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352B1 -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352B1
KR101704352B1 KR1020160086597A KR20160086597A KR101704352B1 KR 101704352 B1 KR101704352 B1 KR 101704352B1 KR 1020160086597 A KR1020160086597 A KR 1020160086597A KR 20160086597 A KR20160086597 A KR 20160086597A KR 101704352 B1 KR101704352 B1 KR 10170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artition
variable partition
box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찬
박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352B1/ko
Priority to JP2016166282A priority patent/JP6254653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측면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수납박스; 및 한 쌍의 측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납박스의 수납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시키는 가변 파티션;을 포함하며, 가변 파티션은, 측면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변 파티션과, 상기 제1 가변파티션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2 가변 파티션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형 파티션이 수납박스를 따라 이동하여 수납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물건의 크기에 따라 수납공간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수납박스 내부에 물건이 적재된 상태에 따라 적층 높이를 변경할 수 있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Carrying box having sliding partition}
본 발명은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수납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조건에 따라 운반 상자의 적층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박스는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서 종이재질을 사용하였으나, 종이 재질은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이 재질은 물건을 이송할 때 하단부가 파손되면서 작업자의 발등에 수납된 물건이 떨어지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화물의 운반 및 운송이나 보관용도로 사용되는 운반용 박스 또는 이삿짐 전용 박스는 종이재질에 비해서 강성이 큰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플라스틱 박스는 내부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물건들이 섞이게 되어 물건을 이송한 후에 다시 분류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0-0011299호, 2010년11월1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면서, 수납공간의 수납 상태에 따라 수납박스의 적층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측면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수납박스; 및 한 쌍의 측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납박스의 수납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시키는 가변 파티션;을 포함하며, 가변 파티션은, 측면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변 파티션과, 제1 가변파티션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2 가변 파티션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가변 파티션은 제1 판넬; 제1 판넬의 양측면에서 슬라이딩 홈을 향하여 돌출되어 삽입되는 측면 슬라이딩부; 및 제1 판넬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납박스의 하방향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 고정홀 중 하나의 가 고정홀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가 고정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가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고정부는 돌출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안내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탄성거동하면서 가 고정홀에 돌출부의 삽입 또는 삽입을 해제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변 파티션은 제2 판넬; 및 제2 판넬의 양측 종단에서 슬라이딩 방향의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탄성거동하는 임시 고정부;를 구비하고 임시 고정부는 제1 판넬에 형성된 임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박스는 서로 마주보는 상측면의 양측에서 하방향을 따라 한 쌍의 높이조절 적층홈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높이조절 적층홈은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납박스를 적층할 때 적층 높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는 가변형 파티션이 수납박스를 따라 이동하여 수납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물건의 크기에 따라 수납공간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수납박스 내부에 물건이 적재된 상태에 따라 적층 높이를 변경할 수 있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의 가변 파티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도의 제1 가변 파티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의 제1 가변 파티션과 제2 파티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의 상부에 바라본 x-y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가 180도 회전한 것을 나타내는 x-y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가 적층된 높이가 다르게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10)는 수납박스(100) 및 가변 파티션(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박스(100)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한 쌍의 측면 슬라이딩홈(110)이 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수납박스(110)의 하면 중앙에는 측면 슬라이딩홈(110)의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변 파티션(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하면 슬라이딩홈(120)이 형성된다. 하면 슬라이딩홈(120)을 중심으로 양측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가 고정홀(121)이 형성된다.
수납박스(100)는 측면 슬라이딩홈(1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측면에 한 쌍의 높이조절 적층홈(130)(140)이 형성된다. 높이조절 적층홈(130)(140)은 xy 평면기준으로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방향(z축)을 따라 홈의 깊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 적층홈(130)(140)이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수납박스(100)를 적층할 때, 적층높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후술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납박스(100)는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둘레방향 및 하방향에 따라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 형성 패턴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변 파티션(200)은 측면 슬라이딩홈(110)에 삽입되어 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변 파티션(210)과, 제1 가변파티션(21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2 가변 파티션(220)을 구비한다.
제1 가변 파티션(2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2 가변 파티션(220)은 수납박스(100)의 수납상태에 따라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의 가변 파티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도의 제1 가변 파티션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Ⅴ의 제1 가변 파티션과 제2 파티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파티션(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변 파티션(210) 및 제2 가변 파티션(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가변 파티션(210)은 제1 판넬(211), 측면 슬라이딩부(212) 및 가고정부(213)를 구비한다.
제1 판넬(211)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면에 측면 슬라이딩홈(110)을 따라 이동하는 측면 슬라이딩부(212)가 결합된다. 측면 슬라이딩부(212)는 제1 판넬(211)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측면 슬라이딩홈(11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판넬(211)은 중앙 하측에 가고정부(21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2111) 및 제1 안내홈(211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제2 가변 파티션(2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2112)이 형성된다.
