린더(48A)의 분리봉(48a)은 편심 결합 구조 및 가이드부(47a) 구조에 의해, 수평이동 중에 상하로 높이가 변화됨에 따라, 부착 필름에 대한 상승 가압 및 보호 필름에 대한 하강 분리 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딩유닛(40)은 전후좌우 수평 프레임(41)(42) 및 회전판(43)에 의해 좌표 이동 및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한 부착 필름의 공급-커팅-접착 작업이 계속 실시되어, 글래스 원판(G)에 부착 필름을 부착한다.
또한 상기 본딩유닛(40)의 헤드부(47) 및 박리부(48)를 통한 필름 부착 작업시, 상기 검사 비전 카메라(40C)는 필름이 부착될 영역 및 부착된 필름의 적합 여부를 촬영 및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47) 및 박리부(48)에 의한 부착 필름의 부착이 완료되면, 부착 필름이 박리된 보호 필름은 피딩롤러(44)에 의해 회수부(49)로 이동하고,
회수부(49)로 이동한 보호 필름은 회수릴(49a)에 감겨서 회수된다.
이러한 일련의 부착 필름 부착 작업이 완료되면, 도 15와 같이, 각 본딩유닛(40)은 턴테이블(10)의 좌우측 소정 위치로 수평이동하여, 턴테이블(10)의 180 °반전 회전을 위한 공간을 마련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수단(20)이 후진 작동하여 턴테이블(1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면, 턴테이블(10)은 다시 180 ° 반전 회전하여 글래스 원판(G)이 상면에 배치되도록 뒤집는다.
턴테이블(10)의 복귀 회전 후, 상기 고정수단(20)이 전진 작동하여 턴테이블(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로봇(I)이 글래스 원판(G) 상부로 전진 이동하여 본체(1) 내부로 재진입한다.
투입로봇(I)의 진입이 완료되면, 턴테이블(10)이 상승하여 상면에 안착된 글래스 원판(G)에 대한 진공 흡착을 해제한 후, 글래스 원판(G)을 투입로봇(I)의 지지바로 전달하고,
지지바 작동을 통해 글래스 원판(G)을 인계받은 상태에서 투입로봇(I)이 후진 작동하여 본체(1) 외부로 이탈함으로써, 부착 필름이 부착된 글래스 원판(G)이 배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일련의 작동이 반복 실시되면서, 글래스 원판(G)에 대한 부착 필름의 부착 작업을 매우 정확하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턴테이블(10)의 반전 회전 구조를 통해, 글래스 원판(G)이 하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진 상태에서 부착 필름의 부착 작업이 실시되므로,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이물질이 글래스 원판(G)으로 자연 낙하하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중력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필름을 이송, 부착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심지어 클린룸과 같이 이물질 발생이 최소화된 장소에서 필름 부착 작업이 실시되더라도, 작업 중 발생하는 미세 먼지가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부착면에 개재되는 상황 발생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조작패널에 내장된 제어부의 신호를 통해 상기 투입로봇(I), 턴테이블(10), 고정수단(20), 정렬수단(30), 본딩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온도, 습도, 먼지 등)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고,
이렇게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100)을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유입될 노이즈를 사전에 검출 및 제거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100)은 여러 단계를 거쳐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제어신호 출력에 앞서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모듈(100)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생성모듈(100)은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신호생성모듈(100)의 각 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증폭회로(111)와 제2증폭회로(11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한다.
제1증폭회로(111) 및 제2증폭회로(112)의 동작 및 효과를 제1증폭회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앰프(A101)는 분배저항(R101)(R102)과 피드백저항(R106), 그리고 접지 저항에 의해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신호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증폭시킴에 따라 노이즈 역시 함께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캐패시터(C105)는 앰프(A101)의 발진을 방지한다.
제2증폭회로(112)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호용 전원의 증폭이 이루어진다.
또한 노이즈증폭부(110)는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호용 전원이 제1증폭회로(111)에서 1차로 증폭되고, 그 출력이 제2증폭회로(112)로 전송되어 2차 증폭됨에 따라 신호용 전원을 2중으로 보다 현저하게 증폭시켜 노이즈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한다.
또한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노이즈검출부(12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인가회로(122)는 노이즈증폭부(11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을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를 통해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노이즈 성분만 남긴다. 이 후 노이즈 성분을 저항(R202)에 인가한다.
이 후 기준회로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에 의해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비교기(121)가 기준전압과 저항(R202)에 인가된 노이즈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노이즈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필터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 미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필터부(1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신호용 전원이 바로 신호생성부로 전달되도록 한다.(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의 선택은 필터구동부(14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필터구동부(1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124)의 구비를 통해 필터구동부(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구동부(140)가 구동 및 비구동을 반복하면서 수명 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딜레이회로(124)를 구비하여 필터구동부(140)의 작동 후 일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계속하여 필터구동부(140)를 구동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필터링회로(132)는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제2필터링회로(132)와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필터부(130)를 통해, 3단에 걸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의 노이즈필터에 비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노이즈의 제거 후 직류에 가까운 일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류나 직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는 도면에서는 2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로만 구비하면 되고, 필요한 전압 강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50)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이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를 통과하면서 제어신호에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잡음에 대해서는 필터링용 인덕터(L501)와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에 의해 제거되어,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출력부(16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신호출력부(160)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회로 별로 동작 및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안정화회로(162)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6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정화회로(162)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를 통해 캐패시터(C601)에 저장함으로써 신호 유입에 대한 완충을 제공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다음 감지회로(163)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과 저항(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지회로(163)는 제어신호의 전류를 저항(R602)을 통해 전압으로 변환하고, 저항(R603)에 인가되며, 캐패시터(C602)(C603)를 통해 필터링되어 출력제어소자(161)로 전달한다. 이 후 출력제어소자(161)는 감지회로(163)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될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의 재 필터링을 명령하게 된다.
다음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력제어소자(161)는 제어신호의 출력 상태를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출력하기 위한 소자로 항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제품 전체에 공급되는 전원은 물론 비상상황을 대비한 추가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회로(164)가 신호용 전원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출력제어소자(16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게끔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을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저장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도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다이오드(D604)를 통해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각 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필름 부착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G : 글래스 원판 I : 투입로봇
10 : 턴테이블 11 : 회전모터
11a : 회전축 12 : 흡착부
20 : 고정수단 21 : 고정블록
21a: 끼움홈 22 : 클램핑부재
22a : 끼움돌부 22b : 실린더
30 : 정렬수단 31 : 정렬부재
31a : 접촉롤러 31b : 실린더
32 : 얼라인 비전 카메라 40 : 본딩유닛
41, 42 : 수평 프레임 43 : 회전판
44 : 피딩롤러 45 : 공급부
45a : 공급릴 46 : 커팅부
46A : 커팅블록 47 : 헤드부
47A : 접착블록 47a : 가이드부
48 : 박리부 48A : 박리 실린더
48a : 분리봉 49 : 회수부
49a : 회수릴 40C : 검사 비전 카메라

