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237B1 -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237B1
KR101714237B1 KR1020150145748A KR20150145748A KR101714237B1 KR 101714237 B1 KR101714237 B1 KR 101714237B1 KR 1020150145748 A KR1020150145748 A KR 1020150145748A KR 20150145748 A KR20150145748 A KR 20150145748A KR 101714237 B1 KR101714237 B1 KR 101714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finger
shifting
end position
err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5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237B1/ko
Priority to US15/052,599 priority patent/US9835249B2/en
Priority to DE102016103629.3A priority patent/DE102016103629B4/de
Priority to CN201610152717.7A priority patent/CN10659426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with diagnostic check cycles; Monitoring of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8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an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2061/283Adjustment or calibration of actuator positions, e.g. neutr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모터부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에러신호판단단계; 에러신호판단단계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조작기구의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1변속상태판단단계; 제1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의 엔드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1위치확인단계; 및 제1위치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엔드포지션값을 이용하여 변속핑거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위치보정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CONTROL METHOD OF SHIFTING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을 위해 변속장치를 조작하는 변속조작기구의 구동 중 발생하는 변속핑거의 위치오차를 최소화하고,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변속조작기구의 고장을 방지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변속조작기구란, 변속기컨트롤유닛에 의하여 모터부가 구동됨에 따라 변속핑거가 어느 하나의 시프팅레일로 셀릭팅되거나, 어느 하나의 변속단으로 시프팅됨으로써 목표로 하는 변속단의 클러치기어와 해당 슬리브가 치합되도록 변속장치를 조작하는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변속조작기구에서 변속핑거가 모터부의 구동에 따라 목표로 하는 변속단으로 정확히 시프팅되기 위해서는 변속기컨트롤유닛에 의해 변속핑거의 위치가 제어될 필요가 있으며, 변속핑거의 위치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변속핑거가 변속단측의 정확한 위치에 시프팅되지 못하여 변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변속기어의 체결 불량으로 충격이 발생하거나 원활한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변속핑거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변속조작기구상에 변속핑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차량의 원가상승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변속기측의 공간활용 측면에서도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변속핑거의 위치값 오차 발생 등 고장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모터부에 구비된 홀센서의 에러신호를 수신하여 변속핑거의 위치오차 등의 고장상태를 판단하게 되는데, 다양한 원인으로 무의미한 에러신호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에러신호를 모두 고장상태로 판단하게 되면, 정상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고장상태로 진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소정의 횟수 이상의 에러신호가 카운트 된 경우에 한하여 고장상태로 판단하여 노이즈성 에러신호를 필터링하는 방식이 이용되는데 이 때, 소정의 횟수 이하의 에러신호가 누적되면 변속조작기구의 고장상태로 판단되지 않으면서 변속핑거의 위치값 오차가 누적되어 변속기어의 체결에 불량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251503 B1
본 발명은 변속핑거의 위치오차를 최소화하고,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변속조작기구의 고장을 방지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은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모터부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에러신호판단단계; 에러신호판단단계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조작기구의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1변속상태판단단계; 제1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의 엔드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1위치확인단계; 및 제1위치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엔드포지션값을 이용하여 변속핑거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위치보정단계;를 포함한다.
제1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인지 판단하는 제2변속상태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립여부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를 어느 하나의 변속단으로 시프팅하여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2위치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에 있지 않고 변속과정에 있는 경우, 변속과정의 진행에 따라서 변속핑거가 엔드포지션에 위치된 때에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3위치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보정단계에서는 현재 변속단의 엔드포지션값을 상기 위치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엔드포지션값으로 보정함으로써 변속핑거의 위치편차을 보정할 수 있다.
