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070B1 -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070B1
KR101717070B1 KR1020137027721A KR20137027721A KR101717070B1 KR 101717070 B1 KR101717070 B1 KR 101717070B1 KR 1020137027721 A KR1020137027721 A KR 1020137027721A KR 20137027721 A KR20137027721 A KR 20137027721A KR 101717070 B1 KR101717070 B1 KR 10171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nent
hair
group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943A (ko
Inventor
나오키 사사키
유키 코케구치
키요타카 카와이
Original Assignee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3.0~1.0:6.0인 에스테르 화합물, 및, (B)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에스테르 화합물, (C)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알코올, 및, (D)탄소수 20 이상의 탄화수소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이 대미지 모발 개선제는 대미지를 받은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하고, 또한, 대미지를 받은 모발에 존재하는 꺼끌꺼끌함을 개선하여 매끈매끈함을 부여한다.

Description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DAMAGED HAIR-IMPROVING AGENT AND METHOD FOR IMPROVING DAMAGED HAIR USING SAME}
본 발명은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염모제, 파마제 등에 의한 화학적 처리, 또는 마찰, 열 등의 물리적 처리에 의한 모발의 대미지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 대미지를 받은 모발을 어떻게 하여 개선할지가 큰 테마가 되고 있다. 여기서, 모발의 대미지 개선은 소위 손가락으로 잘 빗어지지 않는 모발 및 퍼석퍼석한 모발을 개선하여, 모발에 매끄러움 및 매끈매끈함을 부여하여, 손가락으로 잘 빗어지게 하고, 또한, 부스스함을 없애는 것을 말한다.
종래, 이렇게 대미지를 받은 모발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동백유, 올리브유 등의 식물유를 모발에 사용함으로써, 모발에 적당한 유분을 보충하여, 모발에 매끈매끈함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 식물유에 고분자량의 실리콘, 디메티콘 및 휘발성 실리콘 등을 병용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A) 4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0~36.0mm2s-1인 탄화수소, (B)아미노 변성 실리콘, (C)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가지는 화합물, 및 (D)올리브유, 그레이프시드유, 호호바유 및 동백유로부터 선택되는 식물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성분(C)로서 일반식 R1O-[(C2H4O)p(C3H6O)q]-R2(식 중, R1,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글리세릴기를 나타낸다. p, q는 독립적인 정수이며, p=2~70, q=2~70을 나타냄)을 들고 있다. 이 모발 화장료는 뻣뻣하여 퍼지기 쉬운 손상된 모발에 대하여, 뻣뻣함을 개선하고, 모발의 퍼짐을 억제하여 모발에 단정함을 부여함과 아울러, 끈적임을 억제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에는, (A)식물유를 1~15질량%, (B)휘발성 유분, (C)고분자량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D)히드록실기, 폴리옥시에틸렌기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가지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 모발 화장료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체로 하는 것이다. 이 모발 화장료는 모발에 우수한 광택을 부여하고, 매끈매끈한 감촉을 부여하며, 또한 보송보송함을 부여한다는 배반되는 사용감을 가지는 것이다.
특허문헌 3에는, (A)고분자 실리콘, (B)휘발성 탄화수소유, (C)콜레스테롤 유도체, (D)저점도 실리콘유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 모발 화장료는 모발에 도포했을 때의 퍼짐, 매끈매끈함과 부드러운 감촉이 우수하고, 모발에 대하여 끈적이지 않고, 또한 도포후의 모발에 대해서도 매끈매끈한 감촉 및 부드러움, 적당한 정리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4에는, (A)히드록시에테르아민 화합물, (B)고급 알코올 및/또는 고급 지방산, (C)무기산 및/또는 유기산, (D)디메틸폴리실록산 및/또는 실리콘 유도체, (E)방향족 알코올을 소정량으로 포함하고, pH가 2.0~7.0인 모발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 모발 화장료는 대미지를 받은 모발과, 대미지를 받지 않은 모발의 양쪽에 대하여, 사용 시작부터 사용후까지의 매끈매끈함, 손가락으로 잘 빗어짐, 보송보송함, 촉촉함 등을 만족시키는 우수한 헤어 컨디셔닝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식물유만을 모발 화장료의 구성 성분으로 하면, 모발에 사용했을 때에 불쾌한 끈적임이 생기고, 또, 무거운 마무리가 되어, 충분히 만족스러운 모발 화장료는 얻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문헌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콘유를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실리콘유를 사용하면 산뜻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고, 그 마무리도 가벼워지지만, 모발에 대한 사용감의 개선이라는 점에서는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 이들 모발 화장료는 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며, 또, 이 에스테르 화합물의 사용을 시사하는 기재도 없다.
특허문헌 5에는, 디펜타에리트리톨에 화학식 R-C(COOH)H-(CH2CH2)-R(식 중, R은 탄소수 7의 분기의 탄화수소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분기형 이소스테아르산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액상 에스테르 조성물로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10만~200만mPa·s, 수산기가가 10~160, 구름점이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에스테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액상 에스테르 조성물은 디펜타에리트리톨과, 특수한 분기 구조를 가지는 탄소수 18의 스테아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이 액상 에스테르 조성물은 화장 피막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지금까지 화장료 중에 통상 사용되고 있던 폴리부텐에 필적하는 화장 피막의 윤기 및 촉촉함을 가짐과 아울러, 폴리부텐이 가지지 않는 안료 분산 성능 및 함수 성능도 가지는 것이다.
