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806B1 - 송신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송신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806B1
KR101711806B1 KR1020140070580A KR20140070580A KR101711806B1 KR 101711806 B1 KR101711806 B1 KR 101711806B1 KR 1020140070580 A KR1020140070580 A KR 1020140070580A KR 20140070580 A KR20140070580 A KR 20140070580A KR 101711806 B1 KR101711806 B1 KR 10171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estination
setting
unit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409A (ko
Inventor
히로요시 타카미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96Checking the destination, e.g. correspondence of manual input with stored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6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e.g. a microprocessor
    • H04N1/32571Details of system components
    • H04N1/32577Input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를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등의 소정의 목적지로 제한해서 시큐리티를 향상시키는 경우에도, 송신 설정을 이용해서 송신을 행함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제한되고, 송신 설정에 등록된 1 이상의 송신 목적지 중 어느 한개가 유저의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에는, 송신 설정에 등록된 1 이상의 송신 목적지를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고쳐 쓴다.

Description

송신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RANSMISS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본 발명은, 송신 설정에 등록된 목적지로 송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이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형성장치의 저렴화, 소형화 및 고기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화상 형성장치에는, 외부 장치(에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와 연계해서 편리성이 높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송신 설정에 등록된 목적지들 중에서 선택된 목적지로 네트워크를 거쳐 송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복합기가 알려져 있다.
송신 설정에 등록된 목적지에 송신을 행하는 경우, 시큐리티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시큐리티의 향상 및 목적지 입력 조작의 간략화를 위해, 유저 인증 기능을 갖고, 유저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인증에 따른 송신 목적지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화상 송신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0-220256호 공보 참조). 또한,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송신 목적지를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제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예를 들어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이외의 목적지에의 송신을 제한하면, 송신 설정을 이용함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를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등의 소정의 목적지로 제한해서 시큐리티를 향상시키는 경우에도, 송신 설정을 이용해서 송신을 행함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과, 이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를 송신 목적지에 송신하기 위한 목적지 및 송신 설정이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모드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 및 상기 송신 설정을 판독 및 설정하는 설정 유닛과,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송신 설정에 따라서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과, 인증된 유저의 목적지 이외의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금지하는 금지 유닛과, 상기 금지 유닛에 의해 금지된 상기 목적지에의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를 상기 인증된 유저의 목적지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를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등의 소정의 목적지로 제한해서 시큐리티를 향상시키는 경우에도, 송신 설정을 이용함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2는, 화상 형성장치의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모드 선택 화면의 예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및 그 이외의 어드레스에의 송신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모드 선택 화면 상에서의 모드 선택에 응답하여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송신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에의 송신만이 허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드 선택 화면 상에서의 모드 선택에 응답하여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송신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송신 목적지 지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송신 목적지 지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6은, 도 5의 스텝 S504에 있어서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이때, 도시된 각 블록은 장치의 하드웨어 모듈을 나타내고, 블록 사이의 화살표는 데이터 및 지시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장치(100)는, 프린트 기능, 화상 판독 기능, 송신 기능, 유저 인증 기능 등을 구비한 복합기이다.
화상 형성장치(100)는, 콘트롤러부(101)를 구비하고, 또한, 콘트롤러부(101)에 의해 제어되는 인쇄부(107), 판독부(109), 조작 패널(110) 및 회선 I/F(112)를 구비하고 있다.
콘트롤러부(101)는, 시스템 버스(105)에 접속되어 있는, CPU(102), RAM(103), ROM(104), 인쇄부 I/F(106), 판독부 I/F(108), 모뎀(111), USB I/F(115) 및 네트워크 I/F(118)를 구비한다.
CPU(102)은, ROM(104)의 프로그램 영역에 기억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RAM(103)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0)의 각 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각종 제어 프로그램은, 도시하지 않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에 기억된다.
인쇄부 I/F(106)는 인쇄부(107)(프린터 엔진)와의 인터페이스(I/F)이고, 판독부 I/F(108)는 판독부(109)(스캐너 엔진)와의 인터페이스이다. CPU(102)은, 판독부 I/F(108)를 거쳐 판독부(109)에서 입력된 판독 화상신호를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진 기록 화상신호를 인쇄부 I/F(106)를 거쳐 인쇄부(107)에 출력한다. 도시예에서는 판독부(109)와 인쇄부(107)를 화상 형성장치(100)에 내장하였지만, 이들 구성요소를 화상 형성장치(100)의 외부에 접속해도 된다.
