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63B1 -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63B1
KR102199163B1 KR1020190096083A KR20190096083A KR102199163B1 KR 102199163 B1 KR102199163 B1 KR 102199163B1 KR 1020190096083 A KR1020190096083 A KR 1020190096083A KR 20190096083 A KR20190096083 A KR 20190096083A KR 102199163 B1 KR102199163 B1 KR 10219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ilding
impression
building struc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호
Original Assignee
유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호 filed Critical 유창호
Priority to KR102019009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 E04G23/065Lift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 축조된 건물을 인상하는 건축구조물 인상장치로서, 건물의 기둥 부근의 바닥면(4)에 장치되며 지지 끼움부(20)이 형성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와,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지지 끼움부(20)에 삽입되며 기둥(4)이 절단된 상태의 건축구조물을 받칠 수 있도록 돌출 신장되는 버팀기둥부재(12)와, 기둥(4)이 절단된 상태의 건축구조물을 직접적 내지 간접적 중의 하나로 밀어올리는 유압 인상장비(16)와, 버팀기둥부재(12)를 삽입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근접하며 건물의 바닥면(40)에 장치되어서 유압 인상장비(16)를 받침하는 장비받침기둥(14)과, 인상안내 지주부재(10)와 버팀기둥부재(12)중 하나 이상에는 건축구조물의 단위인상을 가능케 하는 단위인상 배열공(22)이 상하로 배치 형성되게 구성하고, 단위인상 배열공(22)과 걸이핀(50)을 이용해서 인상중인 건축구조물의 하강이 방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APPRATUS FOR LIFTING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건물 리모델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 시공된 건축구조물의 지붕이나 벽체의 해체없이 그 건축구조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들어올려 공간 증축되게 하는 건축구조물 인상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일반 공장이나 저장창고, 농가용 시설건물(축산이나 원예 등) 등의 다양한 건축구조물이 철골구조물 형태로 많이 축조되어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건축구조물중 철골구조물은 철골강재 조립으로 건물을 축조하고자 할 즈음에 부재 그 자체를 자재공장에서 미리 만든 후 건축 현장으로 반입시키므로 현장에서의 건축작업이 아주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철근콘크리트 타설시의 형틀 공사나 콘크리트 양생 과정이 생략된다. 또 내화피복재를 건식공법으로 하면 공사가 모두 건식으로 진행할 수 있는 관계로 철골구조물로 된 건물축조방식은 공장 생산에 의한 시공의 간소화로 인해 인건비 및 자재비가 크게 절감되어 철근과 콘크리트로 타설로 축조된 건축구조물에 비해 건축비가 절감되고 그 공사기간도 크게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점이 있는 철골구조물이나 그외의 구조물로 축조된 건물의 시공이 완료된 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증축이나 확장 특히 상방쪽으로의 공간확보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철골구조물로 된 큰 건축물은 중량이 많이 나가는 관계로 높이를 증가시키커나 상승시키는 것이 쉽지 않고, 설령 가능하더라도 그 비용이 과다하여 작업 현실성이 많이 떨어지고 안전성 확보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공간 확장을 위해 철골구조의 건축구조물이나 그 외의 건축구조물을 상승시키는 증축을 하되 지붕 및 벽체의 해체없이 안전하게 상승 증축을 시행할 수 있다면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건축구조물의 주인이나 시설농가에서는 공간확장에 따른 소득증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49798호 "구조물 인상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확장을 위해 건축구조물을 상승시키는 증축을 하되 지붕 및 벽체의 해체없이 안전하게 상승 증축을 시행할 수 있는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작업안정성과 작업 효율성을 갖도록 건축구조물의 인상작업을 지면이나 지면 근처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축조된 건물을 인상하는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기둥 부근의 바닥면에 장치되며 지지 끼움부를 갖는 인상안내 지주부재와, 상기 인상안내 지주부재와 지지 끼움부를 매개로 삽입되며 기둥이 절단된 상태의 건축구조물을 받칠 수 있도록 돌출 신장되는 버팀기둥부재와, 기둥이 절단된 상태의 건축구조물을 직접적 내지 간접적 중의 하나로 밀어올리는 유압 인상장비와, 상기 버팀기둥부재를 삽입한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근접하며 건물의 바닥면에 장치되어서 유압 인상장비를 받침하는 장비받침기둥과, 상기 인상안내 지주부재와 버팀기둥부재중 하나 이상에는 건축구조물의 단위인상을 가능케 하는 단위인상 배열공이 상하로 배치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단위인상 배열공과 걸이핀을 이용해서 단위인상되는 건축구조물의 하강이 방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에서, 상기 인상안내 지주부재는 건축구조물의 인상 최대높이보다 큰 키높이를 가지며 ㄷ형강이 마주보고 결합되며 마주보는 양측벽면에는 다수의 단위인상 배열공이 서로 대응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또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에서, 