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408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408B1
KR101711408B1 KR1020117014532A KR20117014532A KR101711408B1 KR 101711408 B1 KR101711408 B1 KR 101711408B1 KR 1020117014532 A KR1020117014532 A KR 1020117014532A KR 20117014532 A KR20117014532 A KR 20117014532A KR 101711408 B1 KR101711408 B1 KR 101711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pindle
branch processing
threshing devic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769A (ko
Inventor
코우지 카미쿠보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2Arrangements for returning unthreshed grain to the threshing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요동 선별반(27) 중 급동(26)의 회전 하류측의 일측 부근에 탈곡물 및 2번물이 집중해서 퇴적되기 쉬운 문제를 해소한 콤바인을 제공한다.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5) 또는 요동 선별반(27)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60)의 이송 종단측에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로부터 탈곡 장치(5) 내로 면하는 2번물 방출부(83)를 측면으로 바라봐서 탈곡 장치(5) 내에 있는 급동(26)의 하면에 대해서 상하로 걸쳐지도록 개구시킨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원 발명은 예취된 곡간을 탈곡해서 탈곡물로부터 정립(精粒)을 선별ㆍ수집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은 엔진이 탑재된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를 지지하는 좌우의 주행부로서의 주행 크롤러 등과, 조종 핸들 및 운전 좌석을 갖는 운전부와, 포장(圃場)의 미수확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포장의 미수확 곡간을 연속적으로 예취해서 탈곡하고, 곡립을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요동 선별반(選別盤)으로부터 2번 컨베이어에 의해 인출된 2번물(이삭가지를 가진 곡립이나 이삭이 떨어진 알맹이 등)을 환원통을 경유해서 요동 선별반에 환원시키도록(리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환원통의 이송 종단측에 이삭가지 처리 기구를 배치하고, 이삭가지 처리 기구에 의해 2번물을 처리하고나서 요동 선별반에 2번물을 리턴시키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탈곡 장치의 측방에 요동 선별반 하방의 1번 컨베이어로부터 1번물(탈곡 후의 정립)을 인출하는 양곡통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요동 선별반의 후방부 하방측에서 1번 컨베이어보다 후방에 배치된 2번 컨베이어의 이송 종단측에 환원통이 접속되어 있다. 환원통은 양곡통이 배치되는 측의 탈곡 장치의 측방에서 양곡통의 후방으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곡통과 환원통은 측면으로 바라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이삭가지 처리 기구를 구성하는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는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처리 케이스 내에는 2번물을 처리하는 이삭가지 처리동(處理胴)이 좌우 방향으로 긴 축선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111057 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이삭가지 처리 기구로부터 리턴되는 2번물의 이송 및 분산은 주로 요동 선별반의 요동 운동에 의해 행해진다. 이삭가지 처리 기구의 개구 방향과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 방향의 관계상,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에 따른 기풍(起風) 또는 2번물의 방출은 급동에 의해 탈곡된 탈곡물을 요동 선별반 상에 분산시키는데에 거의 기여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 기구로부터의 2번물은 이삭가지 처리 기구의 방출구의 바로밑에 편중되기 쉽다. 아울러, 탈곡 장치의 급동에 의해 탈곡된 탈곡물은 요동 선별반의 좌우 중앙부보다 급동의 회전 하류측의 일측 부근에 편중해서 낙하되기 쉽다. 따라서, 요동 선별반 중 급동의 회전 하류측의 일측 부근(방출구의 바로밑 부근)에서는 탈곡물 및 2번물이 집중해서 퇴적되기 쉽고 요동 선별반에 있어서의 탈곡물 및 2번물의 선별 처리 능력이 저하되어 3번 손실(요동 선별반으로부터 포장으로 곡립이 방출되는 손실), 또는 요동 선별반의 선별 불량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상황을 개선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 또는 요동 선별반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의 이송 종단측에 상기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로부터 상기 탈곡 장치 내로 면하는 2번물 방출부를 측면으로 바라봐서 상기 탈곡 장치 내에 있는 급동의 하면에 대해서 상하로 걸쳐지도록 개구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는 전고후저(前高後低)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에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가 상기 2번물 방출부를 통해서 상기 탈곡 장치에 연통하고 있고, 상기 급동에 의해 탈곡된 탈곡물의 이동 방향과 상기 2번물 방출부로부터의 2번물의 이동 방향이 마주 향하도록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 방향이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2번 환원 기구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환원통과, 상기 환원통 내에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환원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환원통의 전방부 하측에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축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은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 또는 요동 선별반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의 이송 종단측에 상기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에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에 부착된 고정 케이스와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개폐 회동 가능한 가동 케이스에 의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을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은 상기 가동 케이스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 케이스와 함께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가동 케이스를 개폐 회동시킬 수 있는 록킹 해제 상태와 개폐 회동 불가능으로 유지하는 록킹 상태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2번 환원 기구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환원통과, 상기 환원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환원 컨베이어를 갖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을 갖고 있고,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축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이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축의 일단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된 전동차(傳動車)와, 이들 전동차에 감아 걸어진 무단 벨트를 구비하고, 전동차와 무단 벨트를 구동 케이스에 조립하고, 상기 환원통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에 상기 구동 케이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에 부착된 고정 케이스와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개폐 회동 가능한 가동 케이스에 의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을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 케이스는 상기 가동 케이스와 함께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구동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기 양 전동차 및 상기 무단 벨트를 덮는 케이스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원통의 이송 종단측과 상기 가동 케이스에 상기 케이스 본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기 케이스 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에 의하면,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 또는 요동 선별반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의 이송 종단측에 상기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로부터 상기 탈곡 장치 내로 면하는 2번물 방출부를 측면으로 바라봐서 상기 탈곡 장치 내에 있는 급동의 하면에 대해서 상하로 걸쳐지도록 개구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급동으로부터의 탈곡물의 비산 방향과 상기 2번물 방출부로부터의 2번물의 비산 방향을 상기 요동 선별반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서 교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동 선별반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서 탈곡물과 2번물을 충돌시켜서 이들을 확산(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요동 선별반에 있어서의 상기 급동의 회전 하류측의 일측 부근(상기 2번물 방출부의 바로밑 부근)에 탈곡물 및 2번물이 집중해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 선별반 상을 요동 이동하는 탈곡물 및 2번물을 상기 요동 선별반의 좌우 폭방향으로 확산(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요동 선별반에서의 탈곡물 및 2번물의 선별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에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가 상기 2번물 방출부를 통해서 상기 탈곡 장치에 연통하고 있고, 상기 급동에 의해 탈곡된 탈곡물의 이동 방향과 상기 2번물 방출부로부터의 2번물의 이동 방향이 마주 향하도록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 방향이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에 의한 2번물의 방출 방향과 상기 2번물 방출부의 개구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을 이용해서 상기 요동 선별반 중 상기 2번물 방출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까지 상기 2번물 방출부로부터의 2번물을 분산시켜 방출할 수 있어 상기 요동 선별반에서의 선별 처리 능력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동 선별반에서의 선별 처리 능력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별 처리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상기 요동 선별반의 전후 길이의 단축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탈곡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2번 환원 기구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환원통과, 상기 환원통 