CPU(102)은, ROM(104)의 폰트 영역에 기억된 폰트 정보를 사용해서 조작 패널(110)의 표시부에 문자나 기호 등을 표시하고, 또한, 유저의 지시에 따라 조작 패널(110)로부터 주어진 지시 정보를 받는다. ROM(104)은, CPU(102)에 의해 필요에 따라 판독 및/또는 갱신되는, 화상 형성장치(100)의 장치 정보, 유저의 전화번호부 정보, 부문 관리 정보 등이 기억된 데이터 영역을 갖는다.
모뎀(111)은, 회선 I/F(112)와 전화선(113)을 거쳐 공중회선망(114)과 접속되어, 도시하지 않은 다른 화상 형성장치, 팩시밀리 장치, 전화기 등과 통신할 수 있다.
USB I/F(115)는, USB 케이블(116)을 거쳐 PC 등의 외부장치(122)에 접속되고, 콘트롤러부(101)와 외부장치(122)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I/F(118)는, LAN 케이블(119) 등의 통신 케이블과 LAN 등의 네트워크(120)를 거쳐 인증 서버(121)에 접속되고, 콘트롤러부(101)와 인증 서버(121)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인증 서버(121)는, 유저의 어드레스를 각각 표시하는 목적지 정보 등의 유저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CPU(102)은, 인증한 유저와 관련된 목적지 정보를 인증 서버(121)로부터 취득한다. 이때, 유저의 어드레스 정보는 인증 서버에 유지되는 것 대신에 화상 형성장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장치(100)에 의해 송신시에 수행되는 송신 목적지 지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스캔 데이터를 메일로 송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화상 형성장치(100)의 조작 패널(110)에 표시되는 모드 선택 화면의 예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및 그 이외의 어드레스에의 송신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모드 선택 화면 상에서의 모드 선택에 응답하여 조작 패널(110)에 표시되는 송신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참조번호 201은, 화상 형성장치(100)의 모드들 중 어느 한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화면을 나타낸다. 화상 형성장치(100)에서는 각각의 모드마다 송신 설정이 등록되어 있다. 스캔 데이터의 메일 송신의 경우, 각각의 송신 설정에는, (어드레스 등)의 1개 이상의 송신 목적지와, 화상 판독 사이즈와 컬러 모드 등에 대한 화상처리 설정이 포함된다.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및 그 이외의 어드레스에의 송신이 허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드 선택 화면(201) 상에서 어느 한 개의 모드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송신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송신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모드 선택 화면(201) 상에서 "모드 1"이 선택된 경우에는, 모드 선택 화면(201)으로부터 송신 설정 화면 202로 표시가 전환된다. "모드 2"가 선택된 경우에는, 송신 설정 화면 203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송신 설정 화면 202에는, 표시 "목적지 수: 2"와 "To:a@abc.co.jp"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모드 1에 대응하는 송신 설정에 송신 목적지 "a@abc.co.jp"와 미도시의 송신 목적지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미도시의 송신 목적지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스크롤 버튼(202a)을 누른다.
