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278B1 -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278B1
KR101501278B1 KR20130134386A KR20130134386A KR101501278B1 KR 101501278 B1 KR101501278 B1 KR 101501278B1 KR 20130134386 A KR20130134386 A KR 20130134386A KR 20130134386 A KR20130134386 A KR 20130134386A KR 101501278 B1 KR101501278 B1 KR 101501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forming
sides
packa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홍
김형근
홍기문
이병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한월드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한월드건설(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3013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23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은, 포장이 필요한 영역의 지면 양측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양측의 거푸집 사이 영역에 포장층을 타설하는 단계; 상기 포장층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경계석 역할을 하는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A barrier coating pavement integrated with boundary stone for a complex, an engineering work, a landscape, a park, a river, a road and a harb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10-1071691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는, 밀착식 거푸집을 이용한 토목, 도로용 측구 경계석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는, 거푸집 사이에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 상부로 별도의 경계석을 안착시켜, 측구 경계석을 시공하는 내용이 개시된다.
또한, 선행문헌에는 측구 경계석의 수평을 맞추는 측구 경계석 레벨링단계를 더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별도의 경계석을 콘크리트의 상부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경계석 비용이 많이 들고, 경계석 설치를 위한 공정이 추가로 요구되는 문제가 있으며, 경계석 전체가 콘트리트 상부로부터 돌출되므로, 경계석 자체가 보행인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에게 장애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석을 설치하는 별도 과정 없이, 포장층을 형성한 후에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포장층이 경계석 역할을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은, 포장이 필요한 영역의 지면 양측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양측의 거푸집 사이 영역에 포장층을 타설하는 단계; 상기 포장층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경계석 역할을 하는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장층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 칼라 파우더를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칼라 파우더의 상측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 특정 패턴을 가지는 패턴 형성 물체로 이형제가 도푸된 칼라 파우터 층을 가압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표면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에서 상기 포장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면은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지면 양측에 설치된 거푸집의 레벨이 동일하도록 하기 위한 거푸집 레벨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사이로 타설된 포장층의 레벨이 동일하도록 하기 위한 레벨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 장치는, 레벨링을 위하여 회전 동작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 단계는, 일측 또는 양측에 패턴부가 형성되기 위한 경계선을 상기 포장층에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를 가지는 회전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층의 상면에서 상기 경계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층의 중앙부에서 양단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층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층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물의 배수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에 상기 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은, 포장층이 타설된 후에 상기 포장층 상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경계석 역할을 하기 위하여 패턴을 가지는 패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층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물의 배수를 위한 홈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홈 또는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층의 상면은 중앙부에서 일단부 또는 양단부 측으로 갈수록 2도 내지 9도 범위 내에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경계석을 설치하는 별도 과정 없이, 포장층을 형성한 후에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포장층이 경계석 역할을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장층의 단부가 경계석 역할을 하되 패턴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패턴 부를 지나는 보행인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에게 경각심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패턴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의 (a)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1)은, 일정 두께로 타설된 포장층(10) 상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경계석 역할을 하는 패턴을 가지는 패턴부(20)가 형성된다.
상기 패턴부(20)는, 상기 포장층(10)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포장층(10)과 일체이다.
상기 패턴부(20)는, 상기 포장층(10)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거나, 나머지 부분과 다른 높이를 가지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부(20)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1)의 형성 위치에 따라서 상기 포장층(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10)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패턴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벨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은, 포장이 필요한 영역의 양측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1)와, 양측에 설치된 거푸집 사이 영역에 포장층을 타설하는 단계(S2)와, 상기 포장층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경계석 역할을 하는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S4); 및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포장층(10)의 설치되어야 할 지면의 양측에 한 쌍의 거푸집(50)이 설치된다. 거푸집의 길이에 따라 다수의 거푸집(50)이 일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지면 양측에 거푸집(50)이 설치된 상태에서, 레벨링 장치(30)에 의해서 양측의 거푸집(5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거푸집 레벨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거푸집(50)의 레벨링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레벨링 장치(30)는, 제1작업자가 조작하기 위한 제1조작부(31A)와 제2작업자가 조작하기 위한 제2조작부(31B)와, 상기 제1조작부(31A)와 상기 제2조작부(31B)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각 조작부(31A, 31B)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32, 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작부(31A)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3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31A)는 상기 회전 부재(40)의 제1회전축(43A)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축(43A)은 상기 제1연결부(34)를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34)에는 상기 제1회전축(43A)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베어링(34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34)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 부재(40)의 회전 과정에서 포장층의 일부 또는 이물질 등이 상방으로 이물질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37)의 상측에는 엔진(38)이 구비된다. 상기 엔진(38)에는 동력 전달부(36)가 구비되어 상기 엔진(38)이 동력 전달부(3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엔진(38)은 액체 연료(휘발유 등)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부재(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고, 전기모터 등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동력 전달부(36)는 상기 제1회전축(43A)에 연결되어 상기 엔진(38)의 동력을 상기 제1회전축(43A)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 예에 일 예로 상기 동력 전달부(36)와 상기 제1회전축(43A)은 일 예로 웜과 웜 기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조작부(31B)는 상기 회전 부재(40)의 제2회전축(43B)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회전축(43B)은 상기 제2연결부(35)에 삽입되거나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35)에는 상기 제1회전축(43B)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베어링(35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50)의 레벨링 과정에서, 상기 회전 부재(40)는 양측의 거푸집(50)에 놓인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지면의 양측에 거푸집(50)이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 사이에 포장층(10)이 타설될 수 있다. 포장층(10)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거푸집 보다 높은 위치로 포장층(10)이 타설되거나 낮은 위치로 타설될 수 있다.