내에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환원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환원통의 전방부 하측에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축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은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 방향의 길이를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르게 해서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재탈곡을 위해서 2번물이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를 이동하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에 의한 2번물의 재탈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 또는 요동 선별반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의 이송 종단측에 상기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에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에 부착된 고정 케이스와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개폐 회동 가능한 가동 케이스에 의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을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 상기 가동 케이스를 개방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의 짚 막힘의 제거라는 유지 보수 작업시에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를 분해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은 상기 가동 케이스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 케이스와 함께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에서 짚 막힘이 발생된 경우에 구동 부재인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이 상기 가동 케이스의 개폐에 의해 움직여지게 되어 짚 막힘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이 상기 가동 케이스측에 있기 때문에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교환 작업 등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동 케이스를 개폐 회동시킬 수 있는 록킹 해제 상태와 개폐 회동 불가능으로 유지하는 록킹 상태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공구가 불필요한 스위칭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케이스를 록킹 해제 상태와 록킹 상태로 원터치적 조작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가령, 포장에서의 수확 작업중에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의 짚 막힘 등이 발생된 경우이여도 유지 보수 작업을 그 자리에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2번 환원 기구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환원통과, 상기 환원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환원 컨베이어를 갖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을 갖고 있고,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축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이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축의 일단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된 전동차와, 이들 전동차에 감아 걸어진 무단 벨트를 구비하고, 전동차와 무단 벨트를 구동 케이스에 조립하고, 상기 환원통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에 상기 구동 케이스를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 동력을 상기 구동 케이스 내의 전동 부재(상기 양 전동차 및 상기 무단 벨트)를 통해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에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에 부착된 고정 케이스와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개폐 회동 가능한 가동 케이스에 의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을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 케이스는 상기 가동 케이스와 함께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 케이스는 상기 환원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에 동력 전달하는 부재이면서 상기 가동 케이스의 개폐의 방해로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 케이스가 상기 가동 케이스측에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 케이스 내에 있는 전동 부재(상기 양 전동차 및 상기 무단 벨트)의 교환 작업 등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기 양 전동차 및 상기 무단 벨트를 덮는 케이스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원통의 이송 종단측과 상기 가동 케이스에 상기 케이스 본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기 케이스 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고, 상기 양 전동차 및 상기 무단 벨트를 장착한 상태의 상기 구동 케이스를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의 구동 유닛으로서 간단히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케이스 내의 전동 부재(상기 양 전동차 및 상기 무단 벨트)의 조립ㆍ분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탈곡 장치의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탈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탈곡 장치에 있어서의 선별 기구의 좌측 단면도이다.
도 7은 급동과 요동 선별반과 이삭가지 처리 기구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이삭가지 처리 기구의 폐지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이삭가지 처리 기구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이삭가지 처리동에 대한 구동 계통의 별도 예를 나타내는 탈곡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동일하게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1). 콤바인의 전체 구조
우선, 주로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콤바인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콤바인은 좌우 1쌍의 주행 크롤러(2)(주행부)에 의해 지지된 주행기체(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기체(1)의 전방부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수확하는 4조(條) 예취용의 예취 장치(3)가 단동식(單動式)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4a) 주위에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주행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을 갖는 탈곡 장치(5)와, 탈곡 후의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가 가로 배열 형상으로 탑재되어 있다. 탈곡 장치(5)가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곡립 탱크(7)가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7)의 하방[주행기체(1)의 상면측]에 벼 수용대(8)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7) 내의 곡립은 곡립 탱크(7) 하면측의 벼 배출구(9)로부터 벼 수용대(8) 상의 벼 포대(도시 생략)에 배출된다. 예취 장치(3)의 우측이고 곡립 탱크(7)의 전방측에는 운전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0)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발판(11)과 운전 좌석(12)이 배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12) 전방의 핸들 칼럼(13)에 조종용의 좌우 사이드 클러치 레버(14,15)가 배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12) 좌측의 레버 칼럼(16)에 주행 변속 레버(17)와,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 조작용의 작업 클러치 레버(18)가 배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12)의 하방에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20)이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21)을 배치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21)에는 주행 크롤러(2)에 엔진(2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22)과, 주행 크롤러(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23)와,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24)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전방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후방측을 지지하며,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3)의 예취 회동 지점축(4a)에 연결한 예취 프레임(221)의 하방에는 포장의 미수확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바리캉식의 예취날 장치(222)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221)의 전방에는 포장의 미수확 곡간을 일으키는 4조분의 곡간 일으킴 장치(223)가 배치되어 있다. 곡간 일으킴 장치(223)와 피드 체인(6)의 전방부(이송 시단측) 사이에는 예취날 장치(222)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2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곡간 일으킴 장치(223)의 하부 전방에는 포장의 미수확 곡간을 분초하는 4조분의 분초체(225)가 돌출되어 있다. 엔진(20)에 의해 주행 크롤러(2)를 구동해서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예취 장치(3)를 구동해서 포장의 미수확 곡간을 연속적으로 예취하게 된다.
도 1, 도 2 및 도 4~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에는 곡간 탈곡용 급동(26)과, 급동(26)의 하방으로 낙하되는 탈립물을 선별하는 요동 선별 기구로서의 요동 선별반(27)과, 요동 선별반(27)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 팬(28)과, 요동 선별반(27)의 후방부의 배진을 기체 밖으로 배출하는 배진 팬(dust exhaust fan)(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동(26)을 회전시키는 급동축(26a)은 피드 체인(6)에 의한 곡간의 반송 방향[환언하면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급동(26)은 하측 탈곡식의 것이다. 탈곡 장치(5)의 외형을 구성하는 탈곡기 하우징(55)의 앞면측에 급동축(26a)의 전단측을 연장시키고, 급동축(26a)의 전단측에 베벨 기어 기구(46), 급동 구동축(47) 및 풀리(48)ㆍ벨트(49) 등의 전동계를 통해서 엔진(20)의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급동(26)은 도 5 및 도 7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장치(3)로부터 곡간 반송 장치(224)에 의해 반송된 곡간의 밑동측은 피드 체인(6)에 이어받아져 협지 반송된다. 그리고, 곡간의 이삭끝측이 탈곡 장치(5)의 급실(26b) 내로 반입되고, 도 5 및 도 7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급동(26)에 의해 탈곡되게 된다.
