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17B1 - 타이어 펑크 실제 - Google Patents

타이어 펑크 실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417B1
KR101707417B1 KR1020157034837A KR20157034837A KR101707417B1 KR 101707417 B1 KR101707417 B1 KR 101707417B1 KR 1020157034837 A KR1020157034837 A KR 1020157034837A KR 20157034837 A KR20157034837 A KR 20157034837A KR 101707417 B1 KR101707417 B1 KR 101707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satate
vinyl
resin
emulsion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890A (ko
Inventor
마사히로 나루세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3Sealing compositions or agents, e.g. combined with propellant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7/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ubber
    • C09J107/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 성능 및 저온 특성에 뛰어난 타이어 펑크 실(seal)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천연 고무 라텍스 (A)와, 버사틱산 비닐을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의 에멀션인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를 함유하고,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을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단위에 대한 상기 버사틱산 비닐의 비율이 30 ~ 70질량%이다.

Description

타이어 펑크 실제{FLAT TIRE SEALANT}
본 발명은, 타이어 펑크 실(seal)제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천연 고무 라텍스와 합성 수지 에멀션과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실제」이고, 합성 수지 에멀션에 함유되는 합성 수지가 「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인 타이어 펑크 실제가 기재되어 있다([청구항 1] 및 [청구항 3]).
또한, 특허 문헌 1의 [0014]에는, 상기 「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비(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로서 「질량비로 5:5:90 ~ 10:5:85」가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고, 실제로 [실시예]에서는, 「스미카플렉스 950HQ, 스미카 켐텍스샤(Sumika Chemtex Co., Ltd.)제, 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10:5:85, 고형분 53질량%」가 사용되고 있다([0031]).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5168394호
근년(近年), 타이어 펑크 실제에 요구되는 성능의 레벨이 오르고 있고, 특히, 타이어 펑크 실제로서의 기본적 성능인 보관 성능을 유지하면서, 저온 환경 하에서의 실 성능이나 주입 성능 등(저온 특성)을 향상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타이어 펑크 실제에 관하여 검토를 행하였는데, 저온 특성에 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을 것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관 성능 및 저온 특성에 뛰어난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타이어 펑크 실제에 포함되는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중의 버사틱산 비닐을 특정 비율로 하는 것으로, 보관 성능을 유지하면서, 저온 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 (5)를 제공한다.
(1) 천연 고무 라텍스 (A)와, 버사틱산 비닐을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의 에멀션인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를 함유하고,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을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단위에 대한 상기 버사틱산 비닐의 비율이 30 ~ 7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제.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유화제 (b2)를 함유하고, 상기 유화제 (b2)의 함유량이,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에 대하여 0.8 ~ 3.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제.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이 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인, 타이어 펑크 실제.
(4)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나아가, 프로필렌 글리콜 (C)를 함유하고,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과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C)와의 질량비(B/C)가 0.1 ~ 1.1인, 타이어 펑크 실제.
(5)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 (A)의 고형분과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과의 질량비(A/B)가 90/10 ~ 40/60인, 타이어 펑크 실제.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 성능 및 저온 특성에 뛰어난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공할 수 있다.
[타이어 펑크 실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천연 고무 라텍스 (A)와, 버사틱산 비닐을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의 에멀션인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를 함유하고,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을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단위에 대한 상기 버사틱산 비닐의 비율이 30 ~ 7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제이다.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을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단위에 대한 버사틱산 비닐의 비율(이하, 편의적으로 「버사틱산 비닐량」이라고도 한다)이 70질량%를 넘는 경우에는, 저온 실 성능이나 저온 주입 성능이라고 한 저온 특성이 불충분하게 되지만, 70질량% 이하이면, 이것들의 저온 특성이 양호하게 된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즉, 버사틱산 비닐은 모노머 단위로서는 비교적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상기 버사틱산 비닐량이 많은 경우에는 공중합 수지 전체의 점도가 높아지기 쉬운데, 상기 버사틱산 비닐량을 억제하는 것으로, 적당한 점도로 되어, 저온 환경 하에서의 실 성능이나 주입 성능이 개선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단, 이 이외의 메카니즘이어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한다.
덧붙여, 상기 버사틱산 비닐량이 30질량% 미만이어도, 저온 특성은 비교적 양호하지만, 타이어 펑크 실제의 기본적인 성능인 보관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30질량% 이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가 함유하는 각 성분에 관하여 상술한다.
