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391A - 평대형 견인 트럭 피봇식 플랫폼 조립체 및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평대형 견인 트럭 피봇식 플랫폼 조립체 및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391A
KR20130046391A KR1020127022991A KR20127022991A KR20130046391A KR 20130046391 A KR20130046391 A KR 20130046391A KR 1020127022991 A KR1020127022991 A KR 1020127022991A KR 20127022991 A KR20127022991 A KR 20127022991A KR 20130046391 A KR20130046391 A KR 20130046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ubassembly
flat
assembl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날드 알. 네스포
Original Assignee
로날드 알. 네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701,555 external-priority patent/US7909560B1/en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알. 네스포 filed Critical 로날드 알. 네스포
Publication of KR2013004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가 캐리어 바디 슬라이드 가능 실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 플로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를 포함한다.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는 슬라이딩할 수 있고 장착 플랫폼 지지 조립체로 그 사이에 피봇식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드 가능 경사 및 피봇식 제어 부조립체와 피봇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 피봇 제어 장치는 중간 서브프레임을 회전 및 후방으로 이동 및 배치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캐리어 바디 실 프레임은 길이방향의 제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중간 서브프레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된다. 램프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의 적재 단부로 피봇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 캐리어와 램프 플로어들은 일련의 인터록킹 압출 부재로 조립된다.

Description

평대형 견인 트럭 피봇식 플랫폼 조립체 및 이용 방법 {FLATBED TOW TRUCK PIVOTING PLAT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특허 협력 조약(PCT) 출원은, 2010년 2월 6일자로 출원된 출원번호 제 12/701,55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2011년 2월 4일자로 출원된 정규 출원번호 제 13/021,70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인용에 의해 전체가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공개물은 일반적으로 차량 및 다른 유사한 크기의 대상물을 수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공개물은 캐리어 바디를 수송 구성과 적재 구성 사이로 구동하기 위한 피봇 아암과 상호작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차량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과 같은 대형 대상물을 수송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 트럭으로 지칭되는, 차량 수송 시스템은 자동차와 병행하여 발전되어 왔다. 붐, 후크 및 체인, 휠 리프트, 평대트럭(flatbed), 및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견인 장치의 몇가지 유형들이 있다.
붐은 일반적으로 수로(ditch) 내, 배수구(culvert) 내, 둑(embankment) 위 또는 차량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없는 임의의 장소에 있는 차량을 끌어내기 위해 이용된다. 붐은 끌어낸 차량을 견인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슬링(sling)" 또는 "벨트 리프트(belt lift)"로서 또한 공지된, 후크 및 체인이 한 쌍의 무거운 고무 매트에 대해 기대지도록 붐 윈치(winch)에 의해 공중으로 끌어올려지는 차량 프레임 또는 차축을 둘러싸서 체인을 묶어서 고객 차량이 다른 차축 상에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오늘날의 환경에서, 슬링이 차량의 범퍼를 긁는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슬링의 이용은 매우 제한되어 왔다. 슬링은 일반적으로 사고를 당한 또는 하나 또는 수 개의 전방이나 후방 휠이 떨어져 나간 차량을 견인하기 위해서 또는 스틸 범퍼(steel bumper)를 가지는 다른 차량이나 트럭을 픽업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후크 및 체인 기술로부터 발전된 휠-리프트(wheel-lift)는 전방 또는 후방 휠을 크레이들링(cradle)하기 위해 후방 또는 전방 휠 아래에 조립되는 대형 금속 요크를 이용한다. 휠-리프트는 공기압 또는 유압 호이스트(hoist)에 의해서 지면으로부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단부를 상승시켜서 이 차량이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구동 휠을 픽업한다(즉, 전방 휠 구동부가 있는 경우 전방 휠, 후방 휠 구동부가 있는 경우 후방 휠). 이 리프트는 단지 타이어만 접촉하여, 견인된 차량의 손상 위험을 최소화한다.
또한 롤백(rollback) 또는 슬라이드 백 캐리어로서 지칭된 평대트럭(flatbed)은 트럭의 전체 트레일러 부분 상에 배치되는 캐리어 바디를 제공한다. 베드(bed)는 유압식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지상으로 움직여질 수 있어, 고객의 차량이 자체 힘 하에서 캐리어 바디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윈치에 의해 끌어 당겨지도록 한다.
또한 "자동 적재기(Self Loader)" 스내처(Snatcher), 퀵 픽(Quick Pick) 또는 회수 트럭(Repossession Truck)으로서 지칭되는 통합 리프트는 휠-리프트와 붐을 단일 유닛 내로 통합한다. 통합 리프트는 일반적으로 차량을 회수하거나 불법 주차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해 경량 덤프 트럭(light duty truck) 상에 설치된다. 대부분은 차량을 수동으로 걸기 위해 트럭에서 하강하는 시간의 손실 없이 가능한 신속하게 픽업하도록 견인 트럭의 운전석 내부에 장치를 위한 제어부를 가진다.
이들은 가장 일반적인 장치들이지만, 회수할 수 있지만 견인하지 않는 붐 트럭, 휠-리프트를 제공하는 평대형 유닛과 슬링과의 조합 붐을 제공하는 휠-리프트 유닛이 있기 때문에 결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평대형 캐리어들은 트럭의 섀시 프레임의 트레일러 부분 내로 통합되는 슬라이드 및 경사 메카니즘을 이용한다. 평대형 트럭은 차량을 적재하고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플랫 캐리어 바디로 새로 만들어졌다. 이 시스템은 일련의 유압 피스톤을 통하여 작동된다. 하나의 유압 피스톤은 차량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캐리어 바디의 위치를 조정한다. 제 2 유압 피스톤은 적재 각도와 수송 각도 사이로 캐리어 바디를 회전시킨다. 캐리어 바디는 단일의 평평한 표면이다. 캐리어 바디는 수송 구성으로 위치될 필요가 있으며, 수송 구성에서 캐리어 바디는 앞쪽으로 끌어당겨지고, 한 쌍의 운전석에 근접한 프레임의 트레일러 부분 상에 위치된 저장소 또는 한 쌍의 고정 핀을 통해 바디가 제 위치에 고정시킨다. 휠 리프트는 또한 소정의 평대형 캐리어 상으로 통합될 수 있다. 휠 리프트는 부가물로서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에 부착된다.
평대형 또는 슬라이드백 캐리어들은 1960년대 후반 이래로 차량 수송을 위해 이용되어 왔다. 휠 리프트들은 1980년대에 차량 수송을 위해 개발되었다. 휠-리프트는 슬라이드백 캐리어 내로 통합되었고 작동 및 구조상의 지지 메카니즘으로써 캐리어 관절형 연결 지지 구조물에 종속된다.
