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971B1 -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 Google Patents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971B1
KR101593971B1 KR1020130159924A KR20130159924A KR101593971B1 KR 101593971 B1 KR101593971 B1 KR 101593971B1 KR 1020130159924 A KR1020130159924 A KR 1020130159924A KR 20130159924 A KR20130159924 A KR 20130159924A KR 101593971 B1 KR101593971 B1 KR 10159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offshore plant
ship
bit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606A (ko
Inventor
이수호
배재류
김진강
김성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9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에 관한 것으로, 해양플랜트 사이의 계류 삭이 해양플랜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30˚~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페어리드 또는 초크가 상기 해양플랜트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선박의 크기에 상관없이 해양플랜트에 설치되는 비트(Bitt, 계선주) 설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조 보강작업이 최소화되고, 구조물이 경량화되며, 안정적인 계선으로 하역작업을 중단하는 일이 현저히 줄어든다.

Description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MEMBER FOR PREVENTING ABRATION OF MOORING CABLE IN OFFSHORE PLANT}
본 발명은 병렬 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해양플랜트와 수송선 사이의 계류 삭이 해양플랜트와 수송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 30˚~90˚의 각도를 이루어 방향 변환과 함께 방향 변환과정에서 마모방지가 가능하도록 페어리드 또는 초크가 해양플랜트에 설치됨으로써, 계류 삭의 길이가 연장되어 계류 삭에 걸리는 장력을 줄일 수 있어 극심한 환경에서도 LNG 또는 원유를 안전하게 적하역할 수 있는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상구조물에 수송선이 접안하여 오프로딩(offloading) 하고자 할 때에 계류방식으로는 텐덤 방식과 병렬 계류방식이 있으며, 최근에는 LNG나 원유의 원활한 적하역을 위하여 병렬 계류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병렬 계류를 통해서 오프 로딩하고자 할 때에, 터렛 등으로 계류되어 있는 해상구조물에 수송선이 접근한 후, 터그 보트 등으로 수송선을 밀어서 해상구조물에 접안시킨다. 이렇게 수송선을 접안시킨 후 해상구조물에서 수송선으로 LNG나 원유를 오프 로딩하기 위한 로딩암(loading arm)을 연결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구조물(10)과 수송선인 선박(20) 간에 안전한 오프 로딩을 위하여 해상구조물(10)과 선박(20)은 계류 삭(계류 줄)(1)으로 계류시키게 된다.
즉, 해상구조물(10)과 선박(20) 사이의 가까워지는 방향의 힘에 견디기 위하여 해상구조물(10)과 선박(20) 사이에 다수의 팬더(2)를 설치하고, 멀어지려는 힘에 견디기 위해서 수송선인 선박(20)에서 가지고 있던 계류 삭(1)을 해상구조물(10)의 비트(11)에 걸어 계류 삭(1)의 장력으로 해상구조물(10)과 선박(20)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로딩암의 움직임이 일정한 범위 안에 있도록 한다.
한편, 해상상태가 나빠져서 계류 삭(1)이 MBL(minimum breaking limit: 한계장력범위)을 넘어서게 되면, 로드 암의 보호와 안전한 오프 로딩을 위하여 오프 로딩을 멈추고 오프 로딩 장치를 풀게 된다.
이후, 해상 상태가 다시 잔잔해 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파고가 낮아진 후에야 해상구조물(10)에 선박(20)을 접안시켜서 계류한 후 로딩암을 연결시키는 작업을 다시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재연결 작업은 다운 타임(down-time)이 되어 운용비용과 직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병렬 계류장치는 수송선인 선박(20)의 윈치(21)에서 해상구조물(10)의 비트(11)로 계류 삭(1)을 연결한 후, 윈치(21)를 감아 일정한 초기 장력을 주게 된다.
특히, 선수나 선미의 계류 삭(1)은 해상구조물(10)과 선박(20)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는 힘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해상구조물(10)의 비트(11) 개수 및 위치의 한계로 인해서 선수나 선미의 계류 삭(1)은 직각을 이루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 병렬 계류에 있어서 갑판 위의 간섭 및 배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비트(11)의 위치는 제한되게 되고, 이로 인해 선수나 선미의 계류 삭(1)이 어느 정도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게 된다.
이는, 폭 방향의 움직임으로부터 받는 힘에 대하여 계류 삭(1)이 견딜 수 있는 능력을 약화시키게 되며, 계류 삭(1)의 길이를 대부분 담당하는 테일 로프(tail rope)의 길이도 선박(20)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계류 삭(1)의 특성 치를 바꿀 수도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 10-2011-0034129호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이 제안되었다.
