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339B1 -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339B1
KR100556339B1 KR1020050010955A KR20050010955A KR100556339B1 KR 100556339 B1 KR100556339 B1 KR 100556339B1 KR 1020050010955 A KR1020050010955 A KR 1020050010955A KR 20050010955 A KR20050010955 A KR 20050010955A KR 100556339 B1 KR100556339 B1 KR 10055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roller
cell
attach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권
방신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5001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339B1/ko
Priority to TW095102661A priority patent/TWI275837B/zh
Priority to CNB2006100033477A priority patent/CN100517003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FT-LCD 제작과정에서 액정표시소자 셀과 편광판을 상호 부착시키는 편광판 부착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소자 셀은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에서 이송하면서 그 양면에 편광판을 동시에 부착시키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공급되는 액정표시소자 셀(cell)의 양면에 편광판을 동시에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 모듈;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에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의 액정표시소자 셀을 공급하는 셀 공급 모듈;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양측방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양측에 각각 편광판을 공급하는 편광판 공급 모듈;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에 의하여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표시소자 셀을 배출하는 셀 배출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광판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VERTICAL TYPE APPARATUS FOR ATTACHING A POLARIZING PLATE TO LCD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 롤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분리 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의 구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사부의 구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편광판 카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이동부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반송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얼라인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에 의하여 소형 액정표시소자 셀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TFT-LCD 제작과정에서 액정표시소자 셀과 편광판을 상호 부착시키는 편광판 부착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소자 셀은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에서 이송하면서 그 양면에 편광판을 동시에 부착시키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사회가 정보화 됨에 따라 정보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는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그것이 갖고 있는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소비화 등의 장점 때문에, 액정표시장치는 CRT(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수단으로써 점차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는 사용자와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내부 의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소자 셀(Cell)이 사용된다. 이 경우, 액정표시소자 셀은 액정을 개재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부 및 하부 기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액정표시소자 셀을 이루는 상하부기판의 최외곽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된다. 이 편광판은 액정을 투과한 빛 중 특정 방향으로 강하게 진동하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액정표시소자 셀이 자신에게 부여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종래에 편광판 부착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편광판 부착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편광판 부착장치는 외부에서 수평인 상태로 공급되는 액정표시소자 셀을 패널 정렬지그에 로딩하고, 외부에 적재되어 있는 편광판을 1매씩 적출하여 편광판 정렬지그에 로딩하고 난 후 상기 편광판 정렬지그를 소정 각도 기울여 패널과 맞물리도록 한 후, 롤러로 양자를 가압하는 방법으로 편광판을 부착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편광판 부착장치는 수평방향으로 공급되는 액정표시소자 셀의 일면에 편광판을 부착한 후, 다음 면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편광판 부착 작업에 소요되는 공정시간이 길어지고, 편광판 부착장치가 차지하는 풋프린트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판을 수평으로 이송하면서 공정이 진행되므로 연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오염물질과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서 셀 표면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을 수직으로 이송시켜 장치가 차지하는 풋프린트를 줄 이면서도 텍타임이 짧게 소요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으로 공급되는 액정표시소자 셀(cell)의 양면에 편광판을 동시에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 모듈;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에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의 액정표시소자 셀을 공급하는 셀 공급 모듈;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양측방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양측에 각각 편광판을 공급하는 편광판 공급 모듈;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에 의하여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표시소자 셀을 배출하는 셀 배출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광판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편광판 부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관판 부착 모듈(100); 셀 공급 모듈(200); 편광판 공급 모듈(300); 셀 배출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편광판 부착 모듈(100)은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공급되는 액정표시소자 셀(cell)의 좌우 양면에 편광판을 동시에 부착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편광판 부착 모듈(100)을, 부착 롤러(110); 편광판 피딩 부(120); 보호 필름 박리부(130);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먼저 부착 롤러(110)는, 액정표시소자 셀의 양면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 부착 롤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원통형 롤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되, 양 부착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셀 공급 모듈에 의하여 이송되는 액정표시소자 셀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에서 접촉되며 양 롤러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힘이 가해지는 상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양 부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특정한 부재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양 부착 롤러는 그 사이로 특정한 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 롤러 사이의 간격이 변동가능한 구조로 마련되되, 양 부착 롤러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크기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탄성부재에 의하여 양 부착 롤러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힘에 의하여 가압하는 압력제공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마련된다. 이 압력 제공부는, 상기 부착 롤러(110)에 각각 결합되어 마련되며, 상기 부착 롤러(11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부착 롤러의 접촉면에 항상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부착 롤러(110) 사이로 액정표시소자 셀(L) 및 편광판(P)을 통과시키고, 부착 롤러(110)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편광판(P)이 액정표시소자 셀(L)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부착 롤러(110) 사이로 액정표시소자 셀 및 편광판이 통과하면서 양 부착 롤러 사이의 간격이 변동되더라도 상기 압력 제공부에 의하여 양 부착 롤러(110) 사이에 항상 일정한 크기의 압력이 가해진다.
