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206B1 - 매체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206B1
KR101715206B1 KR1020150118595A KR20150118595A KR101715206B1 KR 101715206 B1 KR101715206 B1 KR 101715206B1 KR 1020150118595 A KR1020150118595 A KR 1020150118595A KR 20150118595 A KR20150118595 A KR 20150118595A KR 101715206 B1 KR101715206 B1 KR 101715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medium
rotation
convey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730A (ko
Inventor
요시하루 하라다
아키노부 나카보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7Transporting of cards between stations
    • G06K13/077Transporting of cards between stations with intermittent movement; Braking or stopp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0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magazine to conveying arrangement
    • G06K13/103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magazine to conveying arrangement using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취급 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매체를 압압하는 기구를 조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매체 취급 장치로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매체를 반송할 수 있는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1 회전 반송부와 함께 매체를 사이에 끼우며, 제 1 회전 반송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매체를 반송할 수 있는 제 2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를 유지하며, 반송되는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지부와, 유지부를 통하여, 제 2 회전 반송부를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는 제 1 탄성체와, 유지부를 통하여, 제 2 회전 반송부를 제 1 회전 반송부로 제 1 탄성체보다 강하게 압압할 수 있는 제 2 탄성체와, 유지부가 변위되었을 경우에 제 2 탄성체에 있어서 유지부와 접촉하는 부위인 탄성체 단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탄성체 단부와 유지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매체 취급 장치{MEDIUM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매체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 카드나 IC 카드와 같은 매체를 취급하는 매체 취급 장치에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매체를 반송하는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1 회전 반송부와 함께 매체를 사이에 끼우고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매체를 반송하는 제 2 회전 반송부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하는 회전 반송부에는, 매체와의 마찰력을 크게 함으로써 반송을 확실히 하기 위해, 및 쌍을 이루고 있는 회전 반송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고경도의 고무가 사용된다. 종동(從動)하는 회전 반송부에는 매체의 표면을 상처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이 사용된다.
매체를 반송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가 마주보고서 매체를 사이에 끼워넣는 부분인 협입부(挾入部)에서,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가 접촉해 있는 매체 취급 장치가 있다. 그와 같은 매체 취급 장치에 있어서, 제 1 회전 반송부 및 제 2 회전 반송부가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협입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매체가 삽입될 때, 혹은 협입부로부터 그 매체가 배출될 때에는, 제 1 회전 반송부 및 제 2 회전 반송부가 변형되기 때문에,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속도가 급격하게 변동한다. 반송 속도의 변동은 자기 카드에 있어서의 자기나 IC 카드에 있어서의 IC의 판독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반송 속도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협입부에 있어서,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 사이에 미리 간극을 설치하고 있는 매체 취급 장치가 있다. 그와 같은 매체 취급 장치에서는, 그 간극보다 얇은 매체(시트나 필름 등)이 삽입되었을 경우, 그 얇은 매체를 반송할 수 없어 반각(返却)할 수도 없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매체 반송 기구에서는,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 사이에 간극을 설치해 둠과 함께, 제 1 회전 반송부 및 제 2 회전 반송부 외에 얇은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별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얇은 매체의 반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13-17723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매체 반송 기구에서는, 반송부를 별도 형성하는 것에 의한 부품수의 증가, 및 별도 형성한 반송부를 부착하기 위한 매체 취급 기구 내에 있어서의 공간의 확보라는 과제가 있었다. 그 밖에, 매체 취급 장치에 있어서는, 저비용화, 미세화, 제조의 용이화, 자원 절약화, 편의성의 향상, 내구성의 향상 등이 요망되고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매체 취급 장치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매체를 반송할 수 있는 제 1 회전 반송부와,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와 함께 상기 매체를 사이에 끼우며,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매체를 반송할 수 있는 제 2 회전 반송부와,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유지하며,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는 제 1 탄성체와, 상기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상기 제 1 탄성체보다 강하게 압압할 수 있는 제 2 탄성체와, 상기 유지부가 변위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 2 탄성체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와 접촉하는 부위인 탄성체 단부(端部)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탄성체 단부와 상기 유지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매체 취급 장치에 따르면,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 사이에 삽입되어야 할 매체가 끼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제 2 회전 반송부는 제 1 탄성체로부터 약하게 압압되어 있으므로,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속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되어야 할 매체보다 얇은 매체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반송부를 별도 형성하지 않고 얇은 매체를 반각할 수 있다.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 사이에 삽입되어야 할 매체가 끼워졌을 때에는, 제 2 회전 반송부는 제 2 탄성체로부터 강하게 압압되므로, 안정된 매체의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되어야 할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유지부와 탄성체 단부의 접촉이 가능해지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참고예의 2단계 압압 기구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2단계 압압 기구의 단면도.