종래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과 이에 병렬 계류되는 선박을 연결시키는 계류 삭; 상기 계류 삭이 통과하도록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되되, 자신과 상기 선박 사이의 계류 삭이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이나 상기 선박의 길이방향에 60°내지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페어리드;를 구비한다.
종래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방법은 부유식 해상구조물과 상기 선박을 연결시키기 위한 계류 삭이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이나 상기 선박의 길이방향에 60°내지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가이드 되기 위한 페어리드를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계류 삭을 상기 페어리드에 통과시켜서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과 상기 선박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페어리드와 상기 선박 사이의 계류 삭이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이나 상기 선박의 길이방향에 60°내지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 및 방법은 계류 삭에 걸리는 장력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수 및 선미의 계류 삭 각각 2개를 페어리더를 사용하여 선박과 60~90˚ 각도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므로, 계류 작업이 힘들고 선박의 제어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1-0034129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이 상기 해양플랜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30˚~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페어리드 또는 초크가 해양플랜트에 설치됨으로써, 계류 삭의 길이가 연장되어 계류 삭에 걸리는 장력을 줄일 수 있어서, 극심한 환경에서도 LNG 또는 원유를 안전하게 적하역할 수 있으며, 해양플랜트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는 힘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선박의 제어가 쉬워지며, 해양플랜트에 병렬로 접안하는 선박의 길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을 지지하기 위한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로서,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는 페어리드 또는 초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개방 부분의 선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해양플랜트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 제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는 2단 형태로 구성되되, 중간 개방부분의 선단에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양플랜트의 선미부에는 제1 비트, 제2 비트, 제3 비트가 설치되며, 상기 페어리드 또는 초크는 상기 제2 비트와 상기 제3 비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해양플랜트의 선수부에는 제1 비트, 제2 비트, 제3 비트가 설치되며, 상기 페어리드 또는 초크는 상기 제2 비트와 상기 제3 비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초크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초크는 개방 부분의 선단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어리드 또는 초크는 1단 형태 또는 2단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양플랜트 사이의 계류 삭이 해양플랜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30˚~90˚의 각도를 이루어 방향 변환과 함께 방향 변환과정에서 마모방지가 가능하도록 페어리드 또는 초크가 해양플랜트에 설치됨으로써, 계류 삭의 길이가 연장되어 계류 삭에 걸리는 장력을 줄일 수 있어, 극심한 환경에서도 LNG 또는 원유를 안전하게 적하역할 수 있으며, 해양플랜트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는 힘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제어가 쉬워지며, 해양플랜트에 병렬로 접안하는 선박의 길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송 선박의 크기에 상관없이 해양플랜트에 설치되는 계선용 비트(Bitt, 계선주) 설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조 보강작업이 최소화되고, 구조물이 경량화되며, 안정적인 계선으로 하역작업을 중단하는 일이 현저히 줄어든다.
도 1은 종래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으로, 선박이 소형 수송선인 경우를 설명하는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으로, 선박이 대형 수송선인 경우를 설명하는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으로, 선박이 소형 수송선인 경우를 설명하는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으로, 선박이 대형 수송선인 경우를 설명하는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초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초크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 및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으로, 선박이 소형 수송선인 경우를 설명하는 평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으로, 선박이 대형 수송선인 경우를 설명하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100)은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플랜트(10)에 수송선 등과 같은 선박(20)을 병렬로 계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해양플랜트란 넓은 의미로 해양플랜트 자체는 물론 선박, 수송선, 해양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100)은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을 서로 연결시키는 계류 삭(110)과, 계류 삭(110)이 통과하여 방향을 전환하고 마모를 방지하도록 해양플랜트(10)에 설치되는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는 페어리드(fair lead) 또는 초크(chock)를 포함한다. 즉, 페어리드 또는 초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는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개방 부분의 선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해양플랜트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 제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도 6 참조).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는 2단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간 개방부분의 선단에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도 7 참조).
계류 삭(110)은 해양플랜트(10)와 이에 병렬 계류되는 선박(20)을 연결시키는 데, 해양플랜트(10)에 설치된 비트(11)나 후크에 연결되는 제 1 로프(111)와, 선박(20)에 설치된 윈치(21)에 권선되어 제 1 로프(111)에 연결되는 제 2 로프(112)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선박(10)으로부터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를 통과하여 비트(11)나 후크에 해양플랜트(1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러한 계류 삭(110)과는 달리, 종래와 마찬가지로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에 가이드 되지 않는 계류 삭(130)의 양단을 비트(11)와 윈치(21)에 직접 연결시킬 수도 있다.