현재의 이용가능한 구성의 하나의 단점은 설계 제한이다. 평대형 차량 수송 트럭의 창조를 위한 캐리어 바디 조립체들 각각은 설계가 수용 차량 구조의 구성에 특정되게 제한된다. 다양한 도너(donor) 차량과 각각의 넓은 범위의 상이한 트럭 섀시 프레임 구성과 판매시장에서의 안전 기준 사이의 부과된 충돌은 제품 설계들 사이의 호환성을 제한한다. 이것은 캐리어 바디 제조자가 구체적 또는 잠재적 도너 차량을 위한 일련의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유통 체인(distribution chain)의 균형이 재고품에 요구되고 가능한 도너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매우 다양한 형성 인자를 지지한다. 임의의 도너 차량에 적합한 단일 설계가 바람직하다.
현재의 이용가능한 구성의 제 2 단점은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와 유사한 비부착 관절형 연결식 타입과 트럭 바디를 장착하기 전에 도너 트럭의 섀시 프레임의 구조물을 변경하거나 보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도너 차량의 섀시 프레임 구조 변경은 자동차의 보증, 임의의 정부의 사전 설계 허가, 증명서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중요한 고려사항들이 도너 차량에 어떠한 구조 변경을 가하기에 앞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도너 차량의 섀시 프레임에 임의의 변경도 하지 않은 캐리어 바디 조립체가 바람직하다. 경량형 및 중량형 트럭 상에 통합될 수 있는 설계가 바람직하다.
현재 이용가능한 캐리어 구성의 제 3 단점은 세장형 캐리어 바디 길이의 요건이며, 캐리어 바디의 구조적 질량은 캐리어 바디의 말단부가 적재 수용 단부 또는 지면과 접촉할 때 상당히 큰 적재 각도를 얻기 위하여 장거리 수송 모드 동안 완충 장치 부재 및 차량의 후방 차축을 넘어서 설계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연장되고 단점은 또한 수송하는 동안 롤스 로이스(Rolls Royce)와 같은 특대형 호화 차량 또는 확대된 픽업 트럭(pick up truck) 같은 차량의 전체 휠 기부를 지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더 길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리어 바디가 완전하게 원위치로 위치설정되기 위해서 요구되어 임의의 차량의 수송에 앞서 잠금 핀을 맞물리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구성은 대다수의 소형 또는 중형차들과 밴(van)에 대해 상당히 고려된다. 연장된 후방 돌출부를 가지는 이러한 긴 견인 차량들은 불균형하며, 안전성이 떨어지고, 더 무겁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연비가 높다. 이러한 긴 견인 차량들은 또한 특히 도시와 같이 비좁은 지역에서, 짧은 차량들 보다 조작하기가 어렵다. 짧은 전체 크기를 구비한 도너 차량 상에 통합될 수 있는 캐리어 바디 조립체가 바람직하다.
평대형 차량 캐리어에 대한 기본적 발명 개념.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를 제공하며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는: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
캐리어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 플로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
캐리어 바디 내로 통합되는 슬라이드 가능 실 프레임;
평행 배치로 제공된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슬라이드 설비(provision)들을 구비한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섀시 장착 플랫폼에 피봇식으로 조립되고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되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와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사이로 연장하는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 하기 위한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로서,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 및
상기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운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운동 액츄에이터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평행한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되고, 슬라이딩 운동은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의 피봇식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와의 결합에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캐리어 바디를 형성하기 위해 일련의 압출부(extrusion)를 통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캐리어 바디는 캐리어 바디의 적재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피봇식 램프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피봇식 램프 조립체는 일련의 통합된 압출부를 통해 조립된다. 이용된 압출부들은 캐리어 바디를 위해 제공된 것들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양태에서, 피봇식 램프 조립체가 회전식 캠 조립체를 통해 작동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피봇식 램프 조립체가 동력 구동된 케이블 체인 구동 조립체를 통해 작동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피봇식 램프 조립체가 유압 조립체를 통해 작동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캐리어 구동 메카니즘은 유압 조립체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캐리어 피봇식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는 유압 조립체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휠 리프트 부조립체는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에 부착되고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 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태에서, 휠 리프트는 측면 연장 메카니즘 및 피봇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는 완성되고 차량 트레일러 프레임과는 독립적이고,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는 임의의 합당한 차량 트레일러 프레임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부가적 양태들의 세부 사항들은 아래에 제시된 도면들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공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은 동일 번호가 동일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평대형 캐리어 및 장착 플랫폼 조립체의 기본 요소들의 분해된 조립체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대형 캐리어 및 장착 플랫폼 조립체의 작동 요소들의 분해된 조립체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대형 캐리어 및 장착 플랫폼 조립체의 작동 요소들의 분해된 조립체를 바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평대형 캐리어 및 장착 플랫폼 조립체의 기본 요소들의 분해된 조립체를 바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평대형 캐리어, 중간 부조립체 및 장착 플랫폼 조립체의 부분 조립을 바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장착 플랫폼 조립체 상에 통합된 중간 부조립체와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의 완전 조립을 바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가 통합되고 휠 리프트 부조립체가 삽입되는 캐리어 차량의 측면도이며;
도 8은 캐리어 바디의 길이방향 운동을 도시한 캐리어 차량의 측면도이며;
도 9는 조립체들과 조립된 캐리어 바디의 피봇 운동과 후방 이동을 도시한 캐리어 차량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들의 초기 피봇 운동을 도시한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의 작동 메카니즘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계속적이고 결과적인 후방 이동 및 각각의 부조립체들의 피봇 운동의 작용 메카니즘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통합된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를 삽입한, 캐리어 바디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케이블 체인 구동 조립체를 통해 작동하는 도 12의 상기 피봇식 램프 조립체의 측면도이며;
도 14는 캠 조립체를 통해 작동하는 도 12의 피봇식 램프 조립체의 측면도이며;
도 15는 적재 구성으로 위치설정된 캐리어 차량의 후방 부분의 측면도이며;
도 16은 일련의 통합된 압출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피봇 램프 조립체의 측 단면도며;
도 17은 캐리어 차량 섀시 상에 통합된 휠 리프트 부조립체와 상기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들의 가동 메카니즘들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부조립체 및 휠 리프트 부조립체의 분해된 조립체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9는 섀시 장착 플랫폼 내로 조립된 휠 리프트 부조립체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0은 평대형 캐리어 조립체들, 휠 리프트 조립체, 장착 플랫폼 조립체, 캐리어 차량의 분해된 조립체를 바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1은 독립적인 휠 리프트 조립체의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동일한 도면 번호는 상기 다양한 도면을 통해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다음의 상세 설명은 단지 전적으로 예시적이고 설명된 실시예들 또는 출원 및 기술된 실시예들의 이용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어 "예시적인(exemplary)" 또는 "설명적인(illustrative)" 단어는 "일례(exemple), 실례(instance), 또는 설명(illustration)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또는 "설명적인"과 같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장점 또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반드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아래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는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가 본 공개물의 실시예들을 형성 또는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 예시적인 실시예이고 본 공개물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공개물에서 설명을 위해 용어 "상부", "하부", "좌측", "후방", "우측", "전방", "수직", "수평" 및 이의 파생어들은 도 1에서 배향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더욱이, 선행된 기술 분야, 배경, 간단한 요약 또는 다음의 상세 설명에 제시된 표현되거나 함축된 이론에 의해 구속되게 하려는 의도는 없다.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되고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구체적 장치 및 공정들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형성된 본 발명의 개념들의 단순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라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그래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관련된 다른 물리적 특성들 및 구체적 치수들은 만일 청구항들이 특별한 목적으로 언급된 것이 아니라면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을 것이다.
