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622B1 -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622B1
KR101717622B1 KR1020160129225A KR20160129225A KR101717622B1 KR 101717622 B1 KR101717622 B1 KR 101717622B1 KR 1020160129225 A KR1020160129225 A KR 1020160129225A KR 20160129225 A KR20160129225 A KR 20160129225A KR 101717622 B1 KR101717622 B1 KR 101717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foam
engine cover
engine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옥
서민석
김종광
Original Assignee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에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에프엘 filed Critical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2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과 그라스 화이바의 혼방소재와 PET와 HDPE 및 내열성(RM) LM 화이버 혼방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복합소재를 통하여 중량과 단가를 절감하고, 엔진커바를 형성하는 인슐레이터 보스를 우레탄 경질폼으로 발포 성형하여 경량성 소재로 차량 연비개선효과와 흡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엔진을 덮어 보호하는 엔진커버에 있어서,
PP(폴리프로필렌)와 G/F(그라스 화이바)로 이루어진 고강성 소재를 예열하여 냉각 성형하고, 상기 G/F의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를 열융착 고정한 후, 상기 극세사 흡차음재의 하측으로 엔진에 고정되는 인슐레이터 라바를 우레탄 경질폼으로 이루어진 발포 보스가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복합소재를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In-Car for Soundproofing one-piece engine cov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implementing}
본 발명은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과 그라스 화이바의 혼방소재와 PET와 HDPE 및 내열성(RM) LM 화이버 혼방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복합소재를 통하여 중량과 단가를 절감하고, 엔진커버를 형성하는 인슐레이터 보스를 우레탄 경질폼으로 발포 성형하여 경량성 소재로 차량 연비개선효과와 흡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에는 엔진을 비롯하여 자동차의 운행에 필요한 여러 장치들이 설치된다. 상기 엔진은 자동차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써, 복수의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블럭과 이 실린더블럭의 각 보어에 삽입되어 왕복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블럭에 결합되어 그 내측에 각 보어와 대응되는 복수의 연소실을 형성하는 실린더헤드 및 상기 실린더블럭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어 피스톤의 왕복에 따라 회전되는 크랭크축이 장착된 크랭크케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헤드에는 각각의 연소실을 외부의 흡배기장치와 연통시키는 흡배기포트가 형성되고, 이 흡배기포트를 개폐시키기 위한 흡배기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블럭과 실린더헤드에는 서로 연통되는 냉각통로 및 오일통로가 형성되고, 가솔린엔진의 경우에는 복수의 점화플러그가 설치된다. 이처럼 대략적인 엔진의 구성만 살펴보더라도, 상기 실린더헤드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여러 가지 구성요소로 인해 외관 형상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기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엔진룸의 외부 형태를 매우 복잡하게 한다.
이에 따라, 엔진룸의 형태를 단순화하고 보는 이로 하여금 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엔진의 실린더헤드 상부에는 통상적으로 엔진커버가 장착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엔진커버는 대부분 단층으로 형성되어 실린더헤드를 덮을 수 있도록 저면에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 덮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 엔진커버가 장착되는 실린더헤드는 운행시 연료의 연소에 의해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소열을 적절히 식혀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엔진커버는 엔진 상부를 덮어 외부와의 공기 소통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실린더헤드의 냉각을 저해하여 엔진의 과열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엔진과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냉각장치의 냉각부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되며, 엔진커버 자체도 고열에 따른 열변형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엔진커버는 엔진의 운전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 또는 차음하는 별도의 차음부재가 구비되지 않아 엔진룸의 외부로 엔진소음이 그대로 방출되어 운전자 및 차에 근접해 있는 사람들에게 청각적으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 많은 차량에 적용하고 있는 엔진커버는 통상적으로 PA6, PA16에 G/F5∼15%에 MD, MF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엔진커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수지(10b)를 이용한 복합 플라스틱(10a)으로 엔진커버(10)의 형태를 갖도록 사출 성형한 후, 상기 열가소성수지(10b)의 내부에 유리섬유 및 PU 우레탄 등의 흡음 또는 차음재(10c)를 공급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하는 2차 성형을 수행하게 되므로, 엔진커버의 무게가 무거워 차체를 무겁게 하는 원인이 되어 설계 및 투자비의 소모가 많아지는 원인이 되었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2009-0062024(2009. 06. 17. 공개) 특허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445536호(2014 09. 23. 등록) 특허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392235호(2014. 04. 29. 등록) 특허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09-0120787호(2009. 11 25. 공개)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엔진커버를 경량성으로 성형하여 차량 연비개선과 흡음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외관을 구성하는 내열성이 복합소재와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의 구성을 하나의 공정으로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엔진을 덮어 보호하는 엔진커버에 있어서,