〔천연 고무 라텍스 (A)〕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 (A)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라텍스로부터 단백질을 제거한 탈단백 천연 고무 라텍스를 호적(好適)하게 들 수 있다. 단백질이 적으면 암모니아의 발생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암모니아에 의한 스틸 코드에의 부식 손상 및 자극취의 발생을 방지한다고 하는 이유로부터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탈단백 천연 고무 라텍스(SeLatex 시리즈, SRI 하이브리드샤(SRI Hybrid社)제), 탈단백 천연 고무 라텍스(HA, 노무라 보에키샤(野村貿易社)제), 초저(超低) 암모니아 천연 고무 라텍스(ULACOL, 레지텍스샤(REGITEX Co.,Ltd)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 (A)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 (A)에 포함되는 천연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덧붙여, 중량 평균 분자량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용매로 하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나타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이하, 마찬가지).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 (A) 외에, 한층 더 합성 고무 라텍스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SBR 라텍스, NBR 라텍스, 카르복시 변성 NBR 라텍스, 카르복시 변성 SBR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는,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이 분산질로서, 물 등의 분산매에 분산되어 있는 에멀션이다.
이 때, 분산질인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의 상(相)은, 액상(液相)이어도 고상(固相)이어도 무방하다.
즉, 일반적으로는, 액상인 분산매에 액상인 분산질이 분산된 계를 「에멀션」이라고 부르고, 액상인 분산매에 고상인 분산질이 분산된 계를 「서스펜션」이라고 부르지만, 본 발명에서는, 「에멀션」은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은, 버사틱산과 비닐알코올과의 에스테르인 버사틱산 비닐을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공중합 수지, 즉, 버사틱산 비닐을 포함하는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공중합 수지이다.
버사틱산 비닐 이외의 모노머 단위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초산 비닐, (메타)아크릴에스테르 등을 호적하게 들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은, 예를 들어,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중합체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 수지, 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에틸렌 공중합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을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이것들 중, 저온 실 성능이 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가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00 ~ 500,000이 바람직하고, 50,000 ~ 20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의 유리 전이점(Tg)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약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약 -30℃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리 전이점(Tg)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하여 10℃/분의 승온(昇溫) 속도 조건에 의하여 서모그램(thermogram)을 측정하여, 전이역(轉移域)의 중점의 온도로 한다(이하, 마찬가지).
 (버사틱산 비닐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이유로부터,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을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단위에 대한 버사틱산 비닐의 비율(버사틱산 비닐량)이 30 ~ 70질량%이고, 40 ~ 60질량%가 바람직하다.
 (모노머 질량비)
덧붙여,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이, 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인 경우, 이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비(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는, 질량비(이하, 이것을 「모노머 질량비」라고도 한다)로 10 ~ 40:10 ~ 40:30 ~ 70이 바람직하고, 15 ~ 35:15 ~ 35:40 ~ 60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화제 (b2)>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유화제 (b2)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산질인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은, 상기 유화제 (b2)의 작용에 의하여, 분산매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유화제 (b2)는, 폴리비닐알코올만을 함유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폴리비닐알코올 이외의 유화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폴리비닐알코올 이외의 유화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보호 콜로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알킬벤젠 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의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을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폴리비닐알코올(PVA)은, 포벌(POVAL)이라고도 불리고, 일반적으로, 초산 비닐을 중합한 폴리초산 비닐을 감화(
Figure 112015119858372-pct00001
)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로서는, 저(低)감화 PVA나 완전 감화 PVA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예를 들어, 감화도가 80 ~ 90몰%의 부분 감화 PVA가 호적하게 이용되고, 또한, 중합도는 300 ~ 1,700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카르본산, 술폰산, 실록산 등의 화합물로 변성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폴리비닐알코올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유화제량)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에 있어서,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에 대한 상기 유화제 (b2)의 함유량(이하, 「유화제량」이라고도 한다)은, 0.8 ~ 3.0질량%가 바람직하고, 1.2 ~ 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량이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보관 성능과 저온 특성을 높은 레벨로 양립할 수 있다.