제 1 로프(111) 및 제 2 로프(112)는 테일 로프(tail rope)의 일종으로서, 나일론 로프(nylon rop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퀘어 노트(square knot)의 매듭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 사이의 가까워지는 방향의 힘에 견디기 위하여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 사이에 다수의 팬더(2)를 설치하고, 멀어지려는 힘에 견디기 위해서 수송선인 선박(20)에서 가지고 있던 계류 삭(110)(130)을 해양플랜트(10)의 비트(11)에 걸어 계류 삭(110)(130)의 장력으로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이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로딩암의 움직임이 일정한 범위 안에 있도록 한다.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는 계류 삭(110)이 통과하도록 해양플랜트(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계류 삭(110)이 해양플랜트(10)나 선박(2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30˚~90˚의 각도를 이루어 방향 전환과 함께 상향 전환 과정에서 마모방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해양플랜트(10)에 설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해양플랜트(10)의 선미부에는 제1 비트(11a), 제2 비트(11b), 제3 비트(11c)가 설치된다.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는 상기 해양플랜트(10)의 선미 측에서 상기 제2 비트(11b)와 상기 제3 비트(11c) 사이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에서 선박(20)이 소형 수송선인 경우, 선미 측의 제2 비트(11b)와 제3 비트(11c) 사이에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가 위치하되,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에는 제1 비트(11a) 및 제2 비트(11b)의 제1 로프(111)가 통과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에서 선박(20)이 대형 수송선인 경우, 선미 측의 제2 비트(11b)와 제3 비트(11c) 사이에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가 위치하되,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에는 제3 비트(11c)의 제1 로프(111)가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계류 삭(110)은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를 통과하여 해양플랜트(10)에 연결되므로, 계류 삭(110)의 길이가 연장되어 계류 삭(110)에 걸리는 장력을 줄일 수 있어서, 극심한 환경에서도 LNG 또는 원유를 안전하게 적하역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와 선박(20) 사이의 계류 삭(110)이 해양플랜트(10)나 선박(2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30˚~90˚의 각도를 이루므로,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는 힘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선박의 제어가 쉬워진다. 따라서, 해양플랜트(10)에 병렬로 접안하는 선박(20)의 길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으로, 선박이 소형 수송선인 경우를 설명하는 평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으로, 선박이 대형 수송선인 경우를 설명하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계류 삭(110)은 해양플랜트(10)와 이에 병렬 계류되는 선박(20)을 연결시키는 데, 해양플랜트(10)에 설치된 비트(11)나 후크에 연결되는 제 1 로프(111)와, 선박(20)에 설치된 윈치(21)에 권선되어 제 1 로프(111)에 연결되는 제 2 로프(112)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선박(20)으로부터 페어리드(120)를 통과하여 비트(11)나 후크에 해양플랜트(1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계류 삭(110)과는 달리, 종래와 마찬가지로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에 가이드 되지 않는 계류 삭(130)의 양단을 비트(11)와 윈치(21)에 직접 연결시킬 수도 있다.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 사이의 가까워지는 방향의 힘에 견디기 위하여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 사이에 다수의 팬더(2)를 설치하고, 멀어지려는 힘에 견디기 위해서 수송선인 선박(20)에서 가지고 있던 계류 삭(110)을 해양플랜트(10)의 비트(11)에 걸어 계류 삭(110)의 장력으로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로딩암의 움직임이 일정한 범위 안에 있도록 한다.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는 계류 삭(110)이 통과하도록 해양플랜트(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계류 삭(110)이 해양플랜트(10)나 선박(2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30˚~90˚의 각도를 이루어 방향 변환과 함께 상기 방향 변환과정에서 마모방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해양플랜트(10)에 설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해양플랜트(10)의 선수부에는 제1 비트(11c), 제2 비트(11d), 제3 비트(11e)가 설치된다.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는 상기 해양플랜트(10)의 선수 측에서 상기 제2 비트(11d)와 상기 제3 비트(11e) 사이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에서 선박(20)이 소형 수송선인 경우, 선수 측의 제2 비트(11d)와 제3 비트(11e) 사이에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가 위치하되,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에는 제1 비트(11c) 및 제2 비트(11d)의 제1 로프(111)가 통과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 시스템에서 선박(20)이 대형 수송선인 경우, 선수 측의 제2 비트(11d)와 제3 비트(11e) 사이에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가 위치하되, 상기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에는 제3 비트(11e)의 제1 로프(111)가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계류 삭(110)은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를 통과하여 해양플랜트(10)에 연결되므로, 계류 삭(110)의 길이가 연장되어 계류 삭(110)에 걸리는 장력을 줄일 수 있어서, 극심한 환경에서도 LNG 또는 원유를 안전하게 적하역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120)와 선박(20) 사이의 계류 삭(110)이 해양플랜트(10)나 선박(2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30˚~90˚의 각도를 이루므로,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는 힘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선박의 제어가 쉬워진다. 