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776B1 -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776B1
KR101713776B1 KR1020160112732A KR20160112732A KR101713776B1 KR 101713776 B1 KR101713776 B1 KR 101713776B1 KR 1020160112732 A KR1020160112732 A KR 1020160112732A KR 20160112732 A KR20160112732 A KR 20160112732A KR 101713776 B1 KR101713776 B1 KR 10171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lement
rod
plate
ball join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재
김병일
홍강한
지현모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filed Critical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Priority to KR102016011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부재를 침하판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제1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침하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볼 조인트로 인해 침하봉이 설치되는 경사에 따라 침하봉의 경사보정이 가능한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침하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경사를 고려할 수 있으므로 평탄하지 않은 지표면, 성토사면 및 Soil-Cement 지반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확장부재를 방사형으로 연결하여 지중에의 압입이 용이하므로 불필요한 굴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원형 침하판과 확장부재의 조립 및 해체가 쉽고, 운반이 용이하며, 무게가 가벼워 침하판 자체 무게에 의한 침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볼조인트를 이용하여 침하판과 침하봉을 연결함으로써 외력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고, 경사계로부터 경사측정이 가능하므로 필요시 경사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여 정확한 침하량의 계측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An settlement plate for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에서 공항, 공업단지 및 도로건설 등의 토목공사시에는 연직배수공법 및 Preloading 공법 등의 개량을 실시한 후 구조물을 건설한다.
이와 같은 연약지반 개량공사시 지반의 침하량을 계측하여 대상지반의 침하특성을 파악하고, 설계 및 시공에 반영함으로써 합리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침하계측을 위한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이나 지중에 매설되는 침하판과, 침하판 중앙의 수나사와 연결되어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침하봉과, 침하봉을 보호하기 위한 침하봉 보호관으로 구성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하판은 강재로 제작되어 자체의 무게가 매우 무거워 운반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반 내 횡 또는 종방향의 변위가 발생하거나, 건설장비 등의 외력 발생시 유연하지 못하므로 파손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침하판 및 침하봉이 기울어져 수직도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정확한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Soil-Cement 지반의 경우 침하측정을 위한 침하판의 압입에 어려움이 있어 굴착이 불가피하며, 지표면이 평탄하지 못하거나 성토사면의 경우 좌, 우측의 높이를 차등 적용하지 못하므로 침하판의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이용하여 침하봉의 기울어짐을 방지(특허 10-2006-0075478;기울어짐 방지용 침하판 구조)하거나, 격자형태의 침하판 및 수직가이드를 설치하여 침하판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침하 측정봉의 수직도를 확보(특허 10-2009-0083130;침하계측용 지표침하판)하는 방법, 침하판과 안착구를 일체화하고 안착구에 침하봉을 안착시켜 회동가능하도록 하며 주름관을 설치하여 침하봉의 수직도를 유지(실용신안 20-2004-0030021;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하는 방법, 침하판과 침하봉을 분할하여 수직도를 유지하고 부분침하에 대처 가능한(특허 10-2014-0145424;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수위계)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침하계측용 장치는 침하봉이 보호관이나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거나, 침하판을 분할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침하판의 높낮이 조절에 따른 수평 유지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외압이 작용하게 되면 수직도를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성토사면이나 Soil-Cement 지반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확장부재를 침하판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제1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침하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볼 조인트로 인해 침하봉이 설치되는 경사에 따라 침하봉의 경사보정이 가능한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과 상기 침하판에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로 구성되는 침하부와, 막대부재로 일단이 지표에 고정되고, 상기 침하부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침하판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는 볼조인트와, 내부가 빈 봉 형태로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침하봉과,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볼조인트와 상기 침하봉의 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침하봉이 자립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탄성부재 및,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을 보호하는 보호관 및 일단이 상기 보호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로 구성되는 보호부로 구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고,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볼조인트가 회전되어 설치되는 상기 침하봉의 경사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고,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가 조립되는 단계와, (b) 제1지지부재의 일단이 지표에 고정되고, 상기 침하부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와, (c)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상기 침하봉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와 상기 침하봉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d)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을 보호하는 보호관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성토되어 경사진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고,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가 조립되는 단계와, (b) 상기 침하부의 일측이 경사진 성토층에 압입 또는 굴착된 사면에 삽입되고, 제1지지부재의 일단이 경사진 지표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침하부의 타측에 있는 상기 확장부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판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와, (c) 볼조인트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상기 침하판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상기 침하봉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와 