도 1~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6)의 후단측(이송 종단측)에는 짚 배출 체인(34)이 배치되어 있다. 피드 체인(6)의 후단측으로부터 짚 배출 체인(34)에 이어받어진 배출 짚(곡립이 탈립된 곡간)은 긴 상태로 주행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탈곡 장치(5)의 후방측에 설치한 배출 짚 커터(35)에 의해 적절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후 주행기체(1)의 후방 하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27)의 하방측에는 요동 선별반(27)에 의해 선별된 곡립(1번물)을 인출하는 1번 컨베이어(31) 및 1번 홈통(31a)과, 이삭가지를 가진 곡립 등의 2번물을 인출하는 2번 컨베이어(32) 및 2번 홈통(32a)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양 컨베이어(31,32)는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전방측으로부터 1번 컨베이어(31), 2번 컨베이어(32)의 순서로 측면으로 바라봐서 주행기체(1)의 상면측 중 주행 크롤러(2)의 후방부 상방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27)은 급동(26)의 하방에 장설(張設)된 수망(26c)으로부터 누하된 탈곡물이 요동 선별반(27)의 피드 팬(feed pan)(271) 및 채프 시브(chaff sieve)(272)에 의해 요동 선별(비중 선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피드 팬(271)은 전방부 우측[이송 시단측 중 곡립 탱크(7) 부근의 부위]으로부터 후방부 좌측[이송 종단측 중 피드 체인(6) 부근의 부위]을 향해 후방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진 판형상의 것이다. 상기 경사면에 의해서 급동(26)에서 탈곡된 탈곡물이 피드 팬(271) 상을 피드 체인(6)측으로 구르게(확산되게) 된다.
요동 선별반(27)의 그레인 시브(grain sieve)(273)로부터 낙하된 곡립(1번물)은 그 곡립 중의 분진이 풍구 팬(2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고, 1번 컨베이어(31)에 낙하되게 된다. 1번 컨베이어(31) 중 탈곡 장치(5)[탈곡기 하우징(55)]의 곡립 탱크(7) 부근의 하부측벽(55a)(우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종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곡통(33)이 연통 접속되어 있다. 1번 컨베이어(31)로부터 인출된 곡립은 양곡통(33) 내에 설치된 양곡 컨베이어(33a)에 의해 곡립 탱크(7)에 반입되어 곡립 탱크(7)에 수집되게 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채프 시브(272)의 이송 하류측(후방측)에 스트로 랙(straw rack)(274)이 배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반(27)은 요동 선별(비중 선별)에 의해 채프 시브(272) 또는 스트로 랙(274)으로부터 이삭가지를 가진 곡립 등의 2번물(곡립과 짚 부스러기 등이 혼재한 재선별용의 환원 재처리물)을 2번 컨베이어(32) 및 2번 홈통(32a)에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2번 컨베이어(32)에 의해 인출된 2번물은 후술하는 2번 환원 기구(60) 및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를 통해서 피드 팬(271)의 상면측으로 리턴되어 재선별되게 된다.
또한, 채프 시브(272) 및 스트로 랙(274)의 상면측의 비교적 가벼운 짚 부스러기는 배진 팬(30)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흡인구(30a)에 흡입되어 후방측의 배출구(30b)로부터 기체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채프 시브(272)의 이송 하류측(후방측)으로부터 스트로 랙(274)의 상면측으로 이동한 비교적 무거운 짚 부스러기는 요동 선별반(27)에 있어서의 후단측의 3번구(三番口)(36)로부터 기체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27)은 탈곡 장치(5)의 외형을 구성하는 탈곡기 하우징(55)에 요동 구동축(56)과, 전방측 가이드 레일(57) 및 후방측 가이드 레일(58)을 통해서 전방 비스듬히 아래쪽 내지 후방 비스듬히 위쪽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요동 구동축(56)을 통해서 요동 선별반(27)이 작동하고, 요동 선별반(27)이 전방 비스듬히 아래쪽 내지 후방 비스듬히 위쪽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급동(26)의 하방에 장설된 수망(26c)으로부터 누하된 탈립물이 피드 팬(271) 및 채프 시브(272)에 의해 요동 선별(비중 선별)되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기 하우징(55)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7) 부근의 하부측벽(55a)(오른쪽 하부측벽)의 내측면에 근접시켜서 요동 선별반(27)의 우측 프레임판(27a)을 대치시키고 있다. 우측 프레임판(27a)의 상단측에 합성수지성의 탄성 시일재(50)의 일단측을 고착하고, 하부측벽(55a)의 내측면에 탄성 시일재(50)의 타단측을 탄압시키고 있다. 하부측벽(55a)과 우측 프레임판(27a)의 간극을 탄성 시일재(50)로 폐색함으로써 요동 선별반(27)의 상면측의 미선별물(탈립물)이 하부측벽(55a)과 우측 프레임판(27a)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풍구 팬(28)의 풍구 팬 케이스(28a)에는 그레인 시브(273)의 하면측과 1번 컨베이어(31) 및 1번 홈통(31a)의 상방을 향해서 풍구 팬(28)의 선별풍을 공급하는 주선별 풍로(41)와, 피드 팬(271)의 하면측으로부터 채프 시브(272)의 하면측을 향해서 풍구 팬(28)의 선별풍을 공급하는 프리(pre) 풍로(4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주선별 풍로(41)는 풍구 팬(28)으로부터의 선별풍이 그레인 시브(273)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그레인 시브(273)의 후방 상측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주선별 풍로(41)는 풍구 팬(28)으로부터의 선별풍이 1번 컨베이어(31) 및 1번 홈통(31a)의 상방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그레인 시브(273)로부터 1번 컨베이어(31) 및 1번 홈통(31a)으로 낙하되는 곡립 및 먼지는 풍구 팬(2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선별된다. 그 결과, 먼지가 제거된 후의 곡립만이 1번 컨베이어(31) 및 1번 홈통(31a)으로 낙하되어 1번 컨베이어(31)에 의해 곡립 탱크(7)로 인출되게 된다.
