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004B1 -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004B1
KR101705004B1 KR1020150084768A KR20150084768A KR101705004B1 KR 101705004 B1 KR101705004 B1 KR 101705004B1 KR 1020150084768 A KR1020150084768 A KR 1020150084768A KR 20150084768 A KR20150084768 A KR 20150084768A KR 101705004 B1 KR101705004 B1 KR 101705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ng
module
base module
bolt memb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158A (ko
Inventor
임홍일
이도형
이병록
류홍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00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고박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상호 이격된 복수의 측벽들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및 제2 정지 지점들 간에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정지 지점들에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대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고박되는 고박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 하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박 모듈은 상기 고박 모듈을 리프트-업 또는 리프트-다운시키는 잭 부재 및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고정시키는 볼트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은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를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 고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CARGO LOADING SHIP AND METHOD}
본 발명은 화물 적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데크 하우스를 이동시켜 측벽에 고정시키고 화물의 추가 적재 공간을 확보하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주구는 선체의 갑판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선박의 조종실이 마련되어 있고, 승무원들이 일상 생활과 업무를 하는 공간이다. 거주구는 최하층의 메인 데크(Main deck)로부터 최상층의 탑 데크(Top deck)까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363호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부유된 채 사용되는 선원들의 생활공간인 거주구와, 추진 수단으로서의 쓰러스터를 포함하며, 거주구는 평면에서 볼 때 좌우현측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쓰러스터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888호는 거주구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거주구의 좌우측이 좌현으로부터 우현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거주구의 전측이 선수의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거주구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선실을 고려한 진동원이나 소음원의 최적 배치를 가능하도록 하며, 거주구의 공간 증대로 인한 층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여 선박의 안정성과 스피드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선박들은 거주구 및 화물 적재 공간의 공간적 제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363호 (2014.06.09 공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888호 (2015.04.06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를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 고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를 통해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로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고박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상호 이격된 복수의 측벽들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및 제2 정지 지점들 간에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정지 지점들에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대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고박되는 고박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 하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박 모듈은 상기 고박 모듈을 리프트-업 또는 리프트-다운시키는 잭 부재 및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고정시키는 볼트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은 상기 고박 모듈이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정지하면, 상기 고박 모듈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고박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고박 모듈이 리프트-업되면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은 상기 볼트 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고정시키는 제1 너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박 모듈은 상기 볼트 부재의 중간에서 상기 볼트 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제2 너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 부재는 그 축 방향으로 유압에 의한 인력을 제공 받아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인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 부재는 상기 유압에 의한 인력이 소멸하면, 상기 볼트 부재에 잔존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방법은 고박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 하우스가 고박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단계, 볼트 부재와 제1 너트 부재를 체결하고, 상기 볼트 부재에 유압에 의한 인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볼트 부재를 제2 너트 부재와 체결하여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 사이에 지지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단계는 상기 볼트 부재의 축 방향으로 유압에 의한 인력을 제공 하여 상기 볼트 부재를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인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단계는 상기 볼트 부재 및 상기 제2 너트 부재가 체결되면, 상기 볼트 부재에 제공되는 유압을 해제하고 제1 및 제2 너트 부재들의 사이에 잔존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를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 고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를 통해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로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도 1에 있는 데크 하우스를 복수의 측벽들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측벽들(110), 데크 하우스(120) 및 화물 적재부(130)를 포함한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0)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고박 베이스 모듈(112)을 포함한다. 이하, 고박 베이스 모듈(122)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거주구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화물 적재 공간과 동일한 길이(즉, 선체(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0)의 상부에서 상호 대응하는 위치(즉, 각각의 전단 및 후단이 동일한 연장선상에 있음)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서 데크 하우스(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양단들에 각각 연결되고 데크 하우스(1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화물 적재 선박(100)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데크 하우스(120)의 왕복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양단에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제2 위치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의 멈춤을 지원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고박 모듈(122)을 포함한다. 고박 모듈(122)은 데크 하우스(120)의 제1 및 제2 정지 지점들에서 고박 베이스 모듈(112)에 대향하도록 체결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에 고박될 수 있다. 이하, 고박 모듈(122)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거주구의 일부 및 조타실을 포함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및 제2 정지 지점들 간에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데크 하우스(120)의 하부면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 쌓이고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복수의 화물들을 적재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0)의 상부에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바 (20)를 배치할 수 있다. 가이드 바(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을 연결하여 복수의 화물들 간의 정렬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은 도 1에 있는 데크 하우스를 복수의 측벽들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고박 베이스 모듈(112)은 제1 및 제2 너트 부재들(112-1, 112-2) 및 지지 부재(112-3)를 포함하고, 고박 모듈(122)은 잭 부재(122-1) 및 볼트 부재(122-2)를 포함한다.