상기 침하봉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d)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을 보호하는 보호관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soil-cement 지반을 조성하여 경화전에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여 막대부재 형상인 제1지지부재의 일단이 매설되는 단계와, (b)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가 조립되고, soil-cement 지반이 경화된 후 상기 침하부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의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와, (c)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상기 침하봉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와 상기 침하봉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d)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을 보호하는 보호관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상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가 조립된 후 soil-cement 지반을 조성하여 경화전에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여 상기 침하판과 상기 확장부재를 상기 수나사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단계와, (b) soil-cement 지반이 경화된 후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의 일단이 상기 수나사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상기 침하봉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와 상기 침하봉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c)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을 보호하는 보호관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침하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경사를 고려할 수 있으므로 평탄하지 않은 지표면, 성토사면 및 Soil-Cement 지반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확장부재를 방사형으로 연결하여 지중에의 압입이 용이하므로 불필요한 굴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원형 침하판과 확장부재의 조립 및 해체가 쉽고, 운반이 용이하며, 무게가 가벼워 침하판 자체 무게에 의한 침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볼조인트를 이용하여 침하판과 침하봉을 연결함으로써 외력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고, 경사계로부터 경사측정이 가능하므로 필요시 경사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여 정확한 침하량의 계측이 가능하다.
도1은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저면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이 평탄하지 않은 지표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이 성토되어 경사진 지표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이 soil-cement 지반에 설치되되, 침하부가 soil-cement 지반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위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이 soil-cement 지반에 설치되되, 침하부가 soil-cement 지반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저면도이다.
본원발명은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과 상기 침하판(110)에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로 구성되는 침하부(100)와, 막대부재로 일단이 지표에 고정되고, 상기 침하부(100)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200)와,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는 볼조인트(300)와, 내부가 빈 봉 형태로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침하봉(400)과,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탄성부재(500) 및,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 및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로 구성되는 보호부(600)로 구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고,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볼조인트(300)가 회전되어 설치되는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침하부(100), 제1지지부재(200), 볼조인트(300), 침하봉(400), 탄성부재(500) 및 보호부(600)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침하부(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볼조인트(300)로 인해 침하봉(400)이 설치되는 경사에 따라 침하봉(400)의 경사보정이 가능한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10)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에서 공항, 공업단지 및 도로건설 등의 토목공사시에는 연직배수공법 및 Preloading 공법 등의 개량을 실시한 후 구조물을 건설한다.
이와 같은 연약지반 개량공사시 지반의 침하량을 계측하여 대상지반의 침하특성을 파악하고, 설계 및 시공에 반영함으로써 합리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침하계측을 위한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이나 지중에 매설되는 침하판과, 침하판 중앙의 수나사와 연결되어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침하봉과, 침하봉을 보호하기 위한 침하봉 보호관으로 구성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하판은 강재로 제작되어 자체의 무게가 매우 무거워 운반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반 내 횡 또는 종방향의 변위가 발생하거나, 건설장비 등의 외력 발생시 유연하지 못하므로 파손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침하판 및 침하봉이 기울어져 수직도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정확한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Soil-Cement 지반의 경우 침하측정을 위한 침하판의 압입에 어려움이 있어 굴착이 불가피하며, 지표면이 평탄하지 못하거나 성토사면의 경우 좌, 우측의 높이를 차등 적용하지 못하므로 침하판의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이용하여 침하봉의 기울어짐을 방지(특허 10-2006-0075478;기울어짐 방지용 침하판 구조)하거나, 격자형태의 침하판 및 수직가이드를 설치하여 침하판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침하 측정봉의 수직도를 확보(특허 10-2009-0083130;침하계측용 지표침하판)하는 방법, 침하판과 안착구를 일체화하고 안착구에 침하봉을 안착시켜 회동가능하도록 하며 주름관을 설치하여 침하봉의 수직도를 유지(실용신안 20-2004-0030021;연약지반의 침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하는 방법, 침하판과 침하봉을 분할하여 수직도를 유지하고 부분침하에 대처 가능한(특허 10-2014-0145424;연약지반 지표침하판 겸용 지하수위계)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침하계측용 장치는 침하봉이 보호관이나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거나, 침하판을 분할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침하판의 높낮이 조절에 따른 수평 유지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외압이 작용하게 되면 수직도를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성토사면이나 Soil-Cement 지반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확장부재를 침하판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제1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침하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볼 조인트로 인해 침하봉이 설치되는 경사에 따라 침하봉의 경사보정이 가능한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침하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경사를 고려할 수 있으므로 평탄하지 않은 지표면, 성토사면 및 Soil-Cement 지반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확장부재를 방사형으로 연결하여 지중에의 압입이 용이하므로 불필요한 굴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원형 침하판과 확장부재의 조립 및 해체가 쉽고, 운반이 용이하며, 무게가 가벼워 침하판 자체 무게에 의한 침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볼조인트를 이용하여 침하판과 침하봉을 연결함으로써 외력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고, 경사계로부터 경사측정이 가능하므로 필요시 경사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여 정확한 침하량의 계측이 가능하다.
