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298B1 -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298B1
KR101713298B1 KR1020160118393A KR20160118393A KR101713298B1 KR 101713298 B1 KR101713298 B1 KR 101713298B1 KR 1020160118393 A KR1020160118393 A KR 1020160118393A KR 20160118393 A KR20160118393 A KR 20160118393A KR 101713298 B1 KR101713298 B1 KR 10171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ound
block
excavator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상열
박병희
송유주
Original Assignee
(주)한국이엔지
허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이엔지, 허상열 filed Critical (주)한국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18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흡음블럭 시공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를 주행하면서 흠음블럭을 파지, 해제 및 운송이 용이하도록 하여 철도 도상에 흡음블럭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는 휠 방식의 굴삭기의 차체 전후방에 선로 주행을 위한 주행유닛이 형성된 선로주행장치; 선로주행장치의 붐 선단부에 결합하여 연동되며 흡음블럭을 파지 및 해제하며 운송하면서 철도 도상에 흡음블럭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픽업지그;가 포함되며, 상기 주행유닛은 굴삭기의 바퀴를 선로상에 고정되도록 이탈을 방지하며 주행을 가이드하도록 굴삭기 차체 전후방으로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전방에 선로 주행을 위한 레일휠이 설치브라켓과 연결되는 수평링크 또는 레일블럭에 축설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Construction device of sound absorption block for train ballas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흡음블럭 시공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도시화 및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철도가 지속적으로 신설 또는 증설되고 있다. 또한 유동인구와 물류량이 급증하고 열차운행 횟수의 증가, 열차의 고속화 및 중량화로 인해 자갈도상에서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한 콘크리트도상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콘크리트 도상은 안락한 승차감, 레일의 선형유지 향상, 유지보수비 절감, 레일좌굴에 대한 저항력 향상, 급곡선부에서도 레일의 장대화가 가능함 등 다수의 장점으로 인하여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나, 자갈도상에 비해 초기 시공비용이 높고 지반 진동 및 소음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며, 특히 소음으로 인한 승객들의 불쾌감으로 인하여 민원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고속철도 승객의 안락한 환경을 위한 소음저감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대책으로 콘크리트 도상에 다공성의 흡음 블록을 설치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흡음블록의 경우 자체 중량이 커서 흡음블록의 운반, 인양 등이 불편하고, 흡음블럭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장치의 부재로 수작업에만 의존함에 따른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열차 운행시에 발생되는 도상의 진동에 의해 흡음블록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 발생시 신속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수작업 외에는 마땅한 보수장치가 없는 작업환경 여건에 따라 인력 소모가 많고 그에 따른 시공 또는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유지보수의 대응시간이 늦어짐에 따른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철도 도상에 흡음블록의 시공을 위한 시공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6-0103492 A (2006. 10. 02) KR 10-1295751 B1 (2013. 05. 13)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철도 선로를 주행하면서 흠음블럭을 파지 및 해제에 따른 운송이 용이하도록 하여 철도 도상에 흡음블럭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는 휠 방식의 굴삭기의 차체 전후방에 선로 주행을 위한 주행유닛이 형성된 선로주행장치; 선로주행장치의 붐 선단부에 결합하여 연동되며 흡음블럭을 파지 및 해제하며 운송하면서 철도 도상에 흡음블럭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픽업지그;가 포함되며, 상기 주행유닛은 굴삭기의 바퀴를 선로상에 고정되도록 이탈을 방지하며 주행을 가이드하도록 굴삭기 차체 전후방으로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전방에 선로 주행을 위한 레일휠이 설치브라켓과 연결되는 수평링크 또는 레일블럭에 축설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하단부 또는 레일블럭에는 선로적재운반차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링크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지그는 중앙 힌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의 양 측면에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작동하며 흡음블럭을 파지토록 하는 한 쌍의 파지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수단의 상부에 굴삭기의 붐의 선단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봉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수단은 힌지축에 결합되며 하부에 파지부가 일체 형성되어 힌지 작동에 의해 양측 간격이 조절되도록 제1회동링크 및 제2회동링크가‘X’형태로 상호 교차하도록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링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링크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부는 제1회동링크 및 제2회동링크의 상부와 힌지 연결되고, 상부는 체결봉의 하부에 힌지고리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제1상부링크 및 제2상부링크로 이루어진 상부링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링크부의 인접되는 간격을 제한하면서 흡음블럭을 가압과 동시에 회동링크부의 