한편 상기 편광판은, 피딩된 편광판이 이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감긴 상태로 이동된다. 편광판 자체가 유연성이 크므로 부착 롤러(110)가 편광판(P)을 당기면 편광판이 휘면서 부착 롤러(110)에 감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편광판(P)이 부착 롤러(110)에 감긴 상태로 회전되면서 액정표시소자 셀에 부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 부착 롤러(110)에 피딩된 편광판(P)이 부착 롤러(110)에서 이탈되지 않고 감긴 상태로 잘 유지되면서 회전되도록 편광판 흡착부(112)가 더 마련된다. 이 편광판 흡착부(112)는 진공 흡착력을 이용하여 편광판(P)을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흡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편광판 흡착부(112)를 상기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착공(112a);과 이 흡착공(112a)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도면에 미도시);로 구성한다. 부착 롤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그 내부 공간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가 마련되므로, 전술한 흡착공(112a)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흡착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편광판(P)이 액정표시소자 셀(L)과 부착된 후에는 부착 롤러(110)로부터 분리되고 액정표시소자 셀로부터 분리되지 않아야 하므로, 편광판에 대한 흡착력을, 액정표시소자와 편광판간의 접착력보다 작은 크기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편광판 피딩부(120)는, 상기 양 부착 롤러(110)의 각 외주면에 각각 편광판(P)이 감기도록 편광판(P)을 피딩(feeding)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편광판 피딩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롤러의 후 측방에 각각 마 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편광판 피딩부(120)를, 피딩 롤러(122);와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으로 구성한다. 여기에서 피딩 롤러(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롤러(110)의 후 측방에 배치되며, 내외 방향으로 평행하게 기립되어 배열되는 내측 롤러(122b) 및 외측 롤러(122a)로 구성된다. 이 내측 롤러(122b) 및 외측 롤러(122a) 사이로 편광판(P)을 통과시켜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 방향으로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피딩 롤러 중 외측 롤러(12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편광판(P)이 최초로 로딩되는 때에는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에 의하여 이동되는 편광판의 전단이 피딩 롤러(122)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외측 롤러(122a)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피딩 롤러(122) 사이의 큰 간격을 형성한다. 그 후, 편광판(P)의 전단이 피딩 롤러(122) 사이로 진입한 후에는 외측 롤러(122a)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편광판의 전단을 확실하게 물어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피딩 롤러(122)가 회전하여 편광판(P)을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피딩하는 것이다.
그리고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딩 롤러(122)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이동부(370)에 의하여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공급되는 편광판의 일측면을 흡착하고, 흡착된 편광판의 전단을 상기 피딩 롤러(122) 사이로 진입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이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은 그 일면의 전면에 걸쳐서 다수개의 흡착공이 형성되어 진공 흡착력에 의하여 편광판을 흡착하한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 피딩 롤러(122) 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흡착된 편광판(P)의 전단을 상기 편광판 피딩 롤러(122) 사이로 진입시켜 편광판이 피딩되도록 한다. 한편 편광판이 상기 편광판 피딩 롤러(122)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되기 위해서, 편광판이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에 흡착되는 경우 편광판의 전단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된 상태에서 흡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광판 피딩부(1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마련되며, 상기 피딩 롤러(122)에 의하여 피딩되는 편광판(P)의 일 측단을 상기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붙이는 붙임 롤러(126)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딩 롤러(122)에 의하여 편광판(P)의 전단이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 방향으로 피딩되면, 부착 롤러(110)의 편광판 흡착부(112)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착력 때문에 편광판(P)이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흡착된다. 그러나 편광판(P)의 전단이 부착 롤러(110)의 정확한 위치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흡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술한 붙임 롤러(126)가 상기 피딩 롤러(122)의 전방에 상기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 편광판(P)을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붙이는 것이다. 편광판이 부착 롤러(110)의 정확한 위치에 흡착되는 것은, 이 후에 액정표시소자 셀과 편광판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액정표시소자 셀과의 정확한 접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다음으로 보호 필름 박리부(130)는, 편광판(P)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구성요소이다. 