침하부(100)는 지표에 설치되는 지표침하판(10)의 기초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침하판(110)과 확장부재(120)로 구성된다.
침하판(110)은 원형판 형상의 부재이다. 본원발명에서 침하판(110)이 원형 판 형상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침하판(110)은 뒤에서 설명하는 볼조인트(3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에 수나사(111)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확장부재(120)는 침하판(110)에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막대부재 형상의 부재이다. 확장부재(120)는 침하판의 하면에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침하판(110)에 볼트형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확장부재(120)는 일정간격으로 관통공이 뚫려 있어 뒤에서 설명하는 제1지지부재(200)가 현장상황에 맞게 결합될 수 있다.
침하부(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00)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지표에 고정되고, 상기 침하판(110)이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재이다. 제1지지부재(200)는 확장부재(120)에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지표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제1지지부재(2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너트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침하부(100)가 지표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침하판(110)의 수평을 맞추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볼조인트(300)는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는 부재이다. 볼조인트(300)는 침하판의 상면에 수나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나사(111)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볼조인트(3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하는 것으로 뒤에서 설명하는 침하봉(400)의 설치 경사를 현장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볼조인트(300)는 산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볼 조인트가 사용된다.
침하봉(400)은 내부가 빈 봉 형태로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침하봉(400)은 현장상황에 맞게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침하봉(400)은 볼조인트(30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장소에 맞게 설치 경사를 보정할 수 있다.
침하봉(4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부재이다. 즉, 탄성부재(500)가 볼조인트(300)와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을 감싸듯이 설치되어 있어 침하봉(400)의 자립을 도와주는 부재이다.
탄성부재(5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보호부(6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침하봉(400)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보호관(610)과 제2지지부재(620)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관(610)은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부재이다. 즉, 보호관(610)은 내부 공간에 침하봉(400)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침하봉(40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도록 하면서 침하봉(400)이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지표의 침하를 오류 없이 측정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제2지지부재(620)는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제2지지부재(620)는 보호관(610)이 독립적으로 지표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제역할을 하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제2지지부재(620)는 보호관(6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지지되는 지표의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보호부(6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4는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이 평탄하지 않은 지표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관한 일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고,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되는 단계와, (b) 제1지지부재(200)의 일단이 지표에 고정되고, 상기 침하부(100)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와, (c)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d)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a)단계 내지 (d)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침하판(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볼조인트(300)로 인해 침하봉(400)이 설치되는 경사에 따라 침하봉(400)의 경사보정이 가능한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10)의 설치방법에 관한 일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 구성은 위의 지표침하판(10)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a)단계는 지표침하판(10)이 설치될 장소를 확인하고, 침하판(110)에 확장부재(120)를 결합시킨 침하부(10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a)단계는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고,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되는 단계이다. 침하판(110)은 뒤에서 설명하는 볼조인트(3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에 수나사(111)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b)단계는 침하판(110)이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제1지지부재(20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b)단계는 제1지지부재(200)의 일단이 지표에 고정되고, 상기 침하부(100)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이다. 제1지지부재(200)는 현장 상황에 맞게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침하판(11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c)단계는 침하봉(400)이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경사가 보정되면서 설치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c)단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이다.
