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028B1 -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028B1
KR102640028B1 KR1020230104333A KR20230104333A KR102640028B1 KR 102640028 B1 KR102640028 B1 KR 102640028B1 KR 1020230104333 A KR1020230104333 A KR 1020230104333A KR 20230104333 A KR20230104333 A KR 20230104333A KR 102640028 B1 KR102640028 B1 KR 102640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frames
guide beam
gutter
grip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주)동진이엔시
이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진이엔시, 이상헌 filed Critical (주)동진이엔시
Priority to KR102023010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motor actuated
    • B66C1/447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motor actu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68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mounted on, or guided by, ji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어태치먼트 그립퍼는 상기 동력장비의 암에 착탈되고, 제 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빔과, 상기 가이드 빔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빔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되, 상기 동력장비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상기 빗물받이를 그립 또는 그립 해제하는 제 1, 2 그립부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빗물받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제 1, 2 기준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빔에 대해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되,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 간의 간격이 최소가 될 시와 최대가 될 시의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의 위치들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이 서로 간의 거리가 최소 또는 최대가 되도록 배치될 시 상기 제 1, 2 그립부는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Attachment's gripper for street inlet}
본 발명은 건설기계, 중장비 등의 동력장비에 적용될 수 있는 어태치먼트 그립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받이는 도로의 측구, 택지 기타에서 흘러오는 우수를 일단 모아서 하수관에 유입시키기 위해 매설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빗물받이 시공 공법 중 하나인 프리캐스트 공법은 미리 공장에서 소정 규격으로 제작한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는 공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5093호는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선행특허에 따르면, PC(Precast Concrete)로 제작한 우수받이를 슬링벨트나 쇠사슬을 이용하여 크레인에 매달아 측량한 위치로 운반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특허는 크레인에 줄로 매달린 우수받이(또는, 빗물받이)를 운반하는 동안 여러 명의 인부가 우수받이 주변에 들러붙어서 우수받이가 흔들리지 않고 측량한 위치에 정확히 거치될 수 있게 잡아줘야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안전 사고 위험이 높고, 노동자의 안전 및 보건 책임을 부과한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위험성이 높다. 또한, 3D 업종 기피 현상으로 인해 만성적인 건설인력부족난 및 인건비 상승 문제를 겪고 있고, 이러한 인력난은 점점 악화되고 있어, 현장 시공 인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우수받이를 측량한 위치에 설치할 시에 현장 인력의 감각적 판단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정밀 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부실 공사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509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건설기계, 중장비 등의 동력장비 로 빗물받이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빗물받이를 그립할 수 있는 빗물받이용 어태치먼트 그립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현장 시공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빗물받이용 어태치먼트 그립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빗물받이를 측량한 위치에 정밀 시공하여 부실 공사를 방지할 수 있는 빗물받이용 어태치먼트 그립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어태치먼트 그립퍼는, 상기 동력장비의 암에 착탈되고, 제 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빔과, 상기 가이드 빔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빔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되, 상기 동력장비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상기 빗물받이를 그립 또는 그립 해제하는 제 1, 2 그립부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빗물받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제 1, 2 기준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빔에 대해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되,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 간의 간격이 제 1 간격과 제 2 간격으로 될 시의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의 위치들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이 서로 간의 간격이 제 1 간격 또는 제 2 간격이 되도록 배치될 시 상기 제 1, 2 그립부는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기준 프레임 및 상기 제 2 기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설정부는 상기 이동 돌기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설정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빗물받이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빔에 배치된 실린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유닛은 상기 동력이 전달되는 실린더와, 각각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2 그립부와 연결된 제 1, 2 피스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피스톤은 각각 상기 제 1, 2 그립부의 결합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2 그립 결합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그립퍼는, 첫째, 건설기계, 중장비 등의 동력장비의 암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동력에 의해 빗물받이를 견고하게 그립할 수 있기 때문에 빗물받이를 운반할 시에 인부들이 직접 빗물받이를 잡고 있지 않아도 빗물받이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어 현장 시공 인력을 줄일 수 있고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인부의 감각적 판단 대신 동력장비를 조정하여 빗물받이를 측량한 위치에 정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부실 공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 1, 2 기준 프레임 서로 간을 빗물받이의 중심 위치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제 1, 2 기준 프레임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제 1, 2 기준 프레임의 위치 설정에 의해 제 1, 2 그립부 또한 빗물받이의 중심 위치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어 안전성 및 정밀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빗물받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제 1, 2 기준 프레임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빗물받이의 길이에 제한받지 않고 여러 규격의 