상기 버팀기둥부재는 유압 인상장비가 버팀기둥부재를 밀어올릴 수 있는 푸쉬플레이트가 용접 구성되며, 베이스관체 위에 연장관체가 더 연장 가능한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인상장치는, 상기 버팀기둥부재의 상단부에는 T자형 받침브라켓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이미 축조된 건물을 인상하는 건축구조물 인상방법에 있어서, 건축구조물을 받칠 수 있도록 돌출 신장되는 버팀기둥부재가 지지 끼움부를 매개로 삽입되며 다수 단위인상 배열공이 상하로 배치된 인상안내 지주부재를 건물의 기둥 부근을 따라가며 3~5미터 간격으로 다수 지점의 바닥면에 장치하는 과정과, 상기 버팀기둥부재를 삽입한 각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근접해 건물의 바닥면에는 유압 인상장비를 받침하는 장비받침기둥을 장치하는 과정과, 상기 버팀기둥부재에 의해서 인상될 건축구조물의 받침되도록 하고 인상하고자 하는 건물의 기둥을 수평 절단하여 분리가능케 하는 과정과, 다수 지점의 위치된 장비받침기둥 상에 유압 인상장비를 얹고 유압 인상장비를 이용해서 인상안내 지주부재와 지지 끼움부를 매개로 삽입된 버팀기둥부재를 밀어올려서 기둥이 절단된 건물을 인상시키되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형성된 단위인상 배열공의 배치간격 단위로 인상하고 단위인상 배열공중 하나에 걸이핀을 끼워서 인상중인 건축구조물의 하강이 방지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인상방법에서, 상기 기둥이 절단된 건물을 인상시키되 다수의 지점에 대응된 각 버팀기둥부재들이 순차적이나 동시적으로 단위 인상되게 하고, 단위 인상분은 건물의 다수 지점의 각 지점마다 단위인상 배열공들을 이용해 동일 간격이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로서, 이미 축조된 건물을 인상하는 건축구조물 인상방법에 있어서, 건축구조물의 지붕골조나 기둥에 횡방보강부재를 용접설치하는 과정과, 건축구조물에 용접설치된 횡방보강부재를 받칠 수 있도록 돌출 신장되는 버팀기둥부재가 지지 끼움부를 매개로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삽입되며 다수 단위인상 배열공이 상하로 배치된 인상안내 지주부재를 건물의 기둥 부근을 따라가며 3~5미터 간격으로 다수 지점의 바닥면에 장치하는 과정과, 상기 버팀기둥부재를 삽입한 각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근접해 건물의 바닥면에는 유압 인상장비를 받침하는 장비받침기둥을 장치하는 과정과, 상기 버팀기둥부재에 의해서 인상될 건축구조물의 횡방보강부재가 받침되도록 하고 인상하고자 하는 건물의 기둥을 수평 절단하여 분리가능케 하는 과정과, 다수 지점의 위치된 장비받침기둥 상에 유압 인상장비를 얹고 유압 인상장비를 이용해서 인상안내 지주부재와 지지 끼움부를 매개로 삽입된 버팀기둥부재를 밀어올려서 기둥이 절단된 건물을 인상시키되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형성된 단위인상 배열공의 배치간격 단위로 인상하고 단위인상 배열공중 하나에 걸이핀을 끼워서 인상중인 건축구조물의 하강이 방지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 시공된 건축구조물의 지붕이나 벽체의 해체없이 그 건축구조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들어올려 공간 증축되게 하되 안전하고 신속하며 경제적으로 인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작업자가 건축구조물의 인상작업을 지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작업 안전성과 작업 효율성이 뛰어나며 작업비용과 작업시간 투입도 더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인상장치가 장치된 건물 내부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철골구조물 인상장치중 하나인 인상모듈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인상모듈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에 의해 건물의 지붕 및 벽체가 인상되어진 건물 내부의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인상장치가 장치된 건물 내부의 사시 구성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인상안내 지주부재의 후부 사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서는 도면 이해의 편의상 실측 길이의 비율과는 다르게 도시된 것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인상하는 건축구조물은 주로 철골구조물형태나 목구조물 형태로 축조된 건물에 적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둥이 철근콘크리트 형태인 건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첨부도면에서는 건축구조물이 철골구조물인 바람직한 예시로서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은, 이미 축조된 건물의 지붕이나 벽체의 해체없이 그 건물을 수직공간 확장을 원하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높이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들어올려 공간 증축이 이루어지게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인상장치가 장치된 건물 내부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중 하나인 인상모듈(8)의 사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인상모듈(8)의 분해 사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에 의해 건물의 지붕(2) 및 기둥(4), 벽체(6)가 인상되어진 건물 내부의 사시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후부 사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인상장치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지붕(2)과 인상할 다수 기둥(4) 전체를 일괄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심지어 벽체(6)까지도 일괄해서 들어올릴 수 있는 장비로서, 건물의 둘레에 배치된 다수 기둥(4)들을 따라가면서 인상하고자 하는 기둥(4) 부근에 해당하는 다수 지점에 건물 전체의 인상을 위해 도 2와 같은 인상모듈(8)이 각각 설치된다.
