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209B1 - 톤백 - Google Patents

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209B1
KR101704209B1 KR1020150080651A KR20150080651A KR101704209B1 KR 101704209 B1 KR101704209 B1 KR 101704209B1 KR 1020150080651 A KR1020150080651 A KR 1020150080651A KR 20150080651 A KR20150080651 A KR 20150080651A KR 101704209 B1 KR101704209 B1 KR 101704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bag
weft
ventilation hole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184A (ko
Inventor
한현호
Original Assignee
한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호 filed Critical 한현호
Priority to KR102015008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2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톤백은 톤백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톤백 자체의 통기성을 제공하고 톤백에 담겨져 있는 곡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톤백의 재질을 PP 모노사를 이용하여 제조하여 곡물이 담겨지거나 배출될 때 인장력에 의해 버텨줌으로써 곡물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톤백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톤백에 통풍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태양광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을 형성하여 태양광의 투과율을 일정 부분 조절할 수 있어 톤백에 담겨진 곡물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톤백{Ton Bag}
본 발명은 톤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톤백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톤백 자체의 통기성을 제공하고 톤백에 담겨져 있는 곡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톤백의 재질을 PP 모노사를 이용하여 제조하여 곡물이 담겨지거나 배출될 때 인장력에 의해 버텨줌으로써 곡물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톤백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톤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톤백(Ton Bag)은 비료, 광물, 화학원료, 곡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대용량으로 담을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내용물을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해 운반할 때 혹은 포장 등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톤백은 보통 상부가 개방된 자루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는 2개 내지 3개의 걸고리가 형성되고, 걸고리는 톤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되는 띠(벨트)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톤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처리할 때에는 먼저 톤백 내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지게차의 포크를 상단 걸고리에 걸고 이어서 차량에 상차 및 하차 또는 구내 운송하거나 포장기 기계 등으로 운반한다.
한편, 이와 같은 톤백 중에서 곡물, 감자, 양파 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을 위한 톤백은 농산물의 운반 및 보관 과정에서 톤백 내부와 외기 사이에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져야만 톤백 내부에 담긴 농산물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톤백 자체가 통기성을 갖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톤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양의 곡물을 담을 수 있도록 측면부(10)와 밑면부(20)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사 원단으로 형성하고,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측면부(10)의 상측 끝단에 일정 길이의 조임끈(30)과 측면부(1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곡물이 저장된 톤백을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여러 개의 고리(40)를 구성한다.
종래의 톤백은 조밀하게 직조된 PP 필름사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내부에 어떠한 곡물이 담겨진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통풍성이 확보되지 않아서 곡물을 장시간 저장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톤백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톤백 자체의 통기성을 제공하고 톤백에 담겨져 있는 곡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톤백의 재질을 PP 모노사를 이용하여 제조하여 곡물이 담겨지거나 배출될 때 인장력에 의해 버텨줌으로써 곡물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톤백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톤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일정양의 곡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면부(110)와 하면부(120) 및 상기 상면부(110)와 하면부(120)를 이어주는 측면부(130)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110)와 하면부(12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투입수단(111)과 배출수단(121)을 조임끈(115, 124)으로 밀봉 및 개봉할 수 있는 톤백에 있어서,
측면부(130)는 중앙 부분에 가로 방향의 위사(141)와 세로 방향의 경사(142)가 일정 간격을 두어 직조되어 통풍공(143)을 형성한 통풍구(140)와, 통풍구(140)의 양쪽으로 통풍구(140)의 위사(141)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위사(141)에 세로 방향으로 경사(152)가 통풍구(140)보다 간격이 조밀하게 직조된 통풍지지면(150)으로 이루어지며,
통풍구(14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모노사를 이용하여 경사(142)와 위사(141)가 교호로 엮여 직조되고, 통풍지지면(150)은 폴리프로필렌 모노사를 이용하여 위사(141)를 형성하고 폴리프로필렌 모노사보다 폭이 넓은 편평사인 폴리프로필렌 필름사를 이용하여 경사(152)를 형성하여 교호로 엮여 직조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톤백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톤백에 담겨진 내용물의 종류와 양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톤백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통기성을 제공하여 톤백에 담겨진 곡물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톤백에 통풍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태양광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을 형성하여 태양광의 투과율을 일정 부분 조절할 수 있어 톤백에 담겨진 곡물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톤백의 통풍구를 PP 모노사로 형성하여 톤백에 곡물을 투입할 때나 배출할 때 PP 모노사의 신율이나 수축율, 인장력에 의해 원단 조직이 버텨줌으로써 톤백의 형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톤백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을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의 측면부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의 측면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을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을 아래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톤백의 측면부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을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의 측면부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의 측면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을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을 아래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100)은 그 내부에 일정양의 곡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부(110)와 하면부(120) 사이에 측면부(130)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면부(110)와 하면부(120)는 각각 곡물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투입수단(111)과 배출수단(121)이 형성된다.