Claims (4)

  1. 상면에 글래스 원판(G)이 안착되어 고정되고, 180 ° 반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턴테이블(10);
    상기 턴테이블(10)의 수평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0);
    상기 턴테이블(10)의 상면에 안착된 글래스 원판(G)를 정위치로 정렬하는 정렬수단(30);
    상기 턴테이블(10) 하부에서 전후좌우 수평이동 및 상하 수직이동, 그리고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반전한 턴테이블(10)의 하면에 고정된 글래스 원판(G)에 부착 필름을 본딩 접착하는 본딩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지되,

    상기 본딩유닛(40)은,
    부착 필름을 공급하는 공급부(45),
    상기 공급부(45)에서 피딩되는 부착 필름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부(46),
    커팅된 부착 필름을, 상기 글래스 원판(G)으로 상승 가압하여 부착하는 헤드부(47),
    상기 헤드부(47)를 이용한 부착 필름의 본딩 접착 중, 상기 헤드부(47)의 상면에서 부착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를 가로질러 좌우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부착 필름을 글래스 원판(G)에 가압 부착시킴과 동시에 부착 필름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48),
    박리된 보호 필름을 회수하는 회수부(49)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부(48)는, 좌우 수평 이동하는 박리실린더(48A)와, 상기 박리실린더(48A)의 끝단부에 접착블록(47A)의 가이드부(47a)와 접촉하면서 부착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를 가로질러 좌우 수평이동하는 분리봉(48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블록(47A)의 가이드부(47a)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측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봉(48a)은 박리실린더(48A)의 중심에서 벗어난 일측에 편심 결합되어 있어,

    상기 박리실린더(48A)가 좌우 수평 이동할 때, 상기 분리봉(48a)이 상기 가이드부(47a)의 제1 수평부, 수직부, 제2 수평부를 따라 이동하되, 수직부에서 분리봉(48a)의 편심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박리실린더(48A)가 제1 수평부에서 제2 수평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때, 상기 분리봉(48a)이 제2 수평부를 타고 올라가 이동하면서, 부착 필름을 글래스 원판(G)에 가압 부착함과 동시에 보호필름이 박리되고,
    상기 박리실린더(48A)가 제2 수평부에서 제1 수평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때, 상기 분리봉(48a)이 제1 수평부를 타고 원상 복귀되면서 하부의 보호 필름을 가압하여 보호 필름이 부착 필름과 함께 상승하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턴테이블(10)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결합되고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끼움홈(21a)을 구비한 고정블록(21),
    상기 턴테이블(10)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끼움홈(21a)에 끼워지는 끼움돌부(22a)를 구비하여 상기 턴테이블(10)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30)은,
    상기 턴테이블(10)의 전후좌후 측면에서 각각,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동일 스트로크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턴테이블(10)의 상면에 안착된 글래스 원판(G)의 전후좌후 측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정렬하는 정렬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재(31)는,
    실린더(31b)에 의해 전후진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접촉롤러(3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부착 장치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조작 패널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갖는 신호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증폭부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 및 상기 제2증폭회로는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증폭회로의 앰프 출력단과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비교기, 이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가회로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링회로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와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링회로(132)와 상기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생성부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출력부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 이 출력제어소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 출력제어소자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 및, 출력제어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안정화회로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601)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회로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회로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 장치.
KR1020160089283A 2016-07-14 2016-07-14 필름 부착 장치 KR10171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83A KR101717764B1 (ko) 2016-07-14 2016-07-14 필름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83A KR101717764B1 (ko) 2016-07-14 2016-07-14 필름 부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764B1 true KR101717764B1 (ko) 2017-03-17