변속기컨트롤유닛에서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모터부에 구비된 홀센서의 에러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에러신호판단단계; 에러신호판단단계에서 변속기컨트롤유닛이 홀센서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변속기컨트롤유닛은 변속조작기구의 변속핑거가 모터부에 의해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1변속상태판단단계; 제1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기컨트롤유닛이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변속기컨트롤유닛은 모터부를 구동하여 변속핑거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의 엔드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1위치확인단계; 및 제1위치확인단계에서 변속기컨트롤유닛에 의해 확인된 엔드포지션값을 통하여 변속기컨트롤유닛이 변속핑거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위치보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시스템은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홀센서가 내장된 변속조작기구의 모터부; 변속조작기구의 모터부에 의하여 이동되어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시프팅되는 변속핑거; 홀센서에 의한 에러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에러신호 발생 시 변속핑거가 변속단에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하며,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의 엔드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엔드포지션값을 통하여 변속핑거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변속기컨트롤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재어방법 및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변속핑거의 위치오차를 최소화하고,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변속조작기구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모터부에 구비된 홀센서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하면 변속단의 엔드포지션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변속핑거의 위치 오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변속핑거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여 각 상태에 따른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변속단의 엔드포지션을 확인함으로써 변속핑거의 위치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변석조작기구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은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모터부(250)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에러신호판단단계(S200); 에러신호판단단계(S200)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조작기구의 변속핑거(300)가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1변속상태판단단계(S310); 제1변속상태판단단계(S310)에서 변속핑거(300)가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된 상태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300)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하는 제1위치확인단계(S410); 및 제1위치확인단계(S410)에서 확인된 엔드포지션(350)값을 이용하여 변속핑거(300)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위치보정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에러신호판단단계(S200)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모터부(250)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변속조작기구의 모터부(250)에는 모터의 작동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홀센서가 구비되는데, 홀센서는 모터의 작동시 작동상태에 대한 신호를 변속기컨트롤유닛(200)에 미리 송신하고, 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변속기컨트롤유닛(200)에 미리 설정된 정상신호와 다른패턴을 보이는 경우 변속기컨트롤유닛(200)은 이러한 신호를 모터부(250)의 에러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에러신호는 모터부(250)의 비정상적 구동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 변속핑거(300)가 변속기컨트롤유닛(200)이 산출한 변속핑거(300)의 위치값과 실제 변속핑거(300)의 위치값 사이에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그러한 위치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을 진행시키는 것이다.
한편, 제1변속상태판단단계(S310)에서는 에러신호판단단계(S200)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조작기구의 변속핑거(300)가 목표로 하는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한다.
차량의 주행 중 변속이 필요한 경우, 변속핑거(300)가 어느 하나의 시프팅레일로 이동되고, 시프트모터에 의해 변속핑거(300)가 시프팅되어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으로 이동된다.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된 변속핑거(300)는 당해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까지 시프팅된 후 엔드포지션(350)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복귀하여 변속단(320)측에 정지상태로 위치하는데, 이는 변속핑거(300)를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에 계속 밀착시키게 되면 모터의 부하 및 변속핑거(300)의 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변속핑거(300)가 시프팅된다는 것은 하나의 셀렉트위치에서 양측방향 경로상에 위치하는 변속단(320)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으로 변속핑거(300)가 이동되는 것을 말한다. 엔드포지션(350)이란, 변속핑거(300)가 시프팅되어 최대로 밀착될 수 있는 변속단(320)의 끝단부 위치를 말한다.
결국, 변속핑거(300)가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되었다는 것은 변속핑거(300)가 변속을 위해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되어 엔드포지션(350)에 밀착된 후 일정거리 복귀하여 동일 변속단(320)측에 정지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한편, 제1위치확인단계(S410)에서는 제1변속상태판단단계(S310)에서 변속핑거(300)가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된 상태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300)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한다.
위치센서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이상, 변속핑거(3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치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어느 하나의 특정위치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변속핑거(300)를 특정위치인 엔드포지션(350)에 위치시킴으로써 변속핑거(300)의 위치기준을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변속핑거(300)는 차량 주행중 변속을 위해 수시로 각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에 위치되고,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값은 그 위치가 명확히 특정될 수 있는 바 위치오차 수정을 위한 기준위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터부(250)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하면 변속핑거(300)는 그 위치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측 엔드포지션(350)에 위치되어 그 위치값이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변속핑거(300)가 이미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에 시프팅되어 정지된 상태인 경우, 현재 선택된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이 가장 빠르게 그 위치값을 파악할 수 있는 기준위치가 될 것이며, 이에 따라 특별한 수단없이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된 변속핑거(300)가 동일한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으로 재차 시프팅되어 그 위치값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치보정단계(S500)는 제1위치확인단계(S410)에서 확인된 엔드포지션(350)값을 이용하여 변속핑거(300)의 위치값을 보정할 수 있다.