특허문헌 6에는, (A)일반식 R1-C(COOH)H-CH2CH2-R2(식 중, R1 및 R2는 탄소수 7의 분기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됨)으로 표시되는 분기형 이소스테아르산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액상 에스테르 조성물, 및, (B)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성분(A)는 탄소수 18의 이소스테아르산이며, 펜타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및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을 들고 있다. 또, 성분(B)로서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및 퍼플루오로알킬·폴리알킬실록시규산을 들고 있다. 특허문헌 6에 기재된 발명은, 도포시의 감각이나 광택, 촉촉함의 지속성 및 화장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한 유성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유성 화장료는 바람직하게는 입술 화장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518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2114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239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61605호 국제공개 제2006/3992호 팜플렛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11543호
본 발명은 대미지를 받은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하고, 또한, 대미지를 받은 모발에 존재하는 꺼끌꺼끌함을 개선하여 매끈매끈함을 부여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검토를 시도했다. 그 결과, 하기의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에 하기의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배합한 조성물을 모발에 사용하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A)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3.0~1.0:6.0인 에스테르 화합물, 및, (B)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여기서, 이들 기에 존재하는 수소 원자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에스테르 화합물(단, 상기 성분(A)을 제외함), (C)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알코올, 및, (D)탄소수 20 이상의 탄화수소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이다.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2)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200질량부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3)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000질량부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4)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50질량부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5)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20~100질량부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6)상기 성분(A)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3.5~1.0:6.0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7)상기 성분(A)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4.0~1.0:6.0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8)상기 성분(A)의 지방산의 탄소수가 8~16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9)상기 성분(A)의 지방산의 탄소수가 9~16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10)상기 성분(A)의 지방산이 이소노난산, 네오펜탄산, 2-에틸헥산산, 이소미리스트산 및 이소팔미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11)상기 성분(A)의 지방산이 이소노난산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12)상기 성분(B)가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린, 에틸헥산산세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에루크산올레일,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틸, 헥사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이소스테아르산헥실데실 및 히드록시스테아르산에틸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13)상기 성분(C)가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인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14)상기 성분(D)가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대미지 모발 개선제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15) (A)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3.0~1.0:6.0인 에스테르 화합물, 및, (B)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여기서, 이들 기에 존재하는 수소 원자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에스테르 화합물(단, 상기 성분(A)를 제외함), (C)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알코올, 및, (D)탄소수 20 이상의 탄화수소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모발에 사용하여,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16)상기 조성물이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200질량부 포함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17)상기 조성물이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000질량부 포함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18)상기 조성물이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50질량부 포함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19)상기 조성물이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20~100질량부 포함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0)상기 성분(A)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3.5~1.0:6.0인 상기 (15)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1)상기 성분(A)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4.0~1.0:6.0인 상기 (15)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2)상기 성분(A)의 지방산의 탄소수가 8~16인 상기 (15)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3)상기 성분(A)의 지방산의 탄소수가 9~16인 상기 (15)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4)상기 성분(A)의 지방산이 이소노난산, 네오펜탄산, 2-에틸헥산산, 이소미리스트산 및 이소팔미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15)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5)상기 성분(A)의 지방산이 이소노난산인 상기 (15)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6)상기 성분(B)가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린, 에틸헥산산세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에루크산올레일,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틸, 헥사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이소스테아르산헥실데실 및 히드록시스테아르산에틸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15)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7)상기 성분(C)가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인 상기 (15)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8)상기 성분(D)가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15)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은 대미지를 받은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하고, 또한, 대미지를 받은 모발에 존재하는 꺼끌꺼끌함을 개선하여 매끈매끈함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효과에 더해, 적당한 에몰리언트성 및 보습성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당한 유성감으로 불쾌한 끈적임이 없고, 광택성의 유지 효과, 매끈매끈한 사용감, 밀착성, 화장 효과의 지속성, 보존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에 있어서,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은 다가 알코올인 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6,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9~16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지방산은 직쇄 또는 분기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 포화 또는 불포화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n-펜탄산, 네오펜탄산, n-헥산산, 이소헥산산, 옥탄산, 이소노난산, 노난산, 2-에틸헥산산, 네오데칸산, 이소미리스트산, 이소팔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하게는 이소노난산, 네오펜탄산, 2-에틸헥산산, 네오데칸산, 이소미리스트산, 이소팔미트산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노난산을 들 수 있다.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 중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상기 지방산 잔기의 몰비는 1.0:3.0~1.0:6.0, 바람직하게는 1.0:3.5~1.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1.0:6.0이다.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것을 얻고자 하여, 이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할 때에, 디펜타에리트리톨에 대한 지방산의 몰 당량비를 3.0 미만으로 하면, 디펜타에리트리톨을 충분히 반응시킬 수 없어, 불필요한 미반응의 디펜타에리트리톨이 이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 중에 많이 잔존한다. 따라서, 반응 생성물 전체를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에 사용하면,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이 현상은 이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할 때에, 디펜타에리트리톨에 대한 지방산의 몰 당량비를 줄이면 줄일수록 현저하게 되고, 지방산의 몰 당량비가 디펜타에리트리톨에 대하여 약2.0 이하에서는 과잉의 디펜타에리트리톨의 존재에 의해 이 에스테르 화합물을 거의 얻을 수 없게 된다.