상술한 프리 풍로(42)는 풍구 팬(28)으로부터의 선별풍이 채프 시브(272)의 전방 하방으로부터 후방 상방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급동(26)으로부터 수망(26c)을 통해서 피드 팬(271)의 상면에 낙하된 탈립물이 피드 팬(271)의 후단측으로부터 채프 시브(272)의 전단측으로 낙하될 때에 풍구 팬(2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선별된다. 그 결과, 피드 팬(271)으로부터 채프 시브(272)의 상면으로 이동한 탈립물 중 채프 시브(272)의 상면에 가까운 탈립물의 하층측의 짚 부스러기(경량물)가 선별풍에 의해 상층측으로 이동되어 채프 시브(272)로부터 낙하되는 짚 부스러기량이 저감되게 된다.
또한, 채프 시브(272)의 비중 선별 작용과 풍구 팬(28)으로부터의 선별풍의 선별에 의해 탈립물의 상층측의 곡립(중량물)이 하층측으로 이동해서 채프 시브(272)로부터 조기에 누하되게 된다. 채프 시브(272)의 비중 선별 작용은 풍구 팬(2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조장되어 그 선별 처리 능력(선별 정밀도)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주선별 풍로(41)와 프리 풍로(42)로부터 공급된 풍구 팬(28)의 선별풍은 상술한 배진 팬(30)의 배진 흡인구(30a)에 흡입되어 배출구(30b)로부터 배출되거나 3번구(36)로부터 탈곡기 하우징(55)의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하기 때문에, 급동(26)으로부터의 탈립물 중의 짚 부스러기 및 분진 등은 탈곡기 하우징(55)의 후방부로부터 포장을 향해 배출되게 된다.
(2). 2번 환원 기구 및 이삭가지 처리 기구의 구조
이어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2번 환원 기구(60) 및 이삭가지 처리 기구(6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2번 환원 기구(60)는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5) 또는 요동 선별반(27)으로 리턴시키기 위한 것이다. 2번 환원 기구(60)의 이송 종단측에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61)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2번 환원 기구(60)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탈곡 장치(5)의 하부측벽(55a)을 따라 연장되는 환원통(62)과, 환원통(62) 내에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환원 컨베이어(63)를 구비하고 있다. 2번 컨베이어(32) 중 탈곡기 하우징(55)의 곡립 탱크(7) 부근의 하부측벽(55a)(오른쪽 하부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이송 종단부에 전방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는 환원 컨베이어(63)의 이송 시단측(하단측)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탈곡기 하우징(55)에 있어서의 하부측벽(55a)의 외면에는 이어받기 케이스(65)가 배치되어 있다. 이어받기 케이스(65)의 상향 개구측에 환원통(62)의 하단측이 연결되어 있다. 탈곡기 하우징(55)의 하부측벽(55a)의 외면을 따르게 해서 환원통(62)이 전고후저 형상의 경사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환원통(62)과 양곡통(33)은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7) 사이에 있어서 측면으로 바라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환원통(62)은 양곡통(33)에 대해서 탈곡기 하우징(55)의 하부측벽(55a)에 가까운 측에 오프셋시켜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환원통(62)이 정면으로 바라봐서 탈곡기 하우징(55)의 하부측벽(55a)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양곡통(33)이 곡립 탱크(7)에 가까운 측[하부측벽(55a)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고 있다.
2번 컨베이어(32)에 있어서의 2번 컨베이어 축(32b)의 우측단측과 환원 컨베이어(63)에 있어서의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하단측이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해서 이어받기 케이스(6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2번 컨베이어 축(32b)의 우측단측에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하단측이 베벨 기어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이송 종단측(상단측)은 환원통(62)의 이송 종단면(상단면)을 덮는 구동 케이스(87)의 케이스 본체(9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채프 시브(272)나 스트로 랙(274)으로부터 2번 컨베이어(32) 및 2번 홈통(32a)에 누하된 2번물은 2번 컨베이어(32)로부터 환원 컨베이어(63)로 이어받어진다. 환원 컨베이어(63)에 이어받어진 2번물은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이송 종단측에 설치된 긁어내기 날개(63b)에 의해 환원 컨베이어(63)로부터 후술하는 이삭가지 처리동(82)으로 이어받어지게 된다.
환원통(62)의 이송 종단측과 탈곡기 하우징(55)의 상부측벽(55b)은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를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탈곡기 하우징(55)의 상부측벽(55b)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에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82)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2)는 환원통(62)의 이송 종단측의 하부(전방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가지 처리동(82)에 있어서의 전고후저 형상의 처리동 회전축(82a)과 환원 컨베이어(63)의 회전축인 환원 컨베이어 축(63a)은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중 탈곡기 하우징(55) 부근의 좌측면의 하부[후술하는 고정 케이스(85)의 하부]에는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로부터 탈곡 장치(5) 내로 면하는 2번물 방출부(8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기 하우징(55)의 상부측벽(55b)에는 측면으로 바라봐서 급동(26)의 하면 전방부에 대해서 상하에 걸쳐져서 개구된 감합 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2번물 방출부(83)는 상부측벽(55b)의 감합 구멍(84)에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있다. 2번물 방출부(83)는 측면으로 바라봐서 급동(26)의 하면 전방부에 대해서 상하로 걸쳐지도록 수망(26c)의 이면측을 향해서 개구하고 있다(도 4 및 도 6 참조). 즉,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는 2번물 방출부(83)를 통해서 탈곡 장치(5)에 연통하고 있고, 2번물 방출부(83)로부터 피드 팬(271)의 상면 전방부측을 향해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의 2번물이 방출되게 된다.
그 결과, 도 5 및 도 7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급동(26)의 하측에서 탈곡된 탈곡물이 피드 팬(271) 상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비산되는 것에 대해서 2번물 방출부(83)로부터 방출된 2번물은 피드 팬(271)의 상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비산된다. 즉, 급동(26)으로부터의 탈곡물의 비산 방향[피드 체인(6)측으로부터 곡립 탱크(7)측을 향하는 방향]과 2번물 방출부(83)로부터의 2번물의 비산 방향[곡립 탱크(7)측으로부터 피드 체인(6)측을 향하는 방향]은 피드 팬(271)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서 교차하게 된다.