특히, 폴리비닐알코올이 너무 많으면 타이어 펑크 실제가 증점(增粘)될 가능성이 있지만, 상기 유화제량이 상기 범위이면, 증점이 억제되어, 저온 주입 성능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제조 방법>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의 에멀션인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버사틱산 비닐을 포함하는 모노머와 상기 유화제 (b2)를 이용하여, 종래 공지의 유화 중합 방법에 의하여 제조(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 조건에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중합 온도는 20 ~ 80℃이다. 촉매로서는, 과황산칼륨 등의 과황산염, 과산화수소 및 각종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다. 레독스 개시계의 경우는, 한층 더 환원 물질로서 포름알데히드나트륨 술폭실레이트 등이 조합하여 이용된다.
덧붙여,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는, 한층 더 필요에 따라서, pH 조정제, 증점제, 소포제, 분산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질량비(A/B)>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 (A)의 고형분과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과의 질량비(A/B)는, 90/10 ~ 40/60이 바람직하고, 50/50 ~ 70/30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A/B)가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보관 성능과 저온 실 성능을 높은 레벨로 양립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 (A) 및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은, 각각, 가열 잔분(殘分)이며, 구체적으로는, 200℃에서 1시간 가열한 후에 얻어지는 잔존물의 양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제 (b2)는,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에 포함된다.
〔프로필렌 글리콜 (C)〕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나아가, 동결 방지제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C)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과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C)와의 질량비(B/C)는, 0.1 ~ 1.1이 바람직하고, 0.3 ~ 0.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B/C)가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보관 성능과 저온 실 성능을 높은 레벨로 양립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용매로서 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C)와 물과의 질량비(C/물)는,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저온 특성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0.9 ~ 1.8이 바람직하고, 1.0 ~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외의 첨가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는, 상술한 각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소망에 의하여,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C) 이외의 동결 방지제(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점착 부여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안료(염료), 가소제, 요변성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계면 활성제(레벨링제를 포함한다), 분산제, 탈수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술한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을, 감압 하에서 혼합 믹서 등의 교반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타이어 펑크 실제의 사용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단, 하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를 타이어의 공기 충전부로부터 타이어 내에 주입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펑크 실제를 타이어 내에 주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린지(syringe), 스프레이 캔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타이어 내에 주입되는 타이어 펑크 실제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펑크 구멍의 크기 등에 따라 적의(適宜) 선택된다.
다음으로, 소정의 공기압까지 타이어에 공기를 충전한다.
그 후, 차를 주행시킨다. 타이어가 회전 접지할 때에 받는 압축력이나 전단력에 의하여,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 (A)의 천연 고무나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의 입자 등에 의한 응집체를 형성하여, 펑크 구멍을 실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의 제조>
투입 성분량을 적의 변경하여, 「모노머 질량비」 및 「유화제량」을 다르게 한 복수 종류의 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이하, 단지,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이라고 한다)을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내압 용기에, 물, 초산 비닐, 버사틱산 비닐, 폴리비닐알코올(포벌 205, 쿠라레샤(KURARAY CO.,LTD)제, 감화도 88몰%, 평균 중합도: 500), 비이온 계면 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에멀겐 1108, 카오샤(花王社)제), 및, 황산제일철7수화물을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내압 용기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고, 용기 내를 45℃까지 승온한 후, 에틸렌으로 6.0MPa까지 가압하여, 5% 과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7% 에리소르빈산나트륨 수용액을 내압 용기에 첨가하여 중합을 개시시켰다.
계속하여, 내압 용기 내의 액온(液溫)이 상승한 것을 확인한 후, 용기 내의 액온을 50℃로 유지하면서, 중합 개시 후 4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산화제를 10% 과황산나트륨 및 2% ter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수용액으로 전환하여, 내압 용기에 첨가하고, 잔류 초산 비닐 단량체가 1% 미만이 된 시점에서 내압 용기를 냉각하여, 미반응의 에틸렌 가스를 제거한 후, 생성물을 꺼내었다. 이와 같이 하여,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을 얻었다. 고형분은 53질량%, 유리 전이 온도는 -30℃였다.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제조>
하기 제1표에 나타내는 성분을, 동 표에 나타내는 양(질량부)으로 이용하여, 이것들을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B) 성분으로서,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한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을 이용하였다. 이용한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의 「모노머 질량비」 및 「유화제량」을 하기 제1표에 나타낸다.