편광판의 일면에는 액정표시소자 셀과의 확실한 부착을 위해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편광판의 면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편광판을 액정표시소자 셀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이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야 하는데, 전술한 보호 필름 박리부(130)가 이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보호 필름 박리부(130)를, 점착성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 롤러에 흡착된 편광판으로 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이 보호 필름 박리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롤러(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박리 롤러(132); 점착성 테이프 순환 롤러(13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박리 롤러(132)는 상기 부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그 외주면에 점착성 테이프(T)가 감긴 상태로 회전되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점착성 테이프 순환 롤러(1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롤러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어느 한 롤러에서 다른 롤러로 점착성 테이프(T)가 이동되면서 그 이동 경로 중에 점착성 태이프가 상기 박리 롤러(132)를 거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이 점착성 테이프 순환 롤러(134)는 하나의 롤러가 구동 장치(도면에 미도시)에 의하여 스스로 구동되는 구동 롤러로 구성되고, 다른 롤러는 점착성 테이프가 감겨 있어서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되, 상기 구동 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회전되는 종동 롤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보호 필름 박리부(130)에 보호 필름 제거부(136)를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보호 필름 제거부(136)라 함은, 상기 점착성 테이프 순환 롤러(134)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T)에 부착되어 박리된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성 테이프(T)의 이동 경로 중, 박리된 보호 필름이 접착되어 이동되는 경로에 보호 필름 제거 보조 롤러(136a)를 더 형성시켜 점 착성 테이프(T)에 부착된 보호 필름의 전단이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보호 필름의 전단을 집어서 별도로 마련된 배출함(도면에 미도시)에 배출하는 보호 필름 제거용 집게(136b)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보호 필름 제거용 집게(136b)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보호 필름의 전단을 집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보호 필름을 점착성 테이프(T)로부터 분리하고, 배출한다. 그리고 다음 번 보호 필름의 제거를 위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 다음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이 보호 필름 제거용 집게(136b)의 직선 운동을 위하여 실린더를 리니어 가이드에 결합시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편광판 공급 모듈(300)은,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100)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좌우측 부착 롤러에 각각 편광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편광판 공급 모듈(300)을, 평관판 분리 공급부(310);와 편광판 이동부(370)로 구성한다. 여기에서 편광판 분리 공급부(310)는, 다수장이 적층된 편광판 중에서 1장씩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 이동부(370)는, 상기 편광판 분리 공급부(310)에 의하여 분리 이동된 편광판을 편광판 부착 모듈(10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편광판 분리 공급부(310)는, 편광판을 한 장씩 분리하여 편광판 부착장치에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 편광판 분리 공급부(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블럭(314);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는, 편광판 상승부(320)에 의하여 상승 된 다수장의 편광판들 중 최상측의 편광판을 그 하측의 편광판과 분리시킨 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롤러 구조를 가지며, 별도의 동력원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의 외주면은, 편광판(P)과 접촉되었을 때 마찰력이 크게 발생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가 회전하면서 편광판을 분리 및 이동시켜야 하므로 편광판과 접촉할 때 마찰력이 작으면 편광판이 롤러와 쉽게 분리되어 편광판의 분리 및 이동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장이 적층된 편광판의 상측 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최상측에 배치된 편광판의 상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이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에 의해서는 최상측 편광판만이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는 여러가지 규격의 편광판의 공급에 적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 및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작업 대상 편광판의 사이즈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하며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먼저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 등과 분리한다. 그리고 수평 방향으 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보낸 후 다시 하강 시켜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와 접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블럭(314)은 상기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의 하측에 마련되어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에 의하여 이동되는 편광판 중 최상측 편광판을 제외한 나머지 편광판이 이동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블럭(314)을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되, 양자간의 이격 간격은 편광판 1장 두께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편광판 1장은 통과할 수 있지만, 2장의 편광판은 통과할 수 없는 간격으로 양자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음으로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는 상기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에 의하여 2장 이상의 편광판이 한번에 이동되는 경우에 하측 편광판의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블럭(3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블럭(314)에 의하여 방지되지 않고, 2장의 편광판이 이동되는 경우 다시 한번 편광판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를 상기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이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를 회전은 가능하되,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회전하는 롤러로 구성한다. 