따라서, 피드 팬(271)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서 탈곡물과 2번물을 충돌시켜서 이들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피드 팬(271)의 우측[급동(26)의 회전 하류측의 일측 부근, 2번물 방출부(83)의 바로밑 부근]에 탈곡물 및 2번물이 집중해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 팬(271)으로부터 채프 시브(272)로 요동 이동하는 탈곡물 및 2번물을 채프 시브(272)의 좌우 폭방향으로 확산(분산)시킬 수 있어 채프 시브(272)에서의 선별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는 탈곡기 하우징(55)의 상부측벽(55b)에 부착된 고정 케이스(85)와 2번 환원 기구(60) 주위에서 개폐 회동 가능한 가동 케이스(86)에 의해 이삭가지 처리동(82)을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다. 고정 케이스(85)와 가동 케이스(86)를 감합시킨 폐지 상태(도 8 참조)에서는 이들 케이스(85,86)의 쌍[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은 상향으로 개구한 통형상(상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양 케이스(85,86)의 상향 개구측은 구동 케이스(87)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좌측을 구성하는 고정 케이스(85)는 탈곡기 하우징(55)의 상부측벽(55b)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고정 케이스(85)의 하부에 상부측벽(55b)의 감합 구멍(84)에 외측으로부터 끼우는 2번물 방출부(83)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케이스(86) 중 2번 환원 기구(60) 부근의 끝부는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이송 종단측에 설치된 긁어내기 날개(63b)의 외주측을 둘러싸는 U자 커버(88)의 일단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U자 커버(88)의 하단측에는 환원 컨베이어 축(63a)을 관통시킨 통 플랜지(89)가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통 플랜지(89) 중 하향으로 돌출되는 링부(90)는 환원통(62)의 이송 종단부(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U자 커버(88)의 상단측과 가동 케이스(86)의 상단측에 구동 케이스(87)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91)가 볼트 체결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91) 중 U자 커버(88)측의 부위에는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이송 종단측(상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통 플랜지(89)의 링부(90)를 환원통(62)의 이송 종단부(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는 것과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이송 종단측(상단측)을 케이스 본체(9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것에 의해 가동 케이스(86)가 구동 케이스(87)와 함께 2번 환원 기구(60) 주위[환원 컨베이어 축(63a) 주위]에서 개폐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케이스(85)와 가동 케이스(86)를 감합시킨 폐지 상태에서는 환원통(62)의 이송 종단측의 U자 커버(88)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양 케이스(84,85)]의 상부측이 연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U자 커버(88)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상부측은 전방 비스듬히 하향의 연통로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환원 컨베이어(63)에 이어받어진 2번물은 측면으로 바라봐서 U턴 형상으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로 이송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물을 재탈곡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동(82)은 환원 컨베이어 축(63a)과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는 전고후저 형상의 처리동 회전축(82a)을 구비하고 있다. 처리동 회전축(82a)의 하단측은 가동 케이스(86)의 바닥판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처리동 회전축(82a)의 상단측은 케이스 본체(91) 중 가동 케이스(86)측의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즉, 이삭가지 처리동(82)은 가동 케이스(86)측에 배치되어 있고, 가동 케이스(86)와 함께 2번 환원 기구(60) 주위[환원 컨베이어 축(63a) 주위]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케이스(86)를 고정 케이스(85)로부터 멀어지도록 2번 환원 기구(60) 주위에서 회동시킨 개방 상태(도 9 참조)에서는 이삭가지 처리동(82)이 가동 케이스(86)측에 있어서 노출되게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급동(26)에 의해 탈곡된 탈곡물의 비산 방향[피드 체인(6)측으로부터 곡립 탱크(7)측을 향하는 방향]과 2번물 방출부(83)로부터의 2번물의 비산 방향[곡립 탱크(7)측으로부터 피드 체인(6)측을 향하는 방향]이 마주 향하도록 이삭가지 처리동(82)의 회전 방향이 급동(26)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이삭가지 처리동(82)은 도 5 및 도 7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삭가지 처리동(82)의 회전에 의한 2번물의 방출 방향과 2번물 방출부(83)의 개구 방향을 일치시키고 있다[모두 곡립 탱크(7)측으로부터 피드 체인(6)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처리동 회전축(82a) 상에는 환원통(62)의 이송 종단측으로부터 보내진 2번물을 교반하는 복수개의 2번 처리 톱니(97)와, 2번물 방출부(83)로부터 피드 팬(271)의 상면을 향해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의 2번물을 비산시키는 복수장(2장)의 방출 날개(98)를 구비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동 회전축(82a)에 2조의 방출 오거체(99)가 피감(被嵌)되어 있다. 처리동 회전축(82a)의 중도부에 복수개의 2번 처리 톱니(97)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내부[가동 케이스(86)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치(受齒)(100)는 2개 1세트의 2번 처리 톱니(97)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에는 복수개의 2번 처리 톱니(87)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외측으로부터 간단히 탈착할 수 없는 복수개의 수치(100)와, 2장의 방출 날개(98)와, 2조의 방출 오거체(99)가 배치되어 있다.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긁어내기 날개(63b)에 의해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로 이송된 2번물은 방출 오거체(99)에 의해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보내지면서 2번 처리 톱니(97)와 수치(100)에 의해 처리(박힌 알맹이의 탈립 또는 짚 부스러기의 비벼서 풀기 등)되게 된다. 방출 오거체(99)의 하단측에 2장의 방출 날개(98)가 방사상으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방출 오거체(99)에 의해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하단측으로 보내진 처리 완료된 2번물은 방출 날개(98)에 의해 2번물 방출부(83)로부터 요동 선별반(27)의 상면을 향해서 배출되게 된다(도 7 참조).
도 5~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원통(62)의 상단측과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상단측에는 구동 케이스(87)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 케이스(87)는 판형상의 케이스 본체(91)와, 이것을 착탈 가능하게 덮는 케이스 덮개(92)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케이스 본체(91)는 환원통(62)의 이송 종단측에 위치하는 U자 커버(88)의 상단측과 가동 케이스(86)의 상단측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케이스(85)와 가동 케이스(86)를 감합시킨 폐지 상태에서는 환원통(62)의 이송 종단측의 상향 개구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양 케이스(85,86)]의 상향 개구가 케이스 본체(91)에 의해 폐쇄되게 된다.
케이스 본체(91)에 축지지된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이송 종단측(상단측)의 돌출 끝부에는 전동차의 일례로서의 구동 스프로킷(101)이 고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스 본체(91)에 축지지된 처리동 회전축(82a)의 이송 시단측(상단측)의 돌출 끝부에는 전동차의 일례로서의 종동 스프로킷(102)이 고착되어 있다. 이들 양 스프로킷(101,102)에는 무단 벨트로서의 체인(103)이 감아 걸어져 있다. 케이스 덮개(92)는 양 스프로킷(101,102) 및 체인(103)을 상방으로부터 덮은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91)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볼트를 풀어서 케이스 덮개(92)를 분리하면 케이스 본체(91) 상에는 양 스프로킷(101,102) 및 체인(103)이 노출된다.