PP(폴리프로필렌)와 G/F(그라스 화이바)로 이루어진 고강성 소재를 예열하여 냉각 성형하고, 상기 G/F의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를 열융착 고정한 후, 상기 극세사 흡차음재의 하측으로 엔진에 고정되는 인슐레이터 라바를 우레탄 경질폼으로 이루어진 발포 보스가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복합소재를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엔진을 덮어 보호하는 엔진커버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합소재를 생산하기 위해 PP(폴리프로필렌)와 G/F(그라스 화이바) 를 공급한 상태에서 예열하여 냉각 성형하는 고강성 복합소재 성형단계;
상기 복합소재는 사상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트리밍 단계;
트리밍이 완료된 복합소재는 상형금형의 내부에 공급하고 인슐레이터 라바를 라바 공급부에 각각 공급하는 인슐레이터 라바 점착단계;
상기 인슐레이터 라바를 점착한 후에는 밀도 400∼750kg/㎥의 우레탄 경질폼을 공급하여 발포 성형되는 발포 보스가 G/F(그라스 화이바)와 인슐레이터 라바가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발포 보스 성형단계;
상기 복합소재에 발포 보스와 인슐레이터 라바를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한 후에는 오픈/크로스용 실린더를 통하여 상형금형을 상승시켜 엔진커버를 탈형하는 탈형단계;
상기 탈형된 엔진커버의 복합소재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를 공급하여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흡음재 고정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엔진을 덮어 보호하는 엔진커버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합소재를 생산하기 위해 PP(폴리프로필렌)와 G/F(그라스 화이바) 를 공급한 상태에서 예열하여 냉각 성형하는 고강성 복합소재 성형단계;
상기 복합소재는 사상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트리밍 단계;
트리밍이 완료된 복합소재를 상형금형의 내부에 공급하고 인슐레이터 라바를 라바 공급부에 각각 공급한 후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를 G/F(그라스 화이바)의 하측에 공급하는 인슐레이터 라바 점착과 극세사 흡음재 공급단계;
상기 인슐레이터 라바를 점착한 후에는 밀도 400∼750kg/㎥의 우레탄 경질폼을 공급하여 발포 성형되는 발포 보스가 G/F(그라스 화이바)와 인슐레이터 라바가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발포 보스 성형단계;
상기 복합소재에 발포 보스와 인슐레이터 라바를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한 후에는 오픈/크로스용 실린더를 통하여 상형금형을 상승시켜 엔진커버를 탈형하는 탈형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P)과 그라스 화이바의 혼방소재와 PET와 HDPE 및 내열성(RM) LM 화이버의 혼방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복합소재를 이용한 엔진커버를 경량성으로 성형하여 50∼60%의 중량을 감소하여 차량 연비개선과 흡음 성능을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PP)과 그라스 화이바의 혼방소재와 PET와 HDPE 및 내열성(RM) LM 화이버의 혼방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복합소재와 흡음재의 구성을 하나의 공정으로 생산하여 40∼45%의 제품단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엔진커버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엔진커버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엔진커버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다른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금형에 대한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대기상태의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금형에 대한 인서트 상태의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발포와 성형상태의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클램프 체결과 하부금형의 상승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엔진커버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엔진커버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다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엔진커버(10)는 몸체가 복합소재(11)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합소재(11)의 하측으로 내열성이 우수한(휴비스의 NOVA-MICRO) 극세사 흡차음재(15)와 엔진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인슐레이터 라바(13)가 다수 개 돌출되도록 하는 발포 보스(1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복합소재(11)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강성 소재로 PP(폴리프로필렌, 11a)와 G/F(그라스 화이바, 11b)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마지막 공정에서 도면상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가 공급되어 