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928B1 - 경계석 파지 기구 - Google Patents

경계석 파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928B1
KR102362928B1 KR1020190159907A KR20190159907A KR102362928B1 KR 102362928 B1 KR102362928 B1 KR 102362928B1 KR 1020190159907 A KR1020190159907 A KR 1020190159907A KR 20190159907 A KR20190159907 A KR 20190159907A KR 102362928 B1 KR102362928 B1 KR 102362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fixtures
central frame
central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447A (ko
Inventor
조종호
조인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학
조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학, 조종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학
Priority to KR1020190159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9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 파지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는 경계석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경계석의 상방에 배치되는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 하부에 상기 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계석의 일측면을 압착하는 제 1 고무대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고정대; 상기 중앙 프레임 하부에 상기 경계석의 타측면을 압착하는 제 2 고무대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고정대와 함께 중앙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 2 고정대; 상기 제 1 고정대 및 상기 제 2 고정대와 상기 중앙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을 상방으로 상승시키면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고정대 및 상기 제 2 고정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중앙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고무대와 상기 제 2 고무대가 상기 경계석을 양단에서 가압하여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경계석 파지 기구 {HOLDING APPARATUS FOR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경계석 파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경계석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구조의 경계석 파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도로나 그 외 경계를 나타내기 위한 지점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거나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계석은 설치 후 움직이지 않도록 콘크리트 위에 시공하게 된다.
종래의 경계석 시공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경계석(A)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시공된다. 이를 위하여 지반(G)을 다진 후, 상기 경계석(A)이 설치될 지반(G) 위에 골재(1)를 포설하고 다짐을 한다. 상기 골재면(1) 위에 설치용 콘크리트(2)를 타설하고 이 설치용 콘크리트(2)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경계석(A)을 상기 설치용 콘크리트(2) 위에 올려놓게 된다. 이는 상기 경계석(A)의 높이나 수평도 등의 위치 조정을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됨은 물론 상기 설치용 콘크리트(2)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으면서도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있을 때만 한시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작업을 진행하기가 어려워 공기가 길어지고 일정한 시공품질을 유지하기가 곤란하다.
이후, 상기 설치용 콘크리트(2)가 완전히 경화된 상태에서, 상기 경계석(A)의 양측에 각각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경계석(A)의 하단 일부가 묻히도록 측구용 콘크리트(3) 및 뒷채움용 콘크리트(4)를 각각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구용 콘크리트(3)는 상기 경계석(A)과 포장도로(5) 사이에 시공되는 것으로, 도로의 물빠짐을 위하여 상기 포장도로(5)로부터 경계석(A)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뒷채움용 콘크리트(4)는 상기 경계석(A)과 보도 사이에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 경계석(A)의 하단으로부터 높이 및 폭이 각각 5㎝ 이상이 되도록 시공된다.
이러한 경계석은 도로부와 경계지점에 시공하는 막대 형상의 블록으로서, 그 시공은 수작업에 의하여 경계석을 시공부위로 이동하여 시공한다. 수작업에 의한 경계석의 이동은 보통 2인 1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낮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시공비용이 절감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중장비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옮겨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중장비를 이용한 경계석의 시공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 개의 경계석만 이동시킬 수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경계석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하기 위한 경계석 파지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경계석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경계석의 상방에 배치되는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 하부에 상기 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계석의 일측면을 압착하는 제 1 고무대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고정대; 상기 중앙 프레임 하부에 상기 경계석의 타측면을 압착하는 제 2 고무대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고정대와 함께 중앙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 2 고정대; 상기 제 1 고정대 및 상기 제 2 고정대와 상기 중앙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을 상방으로 상승시키면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고정대 및 상기 제 2 고정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중앙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고무대와 상기 제 2 고무대가 상기 경계석을 양단에서 가압하여 상승시킨다.
상기 중앙 프레임은 중공 프레임 형상이다.
상기 중앙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제 1 고정대 및 제 2 고정대가 이격되어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 측에 상기 복수개의 제 1 고정대 및 제 2 고정대를 각각 고정하는 후크부가 이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계석 파지 기구는 복수개의 상기 제 1 고정대 및 제 2 고정대를 힌지 결합하는 중앙 힌지부들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부 연결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대와 상기 제 2 고정대는 상호 대칭 형상이다.
