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145B1 -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145B1
KR101004145B1 KR1020100086220A KR20100086220A KR101004145B1 KR 101004145 B1 KR101004145 B1 KR 101004145B1 KR 1020100086220 A KR1020100086220 A KR 1020100086220A KR 20100086220 A KR20100086220 A KR 20100086220A KR 101004145 B1 KR101004145 B1 KR 10100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support
side opening
forming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만
박재교
노찬기
황창곤
김병곤
하태훈
김종실
이준구
심병준
정광섭
강성철
마동욱
유재홍
신석철
원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토탈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토탈,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주식회사 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8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6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hand 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을 성형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는, 스위치(12)와 축전지(14)가 구비되고 시공자가 잡고 견인할 수 있는 견인 프레임(10)과; 상기 견인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 및 정지되는 구동부(22)가 구비되는 장착 프레임(20)과;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나, 경계석 받침(2)이나, 경계석 받침과 측부 일체형 구조물(4)을 성형하는 성형 통돌이(30)를 구비하되, 상기 성형 통돌이는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측구부(32)와 경계석부(34)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경계석이 안착되는 안착부(2a)를 성형하기 위한 대경부(30a)와 상기 대경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소경부(30b)로 이루어져 경계석 받침(2)을 형성하거나, 경계석의 안착부(4a)를 성형하기 위한 대경부(30a), 대경부(30a)의 일측에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소경부(30b) 및 상기 대경부의 타측에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퍼부(30c)로 구성되어 경계석 받침과 측구(4b) 일체형 구조물(4)을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All style guard three and side old friendship spatial-temporal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경계석 받침 등의 구조물을 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한 번의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경계석과 측구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경계석 받침을 성형하거나,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을 성형할 수 있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차량이 운행되는 차도와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구획하고자 경계석이 설치되어 구획되며, 상기 경계석과 접한 차도 측에는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구 등이 설치되는 측구가 시공된다.
상기와 같이 도로변에 차도와 인도 사이를 구획하고자 설치되는 종래의 경계석과 측구는, 먼저 경계석을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통상적인 제조방식에 의해 별도로 제작한 다음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으로 운반하여 시공하거나 또는 측구와 함께 시공하는 것이며, 상기 측구는 지면에 일정 폭을 가지면서 평탄성을 갖도록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도로변에 설치되는 종래 경계석과 측구는 별도의 제작 과정과 각각의 시공 작업을 통하여 시공됨으로써, 즉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한 작업과 측구를 시공하기 위한 작업이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됨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 또한 상당히 큰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경계석을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물에서 제작부터 운반 및 시공이 각각 별개로 이루어짐으로써, 경계석 제작 및 시공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측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에 거푸집 등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거푸집에 시공하고자 하는 측구의 혼합물인 콘크리트나 몰탈 등을 충진한 후 가압작업을 거쳐 경화시켜 시공되는 것으로, 이 또한 경계석을 시공하는 것과 별도의 시공 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그에 따른 번거롭고 많은 시공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의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경계석과 측구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을 성형할 수 있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는, 스위치와 축전지가 구비되고 시공자가 잡고 견인할 수 있는 견인 프레임과; 상기 견인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 및 정지되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장착 프레임과;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나, 경계석 받침이나, 경계석 받침과 측부 일체형 구조물을 성형하는 성형 통돌이를 구비하되, 상기 성형 통돌이는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측구부와 경계석부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경계석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성형하기 위한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소경부로 이루어져 경계석 받침을 형성하거나, 경계석의 안착부를 성형하기 위한 대경부, 대경부의 일측에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소경부 및 상기 대경부의 타측에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퍼부로 구성되어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을 성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 통돌이를 지면에 대해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높이유지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성형 통돌이가 거푸집 사이에서 좌우로 기울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비틀림 방지부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계석부에는 측구부 측의 반대 측 일단에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 프레임의 밑면에는 성형 통돌이의 표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스크래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 