간격을 이격시키도록 하는 간격유지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링크부 및 상부링크부의 힌지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락킹부가 포함되며, 상기 파지부는 제1회동링크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파지부와, 제2회동링크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파지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는 회동링크부의 하부에 수직 판상의 파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대의 하단에 받침구가 수평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돌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지지부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제1회동링크와, 제2회동링크의 하부측에 하부슬라이더가 수평선상이 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하부슬라이더에 슬라이드바가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바의 중앙에서 수직지지대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대는 제1회동링크와 제2회동링크가 인접되는 간격을 제한토록 소정 너비를 갖는 판상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에 안착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제1회동링크와 제2회동링크의 상부측에 상부슬라이더가 수평 선상이 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부슬라이더에 회동슬라이더바가 삽입되며, 상기 회동슬라이더바의 양측으로 걸이바와 수동작동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동슬라이더바의 상하방향으로 회동에 따라 걸이바로 제1상부링크 및 제2상부링크에 걸림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유압실린더의 상단이 힌지 고정되고, 회동슬라이더바의 중앙에 자동작동편이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자동작동편과 힌지 결합하여 피스톤로드에 의해 회동슬라이더바가 회동되면서 걸이바를 제1상부링크 및 제2상부링크에 자동 걸림 및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파지대의 수직방향을 따라 유압실린더가 더 구비되되,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는 파지대의 상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받침구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브라켓에 힌지 연결하여 받침구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수평방향으로 접어지게 자동 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에 따르면, 선로주행장치의 붐 선단부에 흡음블럭을 파지하기 위한 픽업지그를 결합한 후, 선로주행장치를 선로상에 위치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준비단계; 선로주행장치의 전후방에 흡음블럭이 적재된 선로적재운반차가 구비되고, 흡음블럭을 부설할 위치까지 운송하여 부설할 위치 주변에 흡음블럭을 적치해 놓게되는 운송단계; 선로주행장치가 선로와 주변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픽업지그로 흡음블럭을 단위별로 파지한 상태로 이송하면서 부설 위치에 순차적으로 부설하는 부설단계;로 흡음블럭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선로를 자유롭게 운행하며 흡음블럭을 파지 및 해제하면서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흡음블럭의 부설 시공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유지보수 발생시에 대응시간이 단축되어 철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인력 소모를 줄이면서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부설 시공이 신속함에 이루어짐에 따라 흡음블럭 시공의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혀 부가가치가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의 구성중 선로주행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의 구성중 픽업지그(2)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픽업지그(2)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픽업지그(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픽업지그(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픽업지그(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픽업지그(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B) 시공장치는 선로주행장치(1), 픽업지그(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B) 시공장치는 철도 선로를 따라 주행하면서 흡음블럭(B)을 파지 및 해제하면서 운송이 용이하여 철도 도상에 흡읍블럭(B)을 신속하고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선로주행장치(1)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10)를 선로 주행이 가능토록 개선한 것으로, 굴삭기(10) 의 차체 하부 전후방에 주행유닛(20)이 설치된다.
여기서 굴삭기(10)는 바퀴로 구동하는 휠방식의 굴삭기(10)를 개조하게 되며, 궤도방식의 경우 주행시 주행속도가 느리고 선로를 손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주행유닛(20)은 굴삭기(10)의 바퀴를 선로상에 고정된 상태로 이탈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해 설치되며,
이를 위해 굴삭기(10)의 전후방부에 주행유닛(20)을 승강하는 구조로 설치하여 선로주행시만 주행유닛(20)이 하강되어 선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전후방부에 설치되는 주행유닛(20)의 구조는 동일하거나 굴삭기(10)의 크기에 따라 선로주행의 안전성을 위해 전후방부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주행유닛(20)은 굴삭기(10) 차체 하부에 수직 판상의 지지판(21)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21)의 전방으로 상하부에 힌지홀(22)을 갖는 다수의 설치브라켓(23)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브라켓(23)의 하부 힌지홀(22)에 수평링크(24)의 후단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수평링크(24)의 전단에 선로주행을 위한 레일휠(25)이 축 설치되며, 상기 레일휠(25)이 승강되도록 설치브라켓(23)의 상부 힌지홀(22)에 상단이 힌지 고정되고, 피스톤로드(26a)의 선단이 수평링크(24)의 중도에 형성된 힌지홀(22)에 핀축 연결되는 유압실린더(26)를 포함한다.