송신 설정 화면 202에는, "판독 사이즈: A4"와 "컬러 모드: 컬러" 등의 표시가 표시되어 있다. 즉, 이들 표시의 내용이, 모드 1에 대한 화상처리 설정으로서 등록되어 있다. 이때, 화상처리 설정의 내용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신 설정 화면 203에는, 표시 "목적지 수: 1"과 "To:b@abc.co.jp"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모드 2"에 대응하는 송신 설정에 송신 목적지 "b@abc.co.jp"만 등록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모드 2"에 대한 화상처리 설정에는, "판독 사이즈: A4", "컬러 모드: 모노크롬" 등이 등록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유저는 모드 선택 화면(201) 상에서 원하는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0)에 등록된 송신 설정 중에서, 선택한 모드에 대응하는 송신 설정(송신 목적지와 화상처리 설정)을 판독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의 송신만이 허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드 선택 화면 상에서의 모드 선택에 응답하여 조작 패널(110)에 표시되는 송신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에서는, 송신 목적지 "b@abc.co.jp"을 갖는 유저가 화상 형성장치(100)의 유저 인증 기능에 의해 미리 인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를 소정의 목적지, 예를 들면 유저의 어드레스 등의 안전한 목적지로 제한해야 할 것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목적지 제한 정보가 ROM(104) 등에 보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예에서는, 송신 목적지를 유저의 어드레스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목적지 제한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모드 1에 대응하는 송신 설정에는, 목적지 "a@abc.co.jp"를 포함하는 2건의 송신 목적지가 등록되어 있다.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및 그 이외의 어드레스로의 송신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 설정에 등록된 2건의 송신 목적지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송신 설정 화면 202에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어드레스 "b@abc.co.jp"를 유저가 미리 인증되어 있고,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b@abc.co.jp"로 제한되어 있다. 즉,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의 송신만이 허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모드 선택 화면(201) 상에서 모드 1이 선택되면, 송신 설정에 등록되어 있었던 2건의 송신 목적지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b@abc.co.jp"로 고쳐 쓰여지고, 모드 선택 화면(201)으로부터 송신 설정 화면 302로 표시가 전환된다. 화면 302 상에는, 전환 후의 송신 목적지 "b@abc.co.jp"가 표시된다. 한편, 해당 모드 1에 대한 화상 처리 설정은 고쳐 쓰여지지 않는다. 즉, "판독 사이즈: A4"와 "컬러 모드: 컬러" 등의 설정 내용이 표시된다.
도 3에 나타낸 모드 선택 화면(201) 상에서 모드 2가 선택되면, 모드 선택 화면(201)으로부터 송신 설정 화면 303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모드 2에 대한 송신 설정에는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b@abc.co.jp"만 송신 목적지로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 목적지 "b@abc.co.jp"가 바꿔 쓰여지지 않고, 송신 설정 화면 303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인증된 유저는, 송신 설정 화면 302 또는 303 상에서 송신 목적지로서 안전한 목적지(예를 들면, 유저의 어드레스)를 선택함으로써 송신을 행함에 있어서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화상 형성장치(100)에 의해 행해지는 송신 목적지 지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다. 본 처리는, CPU(102)이 ROM(104)으로부터 판독한 해당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스텝 S401에서는, CPU(102)은, 조작 패널(110)에 모드 선택 화면(201)을 표시하고, 이 화면(201) 상에서 선택된 모드를 접수한다.
스텝 S402에서는, CPU(102)은,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송신 설정에 포함되어 있는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전체를 판독하고,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를 인증 서버(121)로부터 취득하거나, 또는, 유저 인증시에 인증 서버(121)로부터 이미 취득해서 RAM(103) 등에 기억한 유저의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다음에, CPU(102)은, 송신 설정에 포함되어 있는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전체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와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02)은,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전체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스텝 S402에서 YES), 스텝 S405로 진행한다. 한편, 1 이상의 송신 목적지 중 어느 한 개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스텝 S402에서 NO), CPU(102)가 스텝 S4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3에서는, CPU(102)은,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제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전술한 목적지 제한 정보를 참조해서 판정한다.
CPU(102)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이외의 어드레스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스텝 S403에서 NO), 스텝 S405로 진행한다. 한편,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스텝 S403에서 YES), CPU(102)은 스텝 S404로 진행하여, CPU(102)은 송신 설정에 등록되어 있는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각각을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고쳐 쓴다.
스텝 S405에서는, CPU(102)은,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송신 설정(송신 목적지 및 화상처리 설정)을 조작 패널(110)에 표시하게 한다. 스텝 S406에서는, CPU(102)은, 조작 패널(110)을 거쳐 유저에 의해 주어진 송신 개시 지시를 대기한다. 송신 개시 지시가 주어진 경우, 스텝 S407에 있어서 송신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제한되고, 송신 설정에 등록된 1 이상의 송신 목적지 중 어느 한 개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에는, 송신 설정에 등록된 1 이상의 송신 목적지 전체를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고쳐 쓴다. 이에 따라, 송신 목적지를 안전한 목적지(예를 들면,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제한해서 시큐리티를 향상시키는 경우에도, 송신 설정을 이용함에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제2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는, 송신 설정의 송신 목적지를 유저의 어드레스로 고쳐 쓸 것인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확인 및 선택시키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다. 양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점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송신 목적지 지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다. 본 처리는, CPU(102)이 ROM(104)으로부터 판독한 해당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5의 스텝 S501∼S503에 있어서, CPU(102)은, 도 4의 스텝 S401∼S403에서 행해진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CPU(102)은, 모드 선택 화면(201) 상에서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송신 설정에 포함되어 있는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각각이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와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판별 결과가 YES이면, 스텝 S50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504에서는, CPU(102)은, 송신 설정의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각각을 안전한 목적지, 예를 들면 유저의 어드레스로 고쳐 쓸 것인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도 6에 나타낸 확인 선택 화면(601)을 조작 패널(110)에게 표시하게 한다. 확인 선택 화면(601)에는, "YES" 버튼(602)과 "NO" 버튼(603)이 표시된다.