도 2와 같은 인상모듈(8)은 철골구조물로 축조된 건물의 둘레에 설치된 다수 기둥(4)들 부근을 따라가며 3~5미터 간격으로 건물을 빙두르는 다수 인상지점의 각각마다 설치된다.
작업자는 건물의 인상될 부분을 분리가능한 상태로 만들되 기둥(4)의 수평 절단 등으로 분리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의 인상모듈(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안내 지주부재(10)와, 버팀기둥부재(12)와, 받침위치의 돋움이 가능한 구조의 장비받침기둥(14)과, 유압잭과 같은 유압 인상장비(1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 인상모듈(8)의 구성요소들중에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와 버팀기둥부재(12)와 장비받침기둥(14)은 각관 형태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각관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양호하다.
각관형태로 구현함에 있어 인상안내 지주부재(10)는 제작 및 해체의 용이성 및 작동 기능성을 위해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강(11) 한쌍과 결합편(26)을 이용해서 사각각관 형태로 구비한다.
이러한 인상모듈(8)은, 인상하고자 하는 건축구조물을 받칠 수 있도록 돌출 신장되는 버팀기둥부재(12)가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지지 끼움부(20)를 매개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삽입되게 구성하고, 장비 받침기둥(14) 위에 얹혀진 유압 인상장비(16)에 의해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삽입된 버팀기둥부재(12)가 밀어올려지되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단위인상 배열공(22)이 이용되어 배열공(22)의 상하 간격단위로 단위 상승되게 밀어올림으로써 기둥(4)이 절단된 건축구조물의 인상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건축구조물의 인상을 위한 인상모듈(8)을 사용할 때 인상모듈(8)이 배치된 다수 지점의 갯수만큼 작업자 수가 있어야 되는 것은 아니다. 또 유압잭과 같은 유압 인상장비(16)의 갯수도 다수 지점의 갯수만큼 있을 필요가 없다. 건축구조물의 인상에 필요한 작업자 수는 최소 한명까지도 가능하며 몇명이 한 조로 투입되어서 신속한 작업진행이 가능하고, 유압 인상장비(16)는 작업자 수만큼만 갖춰지면 충분하다.
그러므로 건축구조물 인상을 위한 유압 인상장비(16)의 구입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작업인력도 최소화할 수 있다.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의 인상모듈(8)의 구성부품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인상안내 지주부재(10)는 도 1에서와 같이 건물의 기둥(4) 부근의 바닥면(40)에 앵커볼트 등에 의해 장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인상안내 지주부재(10)는 건물의 바닥면(40)에 앵커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앵커브라켓(28)을 구비한다. 또 인상안내 지주부재(10)는 버팀기둥부재(12)가 삽입되고 버팀기둥부재(12) 인상시에도 든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끼움부(20)를 구비하며, 지지 끼움부(20)의 대면 측벽부에는 건축구조물의 단위 인상을 가능케 하는 단위인상 배열공(22)이 서로 마주하며 상하로 배열 형성된 구성이다.
인상안내 지주부재(10)는 작업자가 목표로 삼는 건축구조물의 인상높이보다 더 큰 키높이(L)를 가지며, 한쌍의 ㄷ형강(11)이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다수 결합편(26)으로 용접 결합함에 의해서 내부에 장홈형태의 지지 끼움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 끼움부(20)는 장홈 형태로서 반드시 폐쇄형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버팀기둥부재(12)의 인상을 위한 이동과 버팀기둥부재(12)의 흔들림이 없는 지지가 보장된다면 다수의 지지테 형태와 같은 개방형 구조도 가능하다.
또 상기 지지 끼움부(20)는 인상안내 지지부재(10)에 형성된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비팀기둥부재(12)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인상안내 지지부재(10)를 구성함에 있어, 서로 마주하는 ㄷ형강(11) 한쌍을 버팀기둥부재(12)의 푸쉬플레이트(30)가 상하 통행할 수 있을 만큼만 벌려 놓은 상태에서 다수의 결합편(26)을 듬성듬성 위치시키고 용접으로 연결하므로 버팀기둥부재(12)의 푸쉬플레이트(30)의 상승을 위한 이송통행로(24)가 마련된다.
또 인상안내 지지부재(10)를 구성함에 있어, 서로 마주보는 각 ㄷ형강(11)의 가운데 측벽부에는 다수의 단위인상 배열공(22)을 상하로 형성하되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므로 단위인상 배열공(22)중 하나에 작업자가 걸이핀(50)을 끼워 넣으면 해당 인상모듈(8)에 유압 인상장비(16)가 잠시 없어도 인상안내 지지부재(10)로부터 인상중인 버팀기둥부재(12)의 턱걸림이 유지되어 인상중인 건축구조물의 하강을 방지한다. 걸이핀(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넛 체결구조가 바람직하며, 그외 체결볼트만이 사용되거나 봉형상 핀으로도 가능하다.