빗물받이 시공에 공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어태치먼트 그립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립퍼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그립퍼로 빗물받이를 그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a)는 1호 빗물받이, (b)는 2호 빗물받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빗물받이 그립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a)는 1호 빗물받이, (b)는 2호 빗물받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빗물받이 그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a)는 1호 빗물받이, (b)는 2호 빗물받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용 어태치먼트 그립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립퍼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그립퍼로 빗물받이를 그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빗물받이 그립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빗물받이 그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a)는 1호 빗물받이, (b)는 2호 빗물받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1)는 동력으로 빗물받이(2, 3)를 그립하되, 길이에 따라 정해진 규격에 맞춰 여러 호로 제작되는 빗물받이(2, 3)에 공용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예컨대,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그립퍼(1)는 최소 길이로 제작되는 1호 빗물받이(2)와 최대 길이로 제작되는 2호 빗물받이(3)에 공용될 수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태치먼트 그립퍼(1)는 건설기계, 중장비 등의 동력장비의 암(미도시)에 착탈되고 제 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빔(10)과, 가이드 빔(10)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되, 동력장비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빗물받이(2, 3)를 그립 또는 그립 해제하는 제 1, 2 그립부(20, 30)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 1 방향은 빗물받이(2, 3)의 길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하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하며, 제 1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빗물받이(2, 3)의 폭에 대응하는 방향을 폭방향(화살표 W)이라 한다.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가이드 빔(10)의 중심 위치에, 동력장비의 암에 착탈되는 장비 착탈부(11)가 배치될 수 있다. 장비 착탈부(11)를 동력장비 종류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건설기계, 중장비 등의 어태치먼트에 많이 적용되는 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빔(10)은 길이방향(화살표 L)을 따라 연장된 중공(12)을 가진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중공(12)에, 실린더 유닛(40)이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유닛(40)은 동력장비로부터 공압 또는 유압이 전달되는 실린더(41)와, 실린더(41)와 결합되어 중공(12) 내에서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이동되고 각각 제 1, 2 그립부(20, 30)와 연결된 제 1, 2 피스톤(42, 4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가이드 빔(10)의 중심 위치에 실린더(41)를 배치하고,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실린더(41)에 대해 제 1, 2 피스톤(42, 43)을 대칭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 1, 2 피스톤(42, 43)은 제 1, 2 그립부(20, 30)와 볼트 등의 체결부재(44, 45)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44, 45)가 착탈되는 제 1, 2 그립 결합구(42a, 43a)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2 피스톤(42, 43)에 각각 제 1, 2 그립 결합구(42a, 43a)를 복수개 구비하되, 길이방향(화살표 L)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하여 제 1, 2 피스톤(42, 43)에 대해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제 1, 2 그립부(20, 30)의 결합 위치 설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빗물받이(2, 3)를 그립할 시 또는 그립 해제할 시를 기준으로, 빗물받이(2, 3)의 길이 등에 대응하여 가이드 빔(10)의 중심 위치에 대해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제 1, 2 그립부(20, 30)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가이드 빔(10)의 중심 위치에 대해 제 1, 2 그립부(20, 30)를 서로 대칭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제 1, 2 그립부(20, 30)를 각각 ‘L’자 꺽임쇠 형태로 구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2 그립부(20, 30)의 상단부에 각각, 가이드 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연장된 제 1, 2 결합구(21, 3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빔(10)에 끼워진 제 1, 2 그립부(20, 30)의 상단부를 볼트 등의 체결부재(22, 32)에 의해 제 1, 2 피스톤(42, 43)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 빔(10)의 측면에는 가이드 빔(10)의 중공(12)에 연결되고 제 1, 2 그립부(20, 30)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 1, 2 가이드 슬롯(13, 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2 그립부(20, 30)가 빗물받이(2, 3)에 대해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면, 빗물받이(2, 3)를 그립할 시에 동력이 제 1, 2 그립부(20, 30)에 균일하게 작용하게 되어, 빗물받이(2, 3)를 수평을 유지하며 좌우 및 전후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되고, 측량한 위치에 정확히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대칭 배치를 위해, 본 발명은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빗물받이(2, 3)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과, 가이드 빔(10)에 대해 고정 배치되어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이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되,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 간의 간격이 제 1 간격과 제 2 간격으로 될 시의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의 위치들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70)를 포함한다. 즉,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이 서로 간의 간격이 제 1 간격 또는 제 2 간격이 되도록 배치될 시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은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빗물받이(2, 3)의 중심 위치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2 그립부(20, 30)가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됨에 따라. 빗물받이(2, 3)의 중심 위치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제 1 간격은 1호 빗물받이(2)의 길이에 대응하여 최소로 될 시의 간격으로 정하고, 제 2 간격은 2호 빗물받이(3)의 길이에 대응하여 최대로 될 시의 간격으로 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준 프레임(50)은 가이드 빔(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빗물받이(2, 3) 상면에 거치될 수 있게 된다. 제 1 기준 프레임(50)의 상면에, 가이드 빔(10)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 빔(10)에 대해 제 1 기준 프레임(50)의 길이방향(화살표 L) 이동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연장된 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안내로(51)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안내로(51)를 폭방향(화살표 W)으로 가운데에 위치되게 한다.