즉, 롤러의 회전은 가능하되, 그 자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회전 방지력을 가지고 있어서, 이 회전 방지력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회전되는 구조로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는 상기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와 접촉되어 상기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종동 롤러로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가, 2장이 붙어서 이동되는 편광판 중 하나를 분리시켜 그 이동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편광판 사이의 접착력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그러므로 2장의 편광판이 겹쳐진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이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가 회전하지 않아서, 상측의 편광판은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에 의하여 이동되고, 하측의 편광판은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겹쳐진 편광판이 분리되는 것이다. 반면에 1장의 편광판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편광판 복수이동 방지 롤러(316)가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에 의하여 회전되므로 편광판이 정상적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편광판 공급 모듈(300)에는 편광판 상승부(320)가 더 마련된다. 편광판 상승부(320)는 다수장이 적층된 편광판(P) 전체를 들어 올려서 그 최상부의 편광판이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이 편광판 상승부(320)는 편광판의 면적과 비슷한 면적을 가지는 판재(322)와 이 판재(322)를 밀어 올려서 편광판을 상승시키는 모터(32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220)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서보 모터(servo motor)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모터(324)를 구동시켜 판재(322)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측의 편광판 부터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에 의하여 공급되면 나머지 편광판들이 계속하여 상승하면서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의 외 주면과 접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 모터(324)는 계속하여 일정한 크기의 힘을 상측 방향으로 가하도록 구성되어 편광판을 상측으로 밀어준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모듈(300)에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분사부(33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 분사부(330)는, 다수장이 적층되어 있는 편광판들의 측면에서 편광판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적층되어 있는 편광판들의 분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다수장이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는 편광판들은 자체의 무게 때문에 이웃하는 편광판들과 매우 강하게 붙어 있다. 따라서 최상측에 위치된 편광판을 1장씩 분리하여 공급하기 위해서는 최상측의 편광판이 하측의 편광판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분사부(330)를 이용하여 최상측 편광판과 그 하측 편광판 사이로 공기를 분사하여 양 편광판의 분리를 돕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공기 분사부(33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 높이 정도에 다수개를 배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공급 모듈(300)에는 편광판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광판 카세트(C)에 적층된 상태로 로딩되거나, 카세트 없이 다수장이 적층된 편광판이 그대로 로딩될 수도 있다. 카세트(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수장의 편광판(P)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시켜 적재할 수 있는 편광판 카세트(C)에 일정한 장수의 편광판(P)을 적재하고, 이 편광판 카세트(C)를 이동시켜서 편광판(P)을 로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모듈(300)에는 외부로 부터 편광판 카세트(C)를 편광판 공급 모듈(300) 내로 반입하는 편광판 카세트 공 급부(34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편광판 카세트 공급부(340)를,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롤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평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롤러들이 회전하면서 그 상측에 올려 놓여진 편광판 카세트(C)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 편광판 카세트 공급부(340) 말단에는 이동된 편광판 카세트를 고정시키는 편광판 카세트 고정 클램프(도면에 미도시)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편광판 카세트 공급부(340)에 의하여 최종 작업 위치로 이동된 편광판 카세트(C)는 편광판의 분리 공급 작업 과정 중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편광판 카세트 고정 클램프가 최종 작업 위치에 도달한 이 편광판 카세트 하측의 다수 지점과 결합하여 편광판 카세트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모듈(300)에는 상기 편광판 분리 공급부(310)에 의하여 분리, 공급된 편광판의 장수를 검사하는 편광판 장수 검사부(35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편광판 장수 검사부(3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편광판 분리 공급부(310)의 전방에 마련되어 편광판 분리 공급부(310)에 의하여 분리 공급된 편광판이 2장 인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검사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편광판 장수 검사부(350)에서 검사한 결과 2장 이상의 편광판이 공급된 것이 확인되면, 편광판 장수 검사부(350)의 신호를 수신하고,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312)를 역회전시켜 편광판을 반송시키는 제어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어부는 편광판의 분리작업에 오류가 발생되어 2장 이상의 편광판이 공급되는 경우 그 신호에 의하여 편광판 분리 공급 롤러를 역회전시켜 편광판 분리작업을 다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공급 모듈(300)에서는 2장 이상의 편광판이 붙어서 공급되는 불량 발생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공급 모듈(300)에는 세정부(360)가 더 마련된다. 