캐리어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제시된다. 캐리어 조립체(100)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 및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를 포함하는 수 개의 부조립체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캐리어 바디 엣지 레일(114)들 사이에 걸쳐진 캐리어 바디 플로어 조립체(116)를 구비하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가 제조된다. 캐리어 바디 플로어 조립체(116)는 도 16에서 상세화될 복수의 압출부로 조립된다. 캐리어 바디 플로어 조립체(116)는 캐리어 바디 슬라이드 가능 실 프레임을 통해 지지된다. 캐리어 바디 슬라이드 가능 실 프레임은 캐리어 바디 플로어 조립체(116)의 하단 위에 배치된 한 쌍의 캐리어 바디 실 프레임 채널(118)을 포함한다. 캐리어 바디 실 프레임 채널(118)은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에 부착된 한 쌍의 "C" 또는 "L" 형상 채널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바디 실 프레임 채널(118)들은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의 외측 엣지를 따라 움직이기 위해 이격된다.
차량 프레임(도 7의 22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도록 설계된 섀시 보강 부재(132)들 및 한 쌍의 장착 플랫폼 레일을 가지는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가 제조된다. 헤드보드 소켓(125) 및 보강 장착 플랫폼 부착 장치(134)는 장착 플랫폼 레일 및 섀시 보강 부재(132)의 운전석 단부에서 통합된다. 헤드보드 소켓(125) 및 보강된 장착 플랫폼 부착 장치(134)는 장착 플랫폼 레일 및 섀시 보강 부재(132)의 강성 및 부착을 강화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 지지 크로스 부재(140)는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의 리프트 단부에서 제공된다. 유사한 크로스 부재(도시안됨)는 한 쌍의 장착 플랫폼 레일 및 섀시 보강 부재(132)의 운전석 단부들 사이에 걸쳐진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에 조립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는 또한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에 강도뿐만 아니라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를 차량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또는 다른 부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부가 영역을 제공한다. 피봇 제어 판(136)은 각각의 장착 플랫폼 레일 및 섀시 보강 부재(132) 상에 배치된다. 캐리어 피봇식 제어 장치(154)를 위한 적합한 피봇 위치를 제공하는 피봇 제어 판(136)이 하방으로 연장한다. 피봇 제어 판(136)의 장착 플랫폼 피봇 교합(mating) 인터페이스(137)는 캐리어 피봇식 제어 장치(154)의 제 1 단부에 배치된 캐리어 피봇 교합 인터페이스(156)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장착 플랫폼 피봇 교합 인터페이스(137)가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조(mechanics)를 얻기 위한 소정의 적합한 위치에 제공되고 소정의 형성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한 쌍의 통합된 휠 리프트 전방/후방 슬라이드 채널(187)은 휠 리프트 부조립체(도 7의 180)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 쌍의 미등 부조립체(142)가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의 적재 단부에서 통합될 수 있다. 미등 부조립체(142)는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후방 위치의 적재 단부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는 평행으로 배치된 한 쌍의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이 제조된다.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슬라이드 채널(148)이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서브프레임(172)을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의 내부에 부착된다. 평행 배치로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을 유지하기 위한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을 부착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크로스 부재(153)가 조립된다. 캐리어 피봇식 제어 장치(154)는 캐리어 제 2 피봇 인터페이스(158)에서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고 피봇 위치는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의 운전석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바디 액츄에이터 장착 및 피봇 브라켓(162)을 경유하여,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조립체(150)의 운전석 측 단부로 부착되는 제 1 단부를 가지는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160)가 제공된다.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160)의 제 2 단부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에 부착된다.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은 내부 표면을 따라 부착된 "C" 채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C" 채널은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슬라이드 채널(148)로써 지칭된다. 베어링 스트립(bearing strip)이 다른 슬라이드 인터페이스들 사이로 뿐만 아니라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슬라이드 채널(148) 캐리어 바디 실 프레임 채널(118) 사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인터페이스들 사이로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의 일부분에 부착된 제 1 단부를 가지는 내부 피봇식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176)를 가지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가 제조된다. 내부 피봇식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176)의 제 2 단부는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후방 크로스 부재(174)에 부착된다.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후방 크로스 부재(174)는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의 적재 단부에 고정된다.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피봇(119)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의 적재 단부 근처에 위치된다.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피봇(119)은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 및 거기를 중심으로 각각의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를 수송 및 피봇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의 후방부 상에 배치된 교합 부재에 조립된다.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부조립체(170)가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와 슬라이드가능하게 맞물린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서브프레임(172)은 한 쌍의 내부 서브프레임 슬라이드 채널(148) 전방/후방 사이로 베어링 스트립이 제공되어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된다.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가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피봇(119)을 통해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의 적재 단부에 근접한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와 피봇식으로 맞물린다.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한 운전석 프로텍터 케이지 조립체(120)는 차량 운전석(도 8의 210) 및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 상에 배치된 대상물들 사이에 방벽을 제공하는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의 운전석 단부에 조립된다. 운전석 프로텍터 케이지 조립체(120)는 운전석 프로텍터 프레임(122)에 의해 형성된 내부 내에 일련의 수평 및 수직 분리 부재들을 가지는 운전석 프로텍터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운전석 프로텍터 장착 인터페이스(124)는 운전석 프로텍터 케이지 조립체(120)를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에 부착하기 위한 운전석 프로텍터 프레임(12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운전석 프로텍터 장착 수용부(125)는 운전석 프로텍터 장착 인터페이스(124)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장착 플랫폼 레일 및 섀시 보강 부재(132)의 운전석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교환가능한 인터페이스는 인스톨러(installer)가 도너 차량의 운전석(210) 형상 및 크기와 컴플리먼트(compliment)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운전석 보호 케이지 조립체(120)를 삽입하도록 한다. 이는 다양한 선택적 부품을 위해서 선택되며 인스톨러는 재고목록으로 선택된다.