도 6의 (a)에는 일 예로 타설된 포장층(10)의 높이가 상기 거푸집(50) 보다 다소 높거나 유사한 것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은 레벨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3). 즉, 포장층(10)의 타설 후에, 상기 레벨링 장치(30)에 의해서 포장층(10)의 레벨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40)의 일측 또는 양측은 상기 패턴부(20)가 형성되는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의 경계선(11)을 형성하기 위한 제1돌출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42)는 상기 패턴부(20)의 폭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부재(40)의 단부에서 중앙을 향하여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제1돌출부(42)가, 상기 회전 부재(4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부재(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턴부(20)의 폭에 따라서, 상기 제1돌출부(42)의 결합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레벨링 장치(30)에 의한 레벨링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포장층(10)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로 레벨링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패턴부(20)가 형성되기 위한 경계선(11)이 일 예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레벨링 단계에서 포장층의 레벨링이 수행될 뿐만 아니라 패턴부 형성을 위한 경계선이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경계선을 확인하여 경계선 까지 패턴부를 형성하면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의 (d)를 참조하면, 레벨링 단계 이후에 포장층의 일단 또는 양단부에서 경계선(11)까지 패턴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패턴부(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층(10)의 상면에 칼라 파우더를 도포하여 칼라 파우더 층을 형성한다(S41).
도포된 칼라 파우더는 상기 포장층(10)에서 패턴부(20)와 나머지 부분이 색상으로서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포된 칼라 파우더를 평평하게 다진다.
다음으로, 칼라 파우더 층의 상측에 이형제를 도포한다(S42). 칼라 파우더가 형성되는 층이 완전하게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 형성 물체를 칼라 파우더 층에 접촉시키는 경우, 칼라 파우더가 상기 패턴 형성 물체에 달라붙어 칼라 파우더 층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형제를 칼라 파우더 층의 상측에 도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칼라 파우더 층이 완전하게 굳어지거나 마르지 않더라도 이형제 도포에 의해서 패턴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형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이형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음으로, 상기 패턴 형성 물체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한다(S43).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턴 형성 물체를 이용하여 이형제가 도포된 칼라 파우더 층을 가압함으로써,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턴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패턴 형성에 의해서 상기 패턴부(20)의 상면은 요철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패턴 형성이 완료되면, 표면의 내마모성이 향상되도록 표면 코팅 작업을 수행한다(S44).
그리고, 상기 패턴부(20)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50)을 해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계석을 설치하는 별도 과정 없이, 포장층을 형성한 후에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포장층이 경계석 역할을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턴부가 경계석 역할을 하되 패턴을 가지고 있으므로, 패턴부를 지나는 보행인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에게 경각심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포장층(10)의 측면(12)이 패턴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포장층(10)의 측면(12)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거푸집(50)에서 포장층과 접촉하는 면이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포장층(10)이 다른 지면에 비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포장층(10)의 측면(12)이 패턴을 가지도록 하는 경우,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40)는 중앙부의 직경이 최소이고, 양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부재(40)를 이용하여 포장층을 레벨링하는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10)의 상면은 중앙부(13)에서 양단부(14)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질 수 있다. 일 예로,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포장층(10)의 상면은 중앙부(13)에서 양단부(14) 측으로 2도 내지 8도 범위 내에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포장층(10)의 상면이 2도 미만으로 경사지면 배수 효과가 거의 없고, 8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행인이 도보하거나 자건거 등이 지날 때 경사도에 의해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은 구배지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경우 양측으로 물이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배수 효과가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40)는 중앙부의 직경이 최소이고, 양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4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의 둘레에는 홈(4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 부재(40)를 이용하여 포장층을 레벨링하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10)의 상면은 중앙부(13)에서 양단부(14)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층(1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14)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15)에 패턴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층(10)의 중앙부(13)에서 양단부(14) 측으로 흘러내린 물은 상기 제2돌출부(15)를 따라서 흐르게 된다.