스텝 S505에서는, CPU(102)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송신 설정에 있어서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고쳐 쓰기를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확인 선택 화면(601) 상의 "NO" 버튼(603)이 눌러졌을 때에는,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고쳐 쓰기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해서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확인 선택 화면(601) 상의 "YES" 버튼(602)이 눌러졌을 때에는,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고쳐 쓰기를 행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 S5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506∼S509에서는, CPU(102)은, 도 4의 스텝 S404∼S407에서 행해진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신 설정의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각각을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스텝 S506에서 고쳐 쓴 후, 또는 스텝 S502에서의 판별 결과가 YES 또는 스텝 S503에서의 판별 결과가 NO인 경우, 송신 설정을 조작 패널(110)에 표시하고, 송신 개시 지시에 응답하여 송신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송신 설정의 1 이상의 송신 목적지를 유저의 어드레스 등으로 고쳐 쓸 것인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선택하게 함으로써 소망하지 않는 목적지로의 의도하지 않은 송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0)에 등록된 송신 설정의 1 이상의 송신 목적지 중 어느 한개가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에,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각각을 유저의 어드레스로 고쳐 쓰도록 하였다. 그러나, 송신 목적지를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고쳐 쓰는 것을 허용할 것인지 금지할 것인지를 설정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 등의 안전한 목적지 이외의 목적지로의 송신을 금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송신 설정에 따라 송신에 사용가능한 목적지가 안전한 목적지(예를 들면,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제한되고, 송신 설정에 등록된 1 이상의 송신 목적지 중 어느 한개가 예를 들면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에는, 1 이상의 송신 목적지의 각각을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로 고쳐 쓰도록 하였다. 그렇지만, 송신 설정에 등록된 복수의 송신 목적지에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적어도 한 개의 목적지가 포함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해당 인증된 유저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상기한 적어도 한 개의 목적지 만을 송신 설정에 남기고,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송신 목적지를 송신 설정으로부터 삭제하도록 하여도 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예를 들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본 출원은 2013년 6월 24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131612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내용을 참조를 위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8)

  1. 화상 데이터를 송신 목적지에 송신하기 위한 목적지 및 송신 설정이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모드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과,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 및 상기 송신 설정을 판독 및 설정하는 설정 유닛과,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송신 설정에 따라서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과,
    인증된 유저의 목적지 이외의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금지하는 금지 유닛과,
    상기 금지 유닛에 의해 금지된 상기 목적지에의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를 상기 인증된 유저의 목적지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유닛은 복수의 송신 모드를 기억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 모드의 각각에, 상기 송신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목적지 및 송신 설정이 등록되는, 화상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설정 유닛이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 및 상기 송신 설정을 판독 및 설정할 때,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를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목적지로 변경하는, 화상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를 변경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를 변경하도록 선택되는 경우,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를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목적지로 변경하는, 화상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송신 모뎀에 복수의 목적지가 등록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하나의 목적지가 인증 유닛에 의해 인증된 상기 유저의 목적지와 다른 경우, 상기 금지 유닛에 의해 금지된 상기 목적지에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하나의 목적지를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목적지로 변경하는, 화상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송신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송신 설정에 따라서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화상 처리장치.