도 5는 매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매체가 삽입된 순간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매체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A. 제 1 실시형태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드 처리 장치(100)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상호 직교하는 XYZ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XYZ축은 다른 도면의 XYZ축에 대응한다. 카드 처리 장치(100)는 카드(108)를 처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드 처리 장치(100)는 「매체 취급 장치」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드(108)는 집적 회로(IC : Integrated Circuit)를 조립한 카드인 IC 카드이다. 카드 처리 장치(100)는 카드 삽입부(101)와, 본체 처리부(102)와, 카드 회수부(103)를 구비한다.
카드 삽입부(101)에는 카드(108)가 삽입된다. 카드 삽입부(101)는 자기 헤드(109)를 구비한다. 자기 헤드(109)는 카드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 처리를 실시한다.
본체 처리부(102)는 삽입된 카드(108)를 처리한다. 본체 처리부(102)는 센서(104)와, 반송 모터(105)와, 2단계 압압 기구(300)와, IC 헤드(110)를 구비한다. 센서(104)는 삽입된 카드(108)를 검지하여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신호를 출력한다. 반송 모터(105)는 그 신호를 수취한 제어부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가동된다. 카드 회수부(103)는 부정하게 사용된 카드의 회수를 행한다.
2단계 압압 기구(300)는 반송되는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2단계로 압압하는 구조를 갖는다. 2단계 압압 기구(300)는 구동 롤러(301)와, 종동 롤러(302)를 구비한다. 구동 롤러(301)는 가동된 반송 모터(105)로부터의 동력에 따라서 구동된다. 종동 롤러(302)는 구동 롤러(301)와 함께 카드(108)를 사이에 끼우고서 받아들여 반송한다.
IC 헤드(110)는 카드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 처리를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롤러(301)와 종동 롤러(302)에 의하여 반송되고 있는 매체의 판독이나 기입 처리를 실시한다.
도 2는 참고예의 2단계 압압 기구(200)의 설명도이다. 2단계 압압 기구(200)는 구동 롤러(202)와, 종동 롤러(203)와, 유지부(204)와, 약한 스프링(205)과, 강한 스프링(206)을 구비한다.
소정의 두께보다 얇은 매체(201a)(시트나 필름 등)가 구동 롤러(202)와 종동 롤러(203)에 의하여 반송될 경우에는, 매체(201a)는 약한 스프링(205)에 의하여 약하게 압압된다.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매체(201b)가 구동 롤러(202)와 종동 롤러(203)에 의하여 반송될 경우에는, 종동 롤러(203)를 유지하는 유지부(204)는 매체(201b)에 의하여 Z축 방향의 -측으로 변위한다. 변위된 유지부(204)는 강한 스프링(206)을 압압하므로, 강한 스프링(206)은 유지부(204)를 통하여 종동 롤러(203)를 구동 롤러(202)로 강하게 압압한다. 그 결과, 매체(201b)는 강하게 압압된다.
그러나, 도 2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200)에서는, 유지부(204)와 강한 스프링(206) 사이에 있어서의 적절한 간격 및 압압력을 실현하기 위하여, 높은 정밀도의 조립 및 높은 정밀도의 부품이 필요하다. 또한, 경년적(經年的)인 부품의 변화에 의하여 충분한 반송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의 (a)는 Y축 방향의 -측에서 본 2단계 압압 기구(300)의 설명도이다. 도 3의 (b)는 2단계 압압 기구(300)를 X축 방향의 +측에서 본 도면이다.
