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093B1 -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093B1
KR101715093B1 KR1020160077048A KR20160077048A KR101715093B1 KR 101715093 B1 KR101715093 B1 KR 101715093B1 KR 1020160077048 A KR1020160077048 A KR 1020160077048A KR 20160077048 A KR20160077048 A KR 20160077048A KR 101715093 B1 KR101715093 B1 KR 10171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support rod
plate
superi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이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이덕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7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노상(G)과 굴착지반(G1)에 우수받이(80)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1) 상기 노상(G)에 GPS수신기(50) 또는 프리즘반사경(60)을 이용하여 겨냥줄(BL)을 설치하는 겨냥선설치단계;
(2) 상기 노상(G)을 굴착하여 상기 굴착지반(G1)을 형성하는 굴착단계;
(3) 상기 굴착지반(G1)에 기초판(100)을 거치하는 기초판거치단계;
(4) 상기 기초판(100) 상부에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양중하여 거치하는 우수받이설치모듈거치단계;
(5) 상기 기초판(100) 하부의 높이조절과 수평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가변다리(90)를 이용하여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상기 겨냥줄(BL)에 일치시키도록 수직 및 수평 레벨링을 하는 레벨링단계;
(6)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제거하는 우수받이설치모듈제거단계;
(7) 상기 기초판(100) 상부에 우수받이(80)을 양중하여 거치하는 우수받이설치단계;
(8) 거푸집를 설치하여 상기 기초판(100)과 상기 우수받이(80)가 묻히도록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타설단계;
(9) 상기 우수받이(80)의 상부의 개구부에 임시뚜껑(140)을 설치하는 완성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the improved method for installing the rainwater drainage on a road}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부재를 사전 제작하여 모듈화 시키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정밀하게 측량된 겨냥줄에 맞추어 도로 상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한 품질로 시공하여 도로전체시공의 기준이 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우수받이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로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받이는 차도 가장자리의 배수로인 측구로 배수된 물을 집수하여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시설이다.
종래의 경우 우수받이는,
(1) PC(precast concrete)로 제작하는 단계;
(2) 우수받이 선형을 측량하여 우수받이의 위치와 높이를 확정하는 단계;
(3) 우수받이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측량한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4) 우수받이주변을 되메우기를 하여 완성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공법은 시공시 대체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의 공법으로 우수받이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수받이 1개소 당 2개의 점이 정확히 선형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PC로 제작된 우수받이는 무거운 자중으로 인하여 설치시 지반교란과 측량시 선형 및 높이의 오차로 인한 위치변형이 발생하며,
우수받이 설치후 되메우고 다짐정도에 따른 위치변형 그리고 곡선구간 위치한 우수받이의 설치시에는 측량으로 인한 오차로 인하여 위치변형 등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으로 인하여 우수받이 설치후 경계석 선형 측량을 할 때 변형된 우수받이에 대하여 재시공이 불가피하여 비용 증가와 공기가 길어지며.