  7. 화상 데이터를 송신 목적지에 송신하기 위한 목적지 및 송신 설정이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모드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 및 상기 송신 설정을 판독 및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되는 상기 송신 설정에 따라서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되는 상기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와,
    인증된 유저의 목적지 이외의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금지하는 금지 단계와,
    상기 금지 단계에서 금지된 상기 목적지에의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를 상기 인증된 유저의 목적지로 변경하는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화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화상 데이터를 송신 목적지에 송신하기 위한 목적지 및 송신 설정이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모드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 및 상기 송신 설정을 판독 및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되는 상기 송신 설정에 따라서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되는 상기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와,
    인증된 유저의 목적지 이외의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금지하는 금지 단계와,
    상기 금지 단계에서 금지된 상기 목적지에의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모드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를 상기 인증된 유저의 목적지로 변경하는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140070580A 2013-06-24 2014-06-11 송신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KR101711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1612 2013-06-24
JP2013131612A JP6195356B2 (ja) 2013-06-24 2013-06-24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09A KR20150000409A (ko) 2015-01-02
KR101711806B1 true KR101711806B1 (ko) 2017-03-03

Family

ID=5211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580A KR101711806B1 (ko) 2013-06-24 2014-06-11 송신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263983B2 (ko)
JP (1) JP6195356B2 (ko)
KR (1) KR101711806B1 (ko)
CN (1) CN1042437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6337B2 (ja) * 2015-09-15 2020-04-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68336A (ja) 2017-10-03 2019-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9011A1 (en) * 2003-07-09 2005-02-17 Tetsuya Kagawa Internet facsimile apparatus
JP2005045759A (ja) 2003-07-09 2005-02-17 Ricoh Co Ltd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6101484A (ja) * 2004-08-30 2006-04-13 Canon Inc 画像送信装置および画像送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961A (en) * 1989-04-05 1991-05-28 Cadware, Inc.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logical modelling
US6330080B1 (en) 1997-11-05 2001-12-11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3884862B2 (ja) * 1998-04-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
US6377990B1 (en) * 1998-06-15 2002-04-23 Lodgenet Entertainment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internet access from locations different from those for which the user's software was configured
US6226677B1 (en) * 1998-11-25 2001-05-01 Lodgenet Entertainment Corporation Controlled communications over a global computer network
US6339685B1 (en) * 1999-07-15 2002-01-1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with sheet size detection and conveyance or processing featur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heet processing method, image formation apparatus, image formation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related thereto
JP2002027210A (ja) 2000-07-03 2002-01-25 Sharp Corp 画像通信装置
JP4701308B2 (ja) 2004-08-30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143626A1 (en) * 2005-12-20 2007-06-21 Kyocera Mita Corporation Data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curity
US20070143827A1 (en) * 2005-12-21 2007-06-21 Fiberlink Methods and systems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access to computing resources
JP2009171309A (ja) * 2008-01-17 2009-07-30 Sharp Corp 画像通信装置
JP5300367B2 (ja) * 2008-08-08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18313B2 (ja) * 2009-07-21 2013-06-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利用システム、画像データ生成方法
JP5683128B2 (ja) 2010-04-28 2015-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39511B2 (ja) 2011-03-18 2014-12-10 株式会社沖データ 情報処理装置、複合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8572707B2 (en) * 2011-08-18 2013-10-29 Teletech Holdings, Inc. Multiple authentication mechanisms for accessing service center supporting a variety of produc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9011A1 (en) * 2003-07-09 2005-02-17 Tetsuya Kagawa Internet facsimile apparatus
JP2005045759A (ja) 2003-07-09 2005-02-17 Ricoh Co Ltd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6101484A (ja) * 2004-08-30 2006-04-13 Canon Inc 画像送信装置および画像送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3766B (zh) 2018-02-06
JP2015005949A (ja) 2015-01-08
KR20150000409A (ko) 2015-01-02
US20140380430A1 (en) 2014-12-25
US10637859B2 (en) 2020-04-28
CN104243766A (zh) 2014-12-24
US20200220871A1 (en) 2020-07-09
US10263983B2 (en) 2019-04-16
US11522853B2 (en) 2022-12-06
US20190207939A1 (en) 2019-07-04
JP6195356B2 (ja)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801B1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933213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85411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transmit image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115333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6004404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5228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nsmiss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8854649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7995385B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US105605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function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950987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50121509A1 (en) Display apparatus that displays one-time password
US9060066B2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60255215A1 (en) Function provid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using functions provided by server
JP201617770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942439B2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612731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メモリ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44163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724894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ホーム画面表示プログラム
US9641709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a display section on which screens are displaye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at stores a display control program
JP6323014B2 (ja) 画像処理装置
JP202014556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4469053A (zh)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