상기 제 1 고정대와 상기 제 2 고정대에는 상기 제 1 고정대와 상기 제 2 고정대 상호간에 회전을 방지하는 걸쇠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는 철로 이루어진 사슬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중장비를 이용하므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셋째, 복수개의 경계석을 동시에 운반하므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다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다른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다른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는 경계석(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경계석(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중앙 프레임(110), 상기 중앙 프레임(110) 하부에 상기 경계석(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계석(10)의 일측면을 압착하는 제 1 고무대(123)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고정대(121), 상기 중앙 프레임(110) 하부에 상기 경계석(10)의 타측면을 압착하는 제 2 고무대(124)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고정대(121)와 함께 중앙 힌지부(125)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 2 고정대(122), 상기 제 1 고정대(121) 및 상기 제 2 고정대(122)와 상기 중앙 프레임(110)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 프레임(110)을 상방으로 상승시키면 상기 연결구(13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고정대(121) 및 상기 제 2 고정대(122)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중앙 힌지부(125)를 중심으로 상호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고무대(123)와 상기 제 2 고무대(124)가 상기 경계석(10)을 양단에서 가압하여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앙 프레임(110)은 중공 프레임 형상으로 중장비에 봉 형상의 구조물을 상기 중앙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하여 경계석(1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중앙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제 1 고정대(121) 및 제 2 고정대(122)가 이격되어 있되, 상기 제 1 고정대(121) 및 제 2 고정대(122)는 복수개가 상기 중앙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경계석 파지 기구는 복수개의 제 1 고정대(121) 및 제 2 고정대(122)를 힌지 결합하는 중앙 힌지부들(125)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부 연결축(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중앙 힌지부 연결축(140)은 봉 형상의 축으로서 상기 중앙 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복수개의 중앙 힌지부(125)를 직렬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중앙 프레임(110)에는 복수개의 제 1 고정대(121) 및 제 2 고정대(122)를 각각 고정하는 후크부(126)가 이격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고정대(121)와 상기 제 2 고정대(122)는 폭보다 길이가 길며, 측면을 기준으로 일단부가 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형상으로 상호 대칭 형상이다. 상기 제 1 고정대(121)와 상기 제 2 고정대(122)는 상호 대면하고 있으며 중앙 힌지부(12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제 1 고정대(121)와 상기 제 2 고정대(122)에는 상기 제 1 고정대(121)와 상기 제 2 고정대(122) 상호간에 회전을 방지하는 걸쇠(127, 128)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쇠(127, 128)는 볼트로서 제 1 고정대(121)와 제 2 고정대(122)를 결합 고정하며 볼트를 예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다른 모식도이다.
도 5를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중앙 프레임(110)이 복수개의 경계석(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 프레임(110)에는 경계석(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경계석(10)의 양단부를 각각 압착하도록 제 1 고무대(123)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고정대(121) 및 제 2 고무대(124)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제 2 고정대(1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 고정대(121)와 상기 제 2 고정대(122)는 복수개가 상기 중앙 프레임(110)에 사슬 구조의 연결구(130)에 의해 각각 이격되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중앙 힌지부 연결축(140)은 상기 중앙 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 1 고정대(121) 및 제 2 고정대(122)를 힌지 결합하는 중앙 힌지부(125)를 직렬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고정대(121)와 제 2 고정대(122)를 구비하게 되면 제 1 고정대(121)와 제 2 고정대(122)의 개수에 대응하는 경계석(10)을 동시에 파지하여 운반시킬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복수개의 경계석(10)을 이격 배치하고 경계석 파지 기구를 상기 경계석(10) 상부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의 중앙 프레임(110)은 중공 프레임 구조로서 중장비, 예를 들어 지게차의 포크(Fork)를 상기 중앙 프레임(110)에 삽입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 프레임(110)에는 상기 중앙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고정대(121)와 상기 제 1 고정대(121)와 함께 중앙 힌지부(125)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 2 고정대(122)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파지부가 사슬로 이루어진 연결구(13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 고정대(121)와 제 2 고정대(122)를 경계석(10) 위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중앙 프레임(11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연결구(13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고정대(121)와 제 2 고정대(122)가 중앙 힌지부(1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경계석(10)을 양단에서 압착하여 경계석(10) 운반을 가능하게 한다.
경계석(10)이 비어있는 위치의 제 1 고정대(121)와 제 2 고정대(122)는 상호간에 회전을 방지하는 걸쇠(127, 128)로 고정되어 있어 경계석(10) 운반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즉, 제 1 고정대(121) 및 제 2 고정대(122)는 상기 중앙 프레임(110)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경계석(10)을 파지하지 않는 제 1 고정대(121) 및 제 2 고정대(122)는 걸쇠(127, 128)로 고정되고, 중앙 힌지부 연결축(140)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되어 경계석(10)을 파지하는 다른 제 1 고정대(121) 및 제 2 고정대(122)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파지 기구는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중장비를 이용하므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의 경계석을 동시에 운반하므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경계석
110: 중앙 프레임
121: 제 1 고정대
122: 제 2 고정대
123: 제 1 고무대
124: 제 2 고무대
125: 중앙 힌지부
126: 후크부
127, 128: 걸쇠
130: 연결구
140: 중앙 힌지부 연결축