성분(A) 디펜타에리트리톨과 상기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디펜타에리트리톨과 상기 지방산의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 펜타에스테르 및 헥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이 에스테르 화합물은 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 화합물을 1종류 이상, 바람직하게는 2종류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에 사용하는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에는,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에 더해,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할 때에 부생성물 등으로서 생성하는 물질 및 미반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부생성물 등으로서 생성하는 물질은 명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원료 유래의 물질, 산무수물, 디펜타에리트리톨의 자기 축합물, 에스테르 중합물 등으로 추정된다. 이들 물질의 함유량은 반응에 사용하는 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의 지방산의 몰 당량비, 이 지방산의 종류 등에 의존하여 변화하는데, 에스테르 화합물과 이들 부생성물 등과의 합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은, 이들 부생성물 등을 분리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등의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이들 부생성물 등을 분리 제거하여 사용해도 지장없다.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의 수산기가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4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이며, 하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0.5이다. 상기 상한을 넘어서는 하기 성분(B), (C) 및 (D) 등의 유성기제와의 상용성이 나빠지고, 상기 하한 미만에서는 보습성 또는 에몰리언트성이 부족하게 된다.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의 비누화가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4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60, 더욱 바람직하게는 320이며,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70,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이다. 상기 상한을 넘어서는 모발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고, 상기 하한 미만에서는 모발에 적용했을 때에 불쾌한 끈적임이 있어,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기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의 점도(25℃)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40,000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00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mPa·s이며,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500mPa·s이다. 상기 상한을 넘어서는 점착성이 강하고, 모발에 적용한 경우에 불쾌한 끈적임이 있고, 상기 하한 미만에서는 모발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대미지 모발 개선제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 DV-II+(스핀들 No. 3, 12rpm, 25℃)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성분(A) 에스테르 화합물은 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6,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9~16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디펜타에리트리톨 대 이 지방산의 몰 당량비로 1.0:3.0~1.0:6.0, 바람직하게는 1.0:3.5~1.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1.0:6.0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지방산으로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디펜타에리트리톨에 대한 이 지방산의 몰 당량비가 3.0 미만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디펜타에리트리톨을 충분히 반응시킬 수 없어, 불필요한 미반응의 디펜타에리트리톨이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응물중에 많이 잔존한다. 따라서, 반응물 전체를 본 발명에 사용하면, 에스테르 화합물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이 현상은 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할 때에, 디펜타에리트리톨에 대한 지방산의 몰 당량비를 줄이면 줄일수록 현저하게 되고, 지방산의 몰 당량비가 디펜타에리트리톨에 대하여 약2.0 이하에서는 과잉의 디펜타에리트리톨의 존재에 의해 에스테르 화합물을 거의 얻을 수 없게 된다. 한편, 반응에 있어서, 디펜타에리트리톨에 대하여 과잉의 지방산을 도입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생성물중에 미반응의 지방산이 포함되면 에스테르 화합물의 성질을 해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통상, 반응후에 미반응의 지방산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펜타에리트리톨과 상기 지방산의 반응은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에 있어서, 성분(B) 에스테르 화합물은 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이다. 단, 성분(B) 에스테르 화합물에는 상기 성분(A)의 에스테르 화합물은 포함하지 않는다. 성분(B) 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탄소수 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는 이들 기에 존재하는 수소 원자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기에 존재하는 수소 원자의 1~2개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 25℃에 있어서의 점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mPa·s이다. 점도가 상기 상한을 넘어서는 점착성이 강하고, 모발에 적용한 경우에 불쾌한 끈적임이 있고, 상기 하한 미만에서는 모발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대미지 모발 개선제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상기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 DV-II+(스핀들 No. 3, 12rpm, 25℃)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성분(B) 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린, 에틸헥산산세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에루크산올레일,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틸, 헥사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이소스테아르산헥실데실, 히드록시스테아르산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에 있어서, 성분(C) 알코올은 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이다. 성분(C) 알코올로서는 탄소수 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5℃에 있어서의 점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mPa·s이다. 점도가 상기 상한을 넘어서는 점착성이 강하고, 모발에 적용한 경우에 불쾌한 끈적임이 있고, 상기 하한 미만에서는 모발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대미지 모발 개선제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상기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 DV-II+(스핀들 No. 3, 12rpm, 25℃)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성분(C) 알코올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에 있어서, 성분(D) 탄화수소유의 탄소수는 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탄소수가 상기 하한 미만에서는 모발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대미지 모발 개선제로서 바람직하지 않고, 탄소수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점착성이 강하고, 모발에 적용한 경우에 불쾌한 끈적임을 발생시키기 쉽다. 성분(C) 탄화수소유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에 있어서, 상기 성분(B), (C) 및 (D)의 배합량은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2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질량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질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질량이며,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이다. 또, 성분(A), (B), (C) 및 (D)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중에 합계로 바람직하게는 0.1~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0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분(A), 및, (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는, 예를 들면, 샴푸,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왁스, 헤어 오일 등의 헤어 케어 화장료에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0질량%이다. 또, 상기한 각 헤어 케어 화장료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은, 상기 성분(A), 및, (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모발에 사용함으로써 실시된다. 모발에 대한 사용은 이 조성물을 포함한 예를 들면 샴푸,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왁스, 헤어 오일 등의 헤어 케어 화장료의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발에 대한 사용의 방법은 상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성분(A)>
성분(A) 및 비교 성분(A)는 하기한 합성 실시예[성분(A)의 합성] 및 합성 비교예와 같이 하여 제조했다.
합성 실시예 및 합성 비교예
합성 실시예 및 합성 비교예에 있어서 사용한 물질은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하기와 같다.
디펜타에리트리톨 : 고에이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디·펜타리트(상표)
이소노난산[C(CH3)3CH2CH(CH3)CH2COOH] : 쿄와핫코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 쿄와노이크-N(상표)
네오펜탄산[(CH3)3CCOOH] : 엑손모빌 유겐가이샤제 네오펜탄산(상표)
2-에틸헥산산[CH3(CH2)3CH(CH2CH3)COOH] : 쿄와핫코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 옥틸산(상표)
네오데칸산[C9H19COOH, 구조 이성체의 혼합물] : 엑손모빌 유겐가이샤제 네오데칸산(상표)
이소미리스트산[CH3CH(CH3)(CH2)4CH[CH3CH(CH3)CH2CH2]COOH와 CH3(CH2)2CH(CH3)(CH2)2CH[CH3(CH2)2CH(CH3)]COOH의 혼합물] : 닛산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이소미리스트산(상표)
이소팔미트산[CH3(CH2)7CH(C6H13)COOH] : 닛산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이소팔미트산(상표)
이소부탄산(이소부티르산)[(CH3)2CHCOOH] : 도요고세이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메틸부티르산(상표)
이소스테아르산[C17H35COOH, 구조 이성체의 혼합물]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이소스테아르산 EX(상표)
합성 실시예 및 합성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가, 수산기가, 비누화가, 점도, 밀착성 및 광택성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했다.
