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245B1 -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 Google Patents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245B1
KR101704245B1 KR1020150117459A KR20150117459A KR101704245B1 KR 101704245 B1 KR101704245 B1 KR 101704245B1 KR 1020150117459 A KR1020150117459 A KR 1020150117459A KR 20150117459 A KR20150117459 A KR 20150117459A KR 101704245 B1 KR101704245 B1 KR 10170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lifting
steel structure
pull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호
Original Assignee
유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1548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042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창호 filed Critical 유창호
Priority to KR102015011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철골 구조물 기둥(P) 둘레에 다수의 가이드부재(101)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절단된 기둥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인상안내수단(100)과; 기둥(P)의 둘레에 설치된 인상안내수단 둘레를 감싸게 체결하여 인상안내수단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핑수단(200)과; 기둥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인상용 브라켓(B)을 수직으로 밀어올려 철골 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유압잭(300)과; 기둥의 일측에 기둥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유압잭을 원하는 높이에서 지지하는 보조기둥체(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증축이나 보수가 필요한 철골 구조물을 해체 없이 소정 높이로 정밀하게 인상시킬 수 있게 하여 철골 구조물의 증축이나 보수 등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Steel structur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을 들어올리는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축이나 보수가 필요한 철골 구조물을 해체 없이 소정 높이로 인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축이나 보수 등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골 구조물이란 구조물의 주요 구조체로서 형강(形鋼) ·강판(鋼板) ·평강(平鋼) 등의 강재(鋼材)를 리벳이나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조립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철골 구조물의 철골구조에는 라멘식구조 ·트러스식구조 ·아치식구조 등의 종류가 있고, 그 중에서도 라멘식구조가 일반적이다. 트러스식구조는 개개의 부재를 3각형으로 서로 이어서 트러스를 형성시켜 나가는 것으로서, 평면트러스와 입체트러스(dome)가 있다. 평면트러스는 큰 보 사이를 경제적으로 걸쳐 놓을 수 있고, 극장이나 영화관 ·공장 등 큰 스팬에 걸치는 지붕이나 교량 등에 사용된다.
이들의 구조설계에 있어서는 건물의 사용목적에 맞는 구조를 채택하고 어떠한 외력에 대해서도 안전한 응력계산을 하여 외력을 합리적으로 지반(地盤)에 전하도록 한다. 또 사용부재의 종류를 줄이고 재형(材形)을 단순화하여 재료나 시공면에서도 경제적으로 하는 것 등이 특히 고려된다.
철골 구조물 구축에 있어서 철골의 접합은 리벳이나 볼트 또는 용접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리벳 접합법은 양 부재에 구멍을 뚫고 적열(赤熱)시킨 리벳을 삽입시켜 리베터에 의해 고정하는 것으로서, 시공정밀도의 양부(良否)에 의한 영향이 적고 신뢰도는 높지만, 강재에 구멍을 뚫기 때문에 유효단면적이 작아지고, 접합재의 형이나 위치에 따라 리베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작업편의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볼트 접합법은 강재에 양 부재에 뚫은 구멍에 볼트를 통하게 하여 스패너나 렌치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 의해 높은 신뢰도를 올릴 수 있으며,
용접은 금속을 녹여 두 강재를 접합시키는 것으로서 여러 접합법 중에서 구조적 안정성과 신뢰성이 가장 뛰어난 접합법인 반면에, 고도의 용접기술을 요구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높고,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적 특징과 다양한 접합법의 활용이 가능한 철골 구조물은 강재를 조립하여 건물을 축조하고자 할 때, 부재 그 자체를 미리 공장에서 만들어 현장으로 반입하므로 현장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철근콘크리트조와 같은 형틀 공사나 양생 과정이 없으며, 내화피복재를 건식공법(乾式工法)으로 하면 공사가 모두 건식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장생산에 의한 시공의 간소화로 인해 인건비 및 자재비가 크게 절감되어 철근콘크리트조와 같은 건축 구조물에 비해 건축비를 크게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공장이나 창고, 축사, 돈사 등 다양한 종류의 건축물이 철골 구조물이 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철골 구조물은 주로 콘크리트 기초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기둥을 설치한 후, 기둥 상부에 복수의 보를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철골 구조물의 축조 후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여러 형태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증축이 필요하거나 또는 파손, 변형에 따른 