현장에서는 L형 측구 시공 시 빗물받이용 내측거푸집을 이용하여 7cm정도 선형에서 벗어난 우수받이는 재시공하지 않고 설치하는 실정이며, 시공후에도 지반보다 낮게 설치된 빗물받이 개구부로 우기시 토사 및 골재가 유입되어 우수관 및 맨홀에 쌓인 토사 및 골재를 준설 장비와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준설과 청소를 하므로 관련 비용이 증가되며, 상기와 같은 이유로 공사기간이 길어져 현장관리비의 증가요인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부재를 사전 제작하여 모듈화 시키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정밀하게 측량된 겨냥줄에 맞추어 도로 상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한 품질로 시공하여 도로전체시공의 기준이 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2880호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방법’, 2011.12.09.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4145호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2010.12.2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부재를 사전 제작하여 모듈화 시키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정밀하게 측량된 겨냥줄에 맞추어 도로 상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한 품질로 시공하여 도로전체시공의 기준이 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PC로 제작한 기초판과 기초판 상부에 설치할 우수받이와 우수받이의 외부 규격으로 제작한 알루미늄인 우수받이설치모듈과 우수받이 개구부에 설치할 임시뚜껑으로 구성되어, 시공시 개구부를 통한 이물질 유입과 축적을 방지하고 작업자 및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정밀하게 설치된 우수받이를 이용하여 타공정을 측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하고 사후관리의 하자를 해소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의 노상(G)과 굴착지반(G1)에 우수받이(80)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1) 상기 노상(G)에 GPS수신기(50) 또는 프리즘반사경(60)을 이용하여 겨냥줄(BL)을 설치하는 겨냥선설치단계;
(2) 상기 노상(G)을 굴착하여 상기 굴착지반(G1)을 형성하는 굴착단계;
(3) 상기 굴착지반(G1)에 기초판(100)을 거치하는 기초판거치단계;
(4) 상기 기초판(100) 상부에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양중하여 거치하는 우수받이설치모듈거치단계;
(5) 상기 기초판(100) 하부의 높이조절과 수평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가변다리(90)를 이용하여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상기 겨냥줄(BL)에 일치시키도록 수직 및 수평 레벨링을 하는 레벨링단계;
(6)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제거하는 우수받이설치모듈제거단계;
(7) 상기 기초판(100) 상부에 우수받이(80)을 양중하여 거치하는 우수받이설치단계;
(8) 거푸집를 설치하여 상기 기초판(100)과 상기 우수받이(80)가 묻히도록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타설단계;
(9) 상기 우수받이(80)의 상부의 개구부에 임시뚜껑(140)을 설치하는 완성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부재를 사전 제작하여 모듈화 시켜 설치시 편의성을 높이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정밀하게 측량된 겨냥줄에 맞추어 도로 상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한 품질로 시공하여 도로전체시공의 기준이 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PC로 제작한 기초판과 기초판 상부에 설치할 우수받이와 우수받이의 외부 규격으로 제작한 알루미늄인 우수받이설치모듈과 우수받이 개구부에 설치할 임시뚜껑으로 구성되어, 시공시 개구부를 통한 이물질 유입과 축적을 방지하고 작업자 및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정밀하게 설치된 우수받이를 이용하여 타공정의 기반이 되는 측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하고 사후관리의 하자를 해소한다.
도 1은 종래의 우수받이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PS수신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리즘반사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를 포함한 모든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설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변다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16은 본 발명의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7 내지 2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변다리의 모든 부재의 실시예를 각각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내지 16은 본 발명의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은 도로의 노상(G)과 굴착지반(G1)에 우수받이(80)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1) 상기 노상(G)에 GPS수신기(50) 또는 프리즘반사경(60)을 이용하여 겨냥줄(BL)을 설치하는 겨냥선설치단계;
(2) 상기 노상(G)을 굴착하여 상기 굴착지반(G1)을 형성하는 굴착단계;
(3) 상기 굴착지반(G1)에 기초판(100)을 거치하는 기초판거치단계;
(4) 상기 기초판(100) 상부에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양중하여 거치하는 우수받이설치모듈거치단계;
(5) 상기 기초판(100) 하부의 높이조절과 수평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가변다리(90)를 이용하여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상기 겨냥줄(BL)에 일치시키도록 수직 및 수평 레벨링을 하는 레벨링단계;
(6)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제거하는 우수받이설치모듈제거단계;
(7) 상기 기초판(100) 상부에 우수받이(80)을 양중하여 거치하는 우수받이설치단계;
(8) 거푸집를 설치하여 상기 기초판(100)과 상기 우수받이(80)가 묻히도록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타설단계;