Family

ID=5850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283A KR101717764B1 (ko) 2016-07-14 2016-07-14 필름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76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799A (ko) * 2018-01-14 2019-07-24 (주)현성인터텍 고투과율 tsp모듈 라미네이트 장비
WO2019142950A1 (ko) * 2018-01-16 2019-07-25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
CN112477093A (zh) * 2019-09-12 2021-03-12 成都拓米双都光电有限公司 贴膜设备和贴膜方法
KR20210145628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합착방법
CN114340189A (zh) * 2022-01-13 2022-04-12 深圳市昶东鑫线路板有限公司 一种基于电路板的精修、检测、测试、包装设备
KR20220050149A (ko) * 2019-11-29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CN114571716A (zh) * 2022-04-07 2022-06-03 深圳一鑫新材料有限公司 双面贴合设备
CN114801151A (zh) * 2022-05-24 2022-07-29 深圳市九天中创自动化设备有限公司 分段式柔性膜材贴合设备及贴合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960B1 (ko) * 2012-01-11 2012-08-20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자동 부착 장치
KR101398102B1 (ko) * 2014-01-27 2014-05-28 한동희 패널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960B1 (ko) * 2012-01-11 2012-08-20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자동 부착 장치
KR101398102B1 (ko) * 2014-01-27 2014-05-28 한동희 패널 부착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799A (ko) * 2018-01-14 2019-07-24 (주)현성인터텍 고투과율 tsp모듈 라미네이트 장비
KR102019389B1 (ko) 2018-01-14 2019-09-06 (주)현성인터텍 고투과율 tsp모듈 라미네이트 장비
WO2019142950A1 (ko) * 2018-01-16 2019-07-25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및 이의 부착장치
CN112477093A (zh) * 2019-09-12 2021-03-12 成都拓米双都光电有限公司 贴膜设备和贴膜方法
KR20220050149A (ko) * 2019-11-29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KR102702435B1 (ko) * 2019-11-29 202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KR20210145628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합착방법
KR102428167B1 (ko) * 2020-05-25 2022-08-02 (주)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합착방법
CN114340189A (zh) * 2022-01-13 2022-04-12 深圳市昶东鑫线路板有限公司 一种基于电路板的精修、检测、测试、包装设备
CN114340189B (zh) * 2022-01-13 2023-12-19 深圳市众芯合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路板的精修、检测、测试、包装设备
CN114571716A (zh) * 2022-04-07 2022-06-03 深圳一鑫新材料有限公司 双面贴合设备
CN114801151A (zh) * 2022-05-24 2022-07-29 深圳市九天中创自动化设备有限公司 分段式柔性膜材贴合设备及贴合方法
CN114801151B (zh) * 2022-05-24 2023-12-05 深圳市九天中创自动化设备有限公司 分段式柔性膜材贴合设备及贴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764B1 (ko) 필름 부착 장치
CN106793747B (zh) 一种自动fpc贴合机及贴板方法
KR100976801B1 (ko) 윈도우 필름부착장치
JP5889973B2 (ja) パネル取り付けユニットと、これを有するパネル取り付け装置及びパネル取り付け方法
KR101400676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KR20100078476A (ko) 인쇄회로기판의 보호필름 박리 장치 및 그 방법
CN216212007U (zh) 一种模组显示屏Mylar胶贴附设备
KR102057588B1 (ko) 기판 보호필름 박리장치
CN210881262U (zh) 一种撕膜装置
KR100556339B1 (ko)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CN114523753A (zh) 一种剥离装置、剥离贴附装置以及剥离方法
JP6341760B2 (ja) 検出装置、検出方法、基板搬送装置、基板処理装置
CN212354688U (zh) 自动检测贴标机
KR101438541B1 (ko) 보호필름 박리장치
CN110308359B (zh) 一种显示面板承载装置
JP2012001291A (ja) 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フィルム剥離方法
KR20160135071A (ko) 테이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착방법
CN102539482A (zh) 透明薄膜微孔缺陷微电流检测系统
KR102064727B1 (ko) 시트 부착 장치 및 장치의 대형화 방지 방법
CN220744868U (zh) 一种自动化胶带贴附一体机及其生产线
KR20220139713A (ko) 반도체 인쇄회로기판의 보호필름 자동박리기 및 자동박리방법
JP2010017634A (ja) 基板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KR20080050819A (ko) 이방성도전필름 부착 장치
CN115072099A (zh) 用于处理工件的生产线及工件处理方法
JPWO2010041610A1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