투입수단(111)은 상면부(110)를 폐쇄하는 망사 구조의 망사면(112)과 망사면(112)의 중앙 부분을 부분 절개하여 곡물 투입을 위한 투입구멍(113)이 형성되도록 하고, 투입구멍(113)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조임끈(115)이 연속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조임부(114)를 형성하여 조임끈(115)의 양쪽 끝단을 잡고 당겨줌에 따라 조임부(114)가 조여지면서 망사면(112)이 톤백(100)의 상면부(110)를 밀봉되도록 한다.
톤백(100)은 펼쳐졌을 때 육면체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면부(110), 하면부(120) 및 측면부(130)가 대략적으로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사각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서 하면부(120)의 사각 테두리와 하면부(120)의 모서리로부터 이어진 측면부(130)의 4개의 모서리 부분을 굵기가 굵은 보강부(116)를 형성한다.
하나의 측면부(130)는 죄우 양쪽 끝단에 하면부(12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진 보강부(116)를 형성하는데 즉, 보강부(116)를 세로 방향으로 하면부(120)로부터 상면부(110)까지 밖음질 등에 의해 부착된다.
상면부(110)는 모서리 부분에 고리(117)를 형성하여 별도의 크레인기구를 걸어서 이동시킨다.
측면부(130)는 중앙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통풍구(140)가 형성되고 통풍구(140)의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통풍지지면(150)을 형성한다.
통풍구(14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모노사를 이용하여 경사(142)와 위사(141)가 교호로 엮여 직조되고 경사(142)와 위사(141)가 일정 간격을 두어 직조되어 통풍공(143)을 형성함으로써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PP 모노사는 모노필라멘트사의 일종으로 본 발명에서는 PP 모노사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폴리에스터 모노사, 폴리프로필렌 멀티사도 사용할 수 있다.
통풍구(140)는 곡물의 종류를 확인하고, 톤백(100) 자체의 통기성을 확보하여 곡물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풍지지면(150)은 폴리프로필렌 모노사를 이용하여 위사(141)를 형성하고 PP 모노사보다 폭이 넓은 편평사인 폴리프로필렌 필름사를 이용하여 경사(152)를 형성하여 밀도를 조밀하게 한다.
이에 따라 통풍지지면(150)은 경사(152) 간의 간격이 조밀하여 톤백(100) 내부의 곡물의 종류를 파악할 수 없다.