열융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복합소재(11)는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4a)와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14b) 및 내열성(RM) LM 화이바(14c)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마지막 공정에서 도면상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가 공급되어 열융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복합소재(11)는 표면에 로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마킹하는 것과, 스티커를 이용한 마킹이 가능하며, 변형 방지를 위한 이면에 비드(Bid)를 설치하고, 절연체(INSULATOR)를 이면에 장착하기 위한 마킹표시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복합소재(11)의 내면(하측)에는 엔진과 체결되는 고무 재질의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소정의 높이에 고정되도록 우레탄 경질폼을 통한 발포 보스(12)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발포 보스(12)는 밀도 400~750kg/㎥이 되도록 하며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복합소재(11)와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일체형으로 연결 성형하되;
상기 발포 보스(12)를 성형하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함께 용융시켜 고정하거나,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발포 보스(12)가 관통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즉, 복합소재(11)의 하측에 극세사 흡차음재(15)를 열융착 고정한 후 극세사 흡차음재(15)의 하측으로 발포 보스(12)를 인서트 사출성형하거나, 상기 복합소재(11)의 하측에서 발포 보스(12)가 흡차음재(15)를 관통하여 일체형으로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복합소재(11)는 PP(11a)와 G/F(11b)의 이중구조와, PET(14a)와 HDPE(14b) 및 내열성(RM) LM 화이바(14c)의 3중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는 LM 펠트와 같이 극세사를 니들펀칭에 의해 성형하여 하측에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금형에 대한 대기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금형에 대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금형에 대한 인서트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발포와 성형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클램프 체결과 하부금형의 상승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엔진커버(10)를 성형하는 금형은 상형금형(20)이 양쪽에서 오픈/크로스용 실린더(32)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형금형(20)과 결합하는 화스너 인서트 하형금형(30)은 양쪽으로 세트 성형용 실린더(21)에 의해 위치를 조절하거나, 하측으로 업/다운 실린더(31)에 연결되어 위치를 조절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화스너 인서트 하형금형(30)의 내부에는 엔진과 결합하기 위한 라바 공급부(33)를 더 설치하여 인슐레이터 라바(13)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상형금형(20)에는 PP(11a)와 G/F(11b)의 이중구조와, PET(14a)와 HDPE(14b) 및 내열성(RM) LM 화이바(14c)의 3중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복합소재(11)와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공급, 예열하여 냉각성형 후 복합소재(11)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블럭도와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외관의 구성을 하나의 공정으로 복합소재(11)를 생산하기 위해 PP(폴리프로필렌, 11a)과 G/F(그라스 화비아, 11b)를 공급한 상태에서 예열하여 냉각 성형하는 고성성 복합소재 성형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복합소재(11)는 PP(폴리프로필렌, 11a)와 G/F(그라스 화이바, 11b)를 대신하여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4a)와 HDPE(14b) 및 내열성(RM) LM 화이바(14c)로 이루어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금형은 1∼15℃로 이루어지며, 예열온도는 220∼400℃에서 성형시간을 50∼150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성형시간을 50초 이내로 하는 경우 복합소재(11)가 성형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150초 이상 성형하는 경우 성형 후에 성형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100초 동안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소재(11)는 사상(Trimming)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트리밍 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이다.
트리밍이 완료된 복합소재(11)는 도 7의 대기상태에 있는 상형금형(20)의 내부에 공급하고 인슐레이터 라바(13)를 라바 공급부(33)에 각각 공급하는 인슐레이터 라바 점착단계(S3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점착한 후에는 밀도 400~750kg/㎥의 우레탄 경질폼을 공급하여 발포 보스(12)가 복합소재(11)의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와 인슐레이터 라바(13)가 발포 보스(12)를 통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화스너 인서트 하형금형(30)은 60∼80℃의 온수를 공급하여 우레탄 경질폼이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는 발포 보스 성형단계(S4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우레탄 경질폼의 발포 성형시간은 50∼180초로 이루어지며,
50초 이하로 발포 성형하게 되면 우레탄 경질폼이 발포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180초 이상 되면 발포사 너무 되어 발포 보스(12)가 정상적으로 성형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100초이다.