프레임 또는 구동부에 구비되는 케이스에 받침대가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 방법은, 인도 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의 높이로 설치되는 경계석 거푸집과 차도 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측구의 높이로 설치되는 측구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경계석 받침을 시공하기 위하여 한 쌍의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한 쌍의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공정과; 상기 거푸집들 사이에 콘크리트 등을 충진하는 충진공정과; 상기 충진공정 이후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를 거치하되, 상기 성형 통돌이를 상기 거푸집들 사이에 충진된 콘크리트 상부에 배치되도록 거치하며, 상기 성형 통돌이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거푸집을 따라 이동시켜 다지면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을 성형하는 성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한 번의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경계석과 측구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계석과 측구를 최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뛰어난 효율성을 가지는 효과와 함께 최소한의 인력과 최소의 시공비가 소요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뿐만 아니라 경계석 받침,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을 한 번의 작업을 통해 성형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성형 통돌이의 경계석부에 형성되는 지지리브가 경계석이 형성되는 거푸집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경계석 및 측구를 형성시 항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시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어 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시공하는 과정에서 성형 통돌이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시켜 경계석 및 측구의 표면이 매끄럽게 성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계석과 측구의 표면을 매끄럽게 시공해야 하는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잠시 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하지 않을 때 받침대에 의해 용이하게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 장치에 적용된 성형 통돌이로서, 경계석 받침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통돌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장치에 적용된 성형 통돌이를 지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높이유지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장치에 적용된 성형 통돌이를 좌우로 비틀리지 않도록 거푸집에 대해 일정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비틀림 방지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 장치에 적용된 성형 통돌이로서,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통돌이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2는 본 실시예의 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공장치(1)는, 통상적으로 온/오프를 할 수 있는 스위치(12)와 축전지(14)가 구비되어 시공자가 잡고 견인할 수 있도록 손잡이와 연결대로 구성되는 견인 프레임(10)과;
상기 견인 프레임(10)의 하부에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 및 정지되는 통상의 케이스의 내부에 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이 구비되는 구동부(22)가 구비되어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20)과;
상기 장착 프레임(20)에 구동부의 동력을 통상적인 체인이나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되는 성형 통돌이(30)를 구비하되, 상기 성형 통돌이(30)는 원통형 형태로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측구부(32)와 경계석부(34)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경계석부는 인도 측에 위치하여 높이가 높고 측구는 차도에 위치하여 낮은 높이를 가짐에 따라 그 형상과 같은 형태로 경계석부를 형성하는 측의 직경은 작고 좁은 폭을 가지며, 측구를 형성하는 측구 측은 직경이 크고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구부와 경계석부가 접하는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경사진 형태로 형성할 있음은 물론 경계석부의 형태에 따라 한번 이상 단차진 형태의, 즉 계단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계석부(34)에는 측구부(32) 측의 반대 측 일단에 지지리브(3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즉 상기 지지리브는 경계석과 측구를 시공시 경계석 측으로 설치되는 거푸집의 내측면과 맞닿아 지지되고 그 외측의 경계석부는 거푸집의 상면과 맞닿아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경계석과 측구를 시공시 상기 성형 통돌이가 일정한 구간을 벗어나지 않고 항시 일정한 구간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경계석과 측구가 항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 프레임(20)의 밑면에는 성형 통돌이(30)의 표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스크래퍼(24)가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콘크리트는 경계석 받침 등을 시공하기 위한 모든 재료를 총칭한다)를 가압하여 경계석과 측구를 형성시 성형 통돌이의 표면으로 일부라도 묻어 있거나 부착되는 콘크리트를 제거하여 시공되는 경계석과 측구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장착 프레임(20) 또는 구동부(22)에 구비되는 케이스에 통상적인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고정구에 고정볼트나 레버 등에 슬라이딩되는 받침로드로 구성되는 받침대(26)를 더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공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시공하는 과정에서 잠시 세워 놓고자 할 경우 상기 받침대의 받침로드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구동부(22)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등 동력을 발생하는 모든 구동원이 적용 가능하며, 또한, 성형 통돌이(30)는 별도의 구동부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22)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성형 통돌이(30)에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도로변에 경계석 측과 측구 측에 각각의 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기 설치된 거푸집 사이에 경계석과 측구가 형성될 위치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콘크리트를 충진한 다음, 즉 경계석은 인도 측에 위치하여 차도 측에 위치하는 측구 보다는 높은 관계로 경계석이 위치할 부분의 콘크리트를 높게 하고 측구 측에 위치할 부분의 콘크리트를 낮게 하여 그 콘크리트의 상부로 본 발명의 시공장치를 올려 놓는다.