캐리어는 다음 운동에 따라서 작동한다: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160)의 작동은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도록 하며, 캐리어 바디 실 프레임 채널(118)을 따라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 인터페이스로 트랙킹한다(tracking).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160)를 연장하여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를 후방으로 움직인다.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160)를 수축하여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를 전방으로 움직인다. 내부 피봇식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176)의 작동은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가 캐리어 제 2 피봇 인터페이스(158) 상에 힘을 가하도록 하게 하며, 상기 힘은 장착 플랫폼 피봇 교합 인터페이스(137)를 향하여 인가된다.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슬라이드 채널(148) 내에서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서브프레임(172) 인터페이스로 트랙킹한다. 캐리어 피봇식 제어 장치(154)는 캐리어 피봇식 제어부를 제공하며 이 제어부는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가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피봇(119)에 대해 피봇하는 동안 상부로, 걸쳐서 및 후방으로 피봇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어 피봇식 제어 장치(154)는 고정된 비임이다. 캐리어 피봇식 제어 장치(154)는 기계적으로 또는 그렇지 않으면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차량 상에 통합된 캐리어 조립체(100)를 구비한 전형적인 캐리어 차량(200)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다. 캐리어 차량(200)은 차량 프레임(220) 상에 조립된 운전석(210)을 포함한다. 확인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캐리어 차량(200)은 휠 및 타이어, 엔진 및 구동 트레인(drive train), 서스펜션(suspension), 스티어링 성분,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성분들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는 차량 프레임(220)에 조립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180)가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것과 같이,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의 휠 리프트 전방/후방 슬라이드 채널(187) 인터페이스 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180)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182) 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되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한 내부 붐 모티브 액츄에이터(198)를 구비한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한 내부 붐(184)을 포함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회전식 크로스 바아(186)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한 내부 붐(184)의 말단부 상에 배치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붐 리프팅 액츄에이터(188)는 휠 리프트 크로스 부재(167) 상에 장착된 휠 리프트 피봇 액츄에이터 연결 브래킷(168)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182)에 조립되는 피봇 액츄에이터 붐 브래킷(183)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휠 리프트 피봇 액츄에이터 연결 브래킷(168)에 연결된다. 수축 저장된 위치와 연장된 견인 위치 사이로의 독립적인 휠 리프트의 전방/후방의 재위치설정은 독립적인 휠 리프트 지지 크로스 부재(140)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휠 리프트 피봇 액츄에이터 연결 브래킷(168)의 휠 리프트 연장 액츄에이터 조립체 조인트(165)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전방/후방의 독립적인 휠 리프트 운동 액츄에이터(185)에 의해서 수행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182)는 붐 트러니언 피봇(196)을 리프팅하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리프팅 통해 피봇식 붐 횡단 피봇식 붐 횡단 지지 부재(189)를 통해 독립적인 휠 리프트 슬라이드 레일 부재들(178)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캐리어 조립체(100)의 일반적 작동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다. 기능적 구조물들 각각의 상세는 도 10 및 도 11에서 나타난다.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운동(190)을 따라서 후방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러한 운동은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160)에 의해서 구동된다. 운동 액츄에이터 로드(rod; 164)는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160)의 실린더 바디 내로 연장되고 실린더 바디로부터 수축된다. 운동 액츄에이터 로드(164)의 말단부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에 부착된다.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의 각도는 피봇식 운동(192; 도 9)에 따라 회전을 통해 제어된다.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은 내부 피봇식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176)를 통해 후방으로 움직여진다.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이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시도되고, 토크가 캐리어 피봇식 제어 장치(154)에 대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이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를 통해 움직이고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피봇(119)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동안 위로, 넘어서 및 후방으로 움직이게 한다. 장착 플랫폼 피봇 교합 인터페이스(137)는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을 피봇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의 운동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설정되어야 한다. 장착 플랫폼 피봇 교합 인터페이스(137)가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의 운동의 길이방향 축선과 정렬되는 경우, 부조립체는 내부 피봇식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176)의 시도된 동력에 의한 작동 시 구속되는 경향이 있다. 적재 단부가 캐리어 바디 이동(194)을 통해 지면에 접촉될 때까지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는 경사면을 따라 부가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는 캐리어 바디 실 프레임 채널(118)과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레일(152)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움직인다. 이러한 구성에서, 차량은 바디 상에 구동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윈치로 바디 위로 감아올려질 수 있다. 윈치(winch) 조립체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의 전방 또는 다른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 내부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250)는 도 12 내지 도 16에 제시된 예시적인 설명들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 내부로 선택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 내부의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250)는 독자적으로 작동된 부조립체로써 작용한다. 캐리어 바디 내부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250)는 캐리어 램프 조립체(252) 내로 통합된 내부 램프 피봇(260)을 포함한다. 캐리어 램프 조립체(252)는 캐리어 램프 조립체(252)의 적재 단부에 조립된 일련의 인터록킹 플로어 압출부(264) 및 피봇 플로어 부재(262)로 조립된다. 각각의 인터록킹 플로어 압출부(264)들은 제 2 엣지를 따라 맞물림 인터페이스 후크(268) 및 제 1 엣지를 따른 맞물림 인터페이스 수용부(269)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맞물림 인터페이스 수용부(269)는 인터록킹 플로어 압출부(264)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록킹 플로어 맞물림 인터페이스(266)를 형성하는 맞물림 인터페이스 후크(268)와 맞물린다. 캐리어 바디 플로어 조립체(116)는 캐리어 램프 조립체(252)의 유사한 일련의 인터록킹 플로어 압출부(264)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 단부 운전석 압출부(도시 안되지만 용이하게 이해됨)는 캐리어 바디 플로어 조립체(116)의 노출(적재) 단부 및 캐리어 램프 조립체(252)의 운전석 단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피봇식 플로어 측면 지지 및 트랙 부재(272)는 캐리어 램프 조립체(252)의 각 단부를 따라 조립될 수 있어 캐리어 램프 조립체(252)에 부가적 강성을 제공한다.