<산가>
화장품 원료 기준 18.산가 측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수산기가>
화장품 원료 기준 24.수산기가 측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비누화가>
화장품 원료 기준 16.비누화가 측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점도>
브룩필드 점도계 DV-II+(스핀들 No. 3, 12rpm, 25℃)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합성 실시예 1]
교반 장치,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딘 스타크 수분계 및 콘덴서를 부착한 3,000밀리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디펜타에리트리톨 381.5그램(1.5mol), 이소노난산(탄소수 9) 948그램(6.0mol), 용매로서의 톨루엔 150밀리리터, 촉매로서의 파라톨루엔술폰산 4.0그램을 도입했다. 다음에, 질소를 20밀리리터/min으로 흘리면서 200℃로 가열했다. 이 온도에서 생성수를 용매와 공비시키면서 증류제거하면서 반응시켰다. 생성수의 유출이 적어진 곳에서 온도를 220℃로 올려서 더욱 반응을 계속하고, 생성수의 유출이 없어진 곳에서 반응을 정지했다. 여기까지, 반응 개시로부터 약20시간이었다. 다음에, 온도를 180℃로 내린 후에 감압(약20mmHg)으로 하여, 용매(톨루엔)를 완전히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에 대하여, 상법에 의해 탈색·탈취의 정제 처리를 시행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점성 유상물) 952.3그램(산가:0.65, 수산기가:125, 비누화가:277.7)이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이소노난산의 몰 당량비는 1.0:4.0이었다.
얻어진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에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을 가하여 가수분해했다. 다음에, 얻어진 가수분해 생성물을 여과하고 불비누화물을 분리했다. 다음에, 여액으로부터 에탄올을 제거하고, 여액을 염산산성으로 한 후, 비누화물을 헥산으로 추출했다. 이들 불비누화물 및 비누화물을 각각 상법에 따라 실릴화 및 메틸화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아질런트·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제 6890N)에 의해 분석하여, 동정 및 정량했다. 그 결과, 얻어진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는 디펜타에리트리톨과 이소노난산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이소노난산 잔기의 몰비가 1.0:4.0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합성 실시예 2]
이소노난산의 도입량을 1422그램(9.0mol)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고점성 유상물) 1392그램(산가:0.02, 수산기가:1.1, 비누화가:303.5)가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이소노난산의 몰 당량비는 1.0:6.0이었다.
[합성 실시예 3]
이소노난산의 도입량을 711그램(4.5mol)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고점성 유상물) 802그램(산가:0.43, 수산기가:226.1, 비누화가:256.4)이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이소노난산의 몰 당량비는 1.0:3.0이었다.
[합성 실시예 4]
이소노난산 대신에 네오펜탄산(탄소수 5)을 612.8그램(6.0mol) 도입한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고점성 유상물) 815그램(산가:0.26, 수산기가:171.3, 비누화가:376.2)이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네오펜탄산의 몰 당량비는 1.0:4.0이었다.
[합성 실시예 5]
이소노난산 대신에 2-에틸헥산산(탄소수 8)을 865.3그램(6.0mol) 도입한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고점성 유상물) 1034그램(산가:0.48, 수산기가:133.8, 비누화가:298.3)이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2-에틸헥산산의 몰 당량비는 1.0:4.0이었다.
[합성 실시예 6]
이소노난산 대신에 네오데칸산(탄소수 10)을 1033.6그램(6.0mol) 도입한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고점성 유상물) 1032.5그램(산가:0.39, 수산기가:116.6, 비누화가:259.8)이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네오데칸산의 몰 당량비는 1.0:4.0이었다.
[합성 실시예 7]
이소노난산 대신에 이소미리스트산(탄소수 14)을 1370그램(6.0mol) 도입한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고점성 유상물) 1347.9그램(산가:0.67, 수산기가:93.1, 비누화가:204.2)이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이소미리스트산의 몰 당량비는 1.0:4.0이었다.
[합성 실시예 8]
이소노난산 대신에 이소팔미트산(탄소수 16)을 1539그램(6.0mol) 도입한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고점성 유상물) 1431.9그램(산가:0.92, 수산기가:79.0, 비누화가:182.4)이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이소팔미트산의 몰 당량비는 1.0:4.0이었다.
[합성 비교예 1]
이소노난산의 도입량을 474그램(3.0mol)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그러나, 미반응의 디펜타에리트리톨이 대량으로 잔존하고,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를 얻을 수 없었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이소노난산의 몰 당량비는 1.0:2.0이었다.
[합성 비교예 2]
이소노난산 대신에 이소부탄산(이소부티르산)(탄소수 4)을 528.7그램(6.0mol) 도입한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고점성 유상물) 665.8그램(산가:0.15, 수산기가:189.1, 비누화가:420.3)이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이소부탄산(이소부티르산)의 몰 당량비는 1.0:4.0이었다.
[합성 비교예 3]
이소노난산 대신에 이소스테아르산(탄소수 18)을 1740그램(6.0mol) 도입한 것 이외에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담황색 고점성 유상물) 1671.2그램(산가:0.05, 수산기가:74.5, 비누화가:169.7)이 얻어졌다.
반응에 사용한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이소스테아르산의 몰 당량비는 1.0:4.0이었다.
표 1에 합성 실시예 및 합성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각 물질의 성상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095171135-pct00001
표 중 *1은 미반응의 디펜타에리트리톨이 대량으로 잔존하고,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가 얻어지지 않은 것이다.
합성 실시예 1~3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소노난산(탄소수 9)의 몰 당량비를 변화시킨 것이다. 얻어진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의 점도는 합성 실시예 2의 것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합성 실시예 4, 5, 6, 7 및 8은, 합성 실시예 1의 이소노난산 대신에 각각 탄소수 5의 네오펜탄산, 탄소수 8의 2-에틸헥산산, 탄소수 10의 네오데칸산, 탄소수 14의 이소미리스트산 및 탄소수 16의 이소팔미트산을 사용한 것이다. 얻어진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의 점도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커짐에 따라 작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한편, 합성 비교예 1은, 합성 실시예 1에 있어서 이소노난산의 몰 당량비를 본 발명의 범위 미만으로 한 것이다. 미반응의 디펜타에리트리톨이 대량으로 잔존하고,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가 얻어지지 않았다. 합성 비교예 2 및 3은, 합성 실시예 1의 이소노난산 대신에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밖의 탄소수를 가지는 지방산, 각각 탄소수 4의 이소부탄산(이소부티르산) 및 탄소수 18의 이소스테아르산을 사용한 것이다. 합성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의 점도는 높아졌지만, 합성 비교예 3에서 얻어진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의 점도는 합성 실시예 8에서 얻어진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의 점도보다 오히려 높아졌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물질은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하기와 같다.