한편, 굴삭기(10)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주행유닛(20)은 도 2b에 보인바와 같이, 지지판(21)의 전방부에 승강작동하도록 양측에 레일휠(25)이 축설되는 레일블럭(27)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판(21)과 전방부와 레일블럭(27)의 상부를 하나의 유압실린더(26)와 다수의 보조링크(28)를 힌지 결합하도록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1)의 하단부 또는 레일블럭(27)에는 선로적재운반차(3)가 연결되는 연결링크부(29)가 더 구비된다.
픽업지그(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힌지축(31)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31)의 양 측면에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작동하며 흡음블럭(B)을 파지토록 하는 한 쌍의 파지수단(30,30')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수단(30,30')의 상부에 굴삭기(10)의 붐의 선단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봉(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수단(30,30')은 다수의 링크가 상호 대향하도록 힌지 연결되어 양측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파지수단(30,30')은 힌지축(31)에 힌지 결합되며 하부에 파지부(41)가 일체 형성되어 힌지 작동에 의해 양측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회동링크부(42)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링크부(42)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동링크부(42)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상부링크부(43)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링크부(42)의 인접되는 간격을 제한하면서 흡음블럭(B)을 가압과 동시에 회동링크부(42)의 간격을 이격시키도록 하는 간격유지지지부(44)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링크부(42) 및 상부링크부(43)의 힌지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락킹부(45)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링크부(42)는 제1회동링크(42a) 및 제2회동링크(42b)가‘X’형태로 상호 교차하도록 힌지축(31)에 힌지 결합되며, 제1회동링크(42a) 및 제2회동링크(42b)의 하부에 일체 형성되는 파지부(41)는 제1회동링크(42a)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파지부(41a)와 제2회동링크(42b)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파지부(41b)가 서로 대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파지부(41a) 및 제2파지부(41b)는 회동링크부(42)의 하부에 수직 판상의 파지대(51)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대(51)의 하단에 받침구(52)가 수평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부링크부(43)는 상부가 힌지고리(33)에 힌지 결합된 제1상부링크(43a) 및 제2상부링크(43b)가 구비되고, 제1상부링크(43a)의 하부는 제1회동링크(42a)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며, 제2상부링크(43b)의 하부는 제2회동링크(42b)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어 제1회동링크(42a) 및 제2회동링크(42b)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게 되며, 상기 힌지고리(33)는 체결봉(32)의 하단에 일체 결합된다.
상기 간격유지지지부(44)는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의 하부측에 하부슬라이더(61)가 수평선상이 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하부슬라이더(61)에 슬라이드바(62)가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바(62)의 중앙에서 수직지지대(63)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63)는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가 인접되는 간격을 제한토록 소정 너비를 갖는 판상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63)의 하부에 안착판(6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간격유지지지부(44)는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에 설치된 하부슬라이더(61)가 슬라이드바(62)를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의 회동 작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수직지지대(63)가 흡음블럭(B)에 안착되어 가압시에 발생되는 힘이 작용되면 자연스럽게 하부슬라이더(61)가 슬라이드바(62)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회동링크(42a) 및 제2회동링크(42b)가 회동에 의해 제1파지부(41a)와 제2파지부(41b)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하부슬라이더(61)가 슬라이드바(62)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 수직지지대(63)의 너비만큼 하부슬라이더의 이동이 제한되어 제1파지부(41a)와 제2파지부(41b)의 인접되는 