또한, 제 1 기준 프레임(50)의 저면에,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빗물받이(2, 3)의 모서리에 거치된 상태에서 길이방향(화살표 L)을 따라 제 1 기준 프레임(50)의 빗물받이(2, 3) 내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빗물받이(2, 3)의 모서리와 맞물릴 수 있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결합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 1 기준 프레임(50)이 빗물받이(2, 3)의 모서리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 1 기준 프레임(50)의 폭방향(화살표 W) 이동이 제한되도록 제 1 결합부(52)를 폭방향(화살표 W)으로 연장하여 빗물받이(2, 3)의 폭에 대응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준 프레임(50)을 빗물받이(2, 3)의 모서리에 거치하면, 폭방향(화살표 W)으로도 제 1, 2 그립부(20, 30)가 빗물받이(2, 3)의 중심 위치에 대해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 기준 프레임(60)은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제 1 기준 프레임(50)과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게, 제 1 안내로(51) 및 제 1 결합부(52)에 대응하는 제 2 안내로(61) 및 제 2 결합부(62)를 가질 수 있다.
기준 설정부(70)는 가이드 빔(10)의 하측에 고정 배치되는 기준 설정 프레임(71, 72, 7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설정 프레임(71, 72, 73)은 제 1 기준 프레임(50)과 제 2 기준 프레임(60) 간 간격 내에 배치되는 기준 설정 패널(71)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설정 패널(71)은 폭방향(화살표 W)으로 연장되고, 저면에 폭방향(화살표 W)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빗물받이(2, 3)의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맞물릴 수 있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 3 결합부(71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설정 프레임(71, 72, 73)은 기준 설정 패널(71)로부터 연장되고 제 1 기준 프레임(50)과 제 2 기준 프레임(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설정 바(72, 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폭방향(화살표 W)으로 기준 설정 패널(71)의 양 끝단에 각각 제1, 2 기준 설정 바(72, 73)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2 기준 설정 바(72, 73)는 기준 설정 패널(71)로부터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제 1 기준 프레임(50) 및 제 2 기준 프레임(60) 각각을 향해 양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기준 설정부(70)에 의해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이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돌기(53, 63)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 1, 2 이동 돌기(53, 63)를 가질 수 있다. 기준 설정부(70)는 제 1, 2 이동 돌기(53, 63)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길이방향(화살표 L)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 3, 4 가이드 슬롯(74, 75)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폭방향(화살표 W)으로 제 1 기준 프레임(50) 및 제 2 기준 프레임(60)의 양측면에 모두 폭방향(화살표 W)으로 돌출된 제 1, 2 이동 돌기(53, 63)가 배치될 수 있고, 제 1, 2 기준 설정바에 각각 제 3, 4 가이드 슬롯(74, 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기 설정된 범위는 제 1, 2 기준 프레임(50, 60) 서로 간의 간격이 제 1 간격이 될 시와 제 2 간격이 될 시의 제 1, 2 이동 돌기(53, 63)의 이동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1 ; 어태치먼트 그립퍼 2 ; 1호 빗물받이
3 ; 2호 빗물받이 10 ; 가이드 빔
11 ; 장비 착탈부 20 ; 제 1 그립부
30 ; 제 2 그립부 40 ; 실린더 유닛
50 ; 제 1 기준 프레임 60 ; 제 2 기준 프레임
70 ; 기준 설정부

Claims (5)

  1.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그립퍼는,
    상기 동력장비의 암에 착탈되고, 제 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빔;
    상기 가이드 빔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빔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되, 상기 동력장비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상기 빗물받이를 그립 또는 그립 해제하는 제 1, 2 그립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빗물받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제 1, 2 기준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빔에 대해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되,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 간의 간격이 제 1 간격 또는 제 2 간격이 될 시의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의 위치들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이 서로 간의 간격이 상기 제 1 간격 또는 상기 제 2 간격이 되도록 배치될 시 상기 제 1, 2 그립부는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준 프레임 및 상기 제 2 기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설정부는,
    상기 이동 돌기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빗물받이용 어태치먼트 그립퍼.