(d)단계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측정 오류를 없애기 위하여 침하봉(400)에 보호관(610) 및 제2지지부재(62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d)단계는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이 성토되어 경사진 지표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관한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성토되어 경사진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고,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되는 단계와, (b) 상기 침하부(100)의 일측이 경사진 성토층에 압입 또는 굴착된 사면에 삽입되고, 제1지지부재(200)의 일단이 경사진 지표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침하부(100)의 타측에 있는 상기 확장부재(1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와, (c) 볼조인트(300)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d)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a)단계 내지 (d)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침하판(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볼조인트(300)로 인해 침하봉(400)이 설치되는 경사에 따라 침하봉(400)의 경사보정이 가능한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10)의 설치방법에 관한 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 구성은 위의 지표침하판(10)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a)단계는 성토되어 경사진 지표에서 지표침하판(10)이 설치될 장소를 확인하고, 침하판(110)에 확장부재(120)를 결합시킨 침하부(10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a)단계는 성토되어 경사진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고,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되는 단계이다. 침하판(110)은 뒤에서 설명하는 볼조인트(3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에 수나사(111)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b)단계는 침하부(100)의 일측이 경사진 성토층에 삽입되고, 침하부(100)의 타측에 제1지지부재(200)가 결합되어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b)단계는 상기 침하부(100)의 일측이 경사진 성토층에 압입 또는 굴착된 사면에 삽입되고, 제1지지부재(200)의 일단이 경사진 지표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침하부(100)의 타측에 있는 상기 확장부재(1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이다. 제1지지부재(200)는 경사진 지표의 현장 상황에 맞게 침하부(100)의 타측에 있는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침하판(11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c)단계는 침하봉(400)이 성토된 지표경사에 맞게 경사가 보정되면서 설치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c)단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이다.
(d)단계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측정 오류를 없애기 위하여 침하봉(400)에 보호관(610) 및 제2지지부재(62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d)단계는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도6은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이 soil-cement 지반에 설치되되, 침하부가 soil-cement 지반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위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관한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soil-cement 지반을 조성하여 경화전에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여 막대부재 형상인 제1지지부재(200)의 일단이 매설되는 단계와, (b)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되고, soil-cement 지반이 경화된 후 상기 침하부(100)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와, (c)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d)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a)단계 내지 (d)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침하판(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볼조인트(300)로 인해 침하봉(400)이 설치되는 경사에 따라 침하봉(400)의 경사보정이 가능한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10)의 설치방법에 관한 제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 구성은 위의 지표침하판(10)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a)단계는 soil-cement 지반을 조성한 후 지표침하판(10)이 설치될 장소를 확인하고, 막대부재 형상인 제1지지부재(200)의 일단이 매설되는 단계이다. 제1지지부재(200)는 설치될 침하부(100)의 형상에 맞게 다수개가 매설되는 단계이다.
(b)단계는 침하판(110)에 확장부재(120)를 결합시킨 침하부(100)를 조립하여 경화된 soil-cement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b)단계는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되고, soil-cement 지반이 경화된 후 상기 침하판(110)이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이다. 제1지지부재(200)는 현장 상황에 맞게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침하판(11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침하판(110)은 뒤에서 설명하는 볼조인트(3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에 수나사(111)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c)단계는 침하봉(400)이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경사가 보정되면서 설치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c)단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이다.
