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688B1 - 부유체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체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688B1
KR101225688B1 KR1020100126180A KR20100126180A KR101225688B1 KR 101225688 B1 KR101225688 B1 KR 101225688B1 KR 1020100126180 A KR1020100126180 A KR 1020100126180A KR 20100126180 A KR20100126180 A KR 20100126180A KR 101225688 B1 KR101225688 B1 KR 10122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floating
rail
mooring
fl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914A (ko
Inventor
정현수
김문성
김병우
도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6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68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부유체 계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는, 계류라인의 단부를 부유체상에 고정하거나 구속하는 계류장치에 있어서, 계류라인을 고정하는 쵸크부; 및 부유체에 고정설치되며, 쵸크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체 계류장치{mooring apparatus for floating body}
본 발명은 선박이나 해상시설과 같은 부유체를 계류시키는데 사용되는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LNG-FPSO(Liquefied Natural Gas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또는 LNG-FSRU(Liquefied Natural Gas -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의 해양구조물은, LNG 운반선(LNGC,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과 측면부끼리 접하도록 병렬계류된 상태에서 LNG를 하역한다.
도 1은 상기와 같이 2개의 부유체(20)가 병렬계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개의 부유체(20)를 병렬계류 상태로 연결함에 있어서, 2개의 부유체(20)를 연결하는 계류라인(mooring line)(21)과 방현물(防舷物)인 펜더(fender)(22)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부유체(20) 각각에는 계류라인(21)을 끌어당기거나 풀어내며 길이를 조정하는 윈치(winch)(32)와, 부유체(20)에 일체로 고정설치된 쵸크(chock)(31)가 구비되어, 계류라인(21)의 단부는 쵸크(31)에 의해 부유체(20)상의 일정한 위치에 구속된 상태로 윈치(32)에 의해 길이조정된다.
병렬계류된 상태의 부유체에는 파도, 바람, 조류 등에 의해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 하중이 계류라인과 펜더의 설계하중 이하로 작용하여야만 부유체의 위치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계류라인과 펜더에 작용하는 하중은 병렬계류된 부유체 상호간의 작업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로서, 계류라인에 작용하는 하중, 응력이 감소될수록 부유체의 계류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파도, 바람, 조류 등이 동일한 환경에서도 계류라인에 걸리는 하중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부유체 계류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계류라인(21)의 단부를 부유체(10)상에 고정하거나 구속하는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류라인(21)을 고정하는 쵸크부(100); 및 상기 부유체(1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쵸크부(1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유체 계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쵸크부(100)는, 상기 계류라인(21)을 묶거나 걸 수 있는 고리나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00)는, 양 측면부 상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이탈방지턱(211) 및 상기 이탈방지턱(211) 사이에 슬릿(212)이 형성된 레일(210); 및 하부는 상기 레일의 이탈방지턱(211) 내측에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슬릿(212)을 관통하여 상기 쵸크부(10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쵸크부(100)가 상기 레일(21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210)의 양 측면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410)과, 상기 관통홀(410)과 레일(210)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바(420)가 구비되는 위치고정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410)은, 상기 레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 또는 복수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쵸크부(100)와 상기 슬라이더(2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쵸크부(1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이동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이동부(300)는, 신축 구동에 의해 상기 쵸크부(1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10)의 흘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실린더를 신축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파도, 바람, 조류 등의 환경조건이나 부유체의 흘수에 따라, 최적의 계류라인 배치를 구성하면서 계류라인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 일반적으로 2개의 부유체가 병렬계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 도 2의 A-A, B-B 단면도
도 4 - 파도, 바람, 조류의 방향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의 이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 부유체의 흘수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의 이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 - 부유체가 안벽에 계류된 상태에서 부유체 계류장치의 이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의 (a), (b)는 각각 도 2의 A-A,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는, 계류라인(21)의 단부를 부유체(10)상에 고정하거나 구속하는 계류장치로, 종래에 부유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던 쵸크(도 1의 도면부호 31)를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는, 쵸크부(100), 가이드부(20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쵸크부(100)는 상기 계류라인(21)의 단부를 묶거나 걸 수 있는 고리나 걸림턱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계류라인(21)의 단부를 묶거나 걸 수 있는 고리나 걸림턱을 제공한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부유체의 용도, 사용환경 등에 따라 적합한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쵸크부(100)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레일(210)을 구비하여 상기 부유체(10)에 고정설치된다. 도 3의 (a), (b)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레일(210)과, 상기 레일(210)상에서 상기 레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22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레일(210)은 상기 슬라이더(220)의 하부를 수용가능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레일(210)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210)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더(220)의 하부가 상향 가압력에 의해 상기 레일(210)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211)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20)의 하부는 상기 이탈방지턱(211)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일(210)의 측면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레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2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220)의 하단에 바퀴 등의 구름부재가 설치되거나, 상기 레일(210)과 슬라이더(220) 사이에 윤활유가 도포되거나, 구(球)형상의 베어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턱(211)이 형성된 상기 레일(210)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더(220)의 하부가 삽입되는 상기 레일(210)의 내부에 비해 폭이 좁은 슬릿(2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부는 상기 슬릿(212)을 관통하여 상기 상기 쵸크부(100)와 연결된다.