덧붙여, 하기 제1표 중, (A) 및 (B) 성분에 있어서의 하단의 수치(괄호 내의 수치)는, 각각, 고형분 환산한 배합량을, (A) 및 (B) 성분의 합계 고형분을 100질량부로 하였을 경우의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낸 것이다(단위는 질량부).
또한, 타이어 펑크 실제를 제조할 때에 필요에 따라서 물을 첨가하였다. 하기 제1표에 나타내는 물의 양은 타이어 펑크 실제 전량 중에 포함되는 토탈의 물의 양이다.
 <평가>
얻어진 타이어 펑크 실제에 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제1표에 나타낸다.
 (저온 실 성능)
얻어진 펑크 실제를 이용하여, -30℃에서의 실 성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타이어의 숄더부에 직경 4mm 크기의 펑크 구멍을 재현하였다. 그 다음에, 펑크 구멍을 재현한 타이어를 드럼 시험기에 장착하고, 타이어의 밸브구로부터 타이어 펑크 실제를 주입하고, 타이어 내압이 200kPa이 되도록 공기를 충전하여, 분위기 온도를 -30℃로 하여 드럼 시험을 행하였다. 드럼 시험은, 하중 350kg, 주행 속도 30km/h, 주행 시간 1분으로 하고, 이것을 1사이클로 하였다.
실 성능의 평가 기준은, 5사이클 이내에서 실할 수 있었던(공기 누출이 없어진) 경우를 「◎」, 6 ~ 10사이클로 실할 수 있었던 경우를 「○」, 11사이클 이상으로 실할 수 있었던 경우를 「△」, 실할 수 없었던 경우를 「×」로 하였다. 「◎」 또는 「○」이면, 저온 특성인 저온 실 성능에 뛰어난 것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저온 주입 성능)
얻어진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점도를, -40℃의 조건 하에서, BL형 점도계(로터 No.4)를 이용하여 회전수 60rpm으로 측정하였다.
-40℃에 있어서의 타이어 펑크 실제의 점도가, 2000mPa·s 이상 2500mPa·s 미만인 경우를 「◎」, 2500mPa·s 이상 3000mPa·s 미만인 경우를 「○」, 3000mPa·s 이상인 경우를 「×」로 하였다. 「◎」 또는 「○」이면, 저온 특성인 저온 주입 성능에 뛰어난 것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보관 성능)
80℃ 분위기 하에 있어서, 타이어 펑크 실제에 20Hz, 진폭 ±3mm의 진동을 168시간 부여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보관 성능의 평가 기준은, 크림의 발생 없이 안정되어 있는 경우를 「◎」, 크림이 발생하였지만 타이어 펑크 실제를 교반하면 크림이 소실되어 균일하게 된 경우를 「○」, 응집물이 발생한 경우를 「×」라고 하였다. 「◎」 또는 「○」이면, 보관 성능에 뛰어난 것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Figure 112015119858372-pct00002
Figure 112015119858372-pct00003
상기 제1표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대로이다.
·천연 고무 라텍스: Hytex HA(노무라 보에키샤제, 고형분 약 60질량%)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상술한 것
·프로필렌 글리콜: 시약 1급, 와코 준야쿠샤(和光純藥社)제
상기 제1표(그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사틱산 비닐량이 70질량%를 넘는 비교예 2 및 3은, 저온 특성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상기 버사틱산 비닐량이 30질량% 미만인 비교예 1은, 타이어 펑크 실제로서의 기본적 성능인 보관 성능이 떨어졌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버사틱산 비닐량이 30 ~ 70질량%인 실시예 1 ~ 10은, 보관 성능이 양호한 데다가, 저온 특성에도 뛰어났다.
또한, 상기 버사틱산 비닐량이 40질량%인 실시예 2 ~ 8을 대비하면, 상기 유화제량이 3.0질량%를 넘는 실시예 8보다도, 상기 유화제량이 3.0질량% 이하인 실시예 2 ~ 7 쪽이, 저온 주입 성능이 보다 양호하였다.
또한, 상기 제1표(그 2)에 나타내는 결과에서도 마찬가지의 경향이 보였다. 즉, 상기 버사틱산 비닐량이 70질량%를 넘는 비교예 5는 저온 특성이 불충분하고, 30질량% 미만인 비교예 4는 보관 성능이 떨어졌지만, 상기 버사틱산 비닐량이 30 ~ 70질량%인 실시예 11 ~ 15는, 보관 성능이 양호한 데다가, 저온 특성에도 뛰어났다.