<성분(B)>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네오라이트 180P(상표)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소렉스 PGIS23(상표)
트리이소스테아린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TISG(상표)
헥사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루센트 DPIS6(상표), 주성분은 14~16위에 메틸 분기 구조를 가진 이소스테아르산이며, 그 함유량은 약80%이며, 그 밖의 성분은 탄소수 16 이하 및 탄소수 18 이상의 지방산의 혼합물임.
에틸헥산산세틸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CEH(상표)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소렉스 PGIS24(상표)
에루크산올레일 : 코그니스제 세티올 J600(상표)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ISIS(상표)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틸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KAK PTI(상표)
이소스테아르산헥실데실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ICIS(상표)
히드록시스테아르산에틸헥실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소캐스트 IOHS(상표)
<성분(C)>
이소스테아릴알코올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이소스테아릴알코올 EX(상표)
<성분(D)>
스쿠알란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올리브 스쿠알란(상표)
미네랄 오일 : 가네다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콜 K-230(상표)
<기타>
트리에틸헥사노인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TOG(상표)
폴리쿼터늄-10 : 도호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카티날 HC-100(상표)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 사카모토야쿠힌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S페이스 IS-1001P(상표)
라우르산폴리글리세릴-10: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소렉스 PGL101(상표)
라우릴베타인 수용액(30%) : 도호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오바졸린 LB-SF(상표)
PPG-2코카미드 : 가와켄파인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 아미제트 1PC(상표)
라우레스황산Na(30%) : 도호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알스코프 TH-330(상표)
코코일메틸타우린Na(30%) : 도호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네오스코프 CN-30SF(상표)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 클라리언트재팬 가부시키가이샤제 GENAPOL PMS(상표)
펜틸렌글리콜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디올 PD(상표)
스테아라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 도호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카티날 MPAS(상표)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1) : 토레·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BY 22-029(상표)
이소스테아르산 수첨 피마자유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소캐스트 MIS(상표)
(이소노난산폴리글리세릴-2/다이머디리놀산)코폴리머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루센트 INDA II(상표)
숙신산비스에톡시디글리콜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아쿠오스터 DCS(상표)
올리브유 : 가네다 가부시키가이샤제 정제 올리브유
동백유 : JA 도쿄도쇼도시마시텐제 시마츠바키(상표)
마카다미아너트유 : 닛코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NIKKOL 마카다미아너트유(상표)
세탄올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세탄올 NX(상표)
스테아릴알코올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스테아릴알코올 NX(상표)
세토스테아릴알코올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세토스테아릴알코올(상표)
수첨 유채씨유 알코올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알코올 No. 20-B(상표)
베헤닐알코올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베헤닐알코올 65(상표)
디프로필렌글리콜(DPG) :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제 DPG-RF(상표)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리드 : 클라리언트재팬 가부시키가이샤제 Genamin STAC(상표)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리드 : 클라리언트재팬 가부시키가이샤제 Genamin DSAC(상표)
베헨트리모늄클로리드 : 클라리언트재팬 가부시키가이샤제 Genamin KDM-P(상표)
디코코디모늄클로리드 : 다케모토유시 가부시키가이샤제 파이오닌 B-2211(상표)
아모디메티콘 : 토레·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SF 8452 C(상표)
시클로메티콘 : 토레·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SH245 Fluid(상표)
디메티콘 : 모먼티브·퍼포먼스·매테리얼즈·재팬사제 TSF451-10A(상표)
페녹시에탄올 : 도호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솔브 EPH(상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스미토모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제 HEC(상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 신에츠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메톨로스 60SH-4000(상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VP)코폴리머 : 클라리언트재팬 가부시키가이샤제 Aristoflex AVC(상표)
펜틸렌글리콜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디올 PD(상표)
1,3-부틸렌글리콜(BG)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슈가케인 BG(상표)
폴리옥타늄-7 :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제 리포플로 MN(상표)
가수분해 실크 :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와카세이제 프로모이스실크-1000Q(상표)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1) : 토레·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BY 22-029(상표)
다이머디리놀산 수첨 피마자유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소캐스트 DA-H(상표)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다이머디리놀산)코폴리머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루센트 ISDA(상표)
(디글리세린/디리놀산/히드록시스테아르산)코폴리머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소캐스트 HSDA(상표)
숙신산디에틸헥실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KAK DIOS(상표)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소렉스 PGIS21(상표)
스테아르산글리세릴 : 리켄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제 포엠 V-100(상표)
스테아레스-6 : 니혼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제 EMALEX 606(상표)
칸데릴라납 : STRAHL & PITSCH사제 칸데릴라왁스 SP-75(상표)
세레신 : 닛코리카 가부시키가이샤제 세레신 #810(상표)
마이크로크리스타린왁스 : 닛코리카 가부시키가이샤제 정제 마이크로크리스타린왁스
말산디이소스테아릴/(다이머디리놀산비스옥타데실아미드/에틸렌디아민)코폴리머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말레이트 PAM(상표)
세테아릴알코올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세토스테아릴알코올(상표)
디메티콘 : 모먼티브·퍼포먼스·매테리얼즈·재팬사제 TSF451-10A(상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스미토모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제 HEC(상표)
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Na :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아미소프트 HS-11P(상표)
카보머 : 닛코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카보폴 ETD2050(상표)
수산화칼륨(수산화K)
숙신산비스에톡시디글리콜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아쿠오스터 DCS(상표)
호호바유 : 코큐알코올코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에코오일 RS(상표)
이소도데칸 : 마루젠세키유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마르카졸 R(상표)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 이데미츠코산 가부시키가이샤제 IP 솔벤트 2028MU(상표)
디프로필렌글리콜(DPG) :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제 DPG-RF(상표)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 아이에스피재팬 가부시키가이샤제 ESCALOL557(상표)
아세트산토코페롤 : 에이자이푸드·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 아세트산 토코페롤
옥틸도데칸올 : 코큐알코올 가부시키가이샤제 리소놀 20SP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조한 각 화장료의 보존 안정성, 잘 미끄러짐, 꺼끌꺼끌하지 않음 및 피부 안전성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했다.