보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철골 구조물의 증축이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종래에는 증축 규모나 보수 작업의 규모에 따라서 철골 구조물 전체 또는 상당 부분을 해체한 후, 철골 구조물 전체의 높이나 길이 또는 폭을 확대시키는 형태로 증축이 이루어지거나, 파손 또는 변형부의 보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처럼 철골 구조물의 해체를 통해서 증축이나 보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많은 중장비와 작업 인력을 필요로 함으로써 막대한 공사비가 지출되고, 기존 철골 구조물의 해체 후, 재조립을 통해서 철골 구조물을 다시 축조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공사기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고, 구조물을 소정 높이로 인상시킴으로써 구조물의 증축이나 보수를 가능케 하는 구조물 인상장치가 개발된 바 있는데, 대표적인 종래 기술의 구조물 인상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49798호에는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구조물, 교량, 건축 슬라브 등등의 해당 중량물을 인상시키는데 사용되는 인상장치로서, 소정의 길이로 안내축부(22)를 갖는 고정용 지주대(20)와; 상기 고정용 지주대(20)의 안내축부(22) 외주면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고정용 지주대(20)의 고정 위치로부터의 전체 높이를 증감시키는 이동용 지주대(30)와; 상기 고정용 지주대(20)로부터 인상되는 이동용 지주대(30)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이동용 지주대(2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용 지주대(20)측 단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연결바(40)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는 상측 케이블 지지판(50)과; 일단이 상기 상측 케이블 지지판(50)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용 지주대(30)측 하측 케이블 지지판(32)에 삽입되어 각기 웨지유닛(60)을 매개로 고정된 복수의 금속케이블(70)과; 상기 복수의 금속케이블(70)의 각기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웨지유닛(60)에 의해 고정되고, 유압력으로 작동되어 금속케이블(70)을 당김하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용 지주대(30)를 고정용 지주대(20)로부터 인상시키는 유압실린더(80)와; 상기 유압실린더(80)의 유압력이 해제될 경우 이동용 지주대(20)에 미치는 인상하중을 상기 지지판(50)에 전달하도록 일단이 상측 케이블 지지판(5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측 케이블 지지판(23)에 삽입되어 록킹너트(102)로 고정된 복수 개의 인장버팀용 나사축(10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인상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49798호(2006. 02. 13.) 등록특허공보 제10-0617395호(2006. 09. 01.) 등록특허공보 제10-0354853호(2002. 10. 12.)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구조물 인상 장치는 고정용 지주대와 고정용 지주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높이가 증감되는 이동용 지주대와 상측, 하측케이블 지지판과 금속케이블 및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큰 중량을 받고 있는 상태의 건물이나 구조물의 슬라브 등을 점증적으로 인상시켜 각종 기둥 및 구조물의 교체나 중량물의 인상장치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구조물 인상 장치는 구조물에 고정용 지주대(20), 연결대(110), 이동용 지주대(30)가 영구적으로 설치되어 그 자체가 구조물을 지지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므로 빌딩과 같은 건물에 임시로 설치한 후 완전 해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침하된 건물을 지지하는 기둥 자체가 지속적으로 건물을 지탱해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 아니므로 근본적인 보수 방법으로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결점인 완전 해체를 가능케 하여 함과 동시에 증축이나 보수가 필요한 철골 구조물을 해체 없이 소정 높이로 정밀하게 인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축이나 보수 등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철골 구조물의 인상을 위해서 하단부가 절단된 철골 구조물 기둥 고정부(p1) 둘레에 다수의 가이드부재(101)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절단된 기둥 인상부(p2)를 수직으로 안내하는 인상안내수단(100)과;
상기 기둥(P)의 둘레에 설치된 상기 인상안내수단(100) 둘레를 감싸게 체결하여 상기 인상안내수단(10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핑수단(200)과;
상기 기둥(P)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인상용 브라켓(B)을 수직으로 밀어올려 철골 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유압잭(300)과;
상기 기둥(P)의 일측에 기둥(P)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상기 유압잭(300)을 원하는 높이에서 지지하는 보조기둥체(4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01)는, ㄷ형강으로 되어 웨브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101a)을 형성하고, 상기 웨브 양측의 플랜지 상단부에는 다수의 상부결합공(101b)을 구비한 결합편(101c)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양측 플랜지의 하단부에는 상기 상부결합공(101b)과 대응하는 하부결합공(101d)을 형성하여 철골 접합법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가 가능케 구성한다.