이 세정부(360)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판 장수 검사부(350)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분리 공급부(310)에 의하여 분리, 공급되는 편광판을 세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세정부(360)를 2개의 롤러가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편광판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편광판 이동부(370)는, 편광판 얼라인부(380)의 상면에 위치된 편광판의 상부면을 흡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평이동시켜 편광판을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에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편광판 이동부(370)를, 편광판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흡착 이동 로봇으로 구성한다. 이 흡착 이동 로봇(37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P)의 상면을 흡착하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그리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 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 이때 이 흡착 이동 로봇(370)은, 편광판을 90°회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평관판 피딩 흡착판(124)에 접근한다. 이 정도로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에 접근한 후에는, 수평 상태의 편광판을 회동시켜 수직으로 기립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이동하여 편광판을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에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편광판을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에 공급하는 방식을 전술한 것과 약간 상이하게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을 90°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하고, 상기 흡착 이동 로봇(370)은 상하 이동 및 수평 이동만 가능한 구조로 마련한다. 그러면 편광판 공급시에는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이, 흡착면이 상방을 향한 상태로 수평으로 누워서 대기하고, 이 상태의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에 상기 흡착 이동 로봇(370)이 편광판을 이동시켜서 공급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이 90°회동하여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 후 이 편광판 피딩 흡착판(124)이 피딩 롤러(122)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 편광판의 전단을 피딩 롤러 사이로 진입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편광판 공급 모듈(3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편광판의 위치를 감지하고, 얼라인 하는 편광판 얼라인부(38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편광판 얼라인부(380)는 1장씩 분리되고, 클리닝 된 편광판을 부착 롤러(110)에 공급하기 직전에 최종적으로 그 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하여 편광판 부착작업의 불량률을 낮추는 구성요소이다. 이 편광판 얼라인부(380)는 비젼 카메라를 이용하여 편광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면서, 편광판을 전후 좌우 및 회전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 편광판의 위치를 조정한다.
다음으로 셀 공급 모듈(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100)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100)에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의 액정표시소자 셀(L)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셀 공급 모듈은, 도 1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반송부(210);와 셀 얼라인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직 반송부(210)는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셀을 이송시키는 구성요소이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롤러(212)와 측부 롤러(214)로 구성된다. 하부 롤러(212)는 기립된 상태의 셀(L) 하면과 접촉하여 셀을 지지하면서, 셀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측부 롤러(214)는 셀(L)의 측부에 마련되며, 셀의 측면과 접촉하여 셀이 좌우 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하부 롤러(212)는 자신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측부 롤러(214)는 자기 스스로 회전하지는 않고 셀이 이동함에 따라 셀의 측면과 접촉하여 그 마찰력에 따라 수동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롤러(212)에만 동력을 공급하므로 수직 반송부(21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롤러(212)는 다수개의 롤러가 일렬로 늘어서 있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각 롤러는 중앙부분에 홈이 형성된 바퀴 형상이다. 그리고 다수개의 롤러 중 상기 셀 얼라인부(220) 근처에 마련되는 롤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롤러 자체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는 셀(L)이 셀 얼라인부(120) 근처까지 이송되면 이 셀(P)을 소정 높이로 들어올린 후 셀을 셀 얼라인부에 부착하게 되는데 그 이후에 셀 및 셀 얼라인부(220)가 용이하게 부착 롤러(1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셀 및 셀 얼라인부(220)의 수평방향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롤러(212)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피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롤러(212)의 부착 롤러(110) 측 말단에는 이송된 셀의 일단과 접촉하여 셀(L)이 더 이상 이송되지 않도록 셀을 멈추게 하는 셀 멈춤구(216)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반송부(210)에 의하여 이송되는 셀(L)은 셀 얼라인부(220)의 측방까지 이송되면 더 이상 이송되지 않고, 멈추어야 셀 얼라인부(220)가 정확한 위치에서 셀(L)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롤러(212)의 말단에 셀 멈춤구(216)를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셀 멈춤구(216) 중 셀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는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더 마련하여 셀이 접촉되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센서를 셀 얼라인부와 연결시켜 이 센서에 의하여 셀이 접촉되었다는 정보가 얼라인부에 전달되면 즉시 셀 얼라인부가 구동되도록 하여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셀 얼라인부(220)는 상기 수직 반송부(210)에 의하여 이송된 셀(L)의 위치를 정확하게 