캐리어 바디 접근 판 부재(254)는 캐리어 램프 조립체(252)의 후방에 제공된다. 캐리어 바디 내부 피봇 램프 부조립체(250)는 내부 램프 피봇(260)을 통해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의 캐리어 바디 엣지 레일(114)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피봇식 제어 조립체는 캐리어 바디 내부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250)의 운전석 단부와 도시된 바와 같은 캐리어 바디 엣지 레일(114) 또는 캐리어 바디 실 프레임 채널(118) 상의 각각의 위치 사이에 제공된다. 공개물은 피봇식 제어 조립체의 두 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는 내부 피봇 램프 구동 장치(280)를 통해 작동되고 케이블 체인 재지향 풀리(286) 위로 재지향시킨 케이블 체인 고정장치(anchor; 284)를 통해 캐리어 바디 내부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250)에 고정된 내부 피봇 램프 제어 케이블 체인(282)을 이용하는, 도 13에 제시된다. 가압 인장 장치(270)는 대안적인 일 실시예로서 또는 케이블 체인 실시예에 대한 보충 지지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는 램프 피봇 캠(290)을 이용하는, 도 14에 제시된다. 캠 액츄에이터(292)는 램프 피봇 인터페이스(298)를 통한 캐리어 바디 내부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250)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기 위해 바디 피봇 인터페이스(296)를 중심으로 하여 캠 회전부(294)를 통해서 램프 피봇 캠(290)을 회전시킨다. 램프 피봇 인터페이스(298)는 핀형 베어링 블록이어서 크기 조정이 피봇식 플로어 측면 지지 및 트랙 부재(272)를 따른 어떠한 구속도 회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자는 수송된 견인을 위한 차량(vehicle-for-tow; 300) 또는 견인을 위한 차량을 캐리어 조립체(100)와 정렬시켜 적재 위치 내로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를 슬라이딩하고 위치설정하기 위해 그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남겨둔다. 견인을 위한 차량(30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적재될 수 있다. 트레일링 휠(trailing wheel; 322) 및 적재 휠(loading wheel; 320) 상에 올라탄 수송되는 차량 바디(310)를 가지는 견인을 위한 차량(300)이 형성된다. 수송된 차량 바디(310)는 수송된 차량 하부 밸런스(valance; 312)를 포함하며, 수송된 차량 하부 밸런스(312)는 견인을 위한 차량(300)의 가장 낮은 트레일링 엣지와 수송을 위한 차량(300)의 가장 낮은 리딩 엣지이다. 수송된 차량 하부 밸런스(312)는 종래의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 상의 견인을 위한 차량(300)을 적재하는 과정동안 손상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조작자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를 각도진 적재 구성 내로 유도하고, 지지 표면(199)과 접촉하는 캐리어 바디 접근 판 부재(254)를 위치설정한다. 조작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캐리어 바디 내부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250)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 또는 거의 수평의 적재 구성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피쳐들은 낮은 수송된 차량 하부 밸런스(312) 또는 적재 휠(320)의 전방에 위치설정된 다른 낮은 피쳐들을 가지는 수송된 차량(300)의 손상 없는 적재(damage free loading)를 허용한다. 정비공은 캐리어 바디 램프 플로어링(252) 상에 적재 휠(320)을 적재하는데, 여기서 수송된 차량 바디(310)의 리딩 엣지는 캐리어 바디 지지판(plank; 116)의 후방 엣지는 빈 상태로 남아있다. 캐리어 바디 램프 플로어링(252)의 리딩 엣지는 이어서 회전하며, 캐리어 바디 지지판(116)과 정렬되며 캐리어 바디 램프 플로어링(252)이 평행이 되도록 배향된다. 견인을 위한 차량(300)은 전방으로 끌어당겨져,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 상으로 견인을 위한 차량(300)을 적재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180)는 도 7 내지 도 9 및 도 17 내지 도 2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차량(200) 상으로 통합될 수 있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180)는 완전한 부조립체이고, 피봇식 붐 횡단 지지 부재(189)를 통해 독립적인 휠 리프트 슬라이드 가능 서브프레임(181)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182)를 가진다.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붐 리프팅 액츄에이터(188)는 피봇식 붐 횡단 지지 부재(189)를 통해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182)를 피봇하기 위해 구동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182)는 독자적인 휠 리프트 리프팅 피봇식 붐 횡단 지지 부재(189)에 부착되고 붐 트러니언 피봇(19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독립적 휠 리프트 피봇식 붐 리프팅 액츄에이터(188)가 연장될 때,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182)가 적재 구성을 향하여 하방으로 피봇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붐 리프팅 액츄에이터(188)가 접촉할 때,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182)를 상방으로 피봇하여, 견인된 차량을 수송 구성으로 리프팅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한 내부 붐(184)은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182) 내부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되고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한 내부 붐 모티브 액츄에이터(198)를 통해 평행하게 위치된다. 액츄에이터(198; 도시되지 않음, 하지만 용이하게 이해됨)는 바람직하게는 듀얼 액션(dual action) 유압 피스톤 조립체이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회전식 크로스 바아(186)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한 내부 붐(184)의 말단부를 따라 제공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회전식 크로스 바아(186)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한 내부 붐(184)에 수직하게 그리고 지지 표면(199)에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회전식 크로스 바아(186)는 현재 이용가능한 휠 리프트와 일반적으로 셀프-액츄에이터 휠 그래버(grabber) 같은 연관된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회전식 크로스 바아(186)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한 내부 붐(184)에 연결하여 조립될 수 있어, 차주/조작자가 독립적인 휠 리프트 회전식 크로스 바아(186)를 제 3(third party) 자동차 견인 장치 제조자 또는 공급자를 통해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다양한 전문화된 자동차 휠 유지 장치와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180)가 수축된 저장 구성으로 될 때, 독립적인 휠 리프트 회전식 크로스 바아(186)가 캐리어 차량(200)을 따라오는 다른 차량과 충돌시 언더 라이드(under ride) 보호 장치 부재로서 작동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180)가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와 이와 인접한 부조립체들(170 및 150)과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독립적인 휠 리프트 회전식 크로스 바아(186)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 상으로 차량을 적재할 때 지지 표면(199)에 대해 위치설정될 수 있다. 이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로부터 차량의 적재/하역(loading / unloading) 동안 캐리어 차량(200)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슬라이드 가능 서브프레임(181)은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의 휠 리프트 전방/후방 슬라이드 채널(187) 내에 있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전방/후방 운동 채널 액츄에이터(185)는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의 부재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독립적인 휠 리프트 슬라이드 가능 표면(181)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180) 내로 통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독립적인 휠 리프트 전방/후방 운동 액츄에이터(185)의 제 1 단부는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의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 지지 크로스 부재(140)에 부착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전방/후방 운동 액츄에이터(185)의 제 2 단부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슬라이드 가능 서브프레임(181)의 휠 리프트 크로스 부재(167)에 부착되는 휠 리프트 피봇 액츄에이터 연결 브래킷(168)에 부착된다. 독립적인 휠 리프트 전방/후방 운동 액츄에이터(185)는 수축된 수용(stored) 위치와 후방, 견인 위치 사이에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의 각각의 휠 리프트 전방/후방 슬라이드 채널(187) 내에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180)를 위치설정하도록 연장 및 접촉한다.
본 발명은 산업에서 현존 기술분야에 대한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캐리어 조립체(100)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의 트럭 섀시 프레임(220) 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완전한 부조립체로서 설계된다. 어댑터(222,224; 도 20)는 다양한 크기의 다양한 차량 섀시 프레임(220) 상에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130)를 장착하고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캐리어 차량의 변화 또는 절충 없이 다양한 차량 섀시를 수용하는 장착 수단들과 표준화된 캐리어 조립체(100)를 위해 제공된다. 캐리어 바디 조립체(100)는 적재/하역 중에 감소된 적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하여 더 긴 램프를 간단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연장된 바디 또는 플랫폼 너머 후방과 관계없이 수송된 차량의 전체 휠 기부 스프레드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길이가 되는 것이 단지 필요하다. 중간 연결 부조립체(150)를 통하여 작동순서의 시작시에 후방으로 후송되고 피봇식으로 놓여진 성능을 구비한 짧아진 캐리어 바디 조립체 및 수반된 부조립체를 구비한 새로운 발명의 문제는 포괄적인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250)의 하향 배치에 의해 추가로 강화되는 동일한 결과적인 감소된 적재 각도를 규정한다.
캐리어 조립체(100)의 각도는 단일 액츄에이터 운동을 통해,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운동 액츄에이터(176)를 통해 이루어진다.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150)와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170)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 움직임과 캐리어 조립체(100)의 이러한 제어된 운동은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110)의 부정확한 회전으로부터의 오작동을 최소화한다. 캐리어 바디 내부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250) 내부로의 통합은 조작자가 차량의 적재가 지지 표면(199)과 각도진 캐리어 바디 플로어 조립체(116) 사이에 운송되기 위한 변화를 추가로 최적화 하도록 하며, 그래서 낮은 전방 또는 후방 간격(clearance)를 가지는 차량에 마모 또는 손상 없는 적재를 제공한다.