상기 클램핑수단(200)은, 양단부에 체결공(201a)을 형성한 한 쌍의 가압부재(201)를 상기 인상안내수단(100)의 양측면에 대칭으로 설치하여, 상기 체결공(201a)을 관통하는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여 한 쌍의 가압부재(201)가 인상안내수단(10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기둥체(400)는, 수직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401a)을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고정판(401b)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기둥(P)과 평행하도록 상기 고정판(401b)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지지관체(401)와;
상기 지지관체(401)의 통공(401a)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402a)을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상기 유압잭(300)이 안착되는 안착판(402b)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관체(40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관체(401) 상부에 끼워서 상기 통공(401a)(402a)을 관통하는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승강관체(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증축이나 보수가 필요한 철골 구조물을 해체 없이 소정 높이로 정밀하게 인상시킬 수 있게 하여 철골 구조물의 증축이나 보수 등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는 증축이나 보수가 필요한 철골 구조물을 해체 없이 소정 높이로 인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축이나 보수 등에 따른 인건비나 자재비, 장비 사용료 등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축이나 보수 과정에서 구조물의 분해 후 재조립이 없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물의 인상 과정에서 인상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기울어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증축이나 보수 과정을 더욱 정밀하게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기둥 보수 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인상 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구조물 인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는 철골 구조물의 인상을 위해서 하단부가 절단된 철골 구조물 기둥의 고정부(p1) 둘레에 다수의 가이드부재(101)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절단된 기둥의 인상부(p2)를 수직으로 안내하는 인상안내수단(100)과, 상기 기둥의 둘레에 설치된 상기 인상안내수단(100) 둘레를 감싸게 체결하여 상기 인상안내수단(10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핑수단(200)과, 상기 기둥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인상용 브라켓(B)을 수직으로 밀어올려 철골 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유압잭(300)과, 상기 기둥의 일측에 기둥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상기 유압잭(300)을 원하는 높이에서 지지하는 보조기둥체(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철골 구조물의 기둥은 H형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를 결합하는 수단으로써 도시된 볼트와 너트는 건축재료나 기계부품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계요소이므로 별도의 부호를 기재하지 아니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인상안내수단(100)은 철골 구조물의 인상을 위하여 하단부가 절단된 철골 구조물 기둥 둘레에 다수의 가이드부재(101)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하단부가 절단되어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둥의 고정부(p1)에 가이드부재(101)의 하단부를 고정 설치한다.
이때, 기둥의 고정부(p1)에 가이드부재(101)를 고정 설치하는 방법은, 고정부(p1)의 웨브에 구멍(p3)을 뚫은 후, 상기 웨브의 전후면에 가이드부재(101)를 각각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가이드부재(101)에 형성된 통공(101a)과 웨브의 구멍(p3)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웨브의 전후면에 한 쌍의 가이드부재(101)가 대칭으로 설치된다.
상기 기둥의 고정부(p1)에 가이드부재(101)를 고정 설치하는 또 다른 방법은 고정부(p1)의 좌우 양측 플랜지 외면에 가이드부재(101)의 하단부를 밀착시켜 용접으로 접합한다.