제1 안내홈(2111)은 하면에서 상방향을 향하여 홈이 형성되며, 상단에서는 가고정부(213)의 종단이 삽입되어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안내홈(2111)은 제1 판넬(21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돌출부(2114)가 형성되어 가고정부(213)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2 안내홈(2112)은 제1 안내홈(211)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제2 가변 파티션(220)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다. 제2 안내홈(2112)은 양측종단에 이탈방지부(2113)를 구비한다. 이탈방지부(2213)는 제2 가변 파티션(2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가변 파티션(220)이 제1 가변 파티션(2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탈방지부(2113)의 하면에는 제2 가변 파티션(220)을 임시 고정할 수 있는 임시 고정홈(2118)이 형성된다. 제2 안내홈(2112)은 제1 돌출부(2114)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2117)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2117)는 제2 가변 파티션(220)이 제1 가변 파티션(2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판넬(211)의 하면에는 걸림부(2115)를 구비하여 가고정부(213)가 하방향으로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걸림부(2215)의 하면에는 하면 슬라이딩홈(120)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슬라이딩부(2116)가 형성된다. 하부 슬라이딩부(2116)는 가변 파티션(200)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측면 슬라이딩부(212)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가고정부(213)는 전체적이 형상이 역 "T"형으로 형성되어 양단 하방향을 따라 돌출부(2131)가 형성된다. 돌출부(2131)는 수납박스(100)의 하방향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 고정홀(121) 중 하나의 가 고정홀(121)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가 고정홀(121)에 삽입되어 수납박스(100)에 가변 파티션(200)을 임시 고정시킬 수 있다.
돌출부(2131)는 제1 타원형홀(2132)이 형성되며, 제1 타원형홀(2132)은 제1 판넬(211)의 제1 안내홈(2112)에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2114)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114)와 제1 타원형홀(2132)은 끼움 결합방식에 의해서 체결되어 제1 판넬(211)과 가고정부(213)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고정부(213)는 돌출부(2131)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제1 안내홈(21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탄성거동하면서 가 고정홀(121)에 돌출부(2131)의 삽입 또는 삽입을 해제시키는 탄성부(2133)를 구비한다. 탄성부(2133)는 전체적인 형상이 띠 형상의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띠 형상의 마름모가 압축되거나 압축된 형상이 복원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 고정홀(121)에 돌출부(2131)의 삽입 또는 삽입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고정부(213)는 손고리(2134)를 구비한다. 손고리(2134)는 손가락을 끼워서 가고정부(21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제2 가변 파티션(220)은 제1 가변 파티션(210)에 슬라이딩 구동되도록 결합되어 수납박스(100) 내에서 높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2 판넬(221), 임시 고정부(222) 및 제2 타원형홀(223)을 구비한다.
제2 판넬(221)은 제1 판넬(211)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 판넬(221)의 양측 종단에는 임시 고정부(222)가 형성된다. 임시 고정부(222)는 슬라이딩 홈(110)을 향하여 탄성거동할 수 있어 임시 고정홈(2118)에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임시 고정부(222)가 임시 고정홈(2118)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결합이 해제되어 하방향에 있는 상태에서는 물건이 수납되지 않은 수납박스를 적층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판넬(221)은 제2 타원형홀(223)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타원형홀(223)은 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제1 판넬(211)에 형성된 제2 돌출부(2117)와 결합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의 상부에 바라본 x-y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가 180도 회전한 것을 나타내는 x-y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가 적층된 높이가 다르게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100)는 측면 슬라이딩홈(1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측면에 하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높이조절 적층홈(130)(140)이 형성되고, 각각에 이웃하여 높이조절 받침부(131)(141)가 형성된다. 이때, 높이조절 적층홈(130)(140)은 xy 평면기준으로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높이조절 적층홈(130)(140) 및 높이조절 받침부(131)(141)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는 적층 높이를 2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수납공간에 물건이 수납된 상태에서의 적층방법이다. 이때에는 수납공간의 높이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따라서 도 6a의 제1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10a)의 높이조절 받침부(141a)에 도 6b의 제2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10b)의 높이조절 적층홈(130a)이 위치하도록 배치시키면 제2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10b)은 높이조절 받침부(141a)에 의해서 하방향을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도 7(a)와 같이 형성되는 적층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수납공간에 물건이 없을 때의 적층방법이다. 물건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층높이를 도 7a와 같이 형성하면 이동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전도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10a)와 제2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10b)를 겹쳐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에는 도 6a 또는 도 6b를 회전없이 동일한 높이로 적층하게 되면, 적층홈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수납박스의 하방향으로 겹쳐지게 되어 도 7b와 같이 적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100 : 수납박스 110 : 측면 슬라이딩부
200 : 가변 파티션 210 : 제1 가변 파티션
220 : 제2 가변 파티션

Claims (5)

  1.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측면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수납박스;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박스의 수납공간을 가변적으로 변경시키는 가변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 파티션은,