변속기컨트롤유닛(200)에는 변속핑거(300)의 이동경로에 대한 거리 및 중립위치와 변속단(320)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데, 모터부(250)의 에러신호가 발생한 경우 변속핑거(300)의 실제위치와 변속기컨트롤유닛(200)상에 기록된 변속핑거(300)의 현재위치가 상호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변속핑거(300)가 현재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에 시프팅되어 엔드포지션(350)의 위치값을 파악하고, 그러한 위치값을 통해 변속기컨트롤유닛(200)상에 기록된 변속핑거(300)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변속핑거(300)의 위치오차를 쉽고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에서는, 제1변속상태판단단계(S310)에서 변속핑거(300)가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핑거(300)가 중립상태인지 판단하는 제2변속상태판단단계(S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변속상태판단단계(S310)에서 변속핑거(300)가 이미 시프팅되어 변속단(320)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변속핑거(300)는 중립상태에 있거나 변속을 위해 시프팅과정 중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변속핑거(300)의 상태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변속기컨트롤유닛(200)이 모터부(250)의 구동상태 및 현재까지 기록된 변속핑거(300)의 위치를 파악하여 변속핑거(300)가 중립상태로 정지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에서는, 중립여부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300)가 중립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300)를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으로 시프팅하여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하는 제2위치확인단계(S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속핑거(300)가 중립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불필요한 제어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변속핑거(300)가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 엔드포지션(350)으로 시프팅되는 상황이 발생할 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임의적으로 현재 셀렉트 위치에서 양측방향에 위치된 변속단(320)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측 엔드포지션(350)으로 변속핑거(300)를 시프팅하게 된다.
이는 현재 변속단(320)에 있어서 현재 이후에 요구될 수 있는 변속단(320)으로 미리 변속핑거(300)가 이동하여 변속단(320)을 예치합하는 것과는 달리, 현재 차량의 주행상태 또는 현재의 변속상태와 무관하게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하기 위해 변속핑거(300)가 변속단(320)측으로 시프팅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현재 중립상태가 유지된 변속핑거(300)를 주행상의 필요와는 무관하게 어느 하나의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하게 위하여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으로 변속핑거(300)를 시프팅함으로써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에서는, 제2변속상태판단단계(S320)에서 변속핑거(300)가 중립상태에 있지 않고 변속과정에 있는 경우, 변속과정의 진행에 따라서 변속핑거(300)가 엔드포지션(350)에 위치된 때에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하는 제3위치확인단계(S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속핑거(300)가 중립상태인지 판단하는 제2변속상태판단단계(S320)에서 현재 변속핑거(300)의 상태가 중립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라면, 이는 변속핑거(300)가 이동상태인 것을 말한다.
즉, 변속핑거(300)가 변속단(320)에 시프팅 완료된 상태가 아니고, 중립상태도 아니라면 변속핑거(300)가 현재 시프팅과정에 있는 경우로서 시프팅과정상에서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 엔드포지션(350)에 도달하게 될 것이므로, 그 때의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함으로써 별도로 엔드포지션(350)값 확인을 위한 별도의 제어과정을 요구하지 않더라도 위치보정을 위한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에서, 상기 위치보정단계(S500)에서는 현재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값을 상기 위치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엔드포지션(350)값으로 보정함으로써 변속핑거(300)의 위치편차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속기컨트롤유닛(200)은 변속핑거(3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리 변속핑거(300)의 이동경로상의 길이 및 엔드포지션(350)값이 설정된 상태로 모터부(250)를 구동하여 변속핑거(300)를 원하는 위치로 시프팅시키게 된다.