그리하여 다수의 가이드부재(101)가 기둥의 사방을 감싸도록 설치함으로써 절단된 기둥의 상부인 인상부(p2)가 수직으로 인상될 때, 인상되는 기둥이 사방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기둥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01)는, ㄷ형강으로 되어 웨브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101a)을 형성하고, 상기 웨브 양측의 플랜지 상단부에는 다수의 상부결합공(101b)을 구비한 결합편(101c)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양측 플랜지의 하단부에는 상기 상부결합공(101b)과 대응하는 하부결합공(101d)을 형성함으로써 주지된 철골 접합법인 리벳 접합법, 볼트 접합법, 용접 접합법 등을 통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가 가능하나, 가이드부재(101)의 반복적인 재사용과, 설치 및 해체의 편의성을 위해서는 볼트 접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수단(200)은, 양단부에 체결공(201a)을 형성한 한 쌍의 가압부재(201)를 상기 인상안내수단(100)의 양측면에 대칭으로 설치하여, 상기 체결공(201a)을 관통하는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여 한 쌍의 가압부재(201)가 인상안내수단(100)의 양측면을 가압하도록 고정함으로써 기둥의 사방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인상안내수단(100)의 가이드부재(101)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클램핑수단(200)은 기둥 둘레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인상안내수단(100)의 세로 길이에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압부재(201)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반복적인 재사용과, 설치 및 해체에 다른 편의성을 위해서 ㄷ형강과 같은 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유압잭(300)은 유압을 이용해 목적물을 들어올리는 힘을 얻는 기구로서 잭 본체와 유압 펌프가 일체로 되어 있는 일체식과 분리되어 있는 분리식 구분없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유압잭(300)은 유압을 가하는 방법에 따라 수동식, 전동식, 엔진 구동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유압잭(300)의 작동 방식은 철골 구조물 인상 작업 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형태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상이 필요한 철골 구조물이 기둥의 수가 적은 소형 구조물인 경우에는 소수의 작업자가 쉽게 작동 가능한 수동식 유압잭(300)을 사용하며, 인상이 필요한 철골 구조물이 기둥의 수가 매우 많은 대형 구조물인 경우에는 각 기둥을 인상시키는데 필요한 유압잭(300)의 수가 많이 필요하므로 다수의 유압잭(300)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전동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보조기둥체(400)는, 수직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401a)을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고정판(401b)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기둥과 평행하도록 상기 고정판(401b)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지지관체(401)와, 상기 지지관체(401)의 통공(401a)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402a)을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상기 유압잭(300)이 안착되는 안착판(402b)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관체(40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한 승강관체(40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유압잭(300)의 높이 조절을 위해서 유압잭(300)이 안착되는 안착판(402b)을 형성한 승강관체(40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승강관체(402)를 상기 지지관체(401) 상부에 끼워서 승강관체(402)와 지지관체(401)의 통공(401a)(402a)에 동시에 끼워지게 볼트를 투입하여 너트로 체결한다.
상기 지지관체(401)의 고정판(401b)을 지면에 고정할 때에는 앵커볼트를 이용하며, 상기 지지관체(401)와 승강관체(402)는 다각형의 평면 단면 형상을 가지는 각관을 사용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철골 구조물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철골 구조물의 하중이 유압실린더를 통해 그대로 전달되더라도,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인상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A)을 원하는 높이로 인상하기 위해서는 먼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철골 구조물의 기둥(P)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바닥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된 철골 구조물의 기둥(P) 중 하나의 기둥(P) 하단부를 가스절단 방식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절단한다.
그리하여 기둥(P) 하단부의 절단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기초바닥에 고정된 상태의 기둥 고정부(p1)의 전후면, 즉 H형강으로 된 기둥(P)의 웨브에 가스절단을 이용해 구멍(p3)을 뚫은 후, 상기 웨브의 전후면에 가이드부재(101)를 대칭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가이드부재(101)에 형성된 통공(101a)과 웨브의 구멍(p3)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기둥(P)의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부재(101)가 대칭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둥 고정부(p1)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플랜지의 외면에는 또 다른 가이드부재(101)를 대칭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가이드부재(101)의 하단부와 플랜지부를 용접하여 가이드부재(101)의 하단부를 기둥 고정부(p1)의 좌우측면에 접합한다.
따라서 모두 4개의 가이드부재(101)가 인상을 위해서 절단된 기둥 고정부(p1) 사면을 감싸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절단된 기둥 인상부(p2)가 수직으로 인상될 때, 인상되는 기둥(P)이 사방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기둥(P)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둥(P) 둘레에 인상안내수단(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클램핑수단(200)을 이용하여 상기 인상안내수단(100) 둘레를 감싸게 체결함으로써 상기 인상안내수단(100)을 구성하는 각 가이드부재(101)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인상안내수단(100)과 클램핑수단(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절단된 기둥(P) 중 인상이 이루어는 상부 기둥(P)의 플랜지 일측면에 외향으로 돌출되게 인상용 브라켓(B)을 용접하여 일체로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B)이 설치된 기둥(P) 일측면에 지지관체(401)와 승강관체(402)로 구성된 보조기둥체(400)를 설치한 후, 승강관체(402)의 상단부의 안착판(402b)에 유압잭(300)을 안착시킨 후 유압에 의해 상승하는 램을 상기 기둥(P)의 일측면에 일체로 부착된 브라켓(B)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유압잭(300)을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유압잭(300)이 작동하면, 램이 상승하면서 기둥(P)의 일측면에 일체로 부착된 브라켓(B)을 밀어올려, 절단된 기둥 인상부(p2)를 수직으로 인상시킴으로써 철골 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유압잭(300)에 의해 철골 구조물의 인상이 완료되면, 기둥(P)의 전후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01)를 기둥 고정부(p1)에서 분리한 후, 기존 구조물의 기둥(P)과 동일한 규격과 소재로 된 보강재(p4)를 기존 기둥(P)의 절단부 사이로 투입하여 절단된 기존 기둥(P)의 상하부와 보강재(p4)를 용접 방식으로 접합하여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구조물의 높이를 확대시키는 증축을 위한 구조물의 보수가 완료된다.