즉, 케이스 본체(91)와 케이스 덮개(92)로 이루어지는 구동 케이스(87)에는 환원 컨베이어(63)로부터 이삭가지 처리동(82)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부재(전동차와 무단 벨트)가 내장되어 있다(조립되어 있다).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이송 종단측(상단측)에는 구동 케이스(87) 내의 전동 부재를 통해서 이삭가지 처리동(82)의 처리동 회전축(82a)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2번 컨베이어 축(32b)으로부터 환원 컨베이어 축(63a)을 통해서 처리동 회전축(82a)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2번 컨베이어(32)와 연동해서 환원 컨베이어(63) 및 이삭가지 처리동(82)이 회전 구동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케이스(85)와 가동 케이스(86)에는 가동 케이스(86)를 개폐 회동시킬 수 있는 록킹 해제 상태와 개폐 회동 불가능으로 유지하는 록킹 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한 록킹 수단(105)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록킹 수단(105)은 고정 케이스(85)측에 설치된 록킹 바(106)와, 가동 케이스(86)측에 설치되고 또한 록킹 바(106)에 걸림 이탈시킬 수 있는 복수의 록킹 클로(107)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케이스(85) 중 2번 환원 기구(60)와 반대측의 끝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상하의 브래킷부(108)에 록킹 바(106)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가동 케이스(86)의 자유단측에는 세로로 긴 회전축(109)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09)에 복수의 록킹 클로(107)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09)에는 가동 케이스(86)를 록킹 해제 상태와 록킹 상태로 스위칭 조작하는 조작 수단으로서의 조작 레버(110)가 고정되어 있다. 조작 레버(110)는 회전축(109)에 피감된 토션 스프링(111)에 의해 록킹 클로(107)가 록킹 바(106)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항상 바이어싱(biasing)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110)를 회동 조작해서 록킹 클로(107)를 록킹 바(106)로부터 이탈시키면 록킹이 해제되어 가동 케이스(86)를 구동 케이스(87) 및 이삭가지 처리동(82)과 함께 2번 환원 기구(60) 주위[환원 컨베이어 축(63a) 주위]에서 개폐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고정 케이스(85)와 가동 케이스(86)를 감합시킨 폐지 상태에 있어서 록킹 클로(107)를 록킹 바(106)에 맞물리게 해서 록킹함으로써 가동 케이스(86)가 개폐 회동 불가능으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예취 장치(3)에 의해 포장의 미수확 곡간이 예취되고, 예취 장치(3)로부터 공급된 예취 곡간이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되었을 경우 탈곡 장치(5)로부터 낙하된 탈곡물이 요동 선별반(27)에 의해 선별된다. 요동 선별반(27)에 의해 선별된 1번물로서의 정립은 1번 컨베이어(31)에 의해 곡립 탱크(7)에 수집된다. 또한, 요동 선별반(27)에 의해 선별된 2번물로서의 곡립 및 짚 부스러기의 혼합물이 2번 홈통(32a)에 낙하했을 경우 상기 2번물은 2번 컨베이어(32)로부터 환원 컨베이어(63)로 이어받어지고, 환원 컨베이어(63)로부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로 반송된다.
긁어내기 날개(63b)에 의해 환원통(62)의 이송 종단측(상단측)으로부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2번물은 2번 처리 톱니(97) 및 수치(100)에 의해 처리(박힌 알맹이의 탈립 및 짚 부스러기의 분리 등의 처리)된 후, 방출 날개(98)에 의해 2번물 방출부(83)로부터 피드 팬(271)의 상면으로 배출되고, 요동 선별반(27)에 의해 다시 선별된다. 따라서, 2번물 중의 곡립은 1번 컨베이어(31)로부터 곡립 탱크(7)로 반입된다. 또한, 2번물 중의 짚 부스러기는 채프 시브(272)의 상면을 경유하여 배진 팬(30) 또는 3번구(36)로부터 기체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2번 컨베이어(32)와 환원 컨베이어(63)와 이삭가지 처리동(82)은 항상 연동해서 회동하지만 각각의 회전수는 다르다. 실시형태에서는 2번 컨베이어(32)보다 환원 컨베이어(63)가 고속으로 회전하고, 환원 컨베이어(63)보다 이삭가지 처리동(82)이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2번 컨베이어(32)의 단위 시간당 반송량보다 환원 컨베이어(63)의 단위 시간당 반송량을 많게 하고, 환원 컨베이어(63)의 단위 시간당 반송량보다 이삭가지 처리동(82)의 단위 시간당 반송량을 많게 함으로써 환원 컨베이어(63)나 이삭가지 처리동(82)에서의 반송 도중에 2번물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3). 정리
상기의 기재 및 도 4, 도 6 및 도 7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5) 또는 요동 선별반(27)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60)의 이송 종단측에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로부터 탈곡 장치(5) 내로 면하는 2번물 방출부(83)를 측면으로 바라봐서 탈곡 장치(5) 내에 있는 급동(26)의 하면에 대해서 상하로 걸쳐지도록 개구시키고 있기 때문에, 급동(26)으로부터의 탈곡물의 비산 방향[피드 체인(6)측으로부터 곡립 탱크(7)측을 향하는 방향]과 2번물 방출부(83)로부터의 2번물의 비산 방향[곡립 탱크(7)측으로부터 피드 체인(6)측을 향하는 방향]이 요동 선별반(27)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서 교차하게 된다.