간격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락킹부(45)는 제1회동링크(42a)와 제1상부링크(43a) 및 제2회동링크(42b)와 제2상부링크(43b)의 힌지 작동이 제한되도록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의 상부측에 상부슬라이더(71)가 수평 선상이 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부슬라이더(71)에 회동슬라이더바(72)가 삽입되며, 상기 회동슬라이더바(72)의 양측으로 걸이바(73)와 수동작동편(74)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락킹부(45)는 상부슬라이더(71)가 하부슬라이더(61)와 마찬가지로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의 회동작용을 지지하는 가운데 수동작동편(74)에 의해 회동슬라이더바(7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제1상부링크(43a) 및 제2상부링크(43b)의 상단에 걸이바(73)가 걸림되게 하면,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가 하향 회동하는 힌지작용을 제한하여 제1파지부(41a)와 제2파지부(41b)의 사이 간격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락킹부(45)는 수동식이며, 이를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식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동슬라이더바(72)를 유압실린더(75)에 의해 회동시키도록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압실린더(75)의 상단이 힌지축(31)으로 힌지 고정되고, 회동슬라이더바(72)의 중앙에 자동작동편(76)이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75)의 피스톤로드(75a)의 선단이 자동작동편(76)과 힌지 결합하여 피스톤로드(75a)가 신축되면 자동작동편(76)이 내측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회동슬라이더바(72)가 상향 회동되어 제1상부링크(43a) 및 제2상부링크(43b)의 상단에 걸이바(73)가 자동 걸림되게 되고, 반대로 피스톤로드(75a)가 신장되면 자동작동편(76)이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면서 회동슬라이더바(72)가 하향 회동되어 제1상부링크(43a) 및 제2상부링크(43b)로부터 걸이바(73)가 자동 걸림해제되게 된다.
상기 힌지축(31)으로 수평 설치되는 유압실린더(75)는 양측 파지수단(30,30')의 락킹부(45)를 작동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픽업지그(2)는 도 4에 보인바와 같이, 힌지축(31)의 양측에 설치되는 파지수단(30,30')을 구성하는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 및 제1상부링크(43a)와 제2상부링크(43b)의 힌지 작동이 ‘X’형태로 이루지면서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의 하부에 형성된 제1파지부(41a) 및 제2파지부(41b)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어 흡음블럭(B)을 파지하거나 해지가 용이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굴삭기(10)의 붐 선단부에 연결하여 연동하게 되면 흡음블럭(B)을 신속하게 파지, 운송, 해제를 반복하면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픽업지그의 제1파지부(41a) 및 제2파지부(41b)는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흡음블럭(B)의 파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파지대(51)에서 받침구(52)가 일정 각도로 자동 회동하도록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지대(51)의 수직방향을 따라 유압실린더(53)를 설치하되, 유압실린더(53)의 상부는 파지대(51)의 상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유압실린더(53)의 피스톤로드(53a)의 선단이 받침구(52)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브라켓(54)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피스톤로드(53a)의 수축 및 신장 작용에 따라 받침구(52)가 일정 각도만큼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수평방향으로 접어지도록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53)의 피스톤로드(53a)가 수축되면 받침구(52)가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게 되고, 반대로 피스톤로드(53a)가 신장되면 받침구(52)가 수평방향으로 접혀진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받침구(52)의 자동 회동되는 구조는 도 7에 도시한바와 같이, 흡음블럭(B)을 파지시 받침구(52)가 수직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른 제1파지부(41a) 및 제2파지부(41b)의 벌어진 간격을 더 확보하게 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흡음블럭(B)을 파지하기 위해 하향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53a)를 점차적으로 신장시키게 되면 흡음블럭(B)의 양측면으로 받침대가 밀착되면서 사선구조로 흡음블럭(B)의 하부 모서리를 파고들면서 받침구(52) 상단에 흡음블럭(B)이 안착되도록 파지가 용이하게 되며, 반대로 파지된 흡음블럭(B)을 부설 위치에 파지해제하여 놓을시에 간단히 받침구(52)를 수직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회동시킴으로서 파지해제하게 되어 흡음블럭(B)의 부설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킹부(45)를 