복합소재(11)에 발포 보스(12)와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한 후에는 오픈/크로스용 실린더(32)를 통하여 상형금형(20)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시켜 엔진커버(10)를 탈형하는 탈형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탈형된 엔진커버(10)의 내부에 미리 성형한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공급하여 열융착에 의해 복합소재(11)의 하측에 고정되는 흡음재 고정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고강성 복합소재 성형단계(S10)와 트리밍 단계(S20)를 수행한 이후에 흡음재 고정단계(S60)를 수행하지 않고, 상형금형(20)의 내부에 공급하고 인슐레이터 라바(13)를 라바 공급부(33)에 각각 공급한 후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복합소재(11)의 내부에 공급하는 인슐레이터 라바 점착과 극세사 흡음재 공급단계(S25)를 수행하며, 상기 인슐레이터 라바(13)의 점착과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공급한 후에는 밀도 400~750kg/㎥의 우레탄 경질폼을 공급하여 발포 보스(12)가 복합소재(11)의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가 G/F(11b)와 내열성(RM) LM 화이바(14c)에 인슐레이터 라바(13)와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발포 보스 성형단계(S4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발포 보스 성형단계(S40)에서 화스너 인서트 하형금형(30)은 60∼80℃의 온수를 공급하여 우레탄 경질폼이 인서트 성형되며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가 G/F(11b)와 내열성(RM) LM 화이바(14c)에 열원에 의해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복합소재(11)에 발포 보스(12)와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한 후에는 오픈/크로스용 실린더(32)를 통하여 상형금형(20)을 상승시켜 엔진커버(10)를 탈형하는 탈형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PP(11a)와 PET(14a) 중 어느 하나로 복합소재(11)의 외부를 성형한 후에 트리밍과 인슐레이터 라바(13)를 공급한 후 발포 성형에 의해 인슐레이터 라바(13)와 복합소재(11)가 일체형으로 인서트 사출성형 되도록 한 다음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공급하여 초음파 융착하는 방법과;
PP(11a)로 복합소재(11)의 외부를 성형한 후에 트리밍과 인슐레이터 라바(13) 및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공급한 후에 발포 성형으로 인슐레이터 라바(13)와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 및 PP(11a)로 이루어진 복합소재(11)가 일체형으로 인서트 사출성형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강성 소재인 복합소재(11)를 예열하여 성형한 후 인슐레이터 라바(13)를 발포 보스(12)를 통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과정을 통하여 현재 제품에 비하여 중량을 50∼65% 절감하며, 제품단가를 40∼45%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경량성 소재로 인한 차량의 연비 개선효과와 흡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강성 소재를 예열하여 냉각 성형한 후 인슐레이터 라바를 공급한 상태에서 우레탄 경질폼을 발포 성형함으로써 발포 보스가 복합소재와 인슐레이터 라바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제품 단가와 중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연비 개선과 흡음 성능이 유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엔진 커버 11 : 복합소재
11a : PP(폴리프로필렌) 11b : G/F(그라스 화이바)
12 : 발포 보스 13 : 인슐레이터 라바
14a :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4b :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14c : 내열성(RM) LM 화이바
15 : 극세사 흡차음재 20 : 상형금형
21 : 세트 성형용 실린더 30 : 화스너 인서트 하형금형
31 : 업/다운 실린더 32 : 오픈/크로스 실린더
33 : 라바 공급부

Claims (10)

  1. 엔진을 덮어 보호하는 엔진커버에 있어서,
    PP(폴리프로필렌, 11a)와 G/F(그라스 화이바, 11b)로 이루어진 고강성 소재를 예열하여 냉각 성형하고, 상기 G/F(11b)의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열융착 고정한 후, 상기 극세사 흡차음재(15)의 하측으로 엔진에 고정되는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우레탄 경질폼으로 이루어진 발포 보스(12)가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복합소재(11)를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
  2. 엔진을 덮어 보호하는 엔진커버에 있어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4a)와 HDPE(고밀도폴리에틸렌, 14b) 및 내열성(RM) LM 화이바(14c)로 이루어진 고강성 소재를 예열하여 냉각 성형하고, 상기 내열성 LM 화이바(14c)의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열융착 고정한 후, 상기 극세사 흡차음재(15)의 하측으로 엔진에 고정되는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우레탄 경질폼으로 이루어진 발포 보스(12)가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복합소재(11)를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보스(12)는 우레탄 경질폼으로 이루어지며 복합소재(11)와 400~750kg/㎥의 밀도로 이루어진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11)는 G/F(11b)의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공급한 후 우레탄 경질폼이 60∼80℃의 온수로 발포 성형되는 발포 보스(12)가 인슐레이터 라바(13)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11)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4a)와 HDPE(고밀도폴리에틸렌, 14b) 및 내열성(RM) LM 화이바(14c)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열성(RM) LM 화이바(14c)의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공급한 후 우레탄 경질폼이 60∼80℃의 온수로 발포 성형되는 발포 보스(12)가 인슐레이터 라바(13)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