(d)단계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측정 오류를 없애기 위하여 침하봉(400)에 보호관(610) 및 제2지지부재(62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d)단계는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또는 soil-cement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도7은 본원발명의 지표침하판이 soil-cement 지반에 설치되되, 침하부가 soil-cement 지반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관한 제4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상면에 수나사(111)가 형성된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된 후 soil-cement 지반을 조성하여 경화전에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여 상기 침하판(110)과 상기 확장부재(120)를 상기 수나사(111)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단계와, (b) soil-cement 지반이 경화된 후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수나사(111)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c)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a)단계 내지 (c)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침하판(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볼조인트(300)로 인해 침하봉(400)이 설치되는 경사에 따라 침하봉(400)의 경사보정이 가능한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10)의 설치방법에 관한 제4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 구성은 위의 지표침하판(10)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a)단계는 침하판(110)에 확장부재(120)를 결합시킨 침하부(100)를 조립하고, 지표에 soil-cement 지반을 조성한 후 경화전에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여 상기 침하부(100)를 매설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a)단계는 상면에 수나사(111)가 형성된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된 후 soil-cement 지반을 조성하여 경화전에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여 상기 침하판(110)과 상기 확장부재(120)를 상기 수나사(111)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단계이다. 침하판(110)은 상면의 수나사(111)가 soil-cement 지반 밖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현장상황에 따라 수나사(111)에 보조기둥을 설치하여 보조기둥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수나사(111)에 보조기둥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뒤에서 설명하는 볼조인트가 보조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b)단계는 soil-cement 지반이 경화된 후 볼조인트(300), 침하봉 및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b)단계는 soil-cement 지반이 경화된 후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수나사(111)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이다.
(c)단계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측정 오류를 없애기 위하여 침하봉(400)에 보호관(610) 및 제2지지부재(62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d)단계는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또는 soil-cement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지표침하판
100 : 침하부 110 : 침하판
111 : 수나사 120 : 확장부재
200 : 제1지지부재
300 : 볼조인트
400 : 침하봉
500 : 탄성부재
600 : 보호부
610 : 보호관 620 : 제2지지부재

Claims (6)

  1.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과 상기 침하판(110)에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는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로 구성되는 침하부(100);
    막대부재로 일단이 지표에 고정되고, 상기 침하부(100)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너트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어 길이가 조정되는 제1지지부재(200);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는 볼조인트(300);
    내부가 빈 봉 형태로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침하봉(400);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탄성부재(500); 및,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 및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로 구성되는 보호부(600)로 구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고,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볼조인트(300)가 회전되어 설치되는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2. 삭제
  3.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고,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되는 단계;
    (b) 제1지지부재(200)의 일단이 지표에 고정되고, 상기 침하부(100)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
    (c)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d)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
  4.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성토되어 경사진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고,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되는 단계;
    (b) 상기 침하부(100)의 일측이 경사진 성토층에 압입 또는 굴착된 사면에 삽입되고, 제1지지부재(200)의 일단이 경사진 지표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침하부(100)의 타측에 있는 상기 확장부재(1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
    (c)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d)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
  5.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soil-cement 지반을 조성하여 경화전에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여 막대부재 형상인 제1지지부재(200)의 일단이 매설되는 단계;
    (b)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가 조립되고, soil-cement 지반이 경화된 후 상기 침하부(100)가 지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타단이 상기 확장부재(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상기 확장부재(120) 각각에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침하부(100)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조정되는 단계;
    (c)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침하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d)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
  6. 지표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상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형판 형상의 침하판(110)에 막대부재 형상의 확장부재(120)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침하부(100)가 조립된 후 soil-cement 지반을 조성하여 경화전에 지표의 침하 측정 위치 및 심도를 확인하여 상기 침하판(110)과 상기 확장부재(120)를 상기 수나사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매설되는 단계;
    (b) soil-cement 지반이 경화된 후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일단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볼조인트(300)의 일단이 상기 수나사에 결합된 후 내부가 빈 봉 형태인 침하봉(400)의 일단이 상기 볼조인트(300)의 타단에 결합되면서 설치되는 현장의 지표경사에 맞게 상기 침하봉(400)의 경사가 보정되고,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상기 침하봉(400)이 자립될 수 있도록 상기 볼조인트(300)와 상기 침하봉(400)의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단계; 및,
    (c) 내부가 빈 관으로 상기 침하봉(400)이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침하봉(40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침하봉(400)을 보호하는 보호관(610)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보호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표에 고정되어 상기 보호관(6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20)가 설치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의 설치방법.