제1 너트 부재(112-1)는 볼트 부재(122-2)와 체결되어 고박 모듈(122)을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너트 부재(112-1)는 볼트 부재(122-2)의 하단과 체결될 수 있고, 볼트 부재(122-2) 및 제1 너트 부재(112-1) 사이에 유압에 의한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너트 부재(112-2)는 볼트 부재(122-2)의 중간에서 볼트 부재(122-2)와 체결되어, 고박 모듈(122) 및 고박 베이스 모듈(112)의 체결을 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너트 부재(112-2)가 볼트 부재(122-2)와 체결되면, 제1 및 제2 너트 부재들(112-1, 112-2) 사이에 인장력이 잔존할 수 있다.
지지 부재(112-3)는 고박 모듈(122)이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정지하면, 고박 모듈(122)의 이동을 방지하고 고박 모듈(122)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12-3)는 중심부가 상하로 각각 돌출된 원판형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고박 베이스 모듈(112) 및 고박 모듈(122)은 지지 부재(112-3)의 돌출된 중심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12-3)의 돌출된 중심부가 고박 베이스 모듈(112) 및 고박 모듈(122)에 수용되면, 지지 부재(112-3)는 고박 모듈(122)의 이동을 방지하고, 고박 모듈(122)을 지지할 수 있다.
잭 부재(122-1)는 고박 모듈(122)을 리프트-업 또는 리프트-다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잭 부재(122-1)는 지지 부재(112-3)를 삽입하기 위하여 고박 모듈(122)을 리프트-업시킬 수 있다. 지지 부재(112-3)는 그 중심부가 상하로 각각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고박 모듈(122)이 리프트-다운되면 지지 부재(112-3)는 고박 베이스 모듈(112) 및 고박 모듈(122) 사이에 삽입될 수 없다.
볼트 부재(122-2)는 고박 모듈(122)을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고박 베이스 모듈(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 부재(122-2)는 볼트 텐셔너(Bolt Tensioner)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볼트 텐셔너는 볼트 부재(122-2)를 축 방향으로 잡아 당길 수 있고, 볼트 부재(122-2)는 유압에 의하여 고박 베이스 모듈(112)에 체결될 수 있다. 볼트 텐셔너는 볼트 부재(122-2)의 체결 또는 분리 시에 발생하는 기계적 토오크(Torque)를 초고압의 유압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볼트 텐셔너는 볼트 부재(122-2)에 유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볼트 부재(122-2)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 부재(122-2)는 그 축 방향으로 유압에 의한 인력을 제공 받아 고박 베이스 모듈(112)에 인장될 수 있다. 볼트 부재(122-2)는 볼트 텐셔너에 의하여 고박 베이스 모듈(112)에 인장될 수 있고, 유압이 소멸하여도 잔존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고박 모듈(12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잭 부재(122-1)는 고박 모듈(122)을 리프트-업(310)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크 하우스(120)가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정지하면, 잭 부재(122-1)는 지지 부재(112-3)를 삽입하기 위하여 고박 모듈(122)을 리프트-업(310)할 수 있다.
도 4에서, 지지 부재(112-3)는 고박 모듈(122)이 리프트-업되면 고박 모듈(122) 및 고박 베이스 모듈(112) 사이에 삽입(410)될 수 있다. 고박 모듈(122)이 리프트-업된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 부재(112-3)는 우선 고박 베이스 모듈(112)의 홈에 삽입(410)될 수 있다.
도 5에서, 지지 부재(112-3)가 고박 베이스 모듈(112)에 삽입되면, 잭 부재(122-1)는 고박 모듈(122)을 리프트-다운(510)시킬 수 있다. 고박 모듈(122)이 리프트-다운(510)되면 지지 부재(112-3)는 고박 모듈(122) 및 고박 베이스 모듈(112)들의 홈들에 각각 수용될 수 있고, 지지 부재(112-3)는 고박 모듈(122)의 이동을 방지하고 고박 모듈(122)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에서, 지지 부재(112-3)가 삽입되면, 볼트 부재(122-2)가 고박 베이스 모듈(112)에 삽입(610)될 수 있다. 지지 부재(112-3) 및 고박 베이스 모듈(112)는 볼트 부재(122-2)를 수용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부재(122-2)는 지지 부재(112-3) 및 고박 베이스 모듈(112)의 홀들을 모두 관통하여 삽입(610)될 수 있다. 볼트 부재(122-2)가 삽입되면, 볼트 부재(122-2)는 스패너(Spanner)에 의하여 고박 베이스 모듈(112)과 체결될 수 있다.