  6. 엔진을 덮어 보호하는 엔진커버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합소재(11)를 생산하기 위해 PP(폴리프로필렌, 11a)와 G/F(그라스 화이바, 11b) 를 공급한 상태에서 예열하여 냉각 성형하는 고강성 복합소재 성형단계(S10);
    상기 복합소재(11)는 사상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트리밍 단계(S20);
    트리밍이 완료된 복합소재(11)는 상형금형(20)의 내부에 공급하고 인슐레이터 라바(13)를 라바 공급부(33)에 각각 공급하는 인슐레이터 라바 점착단계(S30);
    상기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점착한 후에는 밀도 400∼750kg/㎥의 우레탄 경질폼을 공급하여 발포 성형되는 발포 보스(12)가 G/F(그라스 화이바, 11b)와 인슐레이터 라바(13)가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발포 보스 성형단계(S40);
    상기 복합소재(11)에 발포 보스(12)와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한 후에는 오픈/크로스용 실린더(32)를 통하여 상형금형(20)을 상승시켜 엔진커버(10)를 탈형하는 탈형단계(S50);
    상기 탈형된 엔진커버(10)의 복합소재(11) 하측에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공급하여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흡음재 고정단계(S60);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7. 엔진을 덮어 보호하는 엔진커버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합소재(11)를 생산하기 위해 PP(폴리프로필렌, 11a)와 G/F(그라스 화이바, 11b) 를 공급한 상태에서 예열하여 냉각 성형하는 고강성 복합소재 성형단계(S10);
    상기 복합소재(11)는 사상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트리밍 단계(S20);
    트리밍이 완료된 복합소재(11)를 상형금형(20)의 내부에 공급하고 인슐레이터 라바(13)를 라바 공급부(33)에 각각 공급한 후 내열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차음재(15)를 G/F(그라스 화이바, 11b)의 하측에 공급하는 인슐레이터 라바 점착과 극세사 흡음재 공급단계(S25);
    상기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점착한 후에는 밀도 400∼750kg/㎥의 우레탄 경질폼을 공급하여 발포 성형되는 발포 보스(12)가 G/F(그라스 화이바, 11b)와 인슐레이터 라바(13)가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발포 보스 성형단계(S40);
    상기 복합소재(11)에 발포 보스(12)와 인슐레이터 라바(13)를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한 후에는 오픈/크로스용 실린더(32)를 통하여 상형금형(20)을 상승시켜 엔진커버(10)를 탈형하는 탈형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복합소재 성형단계(S10)는 220∼400℃의 예열온도와, 1∼15℃의 금형온도 및 20∼150초간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복합소재 성형단계(S10)의 복합소재(11)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4a)와 HDPE(고밀도폴리에틸렌, 14b) 및 내열성(RM) LM 화이바(14c)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복합소재 성형단계(S10)의 복합소재(11)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4a)와 HDPE(고밀도폴리에틸렌, 14b) 및 내열성(RM) LM 화이바(14c)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KR1020160129225A 2016-10-06 2016-10-06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171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25A KR101717622B1 (ko) 2016-10-06 2016-10-06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25A KR101717622B1 (ko) 2016-10-06 2016-10-06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622B1 true KR101717622B1 (ko) 2017-04-05

Family

ID=5858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25A KR101717622B1 (ko) 2016-10-06 2016-10-06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6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052B1 (ko) 2017-04-14 2018-01-17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우레탄 발포로 성형하는 자동차용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KR20190073714A (ko) 2017-12-19 2019-06-27 박성탁 다층구조의 차량용 엔진커버 및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KR20190073708A (ko) 2017-12-19 2019-06-27 박성탁 다층구조의 차량용 엔진커버 및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KR20210145460A (ko) * 2020-05-25 2021-12-02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경량형 고강도 복합 부직포를 이용한 섬유 엔진커버
KR20210146494A (ko) 2020-05-26 2021-12-06 원풍물산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커버 또는 엔진언더플로어용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04980A (ko) 2021-06-30 2023-01-09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엔진룸 흡·차음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302B1 (ko) * 1997-12-31 2000-04-15 정몽규 자동차 엔진룸 커버 수지조성물