제외하고 유압실리더(34)에 의해 파지수단(30,30')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봉(32)에 유압실린더(34)의 상단을 힌지 고정시키고, 유압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4a)의 선단부를 힌지축(31)에 힌지 결합하여 파지수단(30,30')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구성되는 유압실린더들의 작용을 위한 유압라인의 연결은 굴착기(10)의 유압라인에 연결하여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유압을 관련한 기술은 통상적인 기술임에 따라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의 작용에 대해 시공방법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단계를 도시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1) 준비단계(S00)
본 발명에 따른 휠 방식의 굴삭기를 개조하여 구성된 선로주행장치(1)를 선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선로상에 위치시키며, 상기 선로주행장치(1)의 붐 선단부에 흡음블럭(B)을 파지하기 위한 픽업지그(2)를 결합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선로주행장치(1)의 바퀴가 선로를 주행하도록 선로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한 후, 주행유닛(20)의 레일휠(25)이 선로에 밀착되도록 수평링크(24) 또는 레일블럭(27)을 하강시켜 바퀴가 선로 상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휠 방식의 굴삭기(10)를 개조한 선로주행장치(1)는 전후방에 설치된 주행유닛(20)에 의해 선로상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선로주행장치(1)에 픽업지그(2)의 결합은 통상적으로 붐(11)의 선단부에 체결된 퀵 커플러(12)에 의해 픽업지그(2)의 체결봉(32)을 결합함으로써,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2) 운송단계(S200)
흡음블럭(B)이 적재된 선로적재운반차(3)가 구비되고, 상기 선로적재운반차(3)를 주행유닛(20)이 하강된 상태에서 선로주행장치(1)의 전후방에 연결하여 부설 위치까지 주행 및 운송하게 되며, 흡음블럭(B)을 부설할 위치까지 운송하여 부설할 위치 주변에 흡음블럭(B)을 적치해 놓게 된다.
3) 부설단계(S300)
철도 도상에 흡음블럭(B)을 부설하기 위해 선로주행장치(1)가 선로와 주변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픽업지그(2)로 흡음블럭(B)을 단위별로 파지한 상태로 이송하면서 부설 위치에 순차적으로 부설하게 된다.
이때 픽업지그의(2) 작용은 흡음블럭(B)을 파지시에 흡음블럭(B)의 상부에서 제1파지부(41a)와 제2파지부(41b)가 일정 간격 이격된 채로 하강되어 받침구(52) 상단으로 흡음블럭(B)이 안착되도록 파지하게 되며, 파지된 상태를 견고히 하기 위해 회동링크부(42)와 상부링크부(43)의 힌지 작동을 제한하도록 락킹부(45)의 걸이바(73)를 제1상부링크(43a) 및 제2상부링크(43b)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잠금한 상태로 부설 위치에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픽업지그(2)에 파지된 흡음블럭(B)이 부설위치에 이송되면, 파지시의 역순으로 락킹부(45)를 해제한 후, 제1파지부(41a)와 제2파지부(41b)의 사이가 흡음블럭(B)의 너비보다 더 이격되도록 하여 부설위치에서 흡음블럭(B)을 파지해제하여 부설토록 하거나, 파지부(41)의 받침구(52)가 유압실린더(53)에 의해 자동 회동되는 구조에 따라 받침구(52)를 수직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회동시켜 흡음블럭(B)을 파지해제토록 하여 부설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의해 흡음블럭(B)의 부설시공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B:흡음블럭
1:선로주행장치
10:굴삭기 11:붐 12:퀵 커플러
20:주행유닛
21:지지판 22:힌지홀 23:설치브라켓 24:수평링크
25:레일휠 26,26':유압실린더 26a:피스톤로드
27:레일블럭 28:보조링크 29:연결링크부
2:픽업지그
30,30':파지수단 31:힌지축 32:체결봉 33:힌지고리
34:유압실린더 34a:피스톤로드
41:파지부 41a:제1파지부 41b:제2파지부
51:파지대 52:받침구 53:유압실린더 53a:피스톤로드
54:힌지브라켓
42:회동링크부 42a:제1회동링크 42b:제2회동링크
43:상부링크부 43a:제1상부링크 43b:제2상부링크
44:간격유지지지부
61:하부슬라이더 62:슬라이드바 63:수직지지대 64:안착판
45:락킹부
71:상부슬라이더 72:회동슬라이더바 73:걸이바 74:수동작동편
75:유압실린더 75a:피스톤로드 76:자동작동편
3:선로적재운반차

Claims (8)

  1. 휠 방식의 굴삭기(3)의 차체 전후방에 선로 주행을 위해 굴삭기(10)의 바퀴를 선로상에 고정되도록 이탈을 방지하며 주행을 가이드하도록 굴삭기(10) 차체 전후방으로 지지판(21)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21)의 전방에 선로 주행을 위한 레일휠(25)이 설치브라켓(23)과 연결되는 수평링크(24) 또는 레일블럭(27)에 축설되어 유압실린더(26)에 의해 승강하는 주행유닛(20)이 형성된 선로주행장치(1);
    상기 선로주행장치(1)의 붐 선단부에 결합하여 연동되며 흡음블럭(B)을 파지 및 해제하며 운송하면서 철도 도상에 흡음블럭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픽업지그(2);를 포함하되,