상기에서, 콘크리트에 올린 본 발명의 시공장치는 도 4에서와 같이 경계석이 위치할 높게 충진된 콘크리트의 상부로 성형 통돌이(30)의 경계석부(34)를 올려놓음과 동시에 이 경계석부에 형성된 지지리브(34a)를 경계석이 형성될 위치에 설치된 거푸집의 내측면에 지지시킨 후 견인 프레임(10)의 스위치(12)를 온시켜 장착 프레임(20)의 구동부(22)를 구동시켜 상기 콘크리트의 상부에 올려진 성형 통돌이를 회전시킨 다음 시공자가 상기 회전되는 성형 통돌이(30)를 견인 프레임(10)을 이용하여 끌고 이동함으로써, 상기 성형 통돌이의 경계석부와 측구부에 의해 그 성형 통돌이가 지나간 부분으로 경계석과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성형 통돌이는 시공자가 견인 프레임을 끌고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관계로, 콘크리트는 성형 통돌이의 자중에 의해 가압시킴과 동시에 끌려 이동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성형 통돌이에 의해 성형 통돌이가 이동되어 지나간 부분은 더욱더 다져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성형 통돌이가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경계석과 측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 성형 통돌이의 표면으로 묻거나 달라붙는 콘크리트는 장착 프레임에 구비되는 스크래퍼에 의해 깨끗하게 제거됨에 따라 상기 성형 통돌이에 의해 형성되는 경계석과 측구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경계석과 측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잠시 작업을 멈추거나 또는 시공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장측 프레임이나 구동부의 케이스에 구비되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견인 프레임를 지면이나 콘크리트 상에 지지시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성형 통돌이(30)는 경계석 받침(2)(경계석이 안착되도록 상부에 홈이 형성된 형태)의 성형을 위하여 중앙의 대경부(30a) 및 대경부(30a)의 좌우 양측에 각각 대경부(30a)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소경부(30b)로 구성된다. 대경부(30a)는 경계석 받침(2)에서 경계석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2a)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성형 통돌이(30)는 한 쌍의 거푸집(3) 사이에 놓여지며 거푸집(3)을 따라 이동 및 회전하면서 거푸집(3)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경계석 받침(3)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형 통돌이(30)의 좌우 폭은 한 쌍의 거푸집(3)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성형 통돌이(30)와 거푸집(3) 사이에 틈이 생기면 이 틈을 통해 콘크리트가 올라오게 되어 성형 제품인 경계석 받침(2)의 표면이 고르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 통돌이(30)가 구동하며, 한 쌍의 거푸집(3) 사이를 따라 이동하는 성형 통돌이(30)에 의해 한 쌍의 거푸집(3)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계석 받침(2)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
도 6은 성형 통돌이(30)의 높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높이유지롤러(35)가 적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높이유지롤러(35)는 통돌이(3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구동축에 설치되는 연결봉(36)을 통해 설치되어 지면에 지지된다.
연결봉(36)은 통돌이(30)의 높이를 지면에 대해 조정 가능하도록 높이조정 가능하게 구성되며,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직경의 제1,2봉(36a,36b)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2봉(36a,36b)에는 다단의 높이조정공과 체결공이 형성됨으로써 높이 조정된다. 통돌이(30)의 구동축이 회전체인 경우 연결봉(36)은 통돌이(30)의 구동축에 베어링 등을 통해 설치 위치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경계석 받침(2)의 성형시, 제1,2봉(36a,36b)의 높이 조정을 통해 높이유지롤러(35)가 지면에 닿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통돌이(30)를 구동하면, 통돌이(30)가 높이유지롤러(35)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지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함으로써 경계석 받침(2)의 안착부(2a)를 일정한 높이로 성형할 수 있다.