이 때, 모터부(250)의 비정상적 구동에 의한 에러신호가 발생한 경우 변속기컨트롤유닛(200)에서 의욕한 위치만큼 변속핑거(300)가 이동되지 않아 설정된 위치값과 현재의 변속핑거(300) 위치가 상호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변속핑거(300) 위치와의 관계에서 현재의 엔드포지션(350)값을 새로이 확인하여 변속기컨트롤유닛(200)에 설정된 엔드포지션(350)값을 보정하면, 현재의 변속핑거(300)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변속기컨트롤유닛(200)상의 설정된 위치와 실제위치간의 오차가 보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시스템(100)은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홀센서가 내장된 변속조작기구의 모터부(250); 변속조작기구의 모터부(250)에 의하여 이동되어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에 시프팅되는 변속핑거(300); 홀센서에 의한 에러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에러신호 발생 시 변속핑거(300)가 변속단(320)에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하며, 변속핑거(300)가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300)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엔드포지션(350)값을 통하여 변속핑거(300)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변속기컨트롤유닛(200);을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변속조작기구의 모터부(250)는 홀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홀센서는 모터의 구동상태를 센싱하여 신호화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구동상태가 아닌 경우 홀센서는 에러신호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변속핑거(300)는 모터부(250)와 연동되어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된다. 변속핑거(300)가 변속단(320)으로 시프팅되면 해당 변속단(320)의 변속기어는 출력축과 동기치합된다.
한편, 변속기컨트롤유닛(200)은 변속기의 제어를 담당하는 유닛(200)으로서, 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며 이 때 에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변속핑거(300)의 현재상태를 파악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변속핑거(300)의 상태가 시프팅 된 상태 또는 중립상태 또는 시프팅 과정인 상태로 나뉠 수 있다. 만약 변속핑거(300)가 이미 어느 하나의 변속단(320)으로 시프팅 된 상태로 판단되면, 변속기컨트롤유닛(200)은 모터부(250)를 구동하여 변속핑거(300)를 해당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으로 시프팅하여 엔드포지션(350)값을 확인한다.
또한, 변속기컨트롤유닛(200)은 변속핑거(300)의 시프팅에 의해 확인해 엔드포지션(350)값을 현재 변속기컨트롤유닛(200)에 설정된 해당 변속단(320)의 엔드포지션(350)값과 비교하여 위치편차를 보정함으로써 변속핑거(300)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200 : 에러신호판단단계 S310 : 제1변속상태판단단계
S410 : 제1위치확인단계 S500 : 위치보정단계
100 :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200 : 변속기컨트롤유닛

Claims (7)

  1. 차량이 주행상황이며 변속조작기구 모터부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에러신호판단단계;
    에러신호판단단계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조작기구의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1변속상태판단단계;
    제1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의 엔드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1위치확인단계;
    제1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인지 판단하는 제2변속상태판단단계;
    제2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에 있지 않고 차량 주행을 위한 변속과정에 있는 경우, 변속과정의 진행에 따라서 변속핑거가 엔드포지션에 위치된 때에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3위치확인단계; 및
    엔드포지션 이동을 통해 확인된 엔드포지션값을 이용하여 변속핑거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위치보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를 어느 하나의 변속단으로 시프팅하여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2위치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단계에서는 현재 변속단의 엔드포지션값을 엔드포지션 이동을 통해 확인된 엔드포지션값으로 보정함으로써 변속핑거의 위치편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6. 변속기컨트롤유닛에서 차량의 주행 중 변속조작기구 모터부에 구비된 홀센서의 에러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에러신호판단단계;
    에러신호판단단계에서 변속기컨트롤유닛이 홀센서에서 에러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변속기컨트롤유닛은 차량의 주행상황에 따라 변속조작기구의 변속핑거가 모터부에 의해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1변속상태판단단계;
    제1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기컨트롤유닛이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변속기컨트롤유닛은 모터부를 구동하여 변속핑거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의 엔드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1위치확인단계;
    제1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된 경우, 변속기컨트롤유닛이 차량의 주행상황에서 상기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인지 판단하는 제2변속상태판단단계;
    제2변속상태판단단계에서,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에 있지 않고 차량 주행을 위한 변속과정에 있는 경우, 변속기컨트롤유닛이 변속과정의 진행에 따라서 변속핑거가 엔드포지션에 위치된 때에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는 제3위치확인단계; 및
    엔드포지션 이동을 통해 확인된 엔드포지션값에 따라 변속기컨트롤유닛이 변속핑거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위치보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7. 변속조작기구의 모터부에 의하여 이동되어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시프팅되는 변속핑거;
    차량의 주행상황에서 변속핑거 제어에 이상 발생 시,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홀센서가 내장된 변속조작기구의 모터부;
    홀센서에 의한 에러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에러신호 발생 시 변속핑거가 차량의 주행상황에 따라 변속단에 시프팅된 상태인지 판단하며,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변속핑거를 현재 선택된 변속단의 엔드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고, 변속핑거가 변속단으로 시프팅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주행상황에서 상기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인지 판단하며, 변속핑거가 중립상태에 있지 않고 차량 주행을 위한 변속과정에 있는 경우 변속과정의 진행에 따라서 변속핑거가 엔드포지션에 위치된 때에 엔드포지션값을 확인하고, 엔드포지션 이동을 통해 확인된 엔드포지션값에 따라 변속핑거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변속기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시스템.