인상안내 지지부재(10)의 측벽부에 형성된 다수의 단위인상 배열공(22)은 건축구조물의 단위 인상을 가능케 하는 구멍으로서, 바로 인접한 단위인상 배열공(22)들의 상하 배치간격은 1mm ~ 100mm 범위내에서 선정된 간격길이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작업자가 유압잭과 같은 유압 인상장비(16)로 건축구조물의 한 지점을 한번 들어 올릴 때 인상안내 지지부재(10)의 측벽부에 형성된 단위인상 배열공(22)의 배치간격 단위로 인상시키는데, 해당 단위인상 배열공(22)의 배치된 간격에 따라 최소 1mm부터 최대 100mm까지 인상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자는 유압잭과 같은 유압 인상장비(16)로 한 지점에서의 건축구조물이 최대 100mm까지 들어올려지고 그 바로 옆에 있는(이격거리 3미터 내지 5미터) 인접 지점에서는 그 건축구조물이 들어올려지지 않더라도 철골재와 같은 건축구조물의 허용 탄성유격 덕분에 건축구조물이 손상되지 않음을 확인하였기에, 작업자의 한번 인상할 최대분(100mm)이 그 의의를 갖는다. 즉 인상안내 지지부재(10)의 단위인상 배열공(22)은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설치지점마다 차례로 해당 버팀기둥부재(12)가 단위 인상됨에 따른 인접 지점(3미터 내지 5미터 이격됨)과의 인상 단차에도 건축구조물의 피로파괴 방지가 가능하도록 1mm ~ 100mm의 배치간격을 갖는 것이다.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의 인상모듈(8)에 있어, 버팀기둥부재(12)는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지지 끼움부(20)에 삽입되며 기둥(4)이 절단된 상태의 건축구조물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또 버팀기둥부재(12)에는 유압잭과 같은 유압 인상장비(16)가 버팀기둥부재(12)를 직접 밀어올릴 수 있게끔 하는 푸쉬플레이트(30)가 용접되며, 버팀기둥부재(12)의 푸쉬플레이트(30)는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이송통행로(24)에 위치된다.
버팀기둥부재(12)는 다양한 키높이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건물 받침부(지붕 저부면의 트라스나 수평부재 등)의 높이까지 미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하는 바, 베이스관체(12a)와 함께 연장관체(12b)를 구비하며 받침면의 안정성을 위해서 상단에는 상기 건물 받침부에 끼움 가능한 T자형 받침브라켓(12c)을 구비한다.
버팀기둥부재(12)의 연장관체(12b)는 베이스관체(12a)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신장길이를 맞출 수 있도록 다수의 신장용 결합공(32)이 배열형성되며, 다수 신장용 결합공(32)들중 하나가 베이스관체(12a)의 상측 결합공(33)에 구멍맞춤되어서 볼트넛으로 체결된다. 연장관체(12b)의 상단에는 T자형 받침브라켓(12c)이 볼트넛 체결된다. T자형 받침브라켓(12c)의 U자형태의 브라켓 끼움홈부(13)는 건축 구조물의 받침부를 안정적으로 끼움 받침할 수 있도록 사이즈 맞춤 제작이 되며, 건축 구조물의 받침부의 부재에 끼워져 안심받침 할 수 있도록 전후나 좌우방향 전환된 다음 볼트넛으로 체결된다.
첨부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삽입된 버팀기둥부재(12)의 단위인상되는 구성을 위해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다수의 단위인상 배열공(22)이 형성된 일예를 들었지만, 인상안내 지주부재(10) 대신에 버팀기둥부재(2)에 다수의 단위인상 배열공(22)이 형성되어도 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단지 이 경우에는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상부측에는 단위인상배열공(22)과 구멍 맞춤된후 걸이핀(50)이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공이 별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인상모듈(8)의 구성부품들중에서 버팀기둥부재(12)를 삽입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바로 근접하여서 유압 인상장비(16)를 받침하는 장비받침기둥(14)이 건물의 바닥면(40)에 장착된다.
장비받침기둥(14)은 받침베이스관체(14a)와 받침연장관체(14b) 및 받침판(14c)로 구성된다. 받침베이스관체(14a)는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기저판(34)을 가지며 부츠형상을 하고 있으며, 받침베이스관체(14a)는 받침베이스관체(14a)의 연장을 위해 끼움되는 받침베이스연장대(14a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연장대(14a1)에는 받침베이스관체(14a)의 받침베이스연장대(14a1)에 끼움되어서 돋움높이 조절되는 받침연장관체(14b)를 구비한다. 받침연장관체(14b)는 장비받침기둥(14)의 높이 돋움을 위한 돋움높이조절 체결공(36)들을 상하로 배열형성되며, 받침연장관체(14b)의 상단부에는 유압잭과 같은 유압 인상장비(16)가 안전하게 얹혀질 수 있는 받침판(14c)이 조립 구성된다.
작업자는 건물의 바닥면(40)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된 장비받침기둥(14)의 받침베이스관체(14a) 위에 끼움 연장되는 받침베이스연장대(14a1)와 받침연장관체(14b)의 돋움높이조절 체결공(36)을 이용하되 볼트넛과 같은 고정핀(15)을 원하는 돋움높이조절 체결공(36)에 끼워넣어서 장비받침기둥(14)이 작업자 본인이 원하는 적정한 장비받침 높이가 되도록 한다.