JP2008155574A (ja) * 2006-12-26 2008-07-10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90062024A (ko) 2007-12-12 2009-06-1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겹층 소재 폼을 구비한 엔진 커버
KR20090120787A (ko) 2008-05-20 2009-11-25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커버
KR101392235B1 (ko) 2007-11-05 2014-05-08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엔진커버의 차체 마운팅 구조
KR101445536B1 (ko) 2013-08-07 2014-10-02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엔진커버 및 이를 만드는 방법
KR20150122568A (ko) * 2014-04-23 2015-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저중량 흡음형 대쉬 패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302B1 (ko) * 1997-12-31 2000-04-15 정몽규 자동차 엔진룸 커버 수지조성물
JP2008155574A (ja) * 2006-12-26 2008-07-10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392235B1 (ko) 2007-11-05 2014-05-08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엔진커버의 차체 마운팅 구조
KR20090062024A (ko) 2007-12-12 2009-06-1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겹층 소재 폼을 구비한 엔진 커버
KR20090120787A (ko) 2008-05-20 2009-11-25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커버
KR101445536B1 (ko) 2013-08-07 2014-10-02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엔진커버 및 이를 만드는 방법
KR20150122568A (ko) * 2014-04-23 2015-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저중량 흡음형 대쉬 패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052B1 (ko) 2017-04-14 2018-01-17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우레탄 발포로 성형하는 자동차용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KR20190073714A (ko) 2017-12-19 2019-06-27 박성탁 다층구조의 차량용 엔진커버 및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KR20190073708A (ko) 2017-12-19 2019-06-27 박성탁 다층구조의 차량용 엔진커버 및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KR20210145460A (ko) * 2020-05-25 2021-12-02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경량형 고강도 복합 부직포를 이용한 섬유 엔진커버
KR102347323B1 (ko) * 2020-05-25 2022-01-06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경량형 고강도 복합 부직포를 이용한 섬유 엔진커버
KR20210146494A (ko) 2020-05-26 2021-12-06 원풍물산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커버 또는 엔진언더플로어용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04980A (ko) 2021-06-30 2023-01-09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엔진룸 흡·차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622B1 (ko) 자동차용 흡, 차음을 구현하는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US20060222841A1 (en)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47323B1 (ko) 경량형 고강도 복합 부직포를 이용한 섬유 엔진커버
KR101819055B1 (ko) 우레탄 발포로 성형하는 자동차용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JP4133451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金型
CN111845510A (zh) 一种360°全覆盖嵌入式汽车脚垫及其制备方法
JP2004231030A (ja) 自動車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金型
JP2009154428A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737530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2002240566A (ja) 車輌用樹脂パネル及び車輌用樹脂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819052B1 (ko) 우레탄 발포로 성형하는 자동차용 일체형 엔진커버와 그 제조방법
JP2006327043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EP2792550A2 (fr) Panneau insonorisant de tablier de véhicule automobile
JP4697868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4618722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2009255470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08055848A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8062576B2 (en) Method of molding a unitary object
JP4135917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金型
JP2008006620A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218794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CN104723978A (zh) 一种汽车用麻纤维材料零件及其制作方法
JP2008173896A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963267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08155574A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