KR1020160112732A 2016-09-01 2016-09-01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KR10171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732A KR101713776B1 (ko) 2016-09-01 2016-09-01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732A KR101713776B1 (ko) 2016-09-01 2016-09-01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776B1 true KR101713776B1 (ko) 2017-03-09

Family

ID=5840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732A KR101713776B1 (ko) 2016-09-01 2016-09-01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1259A (zh) * 2020-07-15 2020-11-24 吴正委 一种信息设备专用户外稳定式托架及使用方法
KR20220121958A (ko)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935A (ja) * 1994-12-19 1996-07-02 Hitachi Ltd 車体の重心測定装置及び方法
KR100673549B1 (ko) * 2006-07-24 2007-01-24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연약지반 침하 계측구조
KR20090105555A (ko) * 2008-04-03 2009-10-07 임용관 스타프가 장착된 침하봉을 갖는 침하량 계측장치 및 그계측장치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1인 계측방법
KR101356587B1 (ko) * 2012-12-17 2014-02-05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연약지반 침하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 높이 조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935A (ja) * 1994-12-19 1996-07-02 Hitachi Ltd 車体の重心測定装置及び方法
KR100673549B1 (ko) * 2006-07-24 2007-01-24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연약지반 침하 계측구조
KR20090105555A (ko) * 2008-04-03 2009-10-07 임용관 스타프가 장착된 침하봉을 갖는 침하량 계측장치 및 그계측장치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1인 계측방법
KR101356587B1 (ko) * 2012-12-17 2014-02-05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연약지반 침하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 높이 조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1259A (zh) * 2020-07-15 2020-11-24 吴正委 一种信息设备专用户外稳定式托架及使用方法
KR20220121958A (ko) * 2021-02-25 2022-09-02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KR102525390B1 (ko) * 2021-02-25 2023-04-26 주식회사 지엔 침하계측장비 보호용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599B2 (en) In-ground lifting system and method
CN104264902B (zh) 钢管混凝土柱与桩基连接结构
KR101713776B1 (ko) 높이와 경사보정이 가능한 지표침하판 및 설치방법
JP2013112926A (ja) 太陽光発電装置の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Schwamb et al. Considerations for monitoring of deep circular excavations
JP2819447B2 (ja) 建築物の沈下修正工法
JP6044360B2 (ja) 建入れ部材の建入れ誤差の測定システム、建入れ部材の建入れ誤差の測定方法、及び逆打ち支柱の建入れ方法
JP2015135045A (ja) 長尺物の設置安定化法および長尺物の設置方法
KR101401057B1 (ko) 기둥과 주두와 철골보 및 슬래브로 형성되는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JP2015212507A (ja) 長尺物の基礎構造および長尺物の基礎構造体構築方法
JP4879719B2 (ja) 原位置地盤における土圧測定方法
CN103016914A (zh) 多功能强制对中脚架
JP5786644B2 (ja) 鋼管の建入れ誤差の測定システム、鋼管の建入れ誤差の測定方法、及び逆打ち支柱の建入れ方法
KR101010333B1 (ko) 수준측량에 사용되는 조립식 수준점 설치장치
KR101621944B1 (ko) 인크로징 철탑 각입 셋팅장치
JP2014218862A (ja) 逆打ち支柱の建入れの調整方法、及び逆打ち支柱の建入れの調整システム
CN108571008A (zh) 盖挖车站钢管柱定位施工方法
JP2019131990A (ja) 構真柱建込み方法および構真柱建込み装置
KR101377017B1 (ko) 흄관 받침부재, 수로 형성부재 및 그 시공방법
US20150135612A1 (en) Apparaturs and Method for Supporting Headstones
JP5189431B2 (ja) 多径間連続コンクリート橋
JP3616895B2 (ja) 構真柱の建て入れ装置
KR100940913B1 (ko) 수직 하중을 받는 빔 고정 구조물
CN109736296B (zh) 厂房基准的设置方法
JP6792239B2 (ja) 鋼管杭の自沈防止装置及び自沈防止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