PP 필름사를 이용하여 위사와 경사를 직조하는 경우, 위사와 경사 간의 틈이 없어서 통풍이 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그러나 통풍지지면(150)은 PP 모노사의 위사(141)와 PP 필름사의 경사(152)를 서로 교호로 엮여 직조하는 경우, 담겨있는 곡물의 종류를 파악할 수 없지만 틈이 발생되어 통풍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톤백(100)은 감자와 같은 곡물의 경우, 햇빛에 의한 천변의 영향으로 파란색으로 변질돼 독성을 띄울 수 있기 때문에 통풍성과, 햇빛을 적절하게 가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톤백(100)은 통풍구(140)와 통풍지지면(150)에 의해 통풍성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곡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톤백(100)을 PP 필름사나 나일론 등으로 모든 면을 제조하게 되면, 곡물이 담겨질 때 톤백(100)의 형태가 육면체를 형성하지 않고 늘어지게 되어 톤백(100)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배가 불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톤백(100)을 PP 필름사나 나일론 등으로 모든 면을 제조하게 되면, 곡물의 하중에 의해 위사와 경사가 틀어지거나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톤백(100)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톤백(100)은 곡물이 담겨지고 배출할 때 톤백(10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위사(141)와 세로 방향의 경사(142)가 일정 간격을 두어 직조되어 통풍공(143)을 형성한 통풍구(140)와, 통풍구(140)의 양쪽으로 통풍구(140)의 위사(141)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위사(141)에 세로 방향으로 경사(152)가 통풍구(140)보다 간격이 조밀하게 직조된 통풍지지면(150)으로 이루어진다.
통풍구(14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모노사를 이용하여 경사(142)와 위사(141)가 교호로 엮여 직조되고, 통풍지지면(150)은 폴리프로필렌 모노사를 이용하여 위사(141)를 형성하고 폴리프로필렌 모노사보다 폭이 넓은 편평사인 폴리프로필렌 필름사를 이용하여 경사(152)를 형성하여 교호로 엮여 직조된다.
톤백(100)은 통풍구(140)의 위사(141)와 경사(142)와, 통풍지지면(150)의 위사(141)를 PP 모노사로 형성하여 톤백(100)에 곡물을 투입할 때나 배출할 때 PP 모노사의 신율이나 수축율, 인장력에 의해 원단 조직이 버텨줌으로써 톤백(100)의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PP 모노사는 신율 20 내지 25%, 수축율 5 내지 10% 등으로 제조된 섬유를 사용한다.
배출수단(121)은 하면부(120)의 중앙 부분을 부분 절개하여 형성하고, 곡물 배출을 위한 배출구멍(122)이 형성된다.
배출구멍(122)의 내측으로 메쉬 형태의 망사(125)를 형성하며, 망사(125)를 묶어서 곡물이 배출구멍(122)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차단막(126)은 배출구멍(122)과 망사(125)의 사이에 형성되고 망사(125)를 묶어서 1차 밀봉한 상태에서 망사(125)를 배출구멍(122)에서 폐쇄시켜 2차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수단(121)은 배출구멍(122)을 차단막(126)으로 막은 상태에서 배출구멍(122)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조임끈(124)이 연속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조임부(123)를 형성하여 조임끈(124)의 양쪽 끝단을 잡고 당겨줌에 따라 조임부(123)가 조여지면서 톤백(100)의 하면부(120)를 밀봉되도록 한다.
하면부(120)는 중앙 부분에 측면부(130)에 형성된 통풍구(140)가 연장되어 통풍구(140)가 형성되고, 하면부(120)의 통풍구(140)의 양쪽에는 측면부(130)에 형성된 통풍지지면(150)이 연장되어 통풍지지면(150)이 형성된다.
하면부(120)의 통풍구(140)와 통풍지지면(150)은 측면부(130)에 형성된 통풍구(140)와 통풍지지면(150)과 재질과 형태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백(100)의 측면부(130)는 통풍구(140)와 통풍지지면(150)의 비율을 1 대 5, 1 대 4,5 정도로 구성하여 태양광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톤백의 측면부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톤백(100)에 담겨지는 곡물 특히, 감자의 경우, 햇빛에 일정 시간 노출되면, 감자 녹변 현상이 발생되어 감자가 변질되거나 부패된다.
통풍구(140)는 곡물의 확인할 수 있고 통기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으나, 곡물이 햇빛에 노출되는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통풍구(140)의 구조를 개선하여 다른 실시예의 톤백(100)의 측면부(130) 일면을 구성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톤백(100)의 측면부(130) 일면은 통풍구(140)를 PP 모노사를 이용하여 경사(142)와 위사(141)가 교호로 엮여 직조된 평직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경사(142)와 위사(141)를 백색 잉크(160)로 코팅(라미네이팅 증착)한다.