도 7에서, 볼트 부재(122-2)가 삽입되고 스패너에 의하여 체결되면, 볼트 부재(122-2)는 제1 너트 부재(112-1)와 체결(710)될 수 있다. 볼트 부재(122-2) 및 제1 너트 부재(112-1)가 체결되면, 볼트 부재(122-2)는 볼트 텐셔너에 의하여 체결(720)될 수 있다. 볼트 부재(122-2)는 볼트 텐셔너의 유압에 의하여 그 축 방향으로 인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8에서, 볼트 부재(122-2)에 인장력이 발생하면, 볼트 부재(122-2)는 제2 너트 부재(112-2)와 체결(810)될 수 있다. 볼트 부재(122-2) 및 제2 너트 부재(112-2)가 체결되면, 볼트 부재(122-2)는 볼트 텐셔너에 의하여 제공 받은 유압이 해제될 수 있다. 볼트 부재(122-2)의 유압이 해제되어도, 제1 및 제2 너트 부재들(112-1, 112-2) 사이에 인장력이 잔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 부재(122-2)는 유압에 의한 인력이 소멸하면, 볼트 부재(122-2)에 잔존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고박 모듈(122)을 고박 베이스 모듈(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이동 가능한 데크 하우스(120)를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고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120)로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복수의 측벽들 112: 고박 베이스 모듈
112-1, 112-2: 제1 및 제2 너트 부재들
112-3: 지지 부재 120: 데크 하우스
122: 고박 모듈 122-1: 잭 부재
122-2: 볼트 부재 130: 화물 적재부
10: 선체 20: 가이드 바

Claims (11)

  1.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고박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상호 이격된 복수의 측벽들;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및 제2 정지 지점들 간에 왕복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정지 지점들에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대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고박되는 고박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 하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박 모듈은
    상기 고박 모듈을 리프트-업 또는 리프트-다운시키는 잭 부재; 및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고정시키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은
    상기 고박 모듈이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정지하면, 상기 고박 모듈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고박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고박 모듈이 리프트-업되면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은
    상기 볼트 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제1 또는 제2 정지 지점에서 고정시키는 제1 너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박 모듈은
    상기 볼트 부재의 중간에서 상기 볼트 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제2 너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부재는
    그 축 방향으로 유압에 의한 인력을 제공 받아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부재는
    상기 유압에 의한 인력이 소멸하면, 상기 볼트 부재에 잔존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8. 고박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 하우스가 고박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단계;
    볼트 부재와 제1 너트 부재를 체결하고, 상기 볼트 부재에 유압에 의한 인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볼트 부재를 제2 너트 부재와 체결하여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박 모듈을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 사이에 지지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단계는
    상기 볼트 부재의 축 방향으로 유압에 의한 인력을 제공 하여 상기 볼트 부재를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에 인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단계는
    상기 볼트 부재 및 상기 제2 너트 부재가 체결되면, 상기 볼트 부재에 제공되는 유압을 해제하고 제1 및 제2 너트 부재들의 사이에 잔존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고박 모듈 및 상기 고박 베이스 모듈의 체결을 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방법.
KR1020150084768A 2015-06-16 2015-06-16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 KR101705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768A KR101705004B1 (ko) 2015-06-16 2015-06-16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768A KR101705004B1 (ko) 2015-06-16 2015-06-16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58A KR20160148158A (ko) 2016-12-26
KR101705004B1 true KR101705004B1 (ko) 2017-02-09

Family

ID=5773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768A KR101705004B1 (ko) 2015-06-16 2015-06-16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0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5297A (ja) * 1995-10-02 1997-04-08 Fuji Kaiji Kogyo Kk 船体連結装置
KR200476888Y1 (ko) 2010-10-04 2015-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101282350B1 (ko) * 2011-09-29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KR101985451B1 (ko) 2012-11-28 2019-06-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101634150B1 (ko) * 2014-02-11 2016-06-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58A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50B1 (ko) 운송수단, 특히 선박 상의 컨테이너를 위한 래싱 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래싱 플레이트, 및 이로 이루어진 래싱 시스템
KR101865164B1 (ko) 분리형 해상 구조물 설치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20120097827A (ko) 전자석을 이용한 선박의 계류 장치
KR20140002122A (ko)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100029424A (ko) 갑판부 컨테이너의 고박방법, 이 방법에 사용되는 스프링 부착 라싱바, 갑판부 컨테이너의 간격조절장치 및 그 고박설비
KR101225688B1 (ko) 부유체 계류장치
KR101705004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
EP3231700A1 (en) Ship
KR20140141766A (ko) 선박의 앵커 체인 탑재방법
CN105873819B (zh) 用于支撑在货船的甲板上待运输的货柜的装置
KR20130080474A (ko) 화물 영역 위의 그리드에 배치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선박
KR20040018363A (ko) 컨테이너의 고정방법
KR20090022045A (ko)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KR101294389B1 (ko) 선박용 컨테이너 래싱장치
KR20150011511A (ko) 컨테이너 선박
KR101668458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2384610B1 (ko) 선박 위 구조물 고정 장치 및 클립
KR102384605B1 (ko) 고정 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이 선적된 선박
KR101580802B1 (ko) 패널 인양 지그
KR101540915B1 (ko) 헬리데크 리프팅 장치
KR20120004440U (ko) 스트랜드 잭의 지지 구조
KR20170130868A (ko) 분리형 거주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KR200481349Y1 (ko) 화물창 컨테이너 적재용 스툴
KR100896338B1 (ko) 고속단정의 후크케이지 설치구조
KR102005462B1 (ko) 더블암 데빗시스템용 리프팅 케이지를 가지는 소형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