캐리어 바디 플로어 조립체(116)의 조립은 인터록킹 플로어 압출부(264)와 같은 일련의 인터록킹 압출부들을 이용하며, 이는 최소한의 틀 및 조립 비용을 구비한 단단한 구조물을 제공한다.
개조된 바와 같은 캐리어 차량(200)에 대한 각각의 상태 및 연방 규정을 충족시키는 조명을 보증하기 위해서 캐리어 조립체(100) 상에 통합되는 것이 이해된다. 이것은 캐리어 차량(200) 내로의 경량형 및 중량형 트럭들을 사용한 변환을 제공한다.
많은 수정, 변경 및 세부 변화들이 본 발명의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되고 선행하는 설명의 모든 문제들 설명적으로 해석되고 제한 의미(limiting sense)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들의 법적 등가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40)

  1. 평대형(flatbed) 차량 캐리어 조립체로서,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
    캐리어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 플로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
    상기 캐리어 바디 내로 통합되는 슬라이드 가능 실 프레임(sill frame);
    평행 배치로 제공되는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슬라이드 설비들을 구비한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에 피봇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되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와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사이로 연장하는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른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하기 위한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로서,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 및
    상기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운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서브프레임 운동 액츄에이터는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평행한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운동은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의 피봇식 운동을 발생시키기도록 상기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와의 결합에 작용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지는 상기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부가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 상의 캐리어 피봇 인터페이스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단부가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 상의 장착 플랫폼 피봇 교합 인터페이스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피봇 인터페이스 위치 및 상기 장착 플랫폼 피봇 교합 인터페이스 위치가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슬라이드 설비들에 대해 비-평행 관계로 상기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를 위치설정하도록 배치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로어가 일련의 인터록킹 플로어 압출부로 조립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는 상기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적재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후방 엣지 및 상기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운전석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전방 엣지를 가지는 캐리어 램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램프 조립체가 상기 램프 후방 엣지에 근접한 위치를 통해 상기 캐리어 바디에 피봇식으로 조립되어서 상기 전방 램프 엣지가 상기 캐리어 플로어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캐리어 플로어를 향하여 회전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의 운전석 단부에 조립되는 운전석 프로텍터 케이지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되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를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다른 트럭 섀시 프레임 상으로 장착하기 위한 일련의 어댑터들을 더 포함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8.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로서,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
    캐리어 바디에 의해 지지된 캐리어 플로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
    램프 플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운전석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전방 엣지 및 상기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적재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후방 엣지를 가지는 캐리어 램프 조립체로서, 상기 램프 후방 엣지에 근접한 위치를 통해 상기 캐리어 바디에 피봇식으로 조립되어서 상기 전방 램프 엣지가 상기 캐리어 플로어로부터 떨어져서 그리고 상기 캐리어 플로어를 향하여 회전하는, 캐리어 램프 조립체;
    상기 캐리어 램프 조립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피봇 램프 구동 장치;
    상기 캐리어 바디 내로 통합된 슬라이드 가능 실 프레임;
    평행 배치로 제공된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슬라이드 설비들을 구비한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에 피봇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되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와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사이로 연장하는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 하도록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로서,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 및
    상기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운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운동 액츄에이터가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의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평행한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드 운동이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의 피봇식 운동을 발생하도록 상기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와의 결합에 작용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지는 상기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가 더 형성되고, 상제 제 1 단부가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 상의 캐리어 피봇 인터페이스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단부가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 상의 장착 플랫폼 피봇 교합 인터페이스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피봇 인터페이스 위치 및 상기 장착 플랫폼 피봇 교합 인터페이스 위치가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슬라이드 설비들에 대해 비-평행 관계로 상기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에 위치설정하도록 배치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로어가 일련의 인터록킹 플로어 압출부로 조립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플로어가 일련의 인터록킹 플로어 압출부로 조립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의 운전석 단부에 조립되는 운전석 프로텍터 케이지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되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를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다른 트럭 섀시 프레임 상으로 장착하기 위한 일련의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5.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로서,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
    캐리어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 플로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
    상기 캐리어 바디 내로 통합되는 슬라이드 가능 실 프레임;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의 적재 단부에 근접하게 제공되는 한 쌍의 휠 리프트 전방/후방 슬라이드 채널;
    평행 배치로 제공된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슬라이드 설비들을 구비한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에 피봇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된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와 상기 캐리어 바디 중간 서브프레임 사이로 연장하는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하기 위한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로서,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액츄에이터 부재; 및
    상기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피봇식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운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경사 및 길이방향 제어 내부 서브프레임 운동 액츄에이터가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평행한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하며, 상기 슬라이딩 운동이 상기 캐리어 중간 서브프레임 부조립체의 피봇식 운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캐리어 피봇 제어 장치와의 결합에 작용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독립적인 휠 리프트 슬라이드 레일 부재를 가지는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독립적인 휠 리프트 슬라이드 레일 부재들이 상기 한 쌍의 휠 리프트 전방/후방 슬라이드 채널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가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boom) 조립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조립된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 내부 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독립적인 휠 리프트 연장가능 내부 붐이 상기 캐리어 바디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슬라이드가능하게 조정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적인 휠 리프트 부조립체가 상기 독립적인 휠 리프트 슬라이드 레일 부재들과 상기 독립적인 휠 리프트 피봇식 리프팅 붐 조립체 사이에 피봇식 관계를 제공하는 피봇식 붐 횡단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 부조립체가 상기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운전석 단부를 향하여 위치한 전방 엣지 및 상기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적재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후방 엣지를 가지는 캐리어 램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램프 조립체가 상기 램프 후방 엣지에 근접한 위치를 통해서 상기 캐리어 바디에 피봇식으로 조립되어 상기 전방 램프 엣지가 상기 캐리어 플로어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캐리어 플로어를 향하여 회전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장착 플랫폼 조립체를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다른 트럭 섀시 프레임들 상으로 장착하기 위한 일련의 어댑터들을 더 포함하는,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21.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으로서,