보정하며, 위치가 보정된 셀을 편광판 부착지점까지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셀 얼라인부(220)를, 셀 흡착수단(222); 셀 위치조정 수단(224); 얼라인부 이동수단(226); 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셀 흡착수단(222)은 기립된 상태의 셀(L)의 일 측면을 흡착하여 셀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셀 흡착수단(222)의 면 중 셀과 접촉되는 면에는 진공 흡착력이 발생되는 진공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셀 흡착수단(222)는 셀의 일 측면에 접근하여 접촉한 후 진공 흡착력에 의하여 셀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진공 흡착력을 해제하면 용이하게 셀을 분 리시킬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는 진공 흡착력의 세기를 순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얼라인 과정에서는 셀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셀의 얼라인이 완료되고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에서는 셀이 부착롤러(110)에 의하여 서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약한 흡착력으로 셀을 붙잡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셀 흡착수단(222)에 셀을 흡착시킬 때, 셀의 전단부 소정 부분은 셀 흡착수단(222)과 접촉되지 않고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접촉되도록 한다. 이는 셀과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편광판의 전단이 부착 롤러(110)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셀 위치 조정수단(224)은 셀 흡착수단(222)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여기에 고정되어 있는 셀(L)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셀 위치 조정수단(224)은 셀 흡착수단(222)을 셀 부착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다. 이때 셀 흡착수단(222)은 수평방향(X축 방향), 수직방향(Y축 방향), 회전방향(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셀의 위치를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 얼라인부(220)에 고정된 셀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셀 위치 측정수단(228)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셀 위치 측정수단(228)은 셀의 모서리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마크를 이용하여 셀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그 정보를 셀 위치 조정수단(224)에 전달한다. 그러면 셀 위치 조정수단(224)은 그 정보에 의하여 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셀 위치 측정수단(228)을 비젼 카 메라로 마련한다.
다음으로 얼라인부 이동수단(226)은 상기 셀 얼라인부(2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착 롤러(110)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얼라인이 완료된 셀 및 셀 얼라인부(220)를 편광판 부착 위치 근처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때 편광판 부착 위치에서는 셀이, 그 외주면이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여야 하므로, 셀 근처에 부피가 큰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 얼라인부 이동수단(226)은 부착 롤러(110)에서 상당히 떨어진 위치까지만 이동하고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얼라인부(220)에는, 상기 수직 반송부(210)에 의하여 셀의 얼라인 위치인, 상기 셀 얼라인부(220) 측면까지 이송된 셀을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리는 셀 상승 롤러(221)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셀 상승 롤러(221)는 셀 멈춤구에 의하여 이송이 멈춘 셀을 하부에서 힘을 가하여 소정 높이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때 셀을 들어올리는 높이는 약 1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셀 상승 롤러(221)는 셀의 얼라인 과정 뿐만아니라 셀을 부착 롤러(110)에 공급하는 과정에서도 셀과 함께 이동하면서 셀의 하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 공급 모듈(200)에 셀 보조 멈춤구(218)가 더 마련되다. 이 셀 보조 멈춤구(218)는 상기 셀 멈춤구(216)의 전방에 상기 셀 멈춤구(216)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소형 액정표시소자 셀의 편광판 부착 작업 진행시 텍 타임의 향상을 도모한다. 이때 이 셀 보조 멈춤구(218)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이 셀 보조 멈춤구(218)를 이용하여 소형 액정표시소자 셀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에는 이 셀 보조 멈춤구(218)가 하강되어 액정표시소자 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첫번째 셀(A)이 수평이동하여 셀 멈춤구(216)까지 이동된다. 첫번째 셀(A)이 지난간 후에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셀 보조 멈춤구(218)가 상승한다. 그러면 두번째 셀(B)은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셀 보조 멈춤구(218)에 의하여 정지된다. 다음으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셀(A)이 셀 얼라인부(220)에 의하여 흡착되고 얼라인된다. 그리고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롤러(110) 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 그러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보조 멈춤구(218)가 하강하여 두번째 셀(B)이 수평 이동하여, 셀 멈춤구(216)까지 이동된다. 그리고 두번째 셀(B)이 지나간 뒤에는 이 셀 보조 멈춤구(218)가 상승하여 세번째 셀(C)이 멈추도록 한다. 