2단계 압압 기구(300)는 구동 롤러(301)와, 종동 롤러(302)와, 종동 롤러 홀더(303)와, 홀더 회전축(304)과, 조정축(305)과, 조정 너트(306)와, 고정 브래킷(308)과, 비틀림 스프링(309)과, 압축 스프링(310)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롤러(301)와 대향하는 종동 롤러(302)측을 구성하고 있는 부품은, 구동 롤러(301)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된 고정 브래킷(308)을 통하여 카드 처리 장치(100)의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 롤러(302)측을 구성하고 있는 부품은, 고정 브래킷(308)을 통하여 반송 가이드 등의 안정된 개소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브래킷(308)은 「고정부」에 상당한다.
구동 롤러(301)는 종동 롤러(302)와 함께 매체를 사이에 끼우고서 종동 롤러(302)와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매체를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롤러(301)는 반송 모터(105)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롤러(301)와 종동 롤러(302)는 마주보고 매체를 사이에 끼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롤러(301)는 「제 1 회전 반송부」에 상당한다.
종동 롤러(302)는 구동 롤러(301)와 함께 매체를 사이에 끼우고 매체가 구동 롤러(301)에 의하여 반송되는 것에 따라 매체를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 롤러(302)는 구동 롤러(301)의 Z축 방향의 -측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 롤러(302)는 구동 롤러(301)의 Z축 방향의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 롤러(302)는 「제 2 회전 반송부」에 상당한다.
종동 롤러 홀더(303)는 종동 롤러(302)를 유지하며, 반송되는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 롤러 홀더(303)는 종동 롤러(302)의 Z축 방향의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 롤러 홀더(303)는 반송되는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종동 롤러(302)가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Z축 방향의 -측으로 변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 롤러 홀더(303)는 종동 롤러(302)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브래킷(308)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수직인 방향이란 80도 내지 100도의 범위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 롤러 홀더(303)는 「유지부」에 상당한다.
홀더 회전축(304)은 종동 롤러(302)의 X축 방향의 -측에 배치된다. 홀더 회전축(304)은, 종동 롤러(302)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종동 롤러 홀더(303)가 회전할 때의 회전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회전축(304)은 「유지부의 회전축」에 상당한다.
비틀림 스프링(309)은 종동 롤러(302)의 X축 방향의 -측에 배치된다. 비틀림 스프링(309)은 홀더 회전축(304)의 둘레에 배치된다. 비틀림 스프링(309)은 종동 롤러 홀더(303)를 통하여 종동 롤러(302)를 구동 롤러(301)로 압압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틀림 스프링(309)은, 종동 롤러 홀더(303)를 고정 브래킷(308)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종동 롤러(302)를 구동 롤러(301)로 압압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틀림 스프링(309)은 압축 스프링(310)에 비하여 약한 힘으로 종동 롤러(302)를 압압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틀림 스프링(309)은 「제 1 탄성체」에 상당한다. 비틀림 스프링(309)은, 같은 중량의 압축 스프링에 비하여 보존할 수 있는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과 동등한 압압력을 발생시킬 경우에, 압축 스프링보다 경량으로 만들 수 있다. 이 때문에, 카드 처리 장치(100)를 경량화할 수 있다.
압축 스프링(310)은 종동 롤러(302)의 X축 방향의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310)은 종동 롤러(302)를 사이에 두고 비틀림 스프링(309)과 대향한다. 압축 스프링(310)은 종동 롤러(302)를 구동 롤러(301)로 압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310)은 종동 롤러 홀더(303)를 통하여 종동 롤러(302)를 구동 롤러(301)로 압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310)은 비틀림 스프링(309)에 비하여 강한 힘으로 종동 롤러(302)를 압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310)은 코일 스프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310)은 「제 2 탄성체」에 상당한다.