사용자가 상기 레일(210)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쵸크부(100)를 상기 레일(210)의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210) 내측에서 상기 슬라이더(220)가 상기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쵸크부(100)를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쵸크부(100)와 가이드부(200)에 상, 하부가 각각 연결되며, 신축 구동에 의해 상기 쵸크부(1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되는 승강이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상기 승강이동부(300)에 구비되는 실린더 중,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하부는 상기 슬라이더(220)와 연결되고, 피스톤 형상을 가지고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상부는 상기 쵸크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이동부(300)의 실린더를 작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쵸크부(100)의 수직방향(상하방향)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이동부(300)의 실린더를 제어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제어할 수도 있으나, 부유체(10,20)들의 흘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부유체(10)간의 상대적인 흘수 차이에 따라 자동으로 실린더를 신축 구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자동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쵸크부(100)를 상기 레일(210)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계류라인(21) 등을 통해 전달된 장력에 의해 임의로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4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고정부(400)는, 관통홀(410)과 고정바(42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관통홀(410)은, 상기 레일(210)의 연장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레일(210)의 측면부에 관통형성되며, 상기 고정바(420)는, 상기 관통홀(410)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210) 내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레일(210)에 체결, 고정된다.
사용자는 상기 쵸크부(100)를 밀거나 당겨 상기 레일(210)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도 2,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210) 내부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더(220)의 양단 각각에 가장 인접한 상기 관통홀(410)에 상기 고정바(420)를 끼움으로써 상기 쵸크부(100) 및 슬라이더(210)를 고정, 정지시킬 수 있다.
도 2,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410)은 상기 레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나, 복수열로 형성하면 다수의 상기 고정바(420)를 복수열로 장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20)의 양단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바(420) 또한 볼트, 못, 막대와 같은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외에, 손잡이가 추가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a), (b)는 파도, 바람, 조류의 방향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의 적합한 사용방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략도이다.
부유체(10, 20)는 파도, 바람, 조류 등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는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도, 바람 등이 선수측 또는 선미측(도 4의 좌우방향)에서 부유체(10, 20)에 작용하면, 부유체(10, 20)가 전후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도, 바람 등이 측방향(도 4의 상하방향)에서 부유체(10, 20)에 작용하면, 부유체(10, 20)가 좌우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10, 20)가 전후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상기 계류라인(21)이, 파도, 바람, 조류가 작용하는 방향, 즉 부유체(10, 20)의 전후방향으로 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지도록 부유체(10, 20)에 연결하면, 부유체(10, 20)의 좌우방향으로 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경우에 비해, 상기 계류라인(21)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10, 20)가 좌우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 파도, 바람, 조류가 작용하는 방향, 즉 부유체(10, 20)의 측방향으로 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계류라인(21)을 부유체(10, 20)에 연결하면, 부유체(10, 20)의 전후방향으로 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경우에 비해, 상기 계류라인(21)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도, 바람, 조류 등이 부유체(10, 20)에 작용할 경우, 파도, 바람, 조류 등의 방향, 세기에 따라 상기 쵸크부(100)의 위치를 상기 레일(210)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계류라인(21)에 작용하는 하중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의 (a), (b)는 부유체(10)의 흘수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의 적합한 사용방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략도이다.