<보존 안정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샴푸,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왁스 및 헤어 오일)를 하기 소정의 방법에 의해, 각각 3개씩 조제했다. 다음에, 25℃ 및 45℃의 항온조 내에서 각각 1개씩 모두 1개월간 보존했다. 나머지 1개를 각각 항온실 내에서 -10℃, 25℃, 45℃의 3개의 온도에서 8시간씩 유지하여, 1왕복 48시간에 걸쳐서 5왕복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샘플에 대해서, 외관의 열화(입자의 조대화)의 유무, 착색 착취의 유무, 분리의 유무에 대해서 인간의 오감에 의해 관찰했다. 그 결과, 외관의 열화 및 착색 착취에 대해서는 어느 샘플에 대해서도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평가는 분리의 유무만에 대해서 판단했다. 평가 결과는 각 샘플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모든 샘플에서 분리가 없는 경우를 「G」로 나타내고, 하나의 온도 조건의 샘플에 약간이라도 분리가 있는 경우를 「M」으로 나타내며, 2개 이상의 온도 조건의 샘플에 약간이라도 분리가 있는 경우를 「B」로 나타냈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
시험용 모발로서, 건강모인 흑 100% 뿌리부분의 가지런한 인모 모속(가부시키가이샤 뷰랙스제 BS-B3N(상표))을 사용했다. 우선,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에테르황산Na 수용액(카오 가부시키가이샤제 에말 327(상표), 30질량% 수용액)으로부터 2질량% 수용액을 작성하고, 다음에 이것을 40℃로 가열하여, 이것에 상기한 시험용 모발을 30분간 침지했다. 다음에, 이것을 약 40℃의 온수에서 2분간 수세한 후, 페이퍼를 사용하여 과잉의 수분을 제거했다. 이 시험용 모발을 드라이어(가부시키가이샤 이시자키덴키세이사쿠쇼제 블라젯트 PJ-208A(상표))를 사용하여 건조했다. 건조에 있어서는, 드라이어와 모발의 거리를 약 30cm로 하고, 열풍 온도를 약 70℃로 하여, 건조 중 브러싱을 100회 실시했다. 다음에, 열풍 처리 후의 시험용 모발을 블리치제(가부시키가이샤 다이아제 팔티메차플래시블리치(상표))를 사용하여 블리치 처리한 후,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했다. 다음에, 상기에서 서술한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에테르황산Na 수용액으로의 침지로부터 블리치 처리까지의 공정을 5회 반복했다. 다음에, 또한 상기에서 서술한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에테르황산Na 수용액으로의 침지로부터 드라이어에 의한 건조까지의 공정을 1회 실시했다. 이들 처리를 행한 시험용 모발을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의 측정용 시료로 했다.
이 시료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샴푸,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왁스 및 헤어 오일) 0.2밀리리터를 주걱을 사용하여 모속에 균일하게 도포했다. 여기서 샴푸 및 헤어 트리트먼트에 대해서는, 도포 후에 흐르는 물로 약 15초간 세정했다. 다음에, 드라이어(가부시키가이샤 이시자키덴키세이사쿠쇼제 블라젯트 PJ-208A(상표))를 사용하여 모속을 건조했다. 건조에 있어서는, 드라이어와 모발의 거리를 약 30cm로 하고, 열풍 온도를 약 70℃로 하여, 브러싱을 50회 실시했다. 다음에, 이 모속으로부터 모발 100개를 임의로 채취하여, 이들의 뿌리부분을 가지런히 하고 방안지 상에 폭 10mm, 길이(모발의 길이 방향) 50mm가 되도록 균일하게 늘어놓고, 측정용 모발 샘플을 작성했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의 측정용 장치로서, 마찰감 테스터(가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제 KES-SE 마찰감 테스터(상표), 측정 조건, 온도 : 25±3℃, 하중 : 25그램, 검출부 : 실리콘 접촉자)를 사용하여, 평균 마찰 계수(MIU) 및 마찰 계수 변동값(MMD)을 측정했다. 이 측정을 3회 반복하고, 그 평균값에 의해 평가했다. 여기서, 평균 마찰 계수(MIU)를 잘 미끄러짐의 지표로 하고, 그리고, 마찰 계수 변동값(MMD)을 꺼끌꺼끌하지 않음의 지표로 했다. 잘 미끄러짐은 MIU가 0.20 이하일 때를 양호로서 「G」로 나타내고, MIU가 0.20를 넘고 0.40 이하일 때를 보통으로서 「M」으로 나타내며, MIU가 0.40를 넘을 때 불량으로서 「B」로 나타냈다. 또,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MMD가 0.004 이하일 때를 양호로서 「G」로 나타내고, MMD가 0.004를 넘고 0.006 이하일 때를 보통으로서 「M」으로 나타내며, MMD가 0.006을 넘을 때 불량으로서 「B」로 나타냈다.
<피부 안전성>
피시험자는 남자 10명 및 여자 10명의 합계 20명이다. 전완굴측부 피부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각 화장료의 0.05그램을 직경 1.0cm의 린트천이 붙은 원형 패치 테스트용 반창고를 사용하여 24시간 폐색 첩포한다. 반창고를 제거한 후의 1시간 및 24시간에 있어서의 피시험자 20명의 피부 상태를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평가에는 반창고 제거 후 1시간 후 및 24시간 후 동안, 반응이 강한 쪽을 채용했다. (-)가 20명일 때를 「G」, (±)가 1~2명이며 다른 피험자가 (-)일 때를 「M」, (±)가 3명 이상이며 다른 피험자가 (-)일 때, 또는 (+)~(+++)가 1명 이상일 때를 「B」로 나타냈다. 평가시에 헤어 트리트먼트는 0.5%의 수용액을 사용했다.