따라서, 요동 선별반(27)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서 탈곡물과 2번물을 충돌시켜서 이들을 확산(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요동 선별반(27)에 있어서의 급동(26)의 회전 하류측의 일측 부근[2번물 방출부(83)의 바로밑 부근]에 탈곡물 및 2번물이 집중해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요동 선별반(27) 위를 요동 이동하는 탈곡물 및 2번물을 요동 선별반(27)의 좌우 폭방향으로 확산(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요동 선별반(27)에서의 탈곡물 및 2번물의 선별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7~도 9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탈곡 장치(5)의 상부측벽(55b)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에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82)을 구비하고 있고,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가 2번물 방출부(83)를 통해서 탈곡 장치(5)에 연통하고 있고, 급동(26)에 의해 탈곡된 탈곡물의 이동 방향과 2번물 방출부(83)로부터의 2번물의 이동 방향이 마주 향하도록 이삭가지 처리동(82)의 회전 방향이 급동(26)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삭가지 처리동(82)의 회전에 의한 2번물의 방출 방향과 2번물 방출부(83)의 개구 방향이 일치하게 된다[모두 곡립 탱크(7)측으로부터 피드 체인(6)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동(82)의 회전을 이용해서 요동 선별반(27) 중 2번물 방출부(83)로부터 멀리 떨어진 피드 체인(6)측의 부근까지 2번물 방출부(83)로부터의 2번물을 분산시켜 방출할 수 있고, 요동 선별반(27)에서의 선별 처리 능력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요동 선별반(27)에서의 선별 처리 능력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별 처리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요동 선별반(27)의 전후 길이의 단축화가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탈곡 장치(5)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8 및 도 9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2번 환원 기구(60)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탈곡 장치(5)의 하부측벽(55a)을 따라 연장되는 환원통(62)과, 환원통(62) 내에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환원 컨베이어(63)를 구비하고 있고, 환원통(62)의 전방부 하측에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가 배치되어 있고, 환원 컨베이어(63)의 회전축인 환원 컨베이어 축(63a)과 이삭가지 처리동(82)의 처리동 회전축(82a)이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동(82)의 처리동 회전축(82a) 방향의 길이를 상부측벽(55b)을 따르게 해서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재탈곡을 위해서 2번물이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를 이동하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이삭가지 처리동(82)에 의한 2번물의 재탈곡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8 및 도 9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5) 또는 요동 선별반(27)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60)의 이송 종단측에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탈곡 장치(5)의 상부측벽(55b)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에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82)을 구비하고 있고,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는 탈곡 장치(5)의 상부측벽(55a)에 부착된 고정 케이스(85)와 2번 환원 기구(60) 주위에서 개폐 회동 가능한 가동 케이스(86)에 의해 이삭가지 처리동(82)을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2번 환원 기구(60) 주위에서 가동 케이스(86)를 개방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의 짚 막힘의 제거라는 유지 보수 작업시에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를 분해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8 및 도 9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이삭가지 처리동(82)은 가동 케이스(86)측에 배치되어 있고, 가동 케이스(86)와 함께 2번 환원 기구(60)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에서 짚 막힘이 발생된 경우에 구동 부재인 이삭가지 처리동(82)을 가동 케이스(86)의 개폐에 의해 움직이게 하여 짚 막힘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삭가지 처리동(82)이 가동 케이스(86)측에 있기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동(82)의 교환 작업의 간소화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기재 및 도 8 및 도 9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가동 케이스(86)를 개폐 회동시킬 수 있는 록킹 해제 상태와 개폐 회동 불가능으로 유지하는 록킹 상태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으로서의 조작 레버(11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110)에 의한 공구가 불필요한 스위칭 조작에 의해 가동 케이스(86)를 록킹 해제 상태와 록킹 상태로 원터치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에서의 수확 작업중에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의 짚 막힘 등이 발생된 경우이여도 그 자리에서 간단히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7~도 9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5) 또는 요동 선별반(27)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60)의 이송 종단측에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2번 환원 기구(60)는 탈곡 장치(5)의 하부측벽(55a)을 따라 연장되는 환원통(62)과, 환원통(6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환원 컨베이어(63)를 갖고 있고, 이삭가지 처리 기구(61)는 탈곡 장치(5)의 상부측벽(55b)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와,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82)을 갖고 있고, 환원 컨베이어(63)의 회전축인 환원 컨베이어 축(63a)과 이삭가지 처리동(82)의 처리동 회전축(82a)이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일단과 처리동 회전축(82a)의 일단에 설치된 스프로킷(101,102)과 이들 스프로킷(101,102)에 감아 걸어진 체인(103)을 장착한 구동 케이스(87)가 환원통(62)과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환원 컨베이어(63)의 회전 동력을 구동 케이스(87) 내의 전동 부재[양 스프로킷(101,102) 및 체인(103)]를 통해서 이삭가지 처리동(82)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환원 컨베이어(63)의 회전 동력을 이용해서 환원 컨베이어(63)에 연동해서 이삭가지 처리동(82)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양 스프로킷(101,102) 및 체인(103)으로 이루어지는 전동 부재만으로 환원 컨베이어(63)로부터 이삭가지 처리동(82)으로 동력 전달하기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동(82)에 대한 구동 계통을 간소화할 수 있고, 부품점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지지 부재로서 구동 케이스(87)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지지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의 지지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81)는 탈곡 장치(5)의 상부측벽(55b)에 부착된 고정 케이스(85)와 2번 환원 기구(60) 주위에서 개폐 회동 가능한 가동 케이스(86)에 의해 이삭가지 처리동(82)을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고, 구동 케이스(87)는 가동 케이스(86)와 함께 2번 환원 기구(60)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케이스(87)는 환원 컨베이어(63)로부터 이삭가지 처리동(82)으로 동력 전달하는 부재이면서 가동 케이스(86)의 개폐의 방해로 되지 않는다. 또한, 구동 케이스(87)가 가동 케이스(86)측에 있기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동(82)뿐만 아니라 구동 케이스(87) 내에 있는 전동 부재의 교환 작업의 간소화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기재 및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케이스(87)는 케이스 본체(91)와, 케이스 본체(91), 양 스프로킷(101,102) 및 체인(103)을 덮는 케이스 덮개(92)로 이루어지고, 환원통(62)의 이송 종단측과 가동 케이스(86)에 케이스 본체(91)가 연결되어 있고, 케이스 본체(91)에 케이스 덮개(92)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양 스프로킷(101,102)과 체인(103)을 장착한 상태의 구동 케이스(87)를 이삭가지 처리 기구(61)의 구동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 케이스(87) 내의 전동 부재[양 스프로킷(101,102) 및 체인(103)]의 조립ㆍ분해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4). 기타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예컨대, 본원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자탈형(自脫型) 콤바인에 한정되지 않고 보통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삭가지 처리동(82)에 대한 구동 계통은 상술한 바와 같은 양 스프로킷(101,102) 및 체인(103)으로 이루어지는 전동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기어 기구이여도 상관 없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원 컨베이어 축(63a)의 이송 종단측의 돌출 끝부에 구동 평기어(201)를 고착하고, 처리동 회전축(82a)의 이송 시단측의 돌출 끝부에 종동 평기어(202)를 고착하고, 이들 양 평기어(201,202)를 케이스 본체(9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중계 평기어(203)를 통해서 맞물리게 하도록 해도 좋다. 그 외에 각 부의 구성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5 : 탈곡 장치 26 : 급동