KR1020150145748A 2015-10-20 2015-10-20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KR101714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48A KR101714237B1 (ko) 2015-10-20 2015-10-20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US15/052,599 US9835249B2 (en) 2015-10-20 2016-02-24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shifting mechanism of vehicle
DE102016103629.3A DE102016103629B4 (de) 2015-10-20 2016-03-01 Steuerverfahren und Steuersystem für einen Schaltmechanismus eines Fahrzeugs
CN201610152717.7A CN106594263B (zh) 2015-10-20 2016-03-17 用于车辆换档机构的控制方法和控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48A KR101714237B1 (ko) 2015-10-20 2015-10-20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237B1 true KR101714237B1 (ko) 2017-03-08

Family

ID=5840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748A KR101714237B1 (ko) 2015-10-20 2015-10-20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35249B2 (ko)
KR (1) KR101714237B1 (ko)
CN (1) CN106594263B (ko)
DE (1) DE102016103629B4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876A (ko) * 2017-12-06 2019-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의 기어치합 제어방법
CN110402343A (zh) * 2017-03-10 2019-11-01 雷诺股份公司 用于控制混合动力车辆变速器的传动比变化的方法和装置
KR20200033623A (ko) * 2018-09-20 2020-03-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변속기 싱크로나이저 구동기의 자동 보정 방법
CN110939731A (zh) * 2019-12-30 2020-03-31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挂挡距离的调整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9936B2 (ja) * 2017-11-06 2022-01-26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フトレンジ制御装置
KR101987561B1 (ko) * 2017-12-18 2019-06-1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의 중립위치 설정방법
JP6950545B2 (ja) * 2018-01-19 2021-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フトレンジ制御装置
CN109372984B (zh) * 2018-12-14 2020-08-21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执行机构调整的方法及装置
CN114278725B (zh) * 2022-01-04 2022-12-13 东风德纳车桥有限公司 换挡位置自适应控制方法、换挡执行机构及换挡装置
CN114857255B (zh) * 2022-05-09 2024-05-17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Amt电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程序及车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212A (ja) * 2001-12-27 2003-07-0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及び変速操作部材の変速操作時目標位置設定装置
KR101251503B1 (ko) 2010-12-01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KR20130116757A (ko) * 2012-04-16 2013-10-24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 방법
KR20140052384A (ko) * 2012-10-24 201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액츄에이터 제어방법
KR20150076486A (ko) * 2013-12-27 2015-07-07 현대다이모스(주)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기어 액츄에이터 위치 초기화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9870A (en) * 1995-05-01 1997-12-23 Borg-Warner Automotive, Inc. Electric shift transfer case system for an automobile
US6953417B2 (en) 2003-11-17 2005-10-11 Borgwarner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dual clutch transmission
JP3984237B2 (ja) * 2004-04-20 2007-10-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US7155993B2 (en) * 2004-11-15 2007-01-02 Borgwarner Inc. Dual clutch transmission having a synchronizer actuation interlock circuit
DE502005010052D1 (de) * 2004-11-18 2010-09-16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fahren zum feststellen einer beschädigung in der schaltaktorik eines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s
US8190343B2 (en) * 2009-10-15 2012-05-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ear actuato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dual clutch transmissions