압축 스프링(310)에는 슬라이딩 부시(30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시(307)는 압축 스프링(310)의 Z축 방향의 +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시(307)는, 종동 롤러 홀더(303)가 변위되었을 경우에, 압축 스프링(310)에 있어서 종동 롤러 홀더(303)와 접촉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시(307)는 「탄성체 단부」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Z축 방향의 -측으로 변위된 종동 롤러 홀더(303)로부터 슬라이딩 부시(307)가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되어 있을 경우에, 압축 스프링(310)은, 종동 롤러 홀더(303)를 통하여 종동 롤러(302)를 구동 롤러(301)로 압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틀림 스프링(309) 및 압축 스프링(310)은, 종동 롤러(302)의 회전축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종동 롤러(302)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종동 롤러(302)의 양측이란, 회전축의 연장선상뿐만 아니라, 그 연장선상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틀림 스프링(309) 및 압축 스프링(310)은, 종동 롤러(302)의 회전축 방향 중 회전축의 연장선상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종동 롤러(302)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방향(Y축 방향)의 카드 처리 장치(100) 내의 공간에 있어서, 반송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설치할 수 있다.
조정축(305)은 종동 롤러(302)의 X축 방향의 +측에 배치된다. 조정축(305)은 슬라이딩 부시(307)와 종동 롤러 홀더(303) 사이에 있어서의 거리(d)를 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축(305)은, 슬라이딩 부시(307)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시(307)와 종동 롤러 홀더(303) 사이에 있어서의 거리(d)를 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축(305)은 볼트이다. 조정 너트(306)는 조정축(305)과 나사맞춤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축(305) 및 조정 너트(306)는 「조정부」에 상당한다.
도 4는 도 3의 (b)의 화살표 F4-F4로부터 본 2단계 압압 기구(300)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축(305)은 종동 롤러 홀더(303)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슬라이딩 부시(307)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압축 스프링(310)의 내측과, 고정 브래킷(308)에 형성된 볼트 구멍과, 조정 너트(306)를 삽통(揷通)하고 있다. 이들 부재를 삽통하고 있는 조정축(305)은 조정 너트(306)에 의해 고정 브래킷(308)에 체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인 조정축(305)을 돌리는 것에 의하여 고정 브래킷(308)에 대한 조정축(305)의 위치를 조정축(305)의 축 방향을 따른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축(305)에는 삽통한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시(307)보다 볼트 머리측에 압압부(305a)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305a)는 슬라이딩 부시(307)를 고정 브래킷(308)측으로 압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축(305)의 축 방향을 따른 범위에서의 위치 변경에 따라서, 압압부(305a)가 위치 변경됨과 함께 슬라이딩 부시(307)도 압압되어 위치 변경되지만 종동 롤러 홀더(303)는 위치 변경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거리(d)가 조정된다. 이 때문에, 삽입되어야 할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거리(d)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2단계 압압 기구(300)간에 있어서의 조립이나 부품 정밀도의 편차, 경년적인 부품의 변화에 따른 거리(d)의 어긋남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매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매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를 Y축 방향의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의 (b)는 2단계 압압 기구(300)를 X축 방향의 +측에서 본 도면이다.
매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2단계 압압 기구(300)에서는, 구동 롤러(301)와 종동 롤러(302)는 접촉한 상태에서 정지해 있다. 이때, 종동 롤러(302)는 종동 롤러 홀더(303)를 통하여 비틀림 스프링(309)에 의한 약한 힘으로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되어 있다. 종동 롤러 홀더(303)와 슬라이딩 부시(307) 사이에는 거리(d1)가 있어, 종동 롤러 홀더(303)와 슬라이딩 부시(307)는 접촉해 있지 않다.