건물의 바닥면(40)에 앵커볼트로 장착된 장비받침기둥(14)은 건물의 바닥면(40)에 장착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와 서로 견고하게 결속이 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형, ㄷ형, ㅡ형과 같은 다수 결속브라켓(38)을 이용한 볼트체결로 장비받침기둥(14)과 인상안내 지주부재(10)간이 견고하게 결속되게 구성한다.
장비받침기둥(14)의 받침판(14c)상에는 유압잭과 같은 유압 인상장비(16)가 얹혀진다. 유압 인상장비(16)는 장비중 상대적으로 간편하기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잭이 바람직하며, 유압 실린더로도 가능하다.
장비받침기둥(14) 위에 얹혀진 유압 인상장비(16)는 건물 인상을 위해 기둥(4)이 절단된 상태의 건축구조물을 직접적 내지 간접적 중의 하나로 밀어올리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작업자가 바닥이나 바닥에서 바로 올라설 수 있는 낮은 높이면에서 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유압 인상장비(16)를 이용해서 버팀기둥부재(12)에 용접된 푸쉬플레이트(30)를 밀어서 올림으로써 버팀기둥부재(12)에 의해 받침된 건축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지게 한다.
장비받침기둥(14) 위에 얹힌 유압 인상장비(16)에 의해서 인상되어지는 버팀기둥부재(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구조물의 지붕 슬라브나 수평부재를 받침할 수 있다. 특히 건축구조물이 H빔이나 C형강빔, ㄷ형강 빔과 같은 철골구조의 빔형태일 경우에는 건축구조물의 저부면 예컨대 슬라브(3)의 저부면에 버팀기둥부재(12)를 바로 받침할 수 있다.
그런데, 건축구조물의 지붕골조구조가 낡은 경우나 지붕철골구조가 원형 관체 등과 같이 약한 골조의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기둥(4) 근처의 지붕트라스(54) 저부면에 횡방보강부재(52)를 지붕트라스(54)를 가로지르며 용접 설치한 다음, 인상모듈(8)의 버팀기둥부재(12)가 새롭게 설치된 횡방보강부재(52)를 받침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구조물 인상장치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을 인상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는 철골구조물 형태로 축조된 건물을 인상하기 위해서 먼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은 인상모듈(8)을 도 1에서와 같이 설치한다.
건축구조물의 지붕 저부면을 받칠 수 있도록 돌출 신장되는 버팀기둥부재(12)가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지지 끼움부(20)에 삽입되게 하되, 그 먼저 다수 단위인상 배열공(22)들이 상하로 배치된 인상안내 지주부재(10)를 건물의 기둥(4) 부근을 따라가며 3~5미터 간격으로 건물을 빙두르는 다수 인상지점의 건물 바닥면(40)에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장착한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버팀기둥부재(12)를 삽입한 각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근접해서 건물의 바닥면(40)에는 유압 인상장비(16)를 받침하는 장비받침기둥(14)을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장착한다. 또 버팀기둥부재(12)와 인상안내 지주부재(10)간을 결속브라켓(38)을 서로 결속시킨다.
그리고 버팀기둥부재(12)를 이용해서 버팀기둥부재(12)가 건축구조물의 지붕 저부면을 도 1에서와 같이 받침하도록 조치하여서 건축구조물이 인상될 여건을 마련한다.
건물 인상작업중 외부의 강한 바람에 의해서 건물 흔들림 방지를 위해서 다수의 체인블럭을 사용하여서 건물의 지붕을 잡아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작업자는 인상하고자 하는 건물의 기둥(4)들 모두를 절단기로 수평 절단작업하여서 도 1과 같이 상하 분리가능케 한다. 만일 건물에 도 1과 같이 벽체(6)도 구비되어 있다면 건물 인상시에 벽체(6) 역시도 분리될 수 있도록 절단 내지 해체 조치를 한다.
그후 작업자는 다수 지점에 위치된 장비받침기둥(14) 위에 유압 인상장비(16)를 얹되, 작업자가 많지 않으면 한 작업자당 한대의 유압 인상장비(16)를 다수 지점들중 1~2명의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출발지점(예컨대 도 1의 ①번 및 ②번 지점)부터 장비받침기둥(14) 위에 유압 인상장비(16)를 순서대로 얹는다.