이후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를 모두 해체하고, 필요에 따라서 구조물의 외벽 보수 공사를 진행함으로써 철골 구조물의 해체 없이도 철골 증축이나 보수 작업이 가능케 된다.
한편, 상기 실시 예는 H형강 기둥(P)으로 된 철골 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철골 구조물의 기둥(P)이 일반적인 철골 구조물의 구축에 활용하는 접합법의 적용이 가능한 강재를 기둥(P)으로 사용한 철골 구조물이라면, 공장, 창고, 축사, 돈사 등 건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철골 구조물 B: 브라켓
P: 기둥 100: 인상안내수단
101: 가이드부재 101a: 통공
101b: 상부결합공 101c: 결합편
101d: 하부결합공 200: 클램핑수단
201: 가압부재 201a: 체결공
300: 유압잭 400: 보조기둥체
401: 지지관체 401a: 통공
401b: 고정판 402: 승강관체
402a: 통공 402b: 안착판

Claims (4)

  1. 철골 구조물의 인상을 위해서 하단부가 절단된 철골 구조물 기둥 고정부(p1) 둘레에 다수의 가이드부재(101)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절단된 기둥 인상부(p2)를 수직으로 안내하는 인상안내수단(100)과;
    상기 기둥(P)의 둘레에 설치된 상기 인상안내수단(100) 둘레를 감싸게 체결하여 상기 인상안내수단(10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핑수단(200)과;
    상기 기둥(P)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인상용 브라켓(B)을 수직으로 밀어올려 철골 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유압잭(300)과;
    상기 기둥(P)의 일측에 기둥(P)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상기 유압잭(300)을 원하는 높이에서 지지하는 보조기둥체(4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01)는, ㄷ형강으로 되어 웨브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101a)을 형성하고, 상기 웨브 양측의 플랜지 상단부에는 다수의 상부결합공(101b)을 구비한 결합편(101c)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양측 플랜지의 하단부에는 상기 상부결합공(101b)과 대응하는 하부결합공(101d)을 형성하여 철골 접합법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가 가능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200)은, 양단부에 체결공(201a)을 형성한 한 쌍의 가압부재(201)를 상기 인상안내수단(100)의 양측면에 대칭으로 설치하여, 상기 체결공(201a)을 관통하는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여 한 쌍의 가압부재(201)가 인상안내수단(10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둥체(400)는, 수직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401a)을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고정판(401b)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기둥(P)과 평행하도록 상기 고정판(401b)을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지지관체(401)와;
    상기 지지관체(401)의 통공(401a)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402a)을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상기 유압잭(300)이 안착되는 안착판(402b)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관체(40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관체(401) 상부에 끼워서 상기 통공(401a)(402a)을 관통하는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승강관체(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4. 삭제
KR1020150117459A 2015-08-20 2015-08-20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KR101704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59A KR101704245B1 (ko) 2015-08-20 2015-08-20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59A KR101704245B1 (ko) 2015-08-20 2015-08-20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245B1 true KR101704245B1 (ko) 2017-02-08

Family

ID=5815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459A KR101704245B1 (ko) 2015-08-20 2015-08-20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2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86B1 (ko) * 2020-06-12 2020-11-27 유창호 건물의 수직공간 확장을 위한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인상방법
KR102199163B1 (ko) * 2019-08-07 2021-01-06 유창호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
KR102300810B1 (ko) 2020-12-24 2021-09-09 정명훈 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방법
EP3851618A4 (en) * 2018-09-14 2021-12-22 Wuda Jucheng Structure Co., Ltd DEVICE FOR ALTERNATINGLY LIFTING AN ADDED FLOOR OF A BUILDING WITH HIGH STRENGTH CONCRETE PILLARS AND STEEL GUIDES, AS WELL AS CONSTRUCTION PROCESS FOR THEM
CN114033204A (zh) * 2021-11-03 2022-02-11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既有单柱雨棚改造施工方法