부유체상에서 LNG, 오일(oil) 등의 하역이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유체(10)의 흘수가 변하게 되는데, 상기 계류라인(21)이 수평할수록 상기 계류라인(21)에 하중이 적게 작용하게 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가 설치된 부유체(10)가 다른 부유체(20)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쵸크부(100)를 상향이동시키도록 상기 승강이동부(300)의 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계류라인(21)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가 설치된 부유체(10)가 다른 부유체(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쵸크부(100)를 하향이동시키도록 상기 승강이동부(300)의 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계류라인(21)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가 설치된 부유체(10)가 안벽에 계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2개의 부유체 중 하나에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가 설치된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으나, 2개의 부유체 전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유체간의 계류가 아닌, 안벽과 같은 정박물상에의 계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안벽에 부유체(10)를 계류시키는 경우, 일반적으로 부유체(10)에 구비되는 쵸크(도 1, 4, 5의 31 참조)와 윈치(32), 안벽의 비트(bitt)를 계류라인(21)으로 연결하고 있는데, 부유체(10)에 구비되던 쵸크를 대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 계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계류라인(21)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키면서 안벽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10, 20 : 부유체 21 : 계류라인
31 : 쵸크 32 : 윈치
100 : 쵸크부 200 : 가이드부
210 : 레일 211 : 이탈방지턱
212 : 슬릿 220 : 슬라이더
300 : 승강이동부 400 : 위치고정부
410 : 관통홀 420 : 고정바

Claims (8)

  1. 계류라인의 단부를 부유체상에 고정하거나 구속하는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류라인을 고정하는 쵸크부;
    상기 부유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쵸크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양 측면부 상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이탈방지턱 및 상기 이탈방지턱 사이에 슬릿이 형성된 레일 및 하부는 상기 레일의 상기 이탈방지턱 내측에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쵸크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쵸크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의 양 측면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상기 레일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바가 구비되는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는 부유체 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부는,
    상기 계류라인을 묶거나 걸 수 있는 고리나 걸림턱이 형성되는 부유체 계류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 또는 복수열로 형성되는 부유체 계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부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쵸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부유체 계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이동부는,
    신축 구동에 의해 상기 쵸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를 포함하는 부유체 계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흘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실린더를 신축 구동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부유체 계류장치.
KR1020100126180A 2010-12-10 2010-12-10 부유체 계류장치 KR10122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80A KR101225688B1 (ko) 2010-12-10 2010-12-10 부유체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80A KR101225688B1 (ko) 2010-12-10 2010-12-10 부유체 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914A KR20120064914A (ko) 2012-06-20
KR101225688B1 true KR101225688B1 (ko) 2013-01-25

Family

ID=4668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180A KR101225688B1 (ko) 2010-12-10 2010-12-10 부유체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090B1 (ko) * 2013-01-31 2014-1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접안장치
KR102111988B1 (ko) * 2013-12-05 2020-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952978B1 (ko) * 2014-11-12 2019-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2640387B1 (ko) 2019-11-13 2024-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시스템
KR102663765B1 (ko) * 2021-08-10 2024-05-07 다스코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586397B1 (ko) * 2021-12-21 2023-10-10 (주)테크윈 계류선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5494U (ko) * 1978-01-10 1979-07-25
JPS54109299U (ko) 1978-01-12 1979-08-01
JPS62120098U (ko) * 1986-01-22 1987-07-30
EP0672582A1 (en) 1994-03-14 1995-09-20 Aquamaster-Rauma Ltd. Traction arrangement for tug bo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5494U (ko) * 1978-01-10 1979-07-25
JPS54109299U (ko) 1978-01-12 1979-08-01
JPS62120098U (ko) * 1986-01-22 1987-07-30
EP0672582A1 (en) 1994-03-14 1995-09-20 Aquamaster-Rauma Ltd. Traction arrangement for tug bo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914A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688B1 (ko) 부유체 계류장치
KR102050614B1 (ko) 선박의 라인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견인 시스템
KR101356617B1 (ko)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US9227701B2 (en) Vessel comprising a mooring connector with a heave compensator
US6499418B1 (en) Method for installing a number of risers or tendons and vessel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KR20120097827A (ko) 전자석을 이용한 선박의 계류 장치
CN102985351A (zh) 举升框架设备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CN110352160B (zh) 用于从舰船松出细长柔性物品的装置和方法
US6893190B2 (en) Method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a floating structure with rope anchor lines to the seabed
KR20150021305A (ko) 슬라이딩 타입 부유식 발전 플랜트 계류 장치
US9840309B2 (en) Mooring arrangement
KR101229226B1 (ko)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
US9174705B2 (en) Compensated lashing of tender assist drilling unit to a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US8544403B2 (en) Floating unit
US9011046B2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KR101593971B1 (ko)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KR102087177B1 (ko) 부유식 발전 플랜트 계류 장치
AU2015213388B2 (en) Rectractable chain connector
KR20160121695A (ko) 다점 계류 시스템
KR20150001794U (ko) 해양 구조물의 모듈 유닛용 리프팅 장치
JP2007161088A (ja) 洋上補給船
WO2008147211A1 (en) A method and equipment arrangement for relocation of an object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on the seabed
KR20140005222U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로프 시브용 윤활제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