그리고 그 유압 인상장비(16)를 이용해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지지 끼움부(20)에 삽입된 버팀기둥부재(12)를 밀어올려서 기둥(4)이 절단된 건물을 인상시키되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다수 형성된 단위인상 배열공(22)의 배치간격 단위로 인상한다. 단위 인상은 단위인상 배열공(22)의 배치간격만큼이나 그 배수만큼으로서 1mm ~ 100mm 범위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단위인상이 100mm를 초과하여서 이루어지면 한 지점만 인상됨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피로파괴가 생길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유압 인상장비(16)로 들어올려 한 지점이나 몇 지점(예컨대, ①번 및 ②번 지점)의 단위인상이 이루어지면 단위인상 배열공(22)중의 하나의 걸이핀(50)을 끼워서 유압 인상장비(16)를 임시 제거해도 현재 해당 지점에서의 인상중인 건축구조물의 하강이 방지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기둥(4)이 절단된 건물을 인상시키되 한명 내지 몇명의 작업자를 투입하여서 다수의 지점에 대응된 각 버팀기둥부재(12)들이 순차적으로 단위 인상이 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가 있다. 예컨대, ①번과 ②번 지점을 동시 내지 순차적으로 들어올리고 그 다음에는 ③번 지점과 ④번 지점으로 들어올리는 순차적인 방식으로 단위인상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기둥(4)이 절단된 건물을 인상시키되 다수의 지점에 유압 인상장비(16)를 모두 얹어놓고 다수 지점에 대응된 각 버팀기둥부재(12)들이 동시에 단위 인상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한번에 들어올리는 단위 인상분은 건물의 다수 지점의 각 지점마다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단위인상 배열공(22)들과 걸이핀(50)을 이용해 동일 간격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시작지점에서 50mm 단위인상이 되었다면 이후 이어지는 다른 지점에서도 50mm 단위인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위인상의 작업을 작업자가 기둥 부근을 따라가는 지점에 설치된 인상모듈(8)을 이용해 수차례 내지 수십차례의 순환을 반복 수행하여서 건축구조물의 인상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건축구조물의 인상이 완료되게 한다.
인상모듈(8)을 이용 건축구조물의 인상이 완료되면, 그 다음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건축구조물에서 인상된 기둥(4)과 뿌리부가 남아 있는 바닥에 고정된 기둥(4a) 사이에 기둥(4)과 동일한 규격과 소재로 된 보강기둥(4b)을 밀어넣고 일체 용접함으로써 건축구조물의 높이를 확대시키는 구조물의 보수가 완료된다.
또 보수 완료후 인상모듈(8)의 구성품 즉 인상안내 지주부재(10), 버팀기둥부재(12), 장비받침기둥(14), 유압 인상장비(16) 등의 완전해체가 가능하므로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붕골조구조가 낡은 경우나 지붕철골구조가 원형 관체 등과 같이 약한 골조의 경우에서의 이미 축조된 건물을 인상하는 건축구조물 인상방법은 건축구조물의 지붕골조나 기둥에 도 5에서와 같은 횡방보강부재(52)를 용접설치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인상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구조물의 지붕골조나 기둥에 횡방보강부재(52)를 용접설치하는 과정과, 건축구조물에 용접설치된 횡방보강부재(52)를 받칠 수 있도록 돌출 신장되는 버팀기둥부재(12)가 지지 끼움부(20)에 삽입되며 다수 단위인상 배열공(22)이 상하로 배치된 인상안내 지주부재(10)를 건물의 기둥(4) 부근을 따라가며 3~5미터 간격으로 건물을 빙두르는 다수 인상지점의 바닥면(40)에 장치하는 과정과, 상기 버팀기둥부재(12)를 삽입한 각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근접해 건물의 바닥면(40)에는 유압 인상장비(16)를 받침하는 장비 받침기둥(14)을 장치하는 과정과, 상기 버팀기둥부재(12)에 의해서 인상될 건축구조물의 횡방보강부재(52)가 받침되도록 하고 인상하고자 하는 건물의 기둥(4)을 수평 절단하여 분리가능케 하는 과정과, 다수 지점의 위치된 장비 받침기둥(14) 상에 유압 인상장비(16)를 얹고 유압 인상장비(16)를 이용해서 인상안내 지주부재(10)의 지지 끼움부(20)에 삽입된 버팀기둥부재(12)를 밀어올려서 기둥(4)이 절단된 건물을 인상시키되 인상안내 지주부재(10)에 형성된 단위인상 배열공(22)의 배치간격 단위로 인상하고 단위인상 배열공(22)중 하나에 걸이핀(50)을 끼워서 인상중인 건축구조물의 하강이 방지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주로 철골구조물에 관련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목구조물이나 철골콘크리트 기둥을 갖는 구조물이나 지붕이 철골로 된 건출구조물 등에 적용하는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지붕 (3)-- 슬라브