CN114475964A (zh) * 2021-12-13 2022-05-13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一种海洋结构物甲板片型钢快速组对调平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952A (en) * 1976-09-13 1977-11-22 Donnelly Frank R Expansion of building structure
JPH05330792A (ja) * 1992-05-28 1993-12-14 Oosumi Lease Kk リフトアップクレーン
KR200167392Y1 (ko) * 1997-05-10 2000-02-01 최희송 건축용 받침 지지대
KR100354853B1 (ko) 1999-12-08 2002-10-12 박재만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KR100549798B1 (ko) 2003-04-02 2006-02-13 (주)케이돔엔지니어링 구조물 인상 장치
KR100617395B1 (ko) 2006-01-17 2006-09-01 정언섭 기둥 인상을 통한 건물보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952A (en) * 1976-09-13 1977-11-22 Donnelly Frank R Expansion of building structure
JPH05330792A (ja) * 1992-05-28 1993-12-14 Oosumi Lease Kk リフトアップクレーン
KR200167392Y1 (ko) * 1997-05-10 2000-02-01 최희송 건축용 받침 지지대
KR100354853B1 (ko) 1999-12-08 2002-10-12 박재만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인상장치
KR100549798B1 (ko) 2003-04-02 2006-02-13 (주)케이돔엔지니어링 구조물 인상 장치
KR100617395B1 (ko) 2006-01-17 2006-09-01 정언섭 기둥 인상을 통한 건물보수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1618A4 (en) * 2018-09-14 2021-12-22 Wuda Jucheng Structure Co., Ltd DEVICE FOR ALTERNATINGLY LIFTING AN ADDED FLOOR OF A BUILDING WITH HIGH STRENGTH CONCRETE PILLARS AND STEEL GUIDES, AS WELL AS CONSTRUCTION PROCESS FOR THEM
KR102199163B1 (ko) * 2019-08-07 2021-01-06 유창호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
KR102183986B1 (ko) * 2020-06-12 2020-11-27 유창호 건물의 수직공간 확장을 위한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인상방법
KR102300810B1 (ko) 2020-12-24 2021-09-09 정명훈 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방법
CN114033204A (zh) * 2021-11-03 2022-02-11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既有单柱雨棚改造施工方法
CN114475964A (zh) * 2021-12-13 2022-05-13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一种海洋结构物甲板片型钢快速组对调平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245B1 (ko)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CN101787732B (zh) 一种斜拉多层框架结构及其施工控制方法
JP6312459B2 (ja) トラス梁の構築方法
KR102044791B1 (ko) 개량형 보거푸집
KR101170956B1 (ko) 강봉과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인상하는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KR102044796B1 (ko) 데크결합체를 이용한 개량형 보거푸집 설치공법
JP5660569B2 (ja) 建物の昇降装置
JP2010281119A (ja) 梁型枠ユニット、梁型枠ユニット用横締付け枠および場所打ち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施工方法
KR102183986B1 (ko) 건물의 수직공간 확장을 위한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인상방법
JP5428363B2 (ja) 柱梁接合構造、柱梁接合方法
CN109778702B (zh) 跨既有城市立交钢箱梁顶推施工方法
KR100897901B1 (ko) 교량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18003559A (ja) 柱梁架構改修方法及び改修柱梁架構
KR100567212B1 (ko) 기둥 보 가압가새 보강 공법
JPH09273163A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方法
KR100791991B1 (ko) 슬래브일체형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교설치방법
CN211691535U (zh) 一种组装式悬挑卸料平台
KR200270234Y1 (ko) 토건용 스티프너 잭
JP2019027195A5 (ko)
KR20000018037A (ko) 현수 거푸집공법
JP671559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建築構法
JPS6320985B2 (ko)
KR200485118Y1 (ko) H형강의 좌굴 및 변형 방지를 위한 t형 보강장치
JP4382599B2 (ja) テンションジャッキ
JP6467202B2 (ja) 鉄塔の主柱材取替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55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521

Effective date: 2019102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45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1104

Effective date: 2020061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4877;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714

Effective date: 202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