    캐리어 조립체를 입수하는 단계로서,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평대형 캐리어 바디,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
    캐리어 경사 프레임 길이방향 제어 부조립체,
    섀시 장착 프레임 조립체, 및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
    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가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길이방향 제어 부조립체와 슬라이드가능하게 맞물리며,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길이방향 제어 부조립체가 상기 섀시 장착
    프레임 조립체에 피봇식으로 조립되며, 및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의 제 1 단부가 상기 평대형 캐리
    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의 전방 단부로 피봇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캐
    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의 제 2 단부가 상기 섀시 장착 프레임 조
    립체에 피봇식으로 조립되는;
    캐리어 조립체를 입수하는 단계; 및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를 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됨으로써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가 경사지고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의 상기 전방 단부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를 따라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를 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의 후방 섹션 내로 피봇식으로 통합된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의 전방 엣지를 하강함으로써 적재 위치 내로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를 피봇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램프 피봇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는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의 후방 단부에 근접한 평대형 캐리어 바디 위치에 조립되는,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위로 견인을 위한 차량(vehicle-for-tow)의 적재 휠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와 정렬되도록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의 전방 엣지를 상승시킴으로써 수송 위치 내로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를 피봇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 상으로 상기 견인을 위한 차량의 트레일링 휠(trailing wheel)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및
    수송 위치 내로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의 전방 단부를 하강하여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 및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길이방향 제어 부조립체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를 수송 구성으로 복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27.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으로서,
    캐리어 조립체를 입수하는 단계로서,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한 쌍의 캐리어 바디 엣지 레일 및 바디 플로어를 포함하는 평대형 캐
    리어 바디로서, 각각의 엣지 레일은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의 각각
    의 외측 엣지를 따라 위치되고, 견인 차량 프레임에 의해 피봇식으로
    운반되는, 평대형 캐리어 바디,
    램프 피봇 및 캐리어 바디 램프 플로어링을 포함하는 캐리어 바디 피
    봇식 램프 부조립체로서, 상기 캐리어 바디 엣지 레일들의 트레일 구
    역과 피봇식 소통이 되는,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를 포함
    하는,
    캐리어 조립체를 입수하는 단계;
    회전되는 적재 형태 내로 상기 바디 플로어를 배치하는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의 트레일링 엣지를 하강함으로써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 바디 램프 플로어링이 견인을 위한 차량(vehicle-for-tow)을 적재하기 위해 상기 회전된 바디 플로어보다 더 수평이 될 때까지 리딩 엣지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바디 램프 플로어링을 적재 위치 내로 피봇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 부조립체와 슬라이드가능하게 맞물리며,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 부조립체를 따라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가 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위로 상기 견인 중 차량(vehicle-in-tow)의 적재 휠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와 정렬되도록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의 전방 엣지를 상승시킴으로써 수송 위치 내로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를 피봇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 상에 상기 견인 중 차량의 트레일링 휠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가 수송 위치 내로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휠 리프트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 리프트 부조립체가 휠 리프트 붐 조립체와 슬라이드가능하게 소통하는 휠 리프트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휠 리프트 붐 조립체가 상기 견인하는 차량 프레임(towing vehicle frame)과 피봇식으로 소통하며,
    차량을 지지하고 수송하도록 상기 휠 리프트 부조립체를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 부조립체와 슬라이드가능하게 맞물리며,
    상기 견인을 위한 차량을 수송하기 위한 위치 내로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 부조립체를 따라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차량을 지지하고 수송하도록 상기 휠 리프트 부조립체를 위치설정하는 단계는 견인을 위한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의 트레일링 엣지 뒤에 충분한 거리를 가지는 상기 견인 중 차량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상기 휠 리프트 크로스 바아를 길이방향으로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의 위치설정 방법.
  34.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를 위치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캐리어 조립체를 입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평대형 캐리어 바디,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
    캐리어 경사 프레임 길이방향 제어 부조립체,
    섀시 장착 프레임 조립체, 및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
    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며, 평대형 캐리어 바디 길이방향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가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길이방향 제어 부조립체와 슬라이드가능하게 맞물려지고, 평대형 캐리
    어 경사 프레임 피봇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길이방향 제어 부조립체가 상기 섀시 장착
    프레임 조립체에 피봇식으로 조립되며, 및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의 제 1 단부가 상기 평대형 캐리
    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의 전방 단부에 피봇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캐
    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의 제 2 단부가 상기 섀시 장착 프레임 조
    립체에 피봇식으로 조립되는,
    캐리어 조립체를 입수하는 단계;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를 작동함으로써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제어 운동 액츄에이터를 작동함으로써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를 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함으로써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를 편향하고,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의 전방 단부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위치설정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의 후방 섹션 내로 피봇식으로 통합된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의 전방 엣지를 하강함으로써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를 적재 위치 내로 피봇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램프 피봇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가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의 후방 단부에 근접한 평대형 캐리어 바디 위치에 조립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위치설정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상으로 견인을 위한 차량의 적재 휠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와 정렬되도록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의 전방 엣지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바디 피봇식 램프 부조립체를 수송 위치 내로 피봇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위치설정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 상으로 상기 견인을 위한 차량의 트레일링 휠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를 수송 위치 내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위치설정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피봇 부재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의 전방 단부를 하강하여 상기 캐리어 경사 프레임 길이방향 제어 부조립체 및 상기 평대형 캐리어 경사 프레임 부조립체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를 수송 구성으로 복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위치설정 방법.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휠 리프트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 리프트 부조립체가 휠 리프트 붐 조립체와 슬라이드가능하게 소통하는 휠 리프트 크로스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휠 리프트 붐 조립체가 상기 견인하는 차량 프레임과 피봇식으로 소통하며,
    차량을 지지하고 수송하도록 상기 휠 리프트 부조립체를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위치설정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조립체가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 부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가 상기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 부조립체와 슬라이드가능하게 맞물리며,
    상기 견인을 위한 차량을 수송하기 위해서 위치 내로 평대형 캐리어 프레임 부조립체를 따라 상기 평대형 캐리어 바디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 위에 차량 적재를 위한 평대형 차량 캐리어 조립체 위치설정 방법.