통풍구(140)는 태양광의 투과율을 조절하기 위해서 경사(142)와 위사(141)에 백색 잉크(160)를 일정 두께로 코팅한다.
백색 잉크(160)는 백색 반사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수지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스티렌계, 폴리아미드계, 우레아계, 요소계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백색 잉크(160)의 반사율은 코팅 두께를 10㎛로 하는 경우 백색 잉크(160)의 반사율을 60% 이상으로 하고 백색 잉크(160)의 코팅 두께를 30㎛로 하는 경우 백색 잉크(160)의 반사율을 75% 이상으로 한다.
톤백(100)에 담겨있는 곡물은 종류에 따라 태양광에 노출되는 시간이나 강도에 따라 변질과 부패 유무가 결정된다.
따라서, 톤백(100)은 담겨질 곡물이 태양광 노출 시간이 적게 노출되어도 금세 변질되는 경우, 백색 잉크(160)의 코팅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담겨질 곡물이 일정 정도 태양광 노출 시간이 있어도 변질되지 않는 경우, 코팅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통풍구(140)는 백색 잉크(160)에 의해 톤백(100)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일정 부분 반사시켜 통기성 확보와 곡물이 햇빛의 노출을 일정 부분 줄일 수 있어 곡물의 변질과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톤백(100)의 측면부(130) 일면은 통풍구(140)를 PP 모노사를 이용하여 경사(142)와 위사(141)가 교호로 엮여 직조된 평직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경사(142)와 위사(141) 상에 특정 자수사(162)를 기계장치에 의해 적층 자수하여 통풍구(140)에 글씨나 그림을 인쇄하게 된다.
특정 자수사(162)는 PP 모노사, PP 멀티사, PE 모노사 등에 변색안료르 배합하여 제조된다. 특정 자수사(162)는 백색, 은색, 금색 등 다양한 색깔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b)와 같이, "T" 형태로 통풍구(140)의 경사(142)와 위사(141) 상에 특정 자수사(162)를 적층 자수하게 되면, "T"자가 특정 곡물(감자 등)을 나타내도록 미리 약속된 규약을 만들어 놓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통풍구(140)에 적층 자수된 문자를 보면, 톤백(100)에 담겨있는 곡물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톤백(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톤백(100)에 곡물을 담고자 할 때 하면부(120)에 형성된 망사(125)를 묶고 차단막(126)으로 커버한 후, 조임끈의 양쪽 끝단을 잡아 당겨 조임부가 조여지면서 하면부(120)를 밀봉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투입수단(111)의 망사면(112)을 투입구멍(113)이 벌어지도록 확개시킨 후, 투입수단(111)의 확개 부분이 곡물배출호퍼(미도시)를 감싸도록 하여 곡물배출호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투입구멍(113)으로 톤백(100)의 내부로 담겨지도록 한다.
톤백(100) 내에 곡물이 가득찬 후에는 투입구멍(113)의 조임부(114)에 끼워져 있는 조임끈(115)을 손으로 당겨서 조여지도록 하여 상면부(110)를 밀봉되도록 한다.
톤백(100)에 곡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톤백(1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면부(11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117)에 별도의 크레인기구를 걸어서 이동시킨다.