도 6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매체(311)가 삽입된 순간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매체(311)가 삽입되는 순간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를 Y축 방향의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의 (b)는 2단계 압압 기구(300)를 X축 방향의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에서는, 매체(311)의 삽입에 수반해서 종동 롤러(302)가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종동 롤러 홀더(303)가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된다. 종동 롤러 홀더(303)가 압압된 것에 의하여, 종동 롤러 홀더(303)와 슬라이딩 부시(307) 사이에는 거리(d1)가 없어져, 종동 롤러 홀더(303)와 슬라이딩 부시(307)는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매체(311)가 삽입된 순간에는, 종동 롤러(302)는 비틀림 스프링(309)으로만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속도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IC 헤드(110)에 있어서의 매체의 판독에 주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매체(311)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매체(311)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를 Y축 방향의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의 (b)는 2단계 압압 기구(300)를 X축 방향의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에서는, 매체(311)가 삽입됨으로써 종동 롤러(302)가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종동 롤러 홀더(303)가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되어 있다. 종동 롤러 홀더(303)가 압압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변위된 종동 롤러 홀더(303)로부터 슬라이딩 부시(307)가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310)은, 슬라이딩 부시(307)와 접촉해 있는 종동 롤러 홀더(303)를 통하여, 종동 롤러(302)를 구동 롤러(301)로, 비틀림 스프링(309)에 비해서 강한 힘으로 압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안정된 매체(311)의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소정의 두께보다 얇은 매체(시트나 필름 등)가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의 상태와 마찬가지이며, 종동 롤러(302)는 비틀림 스프링(309)으로만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얇은 매체의 반송이 가능하다. 또한, 매체가 배출되는 순간은, 도 6의 상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와 마찬가지이며, 종동 롤러(302)는 비틀림 스프링(309)으로만 Z축 방향의 +측으로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속도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 사이에 삽입되어야 할 매체가 끼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제 2 회전 반송부는 제 1 탄성체로부터 약하게 압압되어 있으므로,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속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되어야 할 매체보다 얇은 매체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반송부를 별도 형성하지 않고 얇은 매체를 반각할 수 있다.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 사이에 삽입되어야 할 매체가 끼워졌을 때에는, 제 2 회전 반송부는 제 2 탄성체로부터 강하게 압압되므로, 안정된 매체의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되어야 할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유지부와 탄성체 단부의 접촉이 가능해지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B. 그 밖의 실시형태 :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나 실시예, 변형예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개요의 란에 기재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형태, 실시예, 변형예 중의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혹은 전술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교체나 조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a)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2단계 압압 기구(300a)는 「제 1 탄성체」로서 압축 스프링(309a)이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압축 스프링(309a)은 종동 롤러 홀더(303)와 고정 브래킷(308) 사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이다. 압축 스프링(309a)은, 종동 롤러 홀더(303)와 고정 브래킷(308) 사이를 넓히도록 종동 롤러 홀더(303)와 고정 브래킷(308)을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종동 롤러(302)를 구동 롤러(301)로 압압한다. 압축 스프링(309a)은 압축 스프링(310)에 비하여 약한 힘으로 종동 롤러(302)를 압압한다. 압축 스프링(309a)은 간이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카드 처리 장치(100)의 조립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b)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2단계 압압 기구(300b)는 「제 1 탄성체」로서 압축 스프링(309b)이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압축 스프링(309b)은 압축 스프링(3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딩 부시(307)는, 압축 스프링(309b)의 종동 롤러 홀더(303)측의 끝보다, 종동 롤러 홀더(303)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드 처리 장치(100) 내의 공간에 있어서,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설치할 수 있다. 압축 스프링(309b)은 종동 롤러 홀더(303)를 통하여 종동 롤러(302)를 구동 롤러(301)로 압압하고 있다. 압축 스프링(309b)은 압축 스프링(310)에 비하여 약한 힘으로 종동 롤러(302)를 압압한다.
2단계 압압 기구(300a) 및 2단계 압압 기구(300b) 중 무엇에 있어서도, 종동 롤러 홀더(303)의 변위에 따라서 종동 롤러(302)가 2단계의 다른 강도로 압압되는 구조임과 함께, 2단계째의 강도로 압압되는 매체의 두께는 조정축(305)에 의하여 조정이 가능한 것은 공통되어 있다. 압압하는 스프링의 형상이나 형태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2단계 압압 기구(300c)는 비틀림 스프링(309) 및 압축 스프링(310)이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단계 압압 기구(3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 형태에 따르면, 종동 롤러(302)의 회전축 방향(X축 방향)의 카드 처리 장치(100) 내의 공간에 있어서,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설치할 수 있다.