    상기 픽업지그(2)는 중앙 힌지축(31)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31)의 양 측면에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작동하며 흡음블럭(B)을 파지토록 하는 한 쌍의 파지수단(30,30')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수단(30,30')의 상부에 굴삭기(10)의 붐의 선단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봉(32)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수단(30,30')은 힌지축(31)에 결합되며 하부에 파지부(41)가 일체 형성되어 힌지 작동에 의해 양측 간격이 조절되도록 제1회동링크(42a) 및 제2회동링크(42b)가‘X’형태로 상호 교차하도록 힌지축(31)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링크부(42)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링크부(42)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부는 제1회동링크(42a) 및 제2회동링크(42b)의 상부와 힌지 연결되고, 상부는 체결봉(32)의 하부에 힌지고리(33)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제1상부링크(43a) 및 제2상부링크(43b)로 이루어진 상부링크부(43)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링크부(42)의 인접되는 간격을 제한하면서 흡음블럭(B)을 가압과 동시에 회동링크부(42)의 간격을 이격시키도록 하는 간격유지지지부(44)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링크부(42) 및 상부링크부(43)의 힌지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락킹부(45)가 포함되며,
    상기 파지부(41)는 제1회동링크(42a)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파지부(41a)와, 제2회동링크(42b)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파지부(41b)가 서로 대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파지부(41a) 및 제2파지부(41b)는 회동링크부(42)의 하부에 수직 판상의 파지대(51)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대(51)의 하단에 받침구(52)가 수평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돌출 구성되며,
    상기 간격유지지지부(44)는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의 하부측에 하부슬라이더(61)가 수평선상이 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하부슬라이더(61)에 슬라이드바(62)가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바(62)의 중앙에서 수직지지대(63)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대(63)는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가 인접되는 간격을 제한토록 소정 너비를 갖는 판상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63)의 하부에 안착판(64)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1)의 하단부 또는 레일블럭(27)에는 선로적재운반차(3)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링크부(29)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45)는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제1회동링크(42a)와 제2회동링크(42b)의 상부측에 상부슬라이더(71)가 수평 선상이 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부슬라이더(71)에 회동슬라이더바(72)가 삽입되며, 상기 회동슬라이더바(72)의 양측으로 걸이바(73)와 수동작동편(7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동슬라이더바(72)의 상하방향으로 회동에 따라 걸이바(73)로 제1상부링크(43a) 및 제2상부링크(43b)에 걸림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45)는 힌지축(31)의 길이방향으로 유압실린더(75)의 상단이 힌지 고정되고,
    회동슬라이더바(72)의 중앙에 자동작동편(76)이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75)의 피스톤로드(75a)의 선단이 자동작동편(76)과 힌지 결합하여 피스톤로드(75a)에 의해 회동슬라이더바(72)가 회동되면서 걸이바(73)를 제1상부링크(43a) 및 제2상부링크(43b)에 자동 걸림 및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41)는 파지대(51)의 수직방향을 따라 유압실린더(53)가 더 구비되되,
    상기 유압실린더(53)의 상부는 파지대(51)의 상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53)의 피스톤로드(53a)의 선단이 받침구(52)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브라켓(54)에 힌지 연결하여 받침구(52)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수평방향으로 접어지게 자동 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8. 삭제
KR1020160118393A 2016-09-13 2016-09-13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KR10171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393A KR101713298B1 (ko) 2016-09-13 2016-09-13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393A KR101713298B1 (ko) 2016-09-13 2016-09-13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298B1 true KR101713298B1 (ko) 2017-03-15

Family