(9) 상기 우수받이(80)의 상부의 개구부에 임시뚜껑(140)을 설치하는 완성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 또는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 상기 GPS수신기(50) 또는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을 설치하여 위치를 측량하여 확인하고, 만약 설계도면과의 차이가 발생하면 상기 가변다리(90)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를 포함한 모든 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수받이(80)는 측면의 관통홀(82)에 연결핀(74)을 끼워 행거(75)를 설치하여 양중하며, 상기 우수받이(80)의 하부면(84)과 상기 기초판(100)의 상부면(104)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수받이(80)가 하강할 때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는 측량구(81)가 형성되어, 상기 측량구(81)에 상기 GPS수신기(50) 또는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설치모듈의 사시도이다.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은,
알루미늄 등 경량의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골격만 제작된 것으로 상기 우수받이(80)와 동일한 외곽라인을 형성하고 하부면(124)은 상기 기초판(100)의 상부면(104)과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이 하강할 때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PS수신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상기 GPS수신기(50)는,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51);
상기 수신부(51) 하부에 부착되고 선단은 테이퍼형상이며 외주면에 돌출봉(53)이 노출된 지지봉(52);
상기 지지봉(52)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봉(53)이 상하이동하는 슬롯(59)이 형성된 지지봉고정대(58);
상기 지지봉고정대(58) 하부에 부착되며 상부에 수준기(54)가 설치된 받침판(57); 및,
상기 받침판(57)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위치조절구(55);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봉(52)의 선단을 기준점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수신부(51)가 상기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준기(54)로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조절구(55)로 위치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GPS수신기(50)는 하부에 상기 지지봉(52)의 선단이 관통하는 구멍(56`)이 형성된 지지판(56);이 포함되어,
지면에 요철이 형성된 곳에서 상기 위치조절구(55)의 하단이 바로 상기 지면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판(56) 상부에 접촉하므로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리즘반사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a)의 결합사시도이다.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은,
광파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62);
상기 수신부(62)에 부착된 수준기(61);
상기 수신부(62) 하부에 부착되고 선단은 테이퍼형상이며 외주면에 돌출봉(64)이 노출된 지지봉(63);
상기 지지봉(63)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봉(64)이 상하이동하는 슬롯(69)이 형성된 지지봉고정대(68);
상기 지지봉고정대(68) 하부에 부착되는 받침판(67); 및,
상기 받침판(67)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위치조절구(65);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봉(63)의 선단을 기준점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수신부(62)가 상기 광파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준기(61)로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조절구(65)로 위치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은 상기 수신부(62)와 상기 지지봉(63) 사이에는 상기 수신부(6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7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수단(70)은 베어링(74)과 수신부거치대(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상기 회전수단(70);은,
상기 슬롯(69)이 생략된 지지봉고정대(68)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단턱부(72`) 및 하부단턱부(74`)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고정대(68) 내부에서 상기 지지봉(63)의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돌출봉(64)이 상기 상부단턱부(72`)과 상기 하부단턱부(74`)에 걸리는 범위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은 하부에 상기 지지봉(63)의 선단이 관통하는 구멍(66`)이 형성된 지지판(66);이 포함되어,
지면에 요철이 형성된 곳에서 상기 위치조절구(65)의 하단이 바로 상기 지면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판(66) 상부에 접촉하므로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변다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7 내지 2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변다리의 모든 부재의 실시예를 각각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0 또는 11 그리고 도 17 내지 21에는 구성부재에 대하여 구체적인 도면부호를 병기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변다리(90)는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수평레벨링이 가능하고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높이레벨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구면운동이 가능한 캡볼트와 소켓으로 불규칙한 지반면의 표면에 대응하여 기초판을 설치시 기초판의 