Claims (8)

  1. 경계석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경계석의 상방에 배치되는 중공 프레임 형상의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 하부에 상기 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계석의 일측면을 압착하는 제 1 고무대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 1 고정대;
    상기 중앙 프레임 하부에 상기 경계석의 타측면을 압착하는 제 2 고무대가 일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고정대와 함께 중앙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 2 고정대;
    상기 제 1 고정대 및 상기 제 2 고정대와 상기 중앙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들; 및
    복수개의 상기 제 1 고정대 및 제 2 고정대를 힌지 결합하는 중앙 힌지부들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부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대면하는 복수개의 제 1 고정대 및 제 2 고정대가 이격되어 있고, 서로 쌍을 이루는 하나의 제1 고정대와 하나의 제2 고정대가 하나의 경계석을 파지함으로써 복수개의 제1 고정대와 복수개의 제2 고정대로 복수개의 경계석을 동시에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으며,
    경계석이 비어 있는 위치의 제 1 고정대와 제 2 고정대가 경계석의 운반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고정대와 상기 제 2 고정대 상호간에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걸쇠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 프레임을 상방으로 상승시키면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고정대 및 상기 제 2 고정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중앙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고무대와 상기 제 2 고무대가 상기 경계석을 양단에서 가압하여 상승시키고, 복수개의 제 1 고정대 및 제 2 고정대 중 경계석을 파지하지 않는 제 1 고정대 및 제 2 고정대는 걸쇠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파지 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 측에 상기 복수개의 제 1 고정대 및 제 2 고정대를 각각 고정하는 후크부가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파지 기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대와 상기 제 2 고정대는 상호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파지 기구.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철로 이루어진 사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파지 기구.
KR1020190159907A 2019-12-04 2019-12-04 경계석 파지 기구 KR10236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07A KR102362928B1 (ko) 2019-12-04 2019-12-04 경계석 파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07A KR102362928B1 (ko) 2019-12-04 2019-12-04 경계석 파지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447A KR20210070447A (ko) 2021-06-15
KR102362928B1 true KR102362928B1 (ko) 2022-02-17

Family

ID=7641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907A KR102362928B1 (ko) 2019-12-04 2019-12-04 경계석 파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9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72B1 (ko) * 2004-08-19 2006-07-24 (주)신우콘크리트산업 블록 파지장치
KR101713298B1 (ko) * 2016-09-13 2017-03-15 (주)한국이엔지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38B1 (ko) * 2006-11-13 2012-01-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권상 및 이동장치
KR20140054825A (ko) * 2012-10-29 2014-05-09 현대제철 주식회사 휠 수평이송용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72B1 (ko) * 2004-08-19 2006-07-24 (주)신우콘크리트산업 블록 파지장치
KR101713298B1 (ko) * 2016-09-13 2017-03-15 (주)한국이엔지 철도용 도상 흡음블럭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흡음블럭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447A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784271A (en) Condui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2362928B1 (ko) 경계석 파지 기구
CN106939605B (zh) 一种护坡砌块的搬运设备和搬运方法
CN207934328U (zh) 一种混凝土过梁施工结构
KR102130740B1 (ko) 보강토 블럭 운반장치
US2865523A (en) Tractor attachment
CN209443346U (zh) 道路工程用路石振捣装置
CN207537980U (zh) 用于修筑排洪沟的模板施工机械
CN207944962U (zh) 一种隧道拱架顶升调节装置
CN107780386A (zh) 用于修筑排洪沟的模板施工机械及其使用方法
CN215210384U (zh) 一种排水沟用滑模混凝土的浇筑装置
CN211815412U (zh) 一种步道铺砖装置
CN209040830U (zh) 一种竖井施工模板装置
CN213087436U (zh) 一种建筑用混凝土浇灌用固定夹板
JPH0611980B2 (ja) 自然石を用いた護岸の施工方法
CN211230261U (zh) 一种能移动的边坡钻孔平台
KR100953962B1 (ko) 경계석 부양 시공장치
CN220225159U (zh) 一种碾压混凝土施工模板固定装置
US2021767A (en) Power concrete strike-off template
CN213774539U (zh) 一种混凝土转运装置
KR200164646Y1 (ko) 경계블럭
CN219569644U (zh) 一种便携式施工通道
CN213115541U (zh) 一种可移动砂浆料斗
CN213230597U (zh) 一种尾矿pc砖生产用堆叠装置
JP428201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敷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