일 예로,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포장층(10)의 상면은 중앙부(13)에서 양단부(14) 측으로 2도 내지 8도 범위 내에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포장층(10)의 상면이 2도 미만으로 경사지면 배수 효과가 거의 없고, 8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행인이 도보하거나 자건거 등이 지날 때 경사도에 의해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40)는 중앙부의 직경이 최소이고, 양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4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 각각의 둘레에는 제3돌출부(4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 부재(40)를 이용하여 포장층을 레벨링하는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10)의 상면은 중앙부(13)에서 양단부(14)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층(1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14)에는 물의 배수를 위하여 하방으로 함몰되는 홈(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16)에 패턴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층(10)의 중앙부(13)에서 양단부(14) 측으로 흘러내린 물은 상기 홈(15)으로 유입되어 상기 홈(15)을 따라서 흐르게 된다.
일 예로,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포장층(10)의 상면은 중앙부(13)에서 양단부(14) 측으로 2도 내지 8도 범위 내에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포장층(10)의 상면이 2도 미만으로 경사지면 배수 효과가 거의 없고, 8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행인이 도보하거나 자건거 등이 지날 때 경사도에 의해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1: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10: 포장층
20: 패턴부 30: 레벨링 장치

Claims (13)

  1. 포장이 필요한 영역의 지면 양측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양측의 거푸집 사이 영역에 포장층을 타설하는 단계;
    상기 포장층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경계석 역할을 하는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장층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 칼라 파우더를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칼라 파우더의 상측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
    특정 패턴을 가지는 패턴 형성 물체로 이형제가 도푸된 칼라 파우터 층을 가압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표면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서 상기 포장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면은 패턴을 가지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설치 이후에,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지면 양측에 설치된 거푸집의 레벨이 동일하도록 하기 위한 거푸집 레벨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층 타설 이후에,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사이로 타설된 포장층의 레벨이 동일하도록 하기 위한 레벨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장치는, 레벨링을 위하여 회전 동작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단계는, 일측 또는 양측에 패턴부가 형성되기 위한 경계선을 상기 포장층에 형성하기 위한 제1돌출부를 가지는 회전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층의 상면에서 상기 경계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층의 중앙부에서 양단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층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제2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에 상기 패턴부가 형성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벨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층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물의 배수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에 상기 패턴부가 형성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의 시공방법.
  11. 포장층이 타설된 후에 상기 포장층 상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경계석 역할을 하기 위하여 패턴을 가지는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포장층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물의 배수를 위한 홈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홈 또는 돌출부에 형성되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층의 상면은 중앙부에서 일단부 또는 양단부 측으로 갈수록 2도 내지 9도 범위 내에서 하향 경사지는,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KR20130134386A 2013-11-06 2013-11-06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01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4386A KR101501278B1 (ko) 2013-11-06 2013-11-06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4386A KR101501278B1 (ko) 2013-11-06 2013-11-06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278B1 true KR101501278B1 (ko) 2015-03-12

Family

ID=5302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4386A KR101501278B1 (ko) 2013-11-06 2013-11-06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2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947A (ko) * 2002-01-21 2003-07-28 주은스틸아트 (주) 도로표시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70852A (ko) * 2007-12-27 2009-07-01 김홍곤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KR101004145B1 (ko) * 2010-09-02 2010-12-27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947A (ko) * 2002-01-21 2003-07-28 주은스틸아트 (주) 도로표시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70852A (ko) * 2007-12-27 2009-07-01 김홍곤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KR101004145B1 (ko) * 2010-09-02 2010-12-27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5313B (zh) 沥青混凝土路面分隔带路缘石施工方法
JP4508923B2 (ja) 融雪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融雪路盤
KR101501278B1 (ko) 단지, 토목, 조경, 공원, 하천, 도로, 항만에 사용되는 경계석 일체형 포장층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58949B1 (ko) 자동 레벨 경계석과 측구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경 토목용 현장 타설용 경계석과 측구 시공 방법
KR100889252B1 (ko) 하중분산기능이 구비된 블록
CN102753322A (zh) 材料
KR100757453B1 (ko) 연결.설치가 용이한 분리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아파트단지 내의 도로 시공방법
JP2004092364A (ja) 透水性アスファルト舗装の補強方法
KR20110100805A (ko) 다수의 투수층 및 보수층을 포함하는 포장도로 및 도로 포장방법
JP6971683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
US20100104361A1 (en) Manufactured road marker for pedestiran crossing and all kinds of roadways
KR20060015769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KR102006108B1 (ko)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공사지반 임시보수용 패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공사지반 임시보수 시공방법
JP2004316187A (ja) 橋梁の排水性舗装覆工型伸縮設備とその施工法
CN211713552U (zh) 一种新型的道路铺装
KR101394509B1 (ko) 이중구조로 형성된 도로 경계석
JP2003147711A (ja) 車両の走行速度抑制用舗装体
JP3796383B2 (ja) 舗装構造
JP7224079B1 (ja) 区画線の施工方法
JP6119177B2 (ja) 舗装体
KR102156552B1 (ko) 보차도 시각장애인용 점자패턴 형성공법
TWI504796B (zh) Anti-slip hole cover
JP3851473B2 (ja) 舗装構造
KR100741410B1 (ko) 흡수성 포장층의 시공방법
KR200212558Y1 (ko)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