도 7은 통돌이(30)가 좌우로 기울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비틀림 방지롤러(37)가 포함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비틀림 방지롤러(37)는 통돌이(30)의 좌우 양측에 연결된 구동축의 저부에 설치되며 한 쌍의 거푸집(3)의 외부면에 지지되고 통돌이(30)의 구동시 거푸집(3)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통돌이(30)가 좌우로 기울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한다. 비틀림 방지롤러(37)는 거푸집(3)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통돌이(30)의 비틀림 방지를 위한 모든 자재가 사용 가능하다.
도 6과 도 7은, 높이유지롤러(35)와 비틀림 방지롤러(37)가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높이유지롤러(35)와 비틀림 방지롤러(37)는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4)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4)은 경계석이 안착되는 홈 형태의 안착부(4a), 안착부(4a)의 일측에 안착부(4a)보다 높으면서 점진적으로 상향 경사지는 측구부(4b)로 구성된다.
통돌이(30)는 안착부(4a)를 성형하기 위한 대경부(30a), 대경부(30a)의 일측(측구부(4b)의 반대측)에 대경부(30a)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소경부(30b), 대경부(30a)의 타측(소경부(30b)의 반대측)에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퍼부(30c)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돌이(30)의 구조를 통하여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4)을 한 번의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 2의 높이유지롤러(35)와 비틀림 방지롤러(37)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변에 인도와 차도를 구획하기 위한 경계석과, 상기 경계석과 접하는 차도 측에 구비되는 측구를 한번에 일체로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한번의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경계석과 측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인도 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의 높이로 설치되는 경계석 거푸집과 상기 차도 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측구의 높이로 설치되는 측구 거푸집을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공정(S1)과;
상기 설치된 거푸집 사이에 경계석과 측구가 형성될 위치에 서로 다른 높이로, 즉 경계석은 인도와 차도를 구획하도록 측구 보다는 높은 높이를 가짐에 따라 그 높이를 감안하여 측구 측 보다는 높도록 하고, 비교적 차도와 비슷한 높이를 갖는 측구 측은 경계석 측 보다는 낮게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충진공정(S2)과;
상기 충진된 콘크리트의 상부를 진행방향과 반대로 회전되는 성형 통돌이를 이동시켜 다지면서 경계석과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성형공정(S3)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성형공정에서 성형 통돌이는 자중에 의해 콘크리트를 가압함과 동시에 진행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서 다시한번 가압하게 되고 이렇게 회전되는 성형 통돌이를 시공자가 강제로 끌고 이동함에 따라 더욱더 큰 가압력으로 콘크리트를 가압하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시공된 경계석과 측구는 다시 가압하거나 추가 작업이 필요없이 경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단시간 내에 경계석과 측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도로변에 구비되는 경계석을 별도로 제작한 후 시공하는 것이 아니고, 측구 또한 별도로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한번의 시공과정을 거쳐 경계석과 측구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시공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번에 경계석과 측구를 형성함에 따라 경제적으로도 상당히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1 : 시공장치 10 : 견인 프레임
12 : 스위치 14 : 축전기
20 : 장착 프레임 22 : 구동부
24 : 스크래퍼 26 : 받침대
30 : 성형 통돌이, 32 : 측구부
34 : 경계석부 34a : 지지리브
35 : 높이유지롤러, 36 : 연결봉
37 : 비틀림 방지롤러,

Claims (8)

  1. 스위치(12)와 축전지(14)가 구비되고 시공자가 잡고 견인할 수 있는 견인 프레임(10)과;
    상기 견인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 및 정지되는 구동부(22)가 구비되는 장착 프레임(20)과;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나, 경계석 받침(2)이나, 경계석 받침과 측부 일체형 구조물(4)을 성형하는 성형 통돌이(30)를 구비하되,
    상기 성형 통돌이는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측구부(32)와 경계석부(34)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경계석이 안착되는 안착부(2a)를 성형하기 위한 대경부(30a)와 상기 대경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소경부(30b)로 이루어져 경계석 받침(2)을 형성하거나, 경계석의 안착부(4a)를 성형하기 위한 대경부(30a), 대경부(30a)의 일측에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소경부(30b) 및 상기 대경부의 타측에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퍼부(30c)로 구성되어 경계석 받침과 측구(4b) 일체형 구조물(4)을 성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 통돌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구동축에 각각 연결봉(36)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며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성형 통돌이를 상기 지면에 대해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높이유지롤러(35)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유지롤러의 