따라서, 해양플랜트(10)에 병렬로 접안하는 선박(20)의 길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초크를 보인 사시도로서, 초크(120)는 1단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초크(120)의 개방 부분의 선단에 돌기(121)가 형성됨으로써, 해상구조물(10)과 선박(20)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을 제어하기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초크를 보인 사시도로서, 초크(120)는 1단 형태뿐만 아니라 2단 형태로 구성되며 그 중간 개방부분의 선단에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계류 삭(110)을 통과시켜서 해양플랜트(10)와 선박(20)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는 힘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페어리드도 1단 형태뿐만 아니라 2단 형태로 구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양플랜트 사이, 예를 들어, 해양플랜트와 수송선 사이의 계류 삭이 해양플랜트와 수송선의 길이 방향에 대해 30˚~90˚의 각도를 이루어 방향 변환과 함께 방향 변환과정에서 마모방지가 가능하도록 페어리드 또는 초크가 해양플랜트에 설치됨으로써, 계류 삭의 길이가 연장되어 계류 삭에 걸리는 장력을 줄일 수 있어서, 극심한 환경에서도 LNG 또는 원유를 안전하게 적하역할 수 있으며, 해양플랜트와 선박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는 힘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선박의 제어가 쉬워지며, 해양플랜트에 병렬로 접안하는 선박의 길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수송 선박의 크기에 상관없이 해양플랜트에 설치되는 비트(Bitt, 계선주) 설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조 보강작업이 최소화되고, 구조물이 경량화되며, 안정적인 계선으로 하역작업을 중단하는 일이 현저히 줄어든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2: 팬더
10: 해양플랜트
20: 선박
110: 계류 삭
120: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을 지지하기 위한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에 있어서,
    페어리드 또는 초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개방 부분의 선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해양플랜트의 폭 방향으로의 상대운동 제어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2단 형태로 구성되되, 중간 개방부분의 선단에 상기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KR1020130159924A 2013-12-20 2013-12-20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KR10159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924A KR101593971B1 (ko) 2013-12-20 2013-12-20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924A KR101593971B1 (ko) 2013-12-20 2013-12-20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606A KR20150072606A (ko) 2015-06-30
KR101593971B1 true KR101593971B1 (ko) 2016-02-15

Family

ID=5351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924A KR101593971B1 (ko) 2013-12-20 2013-12-20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9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606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4040B1 (en) Bow loading station with double deck for cryogenic fluid
AU2010252013B2 (en) Offshore structure and mooring arrangement
US3945508A (en) Devices for transferring heavy loads at sea
KR20120022329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수송선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US20050005834A1 (en) Floating terminal for loading/offloading ships such as methane tankers
KR101225688B1 (ko) 부유체 계류장치
KR101654183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20190132064A (ko) 선박 연료 공급호스의 홀딩안전장치
KR101593971B1 (ko)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CA2320237C (en) Fso loading/mooring
US9174705B2 (en) Compensated lashing of tender assist drilling unit to a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KR20160073096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20130032168A (ko) 해양 구조물의 탄뎀하역 장치의 충돌방지 시스템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EP3181440B1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20120058262A (ko) 병렬 계류장치
KR20110029229A (ko) 해상부유구조물 및 그 해상부유구조물과 셔틀간의 계류삭에 의한 접안 방법
KR20140121595A (ko) 해양 구조물과 계류 선박의 형상맞춤식 계류 시스템 및 형상맞춤부를 구비한 계류 시스템의 접안 방법
KR200484765Y1 (ko)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JP4939856B2 (ja) 係留システムと係留方法
US11866130B2 (en) System for restriction of hawser movement in a tandem mooring and loading
KR20170000778U (ko) 벙커링 선박의 계류 장치 및 계류 시스템
KR101540336B1 (ko) 해양부유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