27 : 요동 선별반 55 : 탈곡기 하우징
60 : 2번 환원 기구 61 : 이삭가지 처리 기구
62 : 환원통 63 : 환원 컨베이어
81 :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82 : 이삭가지 처리동
82a : 처리동 회전축 83 : 2번물 방출부
85 : 고정 케이스 86 : 가동 케이스
87 : 구동 케이스 91 : 케이스 본체
92 : 케이스 덮개 101 : 전동차로서의 구동 스프로킷
102 : 전동차로서의 종동 스프로킷 103 : 무단 벨트로서의 체인
110 : 조작 수단으로서의 조작 레버

Claims (9)

  1.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 또는 요동 선별반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의 이송 종단측에 상기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로부터 상기 탈곡 장치 내로 면하는 2번물 방출부를 측면으로 바라봐서 상기 탈곡 장치 내에 있는 급동의 하면에 대해서 상하로 걸쳐지도록 개구시키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에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에 부착된 고정 케이스와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개폐 회동 가능한 가동 케이스에 의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을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은 상기 가동 케이스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 케이스와 함께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은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가 상기 2번물 방출부를 통해서 상기 탈곡 장치에 연통하고 있고,
    상기 급동에서 탈곡된 탈곡물의 이동 방향과 상기 2번물 방출부로부터의 2번물의 이동 방향이 마주 향하도록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 방향이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번 환원 기구는 전고후저 형상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환원통과, 상기 환원통 내에 전고후저 형상의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환원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환원통의 전방부 하측에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축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은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케이스를 개폐 회동시킬 수 있는 록킹 해제 상태와 개폐 회동 불가능으로 유지하는 록킹 상태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5. 탈곡 선별 후의 2번물을 탈곡 장치 또는 요동 선별반으로 리턴시키는 2번 환원 기구의 이송 종단측에 상기 2번물을 처리하기 위한 이삭가지 처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로부터 상기 탈곡 장치 내로 면하는 2번물 방출부를 측면으로 바라봐서 상기 탈곡 장치 내에 있는 급동의 하면에 대해서 상하로 걸쳐지도록 개구시키고 있고,
    상기 2번 환원 기구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환원통과 상기 환원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환원 컨베이어를 갖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기구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을 따르게 한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와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삭가지 처리동을 갖고 있고,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축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이 평행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원 컨베이어의 회전축의 일단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의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된 전동차와, 이들 양 전동차에 감아 걸어진 무단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양 전동차와 상기 무단 벨트를 구동 케이스에 장착하고, 상기 환원통과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에 상기 구동 케이스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케이스는 상기 탈곡 장치의 일측벽에 부착된 고정 케이스와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개폐 회동 가능한 가동 케이스에 의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을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 케이스는 상기 가동 케이스와 함께 상기 2번 환원 기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 상기 양 전동차 및 상기 무단 벨트를 덮는 케이스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원통의 이송 종단측과 상기 가동 케이스에 상기 케이스 본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기 케이스 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콤바인.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7014532A 2009-02-17 2010-01-07 콤바인 KR101711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3474A JP2010187569A (ja) 2009-02-17 2009-02-17 コンバイン
JPJP-P-2009-033474 2009-02-17
PCT/JP2010/050103 WO2010095473A1 (ja) 2009-02-17 2010-01-07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769A KR20110118769A (ko) 2011-11-01
KR101711408B1 true KR101711408B1 (ko) 2017-03-02

Family

ID=4263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532A KR101711408B1 (ko) 2009-02-17 2010-01-07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187569A (ko)
KR (1) KR101711408B1 (ko)
CN (1) CN102291980B (ko)
WO (1) WO2010095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8408B2 (ja) * 2013-09-05 2017-11-08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汎用コンバイン
JP6224384B2 (ja) * 2013-09-05 2017-11-01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汎用コンバイン
BE1021163B1 (nl) * 2013-09-19 2016-01-15 Cnh Industrial Belgium Nv Maaidorser met hooggeplaatste reinigingsopstelling.
CN109618647A (zh) * 2017-10-09 2019-04-16 雷沃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复脱粒装置及其收获机械
JP6868224B2 (ja) * 2018-05-29 2021-05-1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101587B2 (ja) * 2018-10-16 2022-07-1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GB201900681D0 (en) * 2019-01-17 2019-03-06 Agco Do Brasil Sa Ltda Combine harvester tailings retur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793A (ja) * 2004-11-08 2006-05-25 Seirei Ind Co Ltd 脱穀機の還元物処理装置
JP2008061523A (ja) * 2006-09-05 2008-03-21 Kubota Corp 二番物搬送構造
JP2009000040A (ja) 2007-06-20 2009-01-08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1757A (ja) * 1996-01-19 1997-07-29 Seirei Ind Co Ltd 脱穀機の枝梗付き粒処理装置
JP2004275096A (ja) * 2003-03-17 2004-10-0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4278158B2 (ja) * 2004-05-18 2009-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2007111057A (ja) 2006-12-25 2007-05-1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793A (ja) * 2004-11-08 2006-05-25 Seirei Ind Co Ltd 脱穀機の還元物処理装置
JP2008061523A (ja) * 2006-09-05 2008-03-21 Kubota Corp 二番物搬送構造
JP2009000040A (ja) 2007-06-20 2009-01-08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769A (ko) 2011-11-01
CN102291980A (zh) 2011-12-21
WO2010095473A1 (ja) 2010-08-26
JP2010187569A (ja) 2010-09-02
CN102291980B (zh)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408B1 (ko) 콤바인
KR101732044B1 (ko) 콤바인
JP6129043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6324011B2 (ja) コンバイン
CN101677511B (zh) 联合收割机
JP6129041B2 (ja) コンバイン
JP5382853B2 (ja) コンバイン
JP5146854B2 (ja) コンバイン
WO2018179585A1 (ja) コンバイン
JP6731880B2 (ja) コンバイン
JP2009039036A (ja) コンバイン
JP5339593B2 (ja) コンバイン
WO2018179635A1 (ja) コンバイン
JP5524529B2 (ja) コンバイン
JP6129042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WO2005020665A1 (ja) コンバイン
JP2008289455A (ja) コンバイン
JP7130486B2 (ja) コンバイン
JP5138552B2 (ja) コンバイン
JP4051308B2 (ja) コンバイン
JP5484814B2 (ja) コンバイン
JP2009065860A (ja) コンバイン
JP2009039037A (ja) コンバイン
JP5102567B2 (ja) コンバイン
JP2015065881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