(평가 기준)
(피부 상태) (평가)
홍반, 부종, 수포
: (+++)
홍반, 부종 : (++)
홍반
: (+)
경미한 홍반 : (±)
무홍반, 무부종
: (-)
[실시예 1~3]
샴푸
성분(A)로서의 합성 실시예 1, 2 및 5의 에스테르 화합물의 각각에 우선 폴리옥타늄-10 및 정제수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80℃까지 가열했다. 다음에,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하면서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및 라우르산폴리글리세릴-10을 가했다. 다음에, 동일하게 80℃로 유지하면서, 라우릴베타인 수용액(30%)을 가하고, 거품이 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1,000회전으로 1분간 애지터 분산했다. 그 후, 동일하게 80℃로 유지하면서, 얻어진 혼합물에 PPG-2 코카미드를 가했다. 다음에,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하면서, 표 2에 기재한 성분을 표 2 위에서 아래로의 기재 순서에 따라 순차 첨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하여 샴푸를 조제했다.
[비교예 1]
샴푸
성분(A) 대신에 합성 비교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2 및 이하의 표 3~5에 나타낸 수치의 단위는 모두 질량%이다.
Figure 112013095171135-pct00002
실시예 1은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1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을 사용하여 샴푸를 제조한 것이다. 대미지 모발에 대한 효과인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또, 보존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도 양호했다. 실시예 2는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을 사용한 것이다. 이들 배합량을 실시예 1에 비해 증가시킨 것이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3은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5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D) 스쿠알란을 사용한 것이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성분(B) 및 (C)을 사용하지 않고, 성분(D) 스쿠알란의 사용에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은 실시예 1의 성분(A) 합성 실시예 1의 에스테르 화합물 대신에 합성 비교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것이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하지 않았다.
[실시예 4~7]
헤어 트리트먼트
표 3에 나타낸 (I) 및 (II)의 각 성분을 각각 별개로 75~80℃에 있어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다음에, 조성물(I)을 조성물(II)에 교반하면서 가하고, 호모믹서에 의해 유화했다. 다음에, 교반하면서 이 유화물에 (III)성분을 첨가하고, 또한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하여 헤어 트리트먼트를 조제했다. 표 3에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비교예 2]
헤어 트리트먼트
성분(A) 대신에 합성 비교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실시예 4~7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95171135-pct00003
실시예 4는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1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C)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하여 헤어 트리트먼트를 제조한 것이다. 대미지 모발에 대한 효과인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또, 보존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도 양호했다. 이와 같이, 성분(C)의 사용에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는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및 트리이소스테아린을 사용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6은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성분(B)로서 헥사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D) 스쿠알란을 사용한 것이다. 매우 양호한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이 얻어졌다. 실시예 7은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1 및 합성 실시예 5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에틸헥산산세틸을 사용한 것이다. 역시,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한편, 비교예 2는 실시예 4의 성분(A) 합성 실시예 1의 에스테르 화합물 대신에 합성 비교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것이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하지 않았다.
[실시예 8~11]
헤어 왁스
표 4에 나타낸 (I) 및 (II)의 각 성분을 각각 별개로 75~80℃에 있어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다음에, 조성물(I)을 조성물(II)에 교반하면서 가하고, 호모믹서에 의해 유화했다. 다음에,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하여 헤어 왁스를 조제했다. 표 4에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비교예 3]
헤어 왁스
성분(A) 대신에 합성 비교예 3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실시예 8~11 및 비교예 3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95171135-pct00004
실시예 8은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에루크산올레일을 사용하여 헤어 왁스를 제조한 것이다. 대미지 모발에 대한 효과인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또, 보존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도 양호했다. 실시예 9는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에틸헥산산세틸 및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을 사용한 것이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10은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3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를 사용한 것이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11은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3 및 합성 실시예 4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D) 미네랄 오일을 사용한 것이다. 성분(B) 및 (C)를 사용하지 않고, 성분(D) 미네랄 오일의 사용에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3은 실시예 8의 성분(A) 합성 실시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 대신에 합성 비교예 3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것이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하지 않았다.
[실시예 12~15]
헤어 오일
표 5에 나타낸 각 성분을 60~70℃에 있어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다음에,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하여 헤어 오일을 조제했다. 표 5에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비교예 4]
헤어 오일
성분(A) 대신에 합성 비교예 3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실시예 12~15 및 비교예 4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Figure 112013095171135-pct00005
실시예 12는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2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틸 및 히드록시스테아르산에틸헥실을 사용하여 헤어 오일을 제조한 것이다. 대미지 모발에 대한 효과인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또, 보존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도 양호했다. 실시예 13은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3 및 합성예 4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이소스테아르산헥실데실 및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을 사용한 것이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14는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8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B)로서 헥사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을 사용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15는 성분(A)로서 합성 실시예 2, 합성 실시예 5 및 합성 실시예 7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성분(D) 미네랄 오일을 사용한 것이다. 헤어 오일에 관해서도 성분(B) 및 (C)를 사용하지 않고, 성분(D) 미네랄 오일의 사용으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4는 실시예 13의 성분(A) 합성 실시예 3 및 합성 실시예 4의 에스테르 화합물 대신에 합성 비교예 3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것이다. 잘 미끄러짐 및 꺼끌꺼끌하지 않음은 모두 양호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은 대미지를 받은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하고, 또한 대미지를 받은 모발에 존재하는 꺼끌꺼끌함을 개선하여 매끈매끈함을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미지 모발 개선제는, 예를 들면, 샴푸,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왁스, 헤어 오일 등으로의 사용이 크게 기대된다.

Claims (24)

  1. (A)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3.0~1.0:6.0인 에스테르 화합물, 및, (B)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여기서, 이들 기에 존재하는 수소 원자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에스테르 화합물(단, 상기 성분(A)를 제외함), (C)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알코올, 및, (D)탄소수 20 이상의 탄화수소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200질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000질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3.5~1.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4.0~1.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지방산의 탄소수가 8~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지방산의 탄소수가 9~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지방산이 이소노난산, 네오펜탄산, 2-에틸헥산산, 이소미리스트산 및 이소팔미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지방산이 이소노난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가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린, 에틸헥산산세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에루크산올레일,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틸, 헥사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이소스테아르산헥실데실 및 히드록시스테아르산에틸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가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D)가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미지 모발 개선제.