(4)-- 기둥 (6)-- 벽체
(8)-- 인상모듈 (10)-- 인상안내 지주부재
(12)-- 버팀기둥부재 (12a)-- 베이스관체
(12b)-- 연장관체 (12c)-- T자형 받침브라켓
(13)-- 브라켓 끼움홈부 (14)-- 장비 받침기둥
(14a)-- 받침베이스관체 (14a1)-- 받침베이스연장대
(14b)-- 받침연장관체 (14c)-- 받침판
(16)-- 유압 인상장비 (20)-- 지지장홈
(22)-- 단위인상 배열공 (24)-- 이송통행로
(26)-- 결합편 (28)-- 앵커브라켓
(30)-- 푸쉬플레이트 (32)-- 신장용 결합공
(34)-- 기저판 (36)-- 돋움높이조절 체결공
(40)-- 바닥면 (50)-- 걸이핀
(52)-- 횡방보강부재

Claims (7)

  1. 이미 축조된 건물을 인상하는 건축구조물 인상장치에 있어서,
    인상할 건물의 기둥 부근을 따라가며 3~5미터 간격으로 건물을 빙두르는 다수 인상지점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향하는 지지 끼움부를 갖는 인상안내 지주부재와,
    상기 인상안내 지주부재의 지지 끼움부에 삽입되어 기둥이 절단된 상태의 건축구조물을 받칠 수 있도록 돌출 신장되며, 인상안내 지주부재의 지지끼움부에 삽입된 베이스관체와 베이스관체로부터 연장되고 신장용 결합공이 다수로 배열 형성된 연장관체로 구성된 버팀기둥부재와,
    3~5미터 간격으로 된 기둥부근 다수 인상지점들을 차례로 따라가면서 기둥이 절단된 상태의 건축구조물을 인상안내 지주부재와 버팀기둥부재를 직접적이나 간접적으로 이용해 순차적으로 단위인상되게 밀어올리는 유압 인상장비와,
    상기 버팀기둥부재를 삽입한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근접하며 건물의 바닥면에 장치되어서 유압 인상장비를 받침하는 장비받침기둥과,
    상기 인상안내 지주부재와 버팀기둥부재중 하나에는 인상안내 지주부재의 설치지점마다 차례로 인상됨에 따른 인접 지점과의 인상 단차에도 건축구조물의 피로파괴가 방지되는 해당 버팀기둥부재의 단위인상을 가능케 하는 단위인상 배열공들이 상하로 배치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단위인상 배열공의 배치간격이 1mm ~ 100mm되게 구성하고, 상기 인상안내 지주부재와 버팀기둥부재중 나머지 하나에는 단위인상 배열공과 구멍맞춤되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단위인상 배열공들중 하나에 구멍맞춤된 결합공에 걸이핀을 이용해서 단위 인상된 해당 버팀기둥부재의 단위 인상되어지는 높이가 임시 유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안내 지주부재는 ㄷ형강이 서로 마주보고 버팀기둥부재의 푸쉬플레이트가 통행될 이송통행로를 갖도록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 ㄷ형강의 벽면에는 다수의 단위인상 배열공이 서로 대응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기둥부재의 상단부에는 T자형 받침브라켓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5. 이미 축조된 건물을 인상하는 건축구조물 인상방법에 있어서,
    건축구조물을 받치며 단위인상되는 버팀기둥부재가 지지 끼움부를 매개로 삽입되어진 인상안내 지주부재를 건물의 기둥 부근을 따라가며 3~5미터 간격으로 건물을 빙두르는 다수 인상지점들의 바닥면에 설치하되 인상안내 지주부재의 해당 버팀기둥부재가 인상지점마다 차례로 단위 인상됨에 따른 인접된 인상지점과의 인상 단차에도 건축구조물의 피로파괴 방지가 가능하도록 1mm ~ 100mm 배치간격의 단위인상 배열공들이 형성된 인상안내 지주부재를 설치하는 제1 과정과,
    결합공을 갖는 버팀기둥부재를 삽입한 각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근접해 건물의 바닥면에는 유압 인상장비를 받침하는 장비받침기둥을 장치하는 제2 과정과,
    인상될 건축구조물의 건물받침부가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삽입된 버팀기둥부재에 의해 받침되도록 하고 인상하고자 하는 건물의 기둥을 수평 절단하여 분리가능케 하는 제3 과정과,
    다수의 인상지점에 위치된 장비받침기둥 상에 유압 인상장비를 얹고 유압 인상장비를 이용해서 직접적 내지 간접적 중의 하나로 해당 버팀기둥부재를 인상하되 인접기둥과의 인상 단차로 인한 건물의 피로 파괴가 방지되도록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형성된 단위인상 배열공의 배치간격 단위로 단위인상하는 제4 과정과,
    해당 버팀기둥부재의 단위 인상되어진 높이가 임시 유지되고 버팀기둥부재가 고정되도록 인상안내 지주부재의 다수 단위인상 배열공들 중의 하나에 구멍맞춤된 결합공에 걸이핀을 임시로 끼움 고정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4 과정 내지 제5 과정의 단위인상의 작업을 3~5미터 간격으로 건물을 빙두르는 기둥 부근의 다수 인상지점들을 차례로 따라가며 수차례 내지 수십차례의 순환을 반복 수행하여서 건축구조물의 인상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하는 제6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 인상방법.