그 다음에는 전술한 공정이 반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셀이 얼라인되고, 부착 롤러(110)에 진입되는 순간에 다음 셀이 미리 이동되어 준비되므로 텍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셀 보조 멈춤구(218)는 대형 액정표시소자 셀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얼라인부(220)는 대형 액정표시소자 셀의 크기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소형 셀을 처리할 때는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텍 타임을 줄여서 모든 크기의 액정표시소자 셀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셀 공급 모듈(200)의 외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오염 방지벽(230)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셀 오염 방지벽(230)은 상기 셀 공급 모듈(200)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셀 공급 모듈(200)을 외부와 격리시켜서 상기 셀 공급 모듈(200)에 의하여 이송되는 액정 표시소자 셀(L)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셀 공급 모듈(200)과 인접한 장소에서 보호 필름의 박리 및 제거 작업이 진행되므로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파티클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렇게 발생된 파티클이 액정표시소자 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셀 오염 방지벽(230)이 마련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셀 배출 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100)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100)에 의하여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표시소자 셀(L)을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이 셀 배출 모듈(400) 역시, 셀 공급 모듈(200)의 수직 반송부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며, 그 양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표시소자 셀을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에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표시소자 셀을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에서 공정이 진행되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풋 프린트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특히 대면적 액정표시소자 셀의 처리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부착 방식으로 편광판을 부착하므로 간단한 구조의 장치로 액정표시소자 셀의 양면에 편광판을 동시에 부착할 수 있으며, 편광판 부착 로딩 공정이 단순하여 전체적인 텍 타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액정표시소자 셀에 범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수직으로 공급되는 액정표시소자 셀(cell)의 양면에 편광판을 동시에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 모듈;과,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에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의 액정표시소자 셀을 공급하는 셀 공급 모듈;과,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양측방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양측에 각각 편광판을 공급하는 편광판 공급 모듈; 및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에 의하여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표시소자 셀을 배출하는 셀 배출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은,
    그 외주면에 편광판을 권취하여 흡착시킨 상태에서 회전하여 편광판을 액정표시소자 셀의 부착위치에 접근시키는 2개의 드럼형 롤러가 좌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좌측 부착 롤러 및 우측 부착 롤러를 구성하며, 양 롤러 사이로 상기 액정표시소자 셀을 통과시키면서 양 롤러에 각각 감겨 있는 편광판을 액정표시소자 셀 방향으로 가압하여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부착 롤러;
    상기 부착 롤러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부착 롤러의 외주면에 편광판이 권취되도록 편광판을 피딩(feeding)하는 편광판 피딩부;
    상기 부착 롤러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부착 롤러의 외주면에 감긴 편광판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보호 필름 박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부착 롤러에는,
    그 외주면에 감긴 편광판을 흡착하여 편광판이 부착 롤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편광판 흡착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흡착부는,
    상기 부착 롤러의 외주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착공;
    상기 부착 롤러의 내부 공간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롤러에는,
    상기 부착 롤러에 각각 결합되어 마련되며, 상기 부착 롤러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부착 롤러의 접촉면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압력 제공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피딩부는,
    상기 부착 롤러의 전측방에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기립되어 배 열되는 내측 롤러 및 외측 롤러로 구성되어 내외측 롤러 사이로 편광판을 통과시켜 상기 부착 롤러의 외주면에 그 편광판을 피딩하는 피딩 롤러;
    상기 피딩 롤러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편광판 공급 모듈에 의하여 수직으로 기립되어 공급되는 편광판의 일면을 흡착하여 상기 편광판의 전단을 상기 피딩 롤러 사이로 진입시키는 편광판 피딩 흡착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은,
    진공 흡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편광판의 일면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롤러는,
    내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에 의하여 편광판이 공급되는 때에는 외측으로 이동하여 대기하고, 편광판 공급이 완료된 후에는 내측으로 이동하고 편광판과 접촉하여 그 편광판을 피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피딩부에는,
    상기 부착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마련되며, 상기 피딩 롤러에 의하여 피딩되는 편광판의 전단을 상기 부착 롤러의 외주면에 붙이는 붙임 롤러가 더 마련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 박리부는,
    상기 부착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그 외주면에 점착성 테이프가 감긴 상태로 회전되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 롤러;
    상기 박리 롤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박리 롤러에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점착성 테이프 순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 박리부에는,
    상기 점착성 테이프 순환 롤러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부착되어 박리된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보호 필름 제거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 제거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공급 모듈은,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편광판 부착 모듈의 좌우측 부착 롤러에 각각 편광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공급 모듈은,