  13. (A)디펜타에리트리톨과, 탄소수 5~16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3.0~1.0:6.0인 에스테르 화합물, 및, (B)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여기서, 이들 기에 존재하는 수소 원자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에스테르 화합물(단, 상기 성분(A)를 제외함), (C)탄소수 16~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mPa·s 이하인 알코올, 및, (D)탄소수 20 이상의 탄화수소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모발에 사용하여,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200질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성분(B), (C) 및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성분(B), (C) 및 (D)의 합계로 10~1,000질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3.5~1.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잔기와 탄소수 5~16의 지방산 잔기의 몰비가 1.0:4.0~1.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지방산의 탄소수가 8~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지방산의 탄소수가 9~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지방산이 이소노난산, 네오펜탄산, 2-에틸헥산산, 이소미리스트산 및 이소팔미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지방산이 이소노난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가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린, 에틸헥산산세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에루크산올레일,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틸, 헥사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이소스테아르산헥실데실 및 히드록시스테아르산에틸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가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D)가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KR1020137027721A 2011-03-25 2011-03-25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KR101717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7398 WO2012131848A1 (ja) 2011-03-25 2011-03-25 ダメージ毛髪改善剤及びそれを用いる毛髪のダメージを改善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943A KR20140018943A (ko) 2014-02-13
KR101717070B1 true KR101717070B1 (ko) 2017-03-16

Family

ID=4692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721A KR101717070B1 (ko) 2011-03-25 2011-03-25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89770A4 (ko)
JP (1) JP5801876B2 (ko)
KR (1) KR101717070B1 (ko)
WO (1) WO20121318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2956A1 (de) * 2014-02-18 2015-08-20 Beiersdorf Ag Kosmetische Emulgatorkombination
JP6363400B2 (ja) * 2014-05-29 2018-07-25 株式会社ダリヤ 口唇化粧料
EP3157499B1 (en) 2014-06-17 2023-10-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hair frizz reduction
US20160015608A1 (en) * 2014-06-17 2016-0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hair frizz reduction
MX369683B (es) 2014-12-05 2019-10-02 Procter & Gamble Composición para la reducción del encrespado del cabello.
EP4162982A3 (en) 2014-12-05 2023-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hair frizz reduction
US10660835B2 (en) 2015-04-02 2020-05-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hair frizz reduction
US10632054B2 (en) 2015-04-02 2020-04-2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hair frizz reduction
JP2016222583A (ja) * 2015-05-29 2016-12-28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毛髪化粧料
WO2017096154A1 (en) 2015-12-04 2017-06-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regimen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moisture control materials
US10258555B2 (en) 2015-12-04 2019-04-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hair frizz reduction
EP3435964B1 (en) 2016-04-01 2024-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fast dry of hair
US10980723B2 (en) 2017-04-10 2021-04-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Non-aqueous composition for hair frizz reduction
WO2020116411A1 (ja) * 2018-12-04 2020-06-11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性保湿剤及びそれを含む皮膚外用組成物
TWI787865B (zh) * 2021-06-11 2022-12-21 百達精密化學股份有限公司 髮用產品頭皮保護組成物的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004A1 (ja) * 2009-01-30 2010-08-05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油性毛髪化粧料
WO2011013174A1 (ja) * 2009-07-30 2011-02-03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油性基剤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7071B2 (ja) * 1997-01-17 2004-04-05 カネボウ株式会社 毛髪化粧料
FR2824733B1 (fr) * 2001-05-18 2005-12-09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amidon et un ester et leurs utilisations
JP2003327513A (ja) * 2002-05-13 2003-11-19 Kao Corp 毛髪化粧料
JP4834548B2 (ja) 2004-06-30 2011-12-14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液状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6111543A (ja) 2004-10-13 2006-04-27 Kanebo Cosmetics Inc 油性化粧料
JP4942072B2 (ja) 2005-12-09 2012-05-30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化粧料
JP5110797B2 (ja) 2006-02-22 2012-12-26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5359058B2 (ja) 2007-08-02 2013-12-04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5538685B2 (ja) 2008-03-17 2014-07-02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化粧料
EP2161016A1 (en) * 2008-09-05 2010-03-10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nditioning composition for h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004A1 (ja) * 2009-01-30 2010-08-05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油性毛髪化粧料
WO2011013174A1 (ja) * 2009-07-30 2011-02-03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油性基剤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9770A1 (en) 2014-01-29
JPWO2012131848A1 (ja) 2014-07-24
WO2012131848A1 (ja) 2012-10-04
JP5801876B2 (ja) 2015-10-28
KR20140018943A (ko) 2014-02-13
EP2689770A4 (en)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070B1 (ko) 대미지 모발 개선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모발의 대미지를 개선하는 방법
DK2417199T3 (en) Volatile oily composition
KR101561177B1 (ko) 유성 모발 화장료
JP5654465B2 (ja) 化粧料用油性基剤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WO2019193949A1 (en) Composition for keratin fibers comprising volatile branched c13-15 alkane oil
US9789042B2 (en) Damaged hair improving agent and process for improving damaged hair using the same
US8420109B2 (en) Oily base for a cosmetic and a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JP2008247859A (ja) 化粧料組成物
JP6255867B2 (ja) リーブオン毛髪化粧料
JP5954619B2 (ja) 皮膚化粧料
US8367084B2 (en) Oily base for a cosmetic and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JP7466350B2 (ja) 毛髪化粧料
CN104125823A (zh) 作为凡士林替代品的混合醚
KR20140063349A (ko) 화장료용 유성 기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JP6182975B2 (ja) ジェル状皮膚化粧料
FR3004641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compose d&#39;acide cucurbique et une huile polaire (poly)oxyalkylenee
US11975094B2 (en) Three-part makeup remover compositions
JP2023075916A (ja) 油中水型ケラチン繊維用化粧料
JP2022054954A (ja) 2相組成物
FR3029783A1 (fr) Composition aqueuse comprenant de l&#39;hesperetine
WO2012016578A1 (en) Thickening agents for cosmetic oil ph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