자중에의하여 캡볼트와 소켓사이의 고무패드에 압력이 발생하여 움직임이 없는 지지봉 하부와 기초판과 결합된 내부에 걸림홈이 있는 소켓과 상기 소켓과 결합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고 외부에 결합홈이 파인 상부너트로 구성되며, 상부너트를 회전하여 높이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론으로,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부재를 사전 제작하여 모듈화 시키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정밀하게 측량된 겨냥줄에 맞추어 도로 상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한 품질로 시공하여 도로전체시공의 기준이 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PC로 제작한 기초판과 기초판 상부에 설치할 우수받이와 우수받이의 외부 규격으로 제작한 알루미늄인 우수받이설치모듈과 우수받이 개구부에 설치할 임시뚜껑으로 구성되어, 시공시 개구부를 통한 이물질 유입과 축적을 방지하고 작업자 및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정밀하게 설치된 우수받이를 이용하여 타공정의 기반이 되는 측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하고 사후관리의 하자를 해소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G: 노상
G1: 굴착지반
50: GPS수신기
51: 수신부
52; 지지봉
53: 돌출봉
55: 위치조절구
54: 수준기
56: 지지판
56`: 구멍
57: 받침판
58: 지지봉고정대
59: 슬롯
60: 프리즘반사경
61: 수준기
62: 수신부
63: 지지봉
64: 돌출봉
65: 위치조절구
66: 지지판
66`: 구멍
67: 받침판
68: 지지봉고정대
69: 슬롯
70: 회전수단
72`: 상부단턱부
74`: 하부단턱부
74: 연결핀
75: 행거
80: 우수받이
81: 측량구
82: 관통홀
90: 가변다리
100: 기초판
120: 우수받이설치모듈
140: 임시뚜껑
143: 손잡이

Claims (11)

  1. 도로의 노상(G)과 굴착지반(G1)에 우수받이(80)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1) 상기 노상(G)에 GPS수신기(50) 또는 프리즘반사경(60)을 이용하여 겨냥줄(BL)을 설치하는 겨냥선설치단계;
    (2) 상기 노상(G)을 굴착하여 상기 굴착지반(G1)을 형성하는 굴착단계;
    (3) 상기 굴착지반(G1)에 기초판(100)을 거치하는 기초판거치단계;
    (4) 상기 기초판(100) 상부에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양중하여 거치하는 우수받이설치모듈거치단계;
    (5) 상기 기초판(100) 하부의 높이조절과 수평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가변다리(90)를 이용하여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상기 겨냥줄(BL)에 일치시키도록 수직 및 수평 레벨링을 하는 레벨링단계;
    (6)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을 제거하는 우수받이설치모듈제거단계;
    (7) 상기 기초판(100) 상부에 우수받이(80)을 양중하여 거치하는 우수받이설치단계;
    (8) 거푸집를 설치하여 상기 기초판(100)과 상기 우수받이(80)가 묻히도록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타설단계;
    (9) 상기 우수받이(80)의 상부의 개구부에 임시뚜껑(140)을 설치하는 완성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은,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골격만 제작된 것으로 상기 우수받이(80)와 동일한 외곽라인을 형성하고 하부면(124)은 상기 기초판(100)의 상부면(104)과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수받이설치모듈(120)이 하강할 때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우수받이(80)는 측면의 관통홀(82)에 연결핀(74)을 끼워 행거(75)를 설치하여 양중하며,
    상기 우수받이(80)의 하부면(84)과 상기 기초판(100)의 상부면(104)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수받이(80)가 하강할 때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는 측량구(81)가 형성되어,
    상기 측량구(81)에 상기 GPS수신기(50) 또는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GPS수신기(50)는,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51);
    상기 수신부(51) 하부에 부착되고 선단은 테이퍼형상이며 외주면에 돌출봉(53)이 노출된 지지봉(52);
    상기 지지봉(52)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봉(53)이 상하이동하는 슬롯(59)이 형성된 지지봉고정대(58);
    상기 지지봉고정대(58) 하부에 부착되며 상부에 수준기(54)가 설치된 받침판(57); 및,
    상기 받침판(57)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위치조절구(55);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봉(52)의 선단을 기준점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수신부(51)가 상기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준기(54)로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조절구(55)로 위치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GPS수신기(50)는 하부에 상기 지지봉(52)의 선단이 관통하는 구멍(56`)이 형성된 지지판(56);이 포함되어,
    지면에 요철이 형성된 곳에서 상기 위치조절구(55)의 하단이 바로 상기 지면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판(56) 상부에 접촉하므로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은,
    광파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62);
    상기 수신부(62)에 부착된 수준기(61);
    상기 수신부(62) 하부에 부착되고 선단은 테이퍼형상이며 외주면에 돌출봉(64)이 노출된 지지봉(63);
    상기 지지봉(63)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봉(64)이 상하이동하는 슬롯(69)이 형성된 지지봉고정대(68);
    상기 지지봉고정대(68) 하부에 부착되는 받침판(67); 및,
