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65Y1 -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65Y1
KR200484765Y1 KR2020130008232U KR20130008232U KR200484765Y1 KR 200484765 Y1 KR200484765 Y1 KR 200484765Y1 KR 2020130008232 U KR2020130008232 U KR 2020130008232U KR 20130008232 U KR20130008232 U KR 20130008232U KR 200484765 Y1 KR200484765 Y1 KR 200484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fixing
floating
ro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465U (ko
Inventor
박진혁
남종오
이동영
김철현
김덕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6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차에 의해 계류삭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계류삭의 길이를 늘리도록 하여 파단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계류삭에 의한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며, 파단 하중 또는 절단 하중(MBL: Minimum Breaking Limit)을 높임에 따라 환경 외력에 기인한 다운 타임(down time)을 줄일 수 있고, 오프로딩(offloading) 시 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계류삭을 고정할 수 있는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선체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하 단차를 이루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계류단차부; 및 상기 단부 각각에 계류삭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계류삭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Floating offshore structure for fixing mooring rope by step height}
본 고안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계류삭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파단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계류삭에 의한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PSO 등과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셔틀(shuttle) 사이의 오프 로딩(offloading)을 위한 방법으로는 병렬 계류(side by side mooring) 방식과 탠덤 계류(tandem mooring)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최근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셔틀간의 계류 방식 중에서 적하역의 유효성을 고려하여 병렬 계류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종래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셔틀간의 병렬 계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셔틀이 파고에 의한 운동으로 인해 계류삭에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인가되면, 오프로딩(offloading)을 중단시키게 된다. 또한 병렬 계류를 위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비트가 셔틀과 만나는 측면에 위치하게 되어 계류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데, 계류삭이 짧은 경우 파단의 가능성이 커지며, 이로 인해 비교적 낮은 파고에도 작업이 중단되어 시간적 손실로 인해 작업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셔틀간의 병렬 계류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9229호의 해상부유구조물 및 그 해상부유구조물과 셔틀간의 계류삭에 의한 접안 방법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셔틀과 접안이 이루어지는 접안 면을 포함하는 해상부유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접안 면보다 그 반대편 면에 더 가까운 영역에 계류삭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비트를 마련하고, 상기 접안 면 또는 그 부근으로부터 상기 해상부유구조물의 메인 데크 아래를 경유해 상기 메인데크 위로 이어지는 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계류삭은 상기 관을 통과해 상기 메인 데크 위에 배치한 비트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접안시 접안 반대면의 비트와 접안면의 셔틀 윈치를 계류삭으로 연결하고, 계류삭은 데크 하부의 공간을 통해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계류삭을 데크 하부로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데크 하부에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류삭의 길이를 늘임으로써 파단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계류삭에 의한 간섭을 피하며, 파단 하중 또는 절단 하중(MBL: Minimum Breaking Limit)을 높임에 따라 환경 외력에 기인한 다운 타임(down time)을 줄이고, 오프로딩(offloading) 시 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계류삭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있어서, 선체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하 단차를 이루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계류단차부; 및 상기 단부 각각에 계류삭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계류삭고정부를 포함하는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계류단차부 및 상기 계류삭고정부는 상기 선체에 셔틀을 병렬 계류시키는 계류삭의 고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류단차부는 상기 선체의 데크 상에서 선미와 선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계류삭고정부는 상기 단부의 수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계류삭고정부는 상기 단부의 수평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데크 상에 계류삭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부가계류삭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상하로 단차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계류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를 이루는 부분 각각에 계류삭이 고정되기 위한 계류고정부가 마련되는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차에 의해 계류삭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계류삭의 길이를 늘리도록 하여 파단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계류삭에 의한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며, 파단 하중 또는 절단 하중(MBL: Minimum Breaking Limit)을 높임에 따라 환경 외력에 기인한 다운 타임(down time)을 줄일 수 있고, 오프로딩(offloading) 시 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계류삭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은 선체(140)에 상하로 단차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계류단차부(110)를 포함하고, 단차를 이루는 부분 각각에 계류삭(150)이 고정되기 위한 계류삭고정부(120)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은 예컨대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PSO, FSO(Floation Storage Offloading Unit),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뿐만 아니라, 셔틀(shuttle; 300)의 접안을 필요로 하는 모든 해양 구조물일 수 있다.