Claims (5)

  1. 천연 고무 라텍스 (A)와, 버사틱산 비닐을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의 에멀션인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를 함유하고,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을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단위에 대한 상기 버사틱산 비닐의 비율이 30 ~ 7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seal)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유화제 (b2)를 함유하고,
    상기 유화제 (b2)의 함유량이,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에 대하여 0.8 ~ 3.0질량%인, 타이어 펑크 실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b1)이 에틸렌-초산 비닐-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인, 타이어 펑크 실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아가, 프로필렌 글리콜 (C)를 함유하고,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과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C)와의 질량비(B/C)가 0.1 ~ 1.1인, 타이어 펑크 실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무 라텍스 (A)의 고형분과 상기 버사틱산 비닐 공중합 수지 에멀션 (B)의 고형분과의 질량비(A/B)가 90/10 ~ 40/60인, 타이어 펑크 실제.
KR1020157034837A 2013-08-09 2014-08-07 타이어 펑크 실제 KR101707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6217A JP5664722B1 (ja) 2013-08-09 2013-08-09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JP-P-2013-166217 2013-08-09
PCT/JP2014/070940 WO2015020171A1 (ja) 2013-08-09 2014-08-07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890A KR20150143890A (ko) 2015-12-23
KR101707417B1 true KR101707417B1 (ko) 2017-02-16

Family

ID=5246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837A KR101707417B1 (ko) 2013-08-09 2014-08-07 타이어 펑크 실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04420B2 (ko)
JP (1) JP5664722B1 (ko)
KR (1) KR101707417B1 (ko)
CN (1) CN105408441B (ko)
DE (1) DE112014003671B4 (ko)
WO (1) WO2015020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4723B1 (ja) * 2013-08-09 2015-02-0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CN107779123A (zh) * 2017-10-15 2018-03-09 深圳市希顺有机硅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补胎液及其制备方法
CN114773522A (zh) * 2022-05-16 2022-07-22 上海保立佳化学技术有限公司 醋叔乳液,含其涂料及其原料组合物、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272A (ja) 2003-10-17 2005-05-12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パンクシーリング剤
JP2007224246A (ja) * 2006-02-27 2007-09-06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2011026533A (ja) 2009-06-22 2011-0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5168394B2 (ja) * 2011-08-18 2013-03-2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394A (ja) 1991-12-20 1993-07-02 D M L:Kk パン類の品質改良法
US5739196A (en) * 1995-11-30 1998-04-14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Latex compositions having wet adhesion and other improved rheological propertie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JP4640494B2 (ja) * 2008-11-25 2011-03-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補修材
JP4609598B1 (ja) * 2009-06-22 2011-01-1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5316607B2 (ja) * 2010-08-11 2013-10-16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2013006949A (ja) * 2011-06-24 2013-01-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2013133432A (ja) * 2011-12-27 2013-07-08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272A (ja) 2003-10-17 2005-05-12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パンクシーリング剤
JP2007224246A (ja) * 2006-02-27 2007-09-06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2011026533A (ja) 2009-06-22 2011-0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5168394B2 (ja) * 2011-08-18 2013-03-2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3671B4 (de) 2019-01-31
CN105408441B (zh) 2018-04-20
JP5664722B1 (ja) 2015-02-04
US9604420B2 (en) 2017-03-28
JP2015034246A (ja) 2015-02-19
DE112014003671T5 (de) 2016-04-21
US20160185053A1 (en) 2016-06-30
KR20150143890A (ko) 2015-12-23
WO2015020171A1 (ja) 2015-02-12
CN105408441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001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JP4752982B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KR101707417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CN105189686A (zh) 轮胎穿孔密封材料和使用它的补胎套件
JP2011162681A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WO2015133519A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KR101609745B1 (ko) 타이어 펑크 실제
CN104004456B (zh) 氯丁橡胶粘合剂组合物和氯丁橡胶粘合剂的制备方法
KR20160031051A (ko) 타이어 펑크 실제
JPWO2018194104A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6299844B1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及びタイヤパンク修理キット
CN104004471A (zh) 氯丁橡胶粘合剂组合物和氯丁橡胶粘合剂的制备方法
JP7077904B2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2013133432A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JP2013155338A (ja) タイヤパンクシー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8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07

Effective date: 201612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