  2.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그립퍼는,
    상기 동력장비의 암에 착탈되고, 제 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빔;
    상기 가이드 빔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빔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되, 상기 동력장비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며 상기 빗물받이를 그립 또는 그립 해제하는 제 1, 2 그립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빗물받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제 1, 2 기준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빔에 대해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되,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 간의 간격이 제 1 간격 또는 제 2 간격이 될 시의 상기 제 1, 2 기준 프레임의 위치들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설정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빗물받이와 맞물리는 빗물받이용 어태치먼트 그립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빔에 배치된 실린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유닛은
    상기 동력이 전달되는 실린더 및, 각각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2 그립부와 연결된 제 1, 2 피스톤을 갖는 빗물받이용 어태치먼트 그립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피스톤은 각각
    상기 제 1, 2 그립부의 결합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 1, 2 그립 결합구를 가지는 빗물받이용 어태치먼트 그립퍼.
  5. 삭제
KR1020230104333A 2023-08-09 2023-08-09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KR10264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333A KR102640028B1 (ko) 2023-08-09 2023-08-09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333A KR102640028B1 (ko) 2023-08-09 2023-08-09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028B1 true KR102640028B1 (ko) 2024-02-23

Family

ID=9004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333A KR102640028B1 (ko) 2023-08-09 2023-08-09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0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32A (ko) * 1999-06-09 2001-01-05 나남열 콘크리트관 접합기
JP2009113879A (ja) * 2007-11-01 2009-05-28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管体の吊り具
KR101715093B1 (ko) 2016-06-21 2017-03-22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CN217807145U (zh) * 2022-08-24 2022-11-15 山东中孚智能机械制造有限公司 龙门式翻板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32A (ko) * 1999-06-09 2001-01-05 나남열 콘크리트관 접합기
JP2009113879A (ja) * 2007-11-01 2009-05-28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管体の吊り具
KR101715093B1 (ko) 2016-06-21 2017-03-22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도로의 우수받이 시공방법
CN217807145U (zh) * 2022-08-24 2022-11-15 山东中孚智能机械制造有限公司 龙门式翻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705B1 (en) Channel flex revetment block and cabled mat
US4480819A (en) Attachable/detachable railing device
KR102640028B1 (ko)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KR102647163B1 (ko)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
AU7452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guide rails
GB2540618A (en) Pipe pusher
GB2416513A (en) Mitre box for cutting elongate workpieces
CN108842933B (zh) 一种塔吊洞口封堵方法
EP3351690A1 (en) Pipe pusher
US8991802B1 (en) Tool for aligning highway barrier modules
KR102647134B1 (ko) 프리캐스트 빗물받이 시공장비 및 이에 적용되는 위치지정장치
JP2002167969A (ja) 台車付きパイプ構築フレーム
JP2008163563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位置合わせ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立て方法
CN212743380U (zh) 一种拼装式后浇带封堵工具
CN210289321U (zh) 一种输电塔交叉斜材节点板辅助安装装置
CN210013093U (zh) 新型混凝土道路侧模模板加固装置
CN113309002A (zh) 轻型移动式可拼装桥梁检修吊篮
KR101112172B1 (ko) 피시빔 교량용 작업로 구축장치
JP2004332210A (ja) 足場用吊り枠
JP2017048649A (ja) 吊り足場、吊り足場の架設方法および吊金具
CN217602133U (zh) 一种墙柱定位钢筋辅助焊接装置
CN212101547U (zh) 一种建筑工地用升降机滑道
JPH0448274Y2 (ko)
JP2016056623A (ja) 防護柵等のための仮設用足場及びその仮設用足場を用いた防護柵等の構築方法
CN217642425U (zh) 一种公路大桥中央分隔带硅芯管管箱安装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