    다수장이 적층된 편광판 중에서 1장씩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편광판 분리부;
    상기 편광판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 이동된 편광판을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으로 이동시키는 편광판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이동부는,
    수평상태의 편광판을 수평이동시킨 후, 수직으로 기립시킨 후 상기 편광판 피딩 흡착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공급 모듈에는,
    상기 편광판 분리부의 전방에 마련되며, 분리된 편광판의 위치를 감지하고, 얼라인 하는 편광판 얼라인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셀 공급 모듈은,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의 액정표시소자 셀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반송부;
    상기 상기 수직 반송부의 부착 롤러측 말단의 일 측에 마련되며, 상기 수직 반송부에 의하여 이동된 액정표시소자 셀을 얼라인하고, 부착 롤러로 진입시키는 셀 얼라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셀 공급 모듈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셀 공급 모듈을 외부와 격리시켜 상기 셀 공급 모듈에 의하여 이송되는 액정표시소자 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셀 오염 방지벽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KR1020050010955A 2005-02-05 2005-02-05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KR10055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955A KR100556339B1 (ko) 2005-02-05 2005-02-05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TW095102661A TWI275837B (en) 2005-02-05 2006-01-24 Vertical polarizer attachment apparatus
CNB2006100033477A CN100517003C (zh) 2005-02-05 2006-02-05 立式偏光板连接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955A KR100556339B1 (ko) 2005-02-05 2005-02-05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339B1 true KR100556339B1 (ko) 2006-03-03

Family

ID=3690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955A KR100556339B1 (ko) 2005-02-05 2005-02-05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56339B1 (ko)
CN (1) CN100517003C (ko)
TW (1) TWI27583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6690B (zh) * 2006-04-28 2013-02-21 Sfa Engineering Corp 將偏光片貼上lcd面板的保護膜分離頭單元以及具有該單元的偏光片附著設備
KR101318178B1 (ko) 2011-12-09 2013-10-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부착장치
US9776388B2 (en) 2015-01-16 2017-10-03 Samsung Display Co., Ltd. Film peeling apparatus
CN112394556A (zh) * 2020-12-17 2021-02-23 江西富益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全自动偏光片贴附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3854B (zh) 2011-05-09 2012-11-2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面板对位装置及面板对位方法
KR101540431B1 (ko) * 2014-01-08 2015-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유닛 제조방법
US9914289B2 (en) 2014-01-08 2018-03-13 Lg Chem, Ltd. System for laminating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unit u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6690B (zh) * 2006-04-28 2013-02-21 Sfa Engineering Corp 將偏光片貼上lcd面板的保護膜分離頭單元以及具有該單元的偏光片附著設備
KR101318178B1 (ko) 2011-12-09 2013-10-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편광판 부착장치
US9776388B2 (en) 2015-01-16 2017-10-03 Samsung Display Co., Ltd. Film peeling apparatus
CN112394556A (zh) * 2020-12-17 2021-02-23 江西富益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全自动偏光片贴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5319A (zh) 2006-08-09
TWI275837B (en) 2007-03-11
CN100517003C (zh) 2009-07-22
TW200628860A (en)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758B2 (ja) 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556339B1 (ko) 수직형 편광판 부착장치
KR100976801B1 (ko) 윈도우 필름부착장치
KR101400676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CN107481958B (zh) 对位贴合设备和对位贴合方法
JP5724152B1 (ja) 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
KR100748161B1 (ko) 칩 자동 부착장치
KR101297378B1 (ko) 편광판 부착 시스템
KR20050045823A (ko) 반도체 웨이퍼 뒷면에의 점착테이프 접착방법 및점착테이프 접착장치
KR100548960B1 (ko) 편광판 부착장치
JP4293150B2 (ja) 基板移載装置、基板移載方法、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CN111824769A (zh) 大尺寸式tp转移装置
KR20190079024A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20190122281A (ko) 기재 부착 방법 및 기재 부착 장치
CN114746803A (zh) 用于显示面板的膜贴附装置
JP2008139523A (ja) 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6223439B2 (ja) 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
KR20060133382A (ko) 액정패널의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CN111845021A (zh) 大尺寸偏光贴合机
KR100538648B1 (ko) 편광판 부착장치
JP2014194513A (ja) 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
JP2012001291A (ja) 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フィルム剥離方法
JP2009036897A (ja) 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962687B1 (ko) 표시패널 제조를 위한 패널 로딩장치 및 패널 로딩방법
KR20000038517A (ko)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부착방버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