계류단차부(110) 및 계류삭고정부(120)는 선체(140)에 셔틀(shuttle)을 병렬 계류(side by side mooring)시키는 계류삭(150)의 고정에 사용될 수 있다.
계류단차부(110)는 선체(140)에서 데크(141) 상에 설치될 수 있고, 단부(111)가 상하 단차를 이루도록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111)가 2층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2층 외에도 셔틀(300)의 크기, 고정시키고자 하는 계류삭(150)의 개수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층수를 가질 수 있다.
계류단차부(110)는 일례로 계단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계류삭(15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견디기 위한 금속이나 금속합금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중을 견디도록 선체(140)의 데크(141) 상에 용접이나 볼팅, 그 밖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단부(111)는 계류삭(150)의 고정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데, 계류단차부(110)가 일례로 계단 형태를 가지는 점으로 볼 때, 각각의 단(step)을 이루게 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단의 수평면(111b)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차를 이루기 위한 수직면(111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류단차부(110)는 선체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하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수직면(111a)과 수평면(111b)을 구비하여 "L"자 형상일 수 있다.
계류단차부(110)는 본 실시 예에서처럼 선체(140)의 데크(141) 상에서 선미와 선수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선수에만 설치되거나 선미에만 설치될 수 있고, 나아가서 선수와 선미 사이의 영역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계류삭고정부(120)는 단부(111) 각각에 셔틀(300)을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삭(150)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비트(bitt)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단부(111)에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직립 형태, 머리가 굽은 형태, T자 형태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류삭고정부(12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단부(111)의 수직면(111a)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단부(111)의 수평면(111b)에도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선체(140)의 데크(141) 상에는 부가계류삭고정부(130)가 단일 또는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부가계류삭고정부(130)는 셔틀(300)을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삭(150)이 고정되도록 일례로 비트(bit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데크(141)의 측부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도 2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200)는 선체(240)에 설치되고, 단부(211)가 상하 단차를 이루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계류단차부(210)와, 단부(211) 각각에 계류삭(250)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계류삭고정부(220)를 포함하고, 나아가서 선체(240)의 데크(241) 상에 계류삭(250)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부가계류삭고정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계류단차부(210)와 계류삭고정부(220) 그리고 부가계류삭고정부(230)는 계류삭고정부(220)의 설치 위치를 제외하고,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에서 동일한 명칭에 해당하는 구성의 설명과 동일하다.
계류삭고정부(220)는 본 실시예에서 계류단차부(220)에 형성되는 단부(211)의 수평면(211b)에 마련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400)는 선체(440)에 설치되고, 단부(411)가 상하 단차를 이루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파이프 또는 기둥형상인 계류단차부(410)와, 단부(411) 각각에 계류삭(450)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계류삭고정부(420)를 포함하고, 나아가서 선체(440)의 데크(441) 상에 계류삭(450)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부가계류삭고정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계류단차부(410)가 파이프 또는 기둥형상 인 것을 제외하고,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에서 동일한 명칭에 해당하는 구성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하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200)과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4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이 오프로딩을 하고자 할 때, 일례로 셔틀(300)이 접근한 후, 터그보트(tugboat) 등으로 셔틀(300)의 측면을 밀어서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에 접안시킨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에 셔틀(300)이 접안되면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과 셔틀(300)을 로딩 아암(loading arm)으로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 작업전에 안전한 오프로딩을 위하여,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에 셔틀(300)을 계류삭(150)으로 계류시킨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에 셔틀(300)을 계류시키기 위하여, 셔틀(300)의 데크(310) 상에 설치된 계류장치(320), 예컨대 윈치에 연결되는 계류삭(150)을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의 계류단차부(110)에 마련된 계류삭고정부(120)와 데크(141) 