JP5203401B2 (ja) 2010-02-05 2013-06-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CN102182821A (zh) * 2011-04-20 2011-09-14 海博瑞德(北京)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amt系统的换档机构极限位置自学习控制方法
JP5869283B2 (ja) 2011-10-04 2016-02-24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デュアルクラッチ式変速機
KR20140039812A (ko) * 2012-09-25 2014-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기 제어방법
KR101393973B1 (ko) * 2012-12-06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83723B1 (ko) * 2012-12-12 2014-04-08 현대자동차(주)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액츄에이터 기준위치 설정방법
JP5771637B2 (ja) 2013-02-26 2015-09-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変速機用ギヤ締結装置
JP6501354B2 (ja) * 2015-05-12 2019-04-17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車両用動力伝達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212A (ja) * 2001-12-27 2003-07-0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及び変速操作部材の変速操作時目標位置設定装置
KR101251503B1 (ko) 2010-12-01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KR20130116757A (ko) * 2012-04-16 2013-10-24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 방법
KR20140052384A (ko) * 2012-10-24 201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액츄에이터 제어방법
KR20150076486A (ko) * 2013-12-27 2015-07-07 현대다이모스(주)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기어 액츄에이터 위치 초기화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2343A (zh) * 2017-03-10 2019-11-01 雷诺股份公司 用于控制混合动力车辆变速器的传动比变化的方法和装置
CN110402343B (zh) * 2017-03-10 2022-01-04 雷诺股份公司 用于控制混合动力车辆变速器的传动比变化的方法和装置
KR20190066876A (ko) * 2017-12-06 2019-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의 기어치합 제어방법
KR102053431B1 (ko) * 2017-12-06 2019-12-06 현대자동차(주) Dct차량의 기어치합 제어방법
KR20200033623A (ko) * 2018-09-20 2020-03-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변속기 싱크로나이저 구동기의 자동 보정 방법
KR102557559B1 (ko) * 2018-09-20 2023-07-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변속기 싱크로나이저 구동기의 자동 보정 방법
CN110939731A (zh) * 2019-12-30 2020-03-31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挂挡距离的调整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94263A (zh) 2017-04-26
DE102016103629B4 (de) 2024-02-01
US20170108118A1 (en) 2017-04-20
US9835249B2 (en) 2017-12-05
DE102016103629A1 (de) 2017-04-20
CN106594263B (zh)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237B1 (ko)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KR101822244B1 (ko) 버튼식 변속 타입의 고장 판단 시스템
KR20070112182A (ko) 능동 연동식 장치를 갖는 변속기의 변속 과정 제어 방법
JP6340658B2 (ja) 異常診断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シフトバイワイヤ装置
KR20160078278A (ko) 트랙터용 변속 액추에이터
KR20150018188A (ko) 차량의 변속레버 작동장치
US77980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ifting gear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CN103597329B (zh) 变速器测试系统
KR101745170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액츄에이터 기준위치 설정방법
KR20130116757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 방법
KR101897296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액츄에이터 기준위치 설정방법
JP2019056265A (ja) 機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パレットずれ補正方法
JP2020190298A (ja) シフトレンジ制御装置
KR20140046790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액츄에이터 기준위치 설정방법
KR101833629B1 (ko) Dct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9112212A (ja) フォークリフト
JP4577243B2 (ja) 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JP5375807B2 (ja) 自動変速機のレンジ位置検出装置
KR102542935B1 (ko) 차량의 can통신 고장 시 변속제어방법
JP5625983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5964625B2 (ja) シフト制御装置
KR20130084575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KR102557559B1 (ko) 변속기 싱크로나이저 구동기의 자동 보정 방법
JP7002983B2 (ja) レンジ判定装置
JP7072425B2 (ja) レンジ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