C. 그 외: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태양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매체 취급 장치가 제공된다. 이 매체 취급 장치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매체를 반송할 수 있는 제 1 회전 반송부와,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와 함께 상기 매체를 사이에 끼우며,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매체를 반송할 수 있는 제 2 회전 반송부와,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유지하며,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는 제 1 탄성체와, 상기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상기 제 1 탄성체보다 강하게 압압할 수 있는 제 2 탄성체와, 상기 유지부가 변위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 2 탄성체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와 접촉하는 부위인 탄성체 단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탄성체 단부와 상기 유지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를 구비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 사이에 삽입되어야 할 매체가 끼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제 2 회전 반송부는 제 1 탄성체로부터 약하게 압압되어 있으므로,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속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삽입되어야 할 매체보다 얇은 매체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반송부를 별도 형성하지 않고 얇은 매체를 반각할 수 있다. 또한, 제 1 회전 반송부와 제 2 회전 반송부 사이에 삽입되어야 할 매체가 끼워졌을 때에는 제 2 회전 반송부는 제 2 탄성체로부터 강하게 압압되므로, 안정된 매체의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되어야 할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유지부와 탄성체 단부의 접촉이 가능해지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매체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 및 상기 제 2 탄성체는,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의 양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방향의 매체 취급 장치 내의 공간에 있어서, 반송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설치할 수 있다.
(3) 상기 형태의 매체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 및 상기 제 2 탄성체는, 상기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제 2 회전 반송부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매체 취급 장치 내의 공간에 있어서,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설치할 수 있다.
(4) 상기 형태의 매체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측을 삽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체결하는 너트를 포함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너트가 볼트와 나사맞춤하고 있는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탄성체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5) 상기 형태의 매체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탄성체는, 비틀림 스프링임과 함께 상기 고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부의 회전축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유지부를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비틀림 스프링은, 같은 중량의 압축 스프링에 비하여 보존할 수 있는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과 동등한 압압력을 발생시킬 경우에, 압축 스프링보다 경량으로 만들 수 있다. 이 때문에, 매체 취급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다.
(6) 상기 형태의 매체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임과 함께 상기 유지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지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를 넓히도록 상기 유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은, 간이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매체 취급 장치의 조립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7) 상기 형태의 매체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제 2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제 1 탄성체는, 상기 제 2 탄성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탄성체는, 상기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고, 상기 탄성체 단부는, 상기 제 1 탄성체의 상기 유지부측의 끝보다, 상기 유지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매체 취급 장치 내의 공간에 있어서,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설치할 수 있다.
100 : 카드 처리 장치 100a : 카드 처리 장치
100b : 카드 처리 장치 101 : 카드 삽입부
102 : 본체 처리부 103 : 카드 회수부
104 : 센서 105 : 반송 모터
108 : 카드 109 : 자기 헤드
110 : IC 헤드 201a : 매체
201b : 매체 202 : 구동 롤러
203 : 종동 롤러 204 : 유지부
205 : 스프링 206 : 스프링
301 : 구동 롤러 302 : 종동 롤러
303 : 종동 롤러 홀더 304 : 홀더 회전축
305 : 조정축 305a : 압압부
306 : 조정 너트 307 : 슬라이딩 부시
308 : 고정 브래킷 309 : 스프링
309a : 압축 스프링 309b : 압축 스프링
310 : 압축 스프링 311 : 매체
d : 거리 d1 : 거리

Claims (7)

  1. 매체 취급 장치로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매체를 반송할 수 있는 제 1 회전 반송부와,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와 함께 상기 매체를 사이에 끼우며,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매체를 반송할 수 있는 제 2 회전 반송부와,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유지하며, 반송되는 상기 매체의 두께에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는 제 1 탄성체와,
    상기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상기 제 1 탄성체보다 강하게 압압할 수 있는 제 2 탄성체와,
    상기 유지부가 변위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 2 탄성체에서 상기 유지부와 접촉하는 부위인 탄성체 단부(端部)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탄성체 단부와 상기 유지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를 구비하는 매체 취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 및 상기 제 2 탄성체는,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의 회전축 방향에서,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매체 취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 및 상기 제 2 탄성체는, 상기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매체 취급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측을 삽통(揷通)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체결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매체 취급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탄성체는, 비틀림 스프링임과 함께 상기 고정부에서의 상기 유지부의 회전축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유지부를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는 매체 취급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임과 함께 상기 유지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지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를 넓히도록 상기 유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는 매체 취급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제 2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제 1 탄성체는, 상기 제 2 탄성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탄성체는, 상기 유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 반송부를 상기 제 1 회전 반송부로 압압하고 있고,
    상기 탄성체 단부는, 상기 제 1 탄성체의 상기 유지부측의 끝보다, 상기 유지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매체 취급 장치.