  6. 삭제
  7. 이미 축조된 건물을 인상하는 건축구조물 인상방법에 있어서,
    건축구조물의 지붕골조나 기둥에 횡방보강부재를 용접설치하는 제1 과정과,
    건축구조물에 용접설치된 횡방보강부재를 받치며 단위인상되는 버팀기둥부재가 지지 끼움부를 매개로 삽입되어진 인상안내 지주부재를 건물의 기둥 부근을 따라가며 3~5미터 간격으로 건물을 빙두르는 다수 인상지점들의 바닥면에 설치하되 인상안내 지주부재의 해당 버팀기둥부재가 인상지점마다 차례로 단위 인상됨에 따른 인접된 인상지점과의 인상 단차에도 건축구조물의 피로파괴 방지가 가능하도록 1mm ~ 100mm 배치간격의 단위인상 배열공들이 형성된 인상안내 지주부재를 설치하는 제2 과정과,
    결합공을 갖는 버팀기둥부재를 삽입한 각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근접해 건물의 바닥면에는 유압 인상장비를 받침하는 장비받침기둥을 장치하는 제3 과정과,
    인상될 건축구조물의 횡방보강부재가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삽입된 버팀기둥부재에 의해 받침되도록 하고 인상하고자 하는 건물의 기둥을 수평 절단하여 분리가능케 하는 제4 과정과,
    다수의 인상지점에 위치된 장비받침기둥 상에 유압 인상장비를 얹고 유압 인상장비를 이용해서 직접적 내지 간접적 중의 하나로 해당 버팀기둥부재를 인상하되 인접기둥과의 인상 단차로 인한 건물의 피로 파괴가 방지되도록 인상안내 지주부재에 형성된 단위인상 배열공의 배치간격 단위로 단위인상하는 제5 과정과,
    해당 버팀기둥부재의 단위 인상되어진 높이가 임시 유지되고 버팀기둥부재가 고정되도록 인상안내 지주부재의 다수 단위인상 배열공들 중의 하나에 구멍맞춤된 결합공에 걸이핀을 임시로 끼움 고정하는 제6 과정과,
    상기 제5 과정 내지 제6 과정의 단위인상의 작업을 3~5미터 간격으로 건물을 빙두르는 기둥 부근의 다수 인상지점들을 차례로 따라가며 수차례 내지 수십차례의 순환을 반복 수행하여서 건축구조물의 인상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하는 제7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 인상방법.
KR1020190096083A 2019-08-07 2019-08-07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 KR10219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083A KR102199163B1 (ko) 2019-08-07 2019-08-07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083A KR102199163B1 (ko) 2019-08-07 2019-08-07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163B1 true KR102199163B1 (ko) 2021-01-06

Family

ID=7412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083A KR102199163B1 (ko) 2019-08-07 2019-08-07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390A (ko)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아진에이치앤에스 공사현장용 안전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798B1 (ko) 2003-04-02 2006-02-13 (주)케이돔엔지니어링 구조물 인상 장치
US20120112147A1 (en) * 2005-11-23 2012-05-10 Alltrade Tools Llc Jack stand and combination & method of elevating a load
US20140260070A1 (en) * 2013-03-14 2014-09-18 Victor N. Barcroft Long Travel Lif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704245B1 (ko) * 2015-08-20 2017-02-08 유창호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798B1 (ko) 2003-04-02 2006-02-13 (주)케이돔엔지니어링 구조물 인상 장치
US20120112147A1 (en) * 2005-11-23 2012-05-10 Alltrade Tools Llc Jack stand and combination & method of elevating a load
US20140260070A1 (en) * 2013-03-14 2014-09-18 Victor N. Barcroft Long Travel Lif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704245B1 (ko) * 2015-08-20 2017-02-08 유창호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390A (ko)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아진에이치앤에스 공사현장용 안전문
KR102488039B1 (ko) * 2021-01-06 2023-01-13 주식회사 아진에이치앤에스 공사현장용 안전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77603B (zh) 预制混凝土剪力墙支撑与灌浆围仓一体化工装系统及方法
CA2632884C (en) Improved construc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10805257B (zh) 花篮悬挑式型钢承载梁结构及施工方法
KR101243775B1 (ko) 교량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N204098463U (zh) 悬挑脚手架
KR102199163B1 (ko)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방법
KR102183986B1 (ko) 건물의 수직공간 확장을 위한 건축구조물 인상장치 및 인상방법
CN205348761U (zh) 地下室无梁顶板上安装无基础升降机的加固结构
JP5192251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US20200284026A1 (en) Vertical slip form construction system with multi-function plat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therewith
KR101116254B1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CN112412020B (zh) 一种后浇带便捷支撑装置及其施工方法
CN109944262B (zh) 一种加固桥梁水下结构的钢围堰安装方法
KR100817883B1 (ko) 슬래브 거푸집 설치구조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CN209942219U (zh) 可胀缩且可升降的共享模板
KR100312817B1 (ko) 소형 수직구조물의 복공벽성형용 시스템폼 및 그를 이용한 소형수직구조물의 복공벽 시공방법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102300810B1 (ko) 구조물 인상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방법
JP2008214932A (ja) 建物の構築方法
JPH0913505A (ja) 片持屋根の先端高さ調整方法
JP2003056186A (ja) 木造建築物の構造の特質に適合させ、h形鋼および特製アンカー金具並びに特製微調整金具を使用した木造建築物の土台揚げおよび曳き舞い工事のh形鋼鉄骨架台工法。
CN220978730U (zh) 用于立柱施工的灯笼架体装置
CN215978631U (zh) 一种市政园林用景观亭的立柱系统
KR102437415B1 (ko) 슬래브 거푸집 전동 서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