ID=5840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393A KR101713298B1 (ko) 2016-09-13 2016-09-13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2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3929A (zh) * 2017-08-24 2019-03-05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式安装拆卸工具及具有其的安装拆卸方法
KR102037443B1 (ko) * 2018-11-21 2019-10-28 (주)케미우스코리아 포크레인 장착형 천공장비를 이용한 철도 성토 노반 보강방법
KR20210070447A (ko) * 2019-12-04 2021-06-15 주식회사 청학 경계석 파지 기구
CN114263074A (zh) * 2022-01-24 2022-04-01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浮轨扣件快速安装用的便携式工具及方法
KR102548619B1 (ko) * 2022-10-19 2023-06-28 대동이앤티(주)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후방 선로주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503A (ja) * 1996-04-10 1997-10-28 West Japan Railway Co レール交換機用把持装置を備えたレール交換機運搬車両
JP2002173288A (ja) * 2000-12-11 2002-06-21 Kobe Steel Ltd I型材用の吊具
KR20060103492A (ko) 2006-09-12 2006-10-02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철도용 다공성 콘크리트 흡음블록
KR101295751B1 (ko) 2012-10-09 2013-08-13 주식회사지이티-피씨 초고속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503A (ja) * 1996-04-10 1997-10-28 West Japan Railway Co レール交換機用把持装置を備えたレール交換機運搬車両
JP2002173288A (ja) * 2000-12-11 2002-06-21 Kobe Steel Ltd I型材用の吊具
KR20060103492A (ko) 2006-09-12 2006-10-02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철도용 다공성 콘크리트 흡음블록
KR101295751B1 (ko) 2012-10-09 2013-08-13 주식회사지이티-피씨 초고속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3929A (zh) * 2017-08-24 2019-03-05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式安装拆卸工具及具有其的安装拆卸方法
CN109423929B (zh) * 2017-08-24 2024-02-09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式安装拆卸工具及具有其的安装拆卸方法
KR102037443B1 (ko) * 2018-11-21 2019-10-28 (주)케미우스코리아 포크레인 장착형 천공장비를 이용한 철도 성토 노반 보강방법
KR20210070447A (ko) * 2019-12-04 2021-06-15 주식회사 청학 경계석 파지 기구
KR102362928B1 (ko) * 2019-12-04 2022-02-17 주식회사 청학 경계석 파지 기구
CN114263074A (zh) * 2022-01-24 2022-04-01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浮轨扣件快速安装用的便携式工具及方法
KR102548619B1 (ko) * 2022-10-19 2023-06-28 대동이앤티(주)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후방 선로주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298B1 (ko)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CN103832310B (zh) 车轮支撑悬置组件
US8636460B1 (en) Gondola carriage assembly
US7543347B2 (en) Mobile bridge system
KR20130046391A (ko) 평대형 견인 트럭 피봇식 플랫폼 조립체 및 이용 방법
US20110150613A1 (en) Integrated Boom/Underlift Assembly and Support Device
EA008547B1 (ru)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трелок
US4784063A (en) Mobile apparatus for loading, transporting and laying an assembled track section
US20130118374A1 (en) Ballast load device and method
JP5251183B2 (ja) 山越器とそれを用いた長尺重量物の移送方法
CN112252099A (zh) 一种用于铁路道岔铺换的作业车及其作业方法
CN218988728U (zh) 一种隧道维护作业车组
CN208235240U (zh) 长钢轨铺设牵引装置
JPH0616388A (ja) クローラクレーンのクローラ取外し方法及びクローラ取付け方法
CN213925880U (zh) 一种钢箱叠合梁桥梁节段及桥面板架设装置
US6543749B1 (en) Rollback wrecker vehicle positioning device
JP2002003166A (ja) 道路通行可能なロコモチブクレーン
JP2004115174A (ja) 部材架設用移動台車及びこれを用いた橋梁部材架設方法
JP4401919B2 (ja) 仮設道路
US4571825A (en) Railroad track removing apparatus
WO2009127002A1 (en) A reversibly attachable fall restraint apparatus
RU166662U1 (ru) Тележ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виброплит
US88070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a railway track
CN2827971Y (zh) 长钢轨平车联挂运输筑路施工现场卸车装置
JP7454860B2 (ja) レールクランプ式クレ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