연결봉은 서로 다른 직경의 제1,2봉(36a,36b)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높이유지롤러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통돌이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구동축에 고정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며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3)의 외부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성형 통돌이의 좌우 움직임을 방지하는 비틀림 방지롤러(37)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20)의 밑면에는 상기 성형 통돌이의 표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스크래퍼(2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부(34)에는 측구부 측의 반대 측 일단에 지지리브(3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20) 또는 구동부(22)에 구비되는 케이스에 받침대(26)가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8. 인도 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의 높이로 설치되는 경계석 거푸집과 차도 측에 시공하고자 하는 측구의 높이로 설치되는 측구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경계석 받침(2)을 시공하기 위하여 한 쌍의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4)을 시공하기 위하여 한 쌍의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공정(S1)과;
    상기 거푸집들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충진공정(S2)과;
    상기 충진공정 이후 청구항 3에 의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를 거치하되, 상기 성형 통돌이를 상기 거푸집들 사이에 충진된 콘크리트 상부에 배치되도록 거치하며, 상기 성형 통돌이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거푸집을 따라 이동시켜 다지면서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2)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4)을 성형하는 성형공정(S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100086220A 2010-09-02 2010-09-02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004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220A KR101004145B1 (ko) 2010-09-02 2010-09-02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220A KR101004145B1 (ko) 2010-09-02 2010-09-02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145B1 true KR101004145B1 (ko) 2010-12-27

Family

ID=4351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220A KR101004145B1 (ko) 2010-09-02 2010-09-02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278B1 (ko) * 2013-11-06 2015-03-1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15093B1 (ko) 2016-06-21 2017-03-22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110B1 (ko) 2006-12-29 2007-08-31 김종철 측구의 평탄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110B1 (ko) 2006-12-29 2007-08-31 김종철 측구의 평탄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278B1 (ko) * 2013-11-06 2015-03-1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15093B1 (ko) 2016-06-21 2017-03-22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076B2 (ja) 舗装工法、回転ドラム、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および注意喚起舗装
KR101978155B1 (ko)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CN114559534B (zh) 一种预制构件生产线
KR101004145B1 (ko)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CN106677130A (zh) 一种园林、公路、河道护坡修筑机械
CN2921088Y (zh) 混凝土超宽摊铺机
CN201176555Y (zh) 一种路沿石浇注机
KR101848483B1 (ko)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CN212404731U (zh) 可移动式路缘石靠背混凝土浇筑车
KR102194939B1 (ko) 포장도로 평탄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표면마감 시공공법
CN109203219B (zh) 一种箱梁内模自动纵移装置
KR100784468B1 (ko) 도로 하천 법면 보호블록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제조된 블록
KR101003009B1 (ko)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l형 측구의 표면평활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형 측구 표면의 평활시공방법
CN110344309A (zh) 一种市政道路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214784190U (zh) 一种利于井盖安装的路面节能铺摊辅助装置
CN202347397U (zh) 滑模摊铺机路面套模施工成套设备
KR101042578B1 (ko)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경계석 받침대
CN210341571U (zh) 一种滑模摊铺机
CN105040559B (zh) 下置式滑模摊铺机路面滑模模具
CN114434594A (zh) 一种预制构件生产方法
KR101024400B1 (ko) 토목과 도로와 조경과 공원용 경계석 받침과 측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139052A (ko) 요철형 도로의 시공방법
CN212763986U (zh) 一种环形全自动生产线布料机抹平装置
CN2433291Y (zh) 水泥路面传力杆布设机
KR101144086B1 (ko) 콘크리트 도로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