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688U -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688U
KR20170000688U KR2020150005428U KR20150005428U KR20170000688U KR 20170000688 U KR20170000688 U KR 20170000688U KR 2020150005428 U KR2020150005428 U KR 2020150005428U KR 20150005428 U KR20150005428 U KR 20150005428U KR 20170000688 U KR20170000688 U KR 201700006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device
platform
hull
marine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모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688U/ko
Publication of KR20170000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704/00
    • B63B27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은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계류 장치가 탑재되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Marine structure having mooring gear}
본 고안은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는 다양한 용도를 가진 해양 구조물이 설치 또는 운용되고 있다. 해양 구조물은 설치된 해상에서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계류 또는 정박된 상태에서 해저에 매장된 OIL 또는GAS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해양 구조물에는FPSO(Oil-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SRU(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U(Floating Production Unit) 등이 포함된다.
수송선(shuttle tanker)이 해양 구조물에 접안을 하여 오프로딩(offloading)하고자 할 때에는, 해양 구조물에 구비된 계류 장치와 수송선에 구비된 계선 장치가 이용되어, 수송선과 해양 구조물이 서로에 대해 계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1465호에 수송선과 해양 구조물의 서로에 대한 계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하, 종래의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은 선체(10)의 노출 갑판(11)에 설치된 계류 장치(13)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의 계류 장치(13)에 수송선(30)의 계선 장치(31)에서 풀린 계선 줄(32)이 고정되어, 종래의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과 수송선(30)은 서로에 대해 계류된다.
한편, 종래의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은 계류 장치(13)가 선체(10)의 노출 갑판(1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노출 갑판(11)에 설치되는 의장 품의 배치 설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1465호(고안의 명칭: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공개일자: 2015년04월16일)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출 갑판에 설치되는 의장 품의 배치 설계가 용이한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 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은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계류 장치가 탑재되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과 세트를 이루는 수송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하면의 수면 높이가 상기 수송선에 설치된 계선 장치 상면의 수면 높이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선체의 선수 또는 선미에 마련되고, 상기 선체의 상기 플랫폼이 도출된 부분에는 출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출입구에는 방폭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플랫폼에는 상기 계류 장치가 수용되는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에 의하면, 노출 갑판에 설치되는 의장 품의 배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노출 갑판의 빈 공간이 커지게 되어 머티어리얼 핸들링(material handling)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플랫폼 하면의 수면 높이가 수송선에 설치된 계선 장치 상면의 수면 높이보다 높아, 플랫폼과 수송의 계선 장치의 충돌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은 선체(110) 및 선체(110)의 측면에서 선체(110)의 외부로 도출되고 계류 장치(130)가 설치되는 플랫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는 선박용 선체뿐만 아니라 해양 구조물의 선체일 수 있다.
계류 장치(130)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8262호에 개시되는 퀵 릴리즈 후크(quick release hook)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에 저장되는 오일 또는 가스의 양과 수송선(200)(도 4 참조)이 수송하는 오일 또는 가스의 양 등이 고려되어,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과 수송선(200)은 세트로 발주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과 수송선(200)이 해수에 잠기는 길이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 플랫폼(120) 하면의 수면 높이(H1)가 수송선(200)(도 4 참조)에 설치된 계선 장치(210)(도 4 참조) 상면의 수면 높이(H2)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과 수송선(200)(도 4 참조)이 서로 마주보는 롤링을 하는 경우에도 플랫폼(120)이 수송선(200)(도 4 참조)의 계선 장치(210)(도 4 참조)에 충돌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선수와 선미에는 폭발 또는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있는 엔진 실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플랫폼이 선체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플랫폼에 설치된 계류 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선체의 플랫폼이 돌출된 부분에는 출입구가 형성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플랫폼(120)은 선체(110)의 선수 또는 선미에 마련되고, 선체(110)의 플랫폼(120)이 도출된 부분에는 출입구(121)가 마련되고, 출입구(121)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3800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방폭 도어(122)가 설치되고, 플랫폼(120)에는 계류 장치(130)가 수용되는 하우징(14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체(110)의 선수 또는 선미에 배치되는 엔진 실에서 폭발 또는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출입구(121)를 통해 화염과 같은 위험 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선체(110)의 내부에서 폭발 또는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염과 같은 위험 물질이 출입구(12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플랫폼(12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과 수송선(200)(도 4 참조)가 병렬 계류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계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송선(200)의 계선 장치(210)에서 인출된 계선 줄(230)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의 플랫폼(120)에 설치된 계류 장치(130)에 걸려, 수송선(200)과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은 서로에 대해 계류된다. 그리고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과 수송선(20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의 사이에는 펜더(30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의 노출 갑판(111)에서 계류 장치(130)가 제거되어, 노출 갑판(111)에 설치되는 의장 품의 배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의 노출 갑판(111)의 빈 공간이 커지게 되어 머티어리얼 핸들링(material handling)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펜더(300)에 의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와 수송선(200)이 마주보는 롤링을 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00)의 선체(110)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플랫폼(120) 하면의 수면 높이(H1)가 수송선(200)에 설치된 계선 장치(210) 상면의 수면 높이(H2)보다 높아,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110)의 플랫폼(120)과 수송선(200)의 계선 장치(210)의 충돌이 방지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110: 선체
120: 플랫폼 130: 계류 장치
200: 수송선 300: 펜더

Claims (3)

  1.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계류 장치가 탑재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과 세트를 이루는 수송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하면의 수면 높이가 상기 수송선에 설치된 계선 장치 상면의 수면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선체의 선수 또는 선미에 마련되고,
    상기 선체의 상기 플랫폼이 도출된 부분에는 출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출입구에는 방폭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플랫폼에는 상기 계류 장치가 수용되는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20150005428U 2015-08-13 2015-08-13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1700006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28U KR20170000688U (ko) 2015-08-13 2015-08-13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28U KR20170000688U (ko) 2015-08-13 2015-08-13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88U true KR20170000688U (ko) 2017-02-22

Family

ID=5826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428U KR20170000688U (ko) 2015-08-13 2015-08-13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6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702A (ko) 2018-07-04 2020-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465U (ko) 2013-10-07 2015-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465U (ko) 2013-10-07 2015-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702A (ko) 2018-07-04 2020-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7144B (zh) 使用输送低温流体的悬垂状柔性导管的系统
KR20100114186A (ko)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US6805598B2 (en) Liquid natural gas transfer station
EP2534040B1 (en) Bow loading station with double deck for cryogenic fluid
AU2010252013B2 (en) Offshore structure and mooring arrangement
KR102417737B1 (ko) 탄화수소 생성물의 생산 및 저장을 위한 해양 선박
CN105555654A (zh) 串列式和并列式系泊卸载系统及相关方法
CN104619583A (zh) 半潜水式集成港口
US8381669B2 (en) System for loading of hydrocarbons from a floating vessel
KR20170000688U (ko)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101938918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20100133700A (ko) 개선된 상부갑판 구조를 갖는 선박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
US9132892B2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WO2014013584A1 (ja) 船舶
KR200434344Y1 (ko) 선박의 라이저 파이프 설치구조
US20110192336A1 (en) Floating unit
WO2003104076A8 (en) Ice breaker (variants), method and system for single-support mooring and servicing ships
KR20120003757U (ko) 터릿 문풀로부터 탈출 경로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20003251U (ko) 터릿을 가지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2372156B1 (ko) Lng선의 선미 측 진동 및 응력 감소 구조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20170019958A (ko) 해상 구조물의 접안 장치
Ran et al. The Study on Control Methods to Semi-submersible Vessel Loading 300,000-ton FP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