    상기 받침판(67)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위치조절구(65);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봉(63)의 선단을 기준점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수신부(62)가 상기 광파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준기(61)로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조절구(65)로 위치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은 상기 수신부(62)와 상기 지지봉(63) 사이에는 상기 수신부(6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7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회전수단(70)은 베어링(74)과 수신부거치대(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회전수단(70);은,
    상기 슬롯(69)이 생략된 지지봉고정대(68)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단턱부(72`) 및 하부단턱부(74`)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고정대(68) 내부에서 상기 지지봉(63)의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돌출봉(64)이 상기 상부단턱부(72`)과 상기 하부단턱부(74`)에 걸리는 범위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은 하부에 상기 지지봉(63)의 선단이 관통하는 구멍(66`)이 형성된 지지판(66);이 포함되어,
    지면에 요철이 형성된 곳에서 상기 위치조절구(65)의 하단이 바로 상기 지면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판(66) 상부에 접촉하므로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KR1020160077048A 2016-06-21 2016-06-21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KR10171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48A KR101715093B1 (ko) 2016-06-21 2016-06-21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48A KR101715093B1 (ko) 2016-06-21 2016-06-21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093B1 true KR101715093B1 (ko) 2017-03-22

Family

ID=5849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048A KR101715093B1 (ko) 2016-06-21 2016-06-21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0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028B1 (ko) 2023-08-09 2024-02-23 (주)동진이엔시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KR102647163B1 (ko) 2023-08-09 2024-03-13 (주)동진이엔시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145B1 (ko) 2010-09-02 2010-12-27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132880A (ko) 2010-06-03 2011-12-09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방법
KR101550398B1 (ko) * 2015-02-27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591802B1 (ko) * 2015-03-31 2016-02-04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880A (ko) 2010-06-03 2011-12-09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방법
KR101004145B1 (ko) 2010-09-02 2010-12-27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550398B1 (ko) * 2015-02-27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591802B1 (ko) * 2015-03-31 2016-02-04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028B1 (ko) 2023-08-09 2024-02-23 (주)동진이엔시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KR102647163B1 (ko) 2023-08-09 2024-03-13 (주)동진이엔시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476B1 (en) Pool leveling system
US20120023847A1 (en) Foundation construction for superstructures
CN110016938B (zh) 一种逆作法基坑矩形格构柱定位调垂装置
KR101066030B1 (ko)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지주 및 핸드홀 커버 장치
US5318376A (en) Manhole frame
KR101715093B1 (ko)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JP4512562B2 (ja) アプローチ部の施工方法
CN109443327A (zh) 一种测量控制网的布设方法
JP2819447B2 (ja) 建築物の沈下修正工法
JP2001059343A (ja) スラブ形成用の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案内レール用支持具
CN111287197A (zh) 一种基坑支挡结构
KR101550398B1 (ko)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591802B1 (ko)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US4439961A (en) Leveling and locat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101713776B1 (ko)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KR20090002046U (ko) 맨홀의 보수 인상 높이 측정장치
JPH1161812A (ja) 構真柱の建て入れ装置
KR101723132B1 (ko) 거치용 바이스를 이용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CN107063178A (zh) 一种安装位移传感器的混凝土水准标石及其高程观测与计算方法
CN113605731A (zh) 自立式砼托板架支设装置及其方法
CN113106821A (zh) 一种用于装配式水泥混凝土铺面板的吊装定位装置及方法
CN112031495A (zh) 预制舱变电站拼装式钢结构基础及其施工拼接方法
WO2015036963A1 (en) Installation mean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adjusting a cover of an inspection manhole
KR101010334B1 (ko) 조립식 삼각 측량 기준점 표시장치
CN214061720U (zh) 一种用于基坑水平位移观测的快速对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