KR1020127022991A 2010-02-06 2011-02-05 평대형 견인 트럭 피봇식 플랫폼 조립체 및 이용 방법 KR201300463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01,555 2010-02-06
US12/701,555 US7909560B1 (en) 2010-02-06 2010-02-06 Flatbed tow truck pivoting platform assembly
US13/021,704 US8152435B2 (en) 2010-02-06 2011-02-04 Flatbed tow truck pivoting plat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13/021,704 2011-02-04
PCT/US2011/023837 WO2011097544A2 (en) 2010-02-06 2011-02-05 Flatbed tow truck pivoting plat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391A true KR20130046391A (ko) 2013-05-07

Family

ID=4435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991A KR20130046391A (ko) 2010-02-06 2011-02-05 평대형 견인 트럭 피봇식 플랫폼 조립체 및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152435B2 (ko)
EP (1) EP2531376A4 (ko)
KR (1) KR20130046391A (ko)
CN (1) CN102858593B (ko)
BR (1) BR112012019353A2 (ko)
CA (1) CA2804743C (ko)
GB (1) GB2490458B (ko)
MX (1) MX2012009041A (ko)
WO (1) WO20110975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3582B2 (en) 2010-02-06 2019-07-09 Ronald R. Nespor Flatbed tow truck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8152435B2 (en) * 2010-02-06 2012-04-10 Nespor Ronald R Flatbed tow truck pivoting plat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ES1108780Y (es) * 2014-04-16 2014-07-28 Gil Diego Nicolás Plataforma para camión portavehículos
WO2016028716A1 (en) * 2014-08-18 2016-02-25 Nespor Ronald R Flatbed tow truck assembly and method of use
DE102015208914B4 (de) * 2015-04-30 2020-09-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zeugs
CN105715090B (zh) * 2016-04-26 2018-07-10 蔡意兴 汽车存车工程车
CA169089S (en) * 2016-06-17 2017-02-13 Marshall Ind Inc Loading ramp
CA169088S (en) * 2016-06-17 2017-02-13 Marshall Ind Inc Loading ramp
USD802244S1 (en) * 2016-07-07 2017-11-07 Marshall Industrial Inc. Loading ramp
CN106515548B (zh) * 2016-12-22 2018-08-28 江西应用技术职业学院 一种事故车修理用运输装置
EP3612439A4 (en) * 2017-04-19 2020-12-23 Starke ECB AB HYBRID VEHICLE WITH CHARGING PLATFORM
CN107323983A (zh) * 2017-07-18 2017-11-07 周玉红 一种便于机电设备移动的运输装置
FR3090540B1 (fr) * 2018-12-20 2020-12-18 Stanley Robotics Convoyeur pour le déplacement de véhicules à quatre roues
CN110040163B (zh) * 2019-03-29 2020-08-18 武汉科技大学 自卸式平板车
CN111038559A (zh) * 2020-01-07 2020-04-21 潘俊钢 一种运输设备及物流系统
CN112339866B (zh) * 2020-11-11 2022-03-1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架和清障车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1814A (en) 1950-06-20 1952-12-16 Lisota Edward Adjustable tilting bed for trucks
US3450282A (en) 1967-03-07 1969-06-17 Grove Mfg Co Slidable and tiltable truck bed
US3430792A (en) 1967-07-12 1969-03-04 Grove Mfg Co Vehicle with tilting bed
US3485400A (en) 1967-11-29 1969-12-23 Charles W Pewthers Vehicle with sliding and tilting bed
US4081094A (en) 1977-03-17 1978-03-28 Cotton Machinery Company, Inc. Conveyor-trailer for transporting an agricultural commodity
DE2848904A1 (de) 1978-11-10 1980-05-14 Kruno Znidaric Fahrzeug zum laden und transportieren von schwergut,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US4578014A (en) 1983-11-17 1986-03-25 Ralph Colet Automobile tray trailer
US4702662A (en) 1985-06-24 1987-10-27 Marlett Lloyd D Trailer
US4704062A (en) 1986-03-06 1987-11-03 Hale Isom H Self powered, roll-on and roll-off trailer
US4842470A (en) 1987-03-02 1989-06-27 Hubbard John S Low angle approach tilt bed
US4795303A (en) 1987-05-29 1989-01-03 Vulcan Equipment Company Vehicle transporting apparatus
US4875822A (en) 1988-06-09 1989-10-24 Chevron, Inc. Quick-couple L-bar sleeve assembly for wheel lift
US4929142A (en) 1988-06-09 1990-05-29 Chevron, Inc. Vehicle carrier with wheel lift
US5061147B1 (en) 1988-06-09 1997-02-25 Chevron Inc Vehicle carrier with wheel lift
US5006033A (en) 1989-07-07 1991-04-09 Century Wrecker Corporation Carrier vehicle with tilt lock-out arrangement
US5249909A (en) 1990-06-18 1993-10-05 Don Roberts Towing and wrecker truck
US5246329A (en) 1992-02-27 1993-09-21 Farrell Richard J Multi-position flat bed truck
US6461096B1 (en) 1993-08-16 2002-10-08 Trail King Industries, Inc. Tilt bed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a load
US5529454A (en) 1994-09-13 1996-06-25 Alm; Stephen D.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US5984614A (en) 1996-04-10 1999-11-16 Weber; Randall W. Apparatus for retrieving and transporting disabled vehicles
US5720526A (en) 1996-04-19 1998-02-24 Roberts; Donald D.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for a tiltable truck bed
US5951235A (en) 1996-08-08 1999-09-14 Jerr-Dan Corporation Advanced rollback wheel-lift
US6276890B1 (en) 1997-04-11 2001-08-21 Miller Industries Towing Equipment, Inc. Carrier with articulable bed
US5906470A (en) * 1997-05-20 1999-05-25 Desjardins; Lucien Arch trailer for motorcycle transport and camping
JP3265421B2 (ja) 1998-05-19 2002-03-11 田井能自動車株式会社 車両積み下ろし方法および同装置
KR200231143Y1 (ko) * 2001-01-15 2001-07-19 (주)세진기업 차량운반용 트럭
US7401860B2 (en) 2005-06-09 2008-07-22 Kraenzle David G Apparatus for a vehicle for dumping and providing ground access
US20080159838A1 (en) * 2006-04-05 2008-07-03 Bradley Yates Sherer Cargo area extending foldable loading ramp
US20090025154A1 (en) * 2007-07-24 2009-01-29 Forrest Sanders Smith Vehicle And Equipment Hauler Attachment For Pickup Trucks
US7909560B1 (en) * 2010-02-06 2011-03-22 Nespor Ronald R Flatbed tow truck pivoting platform assembly
US8152435B2 (en) * 2010-02-06 2012-04-10 Nespor Ronald R Flatbed tow truck pivoting plat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04743A1 (en) 2011-08-11
US20120195722A1 (en) 2012-08-02
MX2012009041A (es) 2012-12-17
US8152435B2 (en) 2012-04-10
GB2490458B (en) 2017-06-21
BR112012019353A2 (pt) 2020-04-22
US8807906B2 (en) 2014-08-19
CA2804743C (en) 2014-01-14
WO2011097544A2 (en) 2011-08-11
GB2490458A (en) 2012-10-31
CN102858593B (zh) 2015-03-11
CN102858593A (zh) 2013-01-02
GB201214895D0 (en) 2012-10-03
WO2011097544A3 (en) 2011-12-22
EP2531376A4 (en) 2016-07-13
US20110194925A1 (en) 2011-08-11
EP2531376A2 (en)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6391A (ko) 평대형 견인 트럭 피봇식 플랫폼 조립체 및 이용 방법
US7232138B2 (en) Wheel-Dolly for vehicle towing and recovery
US10343582B2 (en) Flatbed tow truck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7909560B1 (en) Flatbed tow truck pivoting platform assembly
US8061277B2 (en) Road and rail vehicle with pivotable axle and associated methods
US8348589B2 (en) Universal folding boom trailer
US11358508B2 (en) Lift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cargo on a vehicle
US20150375663A1 (en) Trailer apparatuses
US20120321420A1 (en) Vehicle Carrier for Motor Home
US9457704B2 (en) ATV transport device
US20090115238A1 (en) Truck Bed Lifting Device and Method
CA2626321A1 (en) Trailer combined with a movable wheel assembly
US20090322047A1 (en) Detachable Trailing Tag Axle
US20100135756A1 (en) System for lifting and stowing a vehicle
US3960401A (en) Vehicle transport trailer
WO2016028716A1 (en) Flatbed tow truck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8251394B2 (en) Low rider saddle mount
JP3995700B2 (ja) コンテナ積載用セミトレーラ
WO2017129959A1 (en) Loading system
AU2009203202B2 (en) A vehicle having a ramp arrangement
CN112292285A (zh) 集装箱运载工具
CN216331667U (zh) 一种煤矿用窄型运管车
CA2881366A1 (en) Trailer apparatuses
CA2044798C (en) Towing and wrecker truck
JP2006512254A (ja) 傾斜したデッキを有する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