    상기 측면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변 파티션과, 상기 제1 가변파티션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2 가변 파티션을 구비하는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변 파티션은,
    제1 판넬;
    상기 제1 판넬의 양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을 향하여 돌출되어 삽입되는 측면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판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박스의 하방향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 고정홀 중 하나의 가 고정홀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 고정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가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부는,
    상기 돌출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판넬의 중앙에 형성된 제1 안내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탄성거동하면서 상기 가 고정홀에 상기 돌출부의 삽입 또는 상기 삽입을 해제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파티션은,
    제2 판넬; 및
    상기 제2 판넬의 양측 종단에서 슬라이딩 방향의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탄성거동하는 임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임시 고정부는
    상기 제1 판넬에 형성된 임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는,
    서로 마주보는 상측면의 양측에서 하방향을 따라 한 쌍의 높이조절 적층홈이 형성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높이조절 적층홈은,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납박스를 적층할 때 적층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KR1020160086597A 2016-07-08 2016-07-08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KR10170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97A KR101704352B1 (ko) 2016-07-08 2016-07-08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JP2016166282A JP6254653B1 (ja) 2016-07-08 2016-08-26 スライディングパーティション付き運搬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97A KR101704352B1 (ko) 2016-07-08 2016-07-08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352B1 true KR101704352B1 (ko) 2017-02-07

Family

ID=5810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597A KR101704352B1 (ko) 2016-07-08 2016-07-08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54653B1 (ko)
KR (1) KR101704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025B1 (ko) * 2023-06-01 2023-08-24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간격조절이 편리한 배터리셀 운반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0621B2 (ja) * 2018-09-28 2023-03-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及びラックの組合せ
JP7419907B2 (ja) * 2020-03-19 2024-01-2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仕切体
JP6857430B1 (ja) * 2020-06-22 2021-04-14 株式会社生出 段ボール構造収納ケース
WO2022094761A1 (zh) * 2020-11-03 2022-05-12 唐山圣因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仓储物流设备中的分隔装置及其方法
CN113928710B (zh) * 2021-10-22 2023-04-25 北京熠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器械运输包装箱
CN116268812A (zh) * 2021-12-20 2023-06-23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货仓及递送机器人
CN115447652B (zh) * 2022-10-18 2023-06-20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曲靖局 一种带有防工器具丢失功能的智行工具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708A (ja) * 2000-06-26 2002-01-09 Nitto Denko Corp 板状物品収容ケース
KR20100011299A (ko) 2008-07-24 2010-02-03 (주)이우테크놀로지 회전센서를 구비한 rpr구동방식의 치과용 엑스선촬영장치
JP2010132308A (ja) * 2008-12-04 2010-06-17 Sanko Co Ltd コンテナ
JP5734641B2 (ja) * 2010-12-20 2015-06-17 株式会社トーモク 包装箱
JP5823284B2 (ja) * 2011-12-22 2015-11-25 三甲株式会社 中仕切り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378A (ja) * 1996-01-25 1997-08-05 Konpetsukusu:Kk フロッピーディスク等の収納ケース
JP2001346638A (ja) * 2000-06-08 2001-12-18 Goro Date ブックエンド
JP4711450B2 (ja) * 2008-05-01 2011-06-29 三甲株式会社 運搬用容器
CN102462224B (zh) * 2010-11-15 2014-06-25 Segos株式会社 收纳空间分隔装置
KR102010050B1 (ko) * 2017-09-19 2019-08-12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708A (ja) * 2000-06-26 2002-01-09 Nitto Denko Corp 板状物品収容ケース
KR20100011299A (ko) 2008-07-24 2010-02-03 (주)이우테크놀로지 회전센서를 구비한 rpr구동방식의 치과용 엑스선촬영장치
JP2010132308A (ja) * 2008-12-04 2010-06-17 Sanko Co Ltd コンテナ
JP5734641B2 (ja) * 2010-12-20 2015-06-17 株式会社トーモク 包装箱
JP5823284B2 (ja) * 2011-12-22 2015-11-25 三甲株式会社 中仕切り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025B1 (ko) * 2023-06-01 2023-08-24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간격조절이 편리한 배터리셀 운반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02301A (ja) 2018-01-11
JP6254653B1 (ja)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352B1 (ko) 슬라이딩 파티션을 구비하는 운반 상자
US10486860B2 (en) Container with dividers
KR101367192B1 (ko) 적층형 수납장치
US8827076B2 (en) Modular panel-packing box
US8985332B2 (en) Assembled packing case
CN202032825U (zh) 冰箱用抽屉
KR101807350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TWI540087B (zh) 緩衝包裝結構
US20140042162A1 (en) Folding box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CN105605853A (zh) 冰箱
CN102405005A (zh) 用于建立空间分隔机构的装置
KR101768055B1 (ko)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변형 파레트
CN106143329B (zh) 用于车辆的储物盒组件
TWI713135B (zh) 承載盤組件及承載盤堆疊組件
JP2015000752A (ja) トレイ
KR101419177B1 (ko) 조립식 수납상자 체결장치
KR100856372B1 (ko) 조립식 랙 겸용 캐리어
JP2016108028A (ja) 収納物収納体
CN203401835U (zh) 名片盒
JP6018371B2 (ja) 板材を使用した収納ラック
JP3175852U (ja) 包装容器用中仕切り及び該中仕切りを備えた包装容器
KR200449426Y1 (ko) 접이식 플라스틱 운반상자
KR101331145B1 (ko) 손잡이 수용홈이 구비된 포장박스
KR20100001433U (ko)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