상의 부가계류삭고정부(130)에 각각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셔틀(300)에 연결된 계류삭(150)이 계류단차부(110)에 의해 단차지도록 연결됨으로써,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셔틀(300)로부터 더욱 멀어지게 되어 계류삭(150)의 길이를 늘리도록 하여 계류삭(150)의 파단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계류삭(150)에 의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오프로딩 시 계류삭(150)의 파단 하중 또는 절단 하중(MBL: Minimum Breaking Limit)이 기준을 넘어서게 되면 오프로딩을 멈추고 오프로딩 아암을 풀게 되는데, 계류삭(150)의 길이를 늘임으로써 파단 하중 또는 절단 하중(MBL: Minimum Breaking Limit)을 높임에 따라 환경 외력에 기인한 다운 타임(down time)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계류삭(150)이 상하로 단차지게 고정됨으로써 오프로딩(offloading) 시 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계류삭(150)을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200,400 : 부유식 해양 구조물 110,210,410 : 계류단차부
111,211,411 : 단부 111a : 수직면
111b,211b : 수평면 120,220,420 : 계류삭고정부
130,230,430 : 부가계류삭고정부 140,240,440 : 선체
141,241,441 : 데크 150,250,450 : 계류삭
300 : 셔틀 310 : 데크
320 : 계류장치

Claims (7)

  1.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있어서,
    선체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하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수직면과 수평면을 구비하여 "L"자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계류단차부; 및 상기 단부 각각에 계류삭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계류삭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류삭고정부는 상기 수직면 또는 상기 수평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류단차부 및 상기 계류삭고정부는,
    상기 선체에 셔틀을 병렬 계류시키는 계류삭의 고정에 사용되는,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계류단차부는,
    상기 선체의 데크 상에서 선미와 선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는,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30008232U 2013-10-07 2013-10-07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0484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32U KR200484765Y1 (ko) 2013-10-07 2013-10-07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32U KR200484765Y1 (ko) 2013-10-07 2013-10-07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65U KR20150001465U (ko) 2015-04-16
KR200484765Y1 true KR200484765Y1 (ko) 2017-10-23

Family

ID=5303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232U KR200484765Y1 (ko) 2013-10-07 2013-10-07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88U (ko) 2015-08-13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0143A1 (en) * 1995-09-14 1997-03-20 David Cole Shaft bollar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805B1 (ko) * 2009-09-15 2016-06-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부유구조물 및 그 해상부유구조물과 셔틀간의 계류삭에 의한 접안 방법
KR20120117243A (ko) * 2011-04-14 2012-10-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스탠드 볼라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0143A1 (en) * 1995-09-14 1997-03-20 David Cole Shaft boll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65U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765Y1 (ko)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938918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101628805B1 (ko) 해상부유구조물 및 그 해상부유구조물과 셔틀간의 계류삭에 의한 접안 방법
KR20130032168A (ko) 해양 구조물의 탄뎀하역 장치의 충돌방지 시스템
KR101616362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735329B1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선박 접안 방법
EP2619077B1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KR102050798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20110034129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101670867B1 (ko) 동적 안정화 구조를 갖는 해상부유구조물
KR20100020351A (ko) 빌지킬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70026001A (ko) 부유식 해양플랜트
JP2014058274A (ja) 浮体式生産貯蔵積出設備
KR20160000614U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KR20180000309U (ko) Fpso 또는 flng의 선체구조
KR101894298B1 (ko)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101662486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20160005887A (ko) 해상 크레인의 리깅장치
KR20240043940A (ko) 칼럼 웨이브가 감소될 수 있는 해양 생산 플랜트
KR20150022427A (ko) 해양부유구조물
KR200471516Y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시스템
KR101444325B1 (ko) 해상구조물 설치용 완충장치
KR102088530B1 (ko) 보우로딩시스템이 설치되는 선체부가물을 포함하는 셔틀탱커
KR102477560B1 (ko) 복합 해양구조물
KR102487582B1 (ko) 해양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