KR1020150118595A 2015-01-22 2015-08-24 매체 취급 장치 KR101715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10146 2015-01-22
JP2015010146A JP2016132564A (ja) 2015-01-22 2015-01-22 媒体取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30A KR20160090730A (ko) 2016-08-01
KR101715206B1 true KR101715206B1 (ko) 2017-03-10

Family

ID=5642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595A KR101715206B1 (ko) 2015-01-22 2015-08-24 매체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132564A (ko)
KR (1) KR101715206B1 (ko)
CN (1) CN1058252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3034B2 (ja) 2016-07-04 2019-09-11 株式会社デンソー ヒータ制御装置
JP7035809B2 (ja) * 2018-05-25 2022-03-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厚み検出装置および媒体取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7233A (ja) 2012-02-29 2013-09-0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媒体搬送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媒体搬送装置
JP2013256360A (ja) 2012-06-12 2013-12-26 Ricoh Co Ltd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099229A (ja) 2012-11-15 2014-05-2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磁気ヘッドユニット保持機構、カードリー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95455A (zh) * 2003-05-23 2006-06-28 欧姆龙株式会社 卡处理装置
CN102902988B (zh) * 2008-11-07 2015-10-28 日立欧姆龙金融系统有限公司 读卡器
JP2011026080A (ja) * 2009-07-27 2011-02-10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媒体搬送装置および紙幣取扱装置
EP2320352B1 (en) * 2009-11-09 2020-01-08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Card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reading device
JP5473973B2 (ja) * 2011-03-24 2014-04-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7233A (ja) 2012-02-29 2013-09-0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媒体搬送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媒体搬送装置
JP2013256360A (ja) 2012-06-12 2013-12-26 Ricoh Co Ltd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099229A (ja) 2012-11-15 2014-05-2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磁気ヘッドユニット保持機構、カードリ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32564A (ja) 2016-07-25
CN105825244B (zh) 2018-07-31
CN105825244A (zh) 2016-08-03
KR20160090730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9997B1 (en) Ultrasonic motor
US9452773B2 (en) Power steering apparatus
US9705426B2 (en) Ultrasonic motor and lens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715206B1 (ko) 매체 취급 장치
US6786325B2 (en) Guiding a flexible band
US9833813B2 (en) Ultrasonic motor
JP4400477B2 (ja) 画像形成装置
US11245343B2 (en) Vibration wave motor and driving device
TW201325064A (zh) 壓電馬達、驅動裝置、電子零件搬送裝置、電子零件檢查裝置、印刷裝置、機器人手部、及機器人
US8610751B2 (en) Thermal printer
US9568072B2 (en) Drive transmission device, printing apparat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and fastening method
US11190112B2 (en) Vibration wave motor and drive device using the same
US11381177B2 (en) Vibration wave motor and drive device
US10939006B2 (en) Image reading device for conveying and reading card like medium
JPH0839463A (ja) 搬送装置
WO2009087770A1 (ja) 電子部材の搬送装置及び電子部材の製造方法
JP2009200440A (ja) 基板搬送補助装置および基板搬送補助方法
US10987944B2 (en) Tray and printing apparatus
US11502625B2 (en) Vibration wave motor, and dri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502624B2 (en) Vibration type actuator, rotationally driv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16179656A (ja) 搬送装置、及び印刷装置
CN1945933B (zh) 马达紧固机构以及凸轮装置
JP6577230B2 (ja) 仕分装置
JP3128973U (ja) 自動組み付けシステム
JPH07205516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