한편, 톤백(100)에 담겨져 있는 곡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크레인기구로서 고리(117)를 걸어서 톤백(100)을 이동시키고, 이후 묶여있는 배출수단(121)의 조임끈(124)을 풀고 나서 차단막(126)을 일측으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묶여있는 망사(125)를 풀어서 곡물을 트럭과 같은 이송수단이나 다른 저장수단으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톤백(100)은 측면부(130)에 PP 모노사로 이루어진 통풍구(140)를 형성하여 통풍 기능으로 인해 곡물을 일정기간 보관할 때 곡물의 변질을 최대한 억제하고, 저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톤백
110: 상면부
111: 투입수단
112: 망사면
113: 투입구멍
114: 조임부
115: 조임끈
116: 보강부
117: 고리
120: 하면부
121: 배출수단
122: 배출구멍
123: 조임부
124: 조임끈
125: 망사
126: 차단막
130: 측면부
140: 통풍구
141: 위사
142: 경사
143: 통풍공
150: 통풍지지면
152: 경사
160: 백색 잉크
162: 특정 자수사

Claims (5)

  1. 일정양의 곡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면부(110)와 하면부(120) 및 상기 상면부(110)와 하면부(120)를 이어주는 측면부(130)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110)와 하면부(12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투입수단(111)과 배출수단(121)을 조임끈(115, 124)으로 밀봉 및 개봉할 수 있는 톤백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130)는 중앙 부분에 가로 방향의 위사(141)와 세로 방향의 경사(142)가 일정 간격을 두어 직조되어 통풍공(143)을 형성한 통풍구(140)와, 상기 통풍구(140)의 양쪽으로 상기 통풍구(140)의 위사(141)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위사(141)에 세로 방향으로 경사(152)가 상기 통풍구(140)보다 간격이 조밀하게 직조된 통풍지지면(1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풍구(14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모노사를 이용하여 경사(142)와 위사(141)가 교호로 엮여 직조되고, 상기 통풍지지면(150)은 폴리프로필렌 모노사를 이용하여 위사(141)를 형성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모노사보다 폭이 넓은 편평사인 폴리프로필렌 필름사를 이용하여 경사(152)를 형성하여 교호로 엮여 직조되며,
    상기 통풍구(140)는 상기 위사(141)와 상기 경사(142)에 백색 잉크(160)를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상기 백색 잉크(160)는 상기 톤백에 담겨질 곡물의 종류에 따라 코팅 두께를
    다르게 하여 반사율을 조절하며, 코팅 두께를 10㎛로 하는 경우 상기 백색 잉크(160)의 반사율을 60% 이상으로 하고 상기 백색 잉크(160)의 코팅 두께를 30㎛로하는 경우 백색 잉크(160)의 반사율을 75% 이상으로 하는 톤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120)는 중앙 부분에 상기 측면부(130)에 형성된 상기 통풍구(140)가 연장되어 상기 통풍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120)의 통풍구(140)의 양쪽에는 상기 측면부(130)에 형성된 통풍지지면(150)이 연장되어 상기 통풍지지면(150)이 형성되는 톤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잉크(160)는 백색 반사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수지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스티렌계, 폴리아미드계, 우레아계, 요소계 중 1종 이상을 사용하는 톤백.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140)의 위사(141)와 경사(142)에 변색안료가 포함된 특정 자수사를 적층 자수하여 상기 통풍구(140)에 글씨나 문자를 인쇄하는 톤백.
KR1020150080651A 2015-06-08 2015-06-08 톤백 KR101704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651A KR101704209B1 (ko) 2015-06-08 2015-06-08 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651A KR101704209B1 (ko) 2015-06-08 2015-06-08 톤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184A KR20160144184A (ko) 2016-12-16
KR101704209B1 true KR101704209B1 (ko) 2017-02-07

Family

ID=5773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651A KR101704209B1 (ko) 2015-06-08 2015-06-08 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2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906B1 (ko) 2018-05-25 2019-09-11 주식회사 팍스코리아 해충방지 야광톤백
KR102306406B1 (ko) 2020-04-03 2021-09-28 김동영 지게차 결합형 톤마대 작업구
KR102575350B1 (ko) 2022-07-18 2023-09-06 오귀연 운반 및 저장이 용이한 조립식 수맥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563B1 (ko) * 2019-12-04 2021-11-12 박만기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774Y1 (ko) * 2003-06-10 2003-09-06 장 종 철 축광을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 작업 장갑
KR200344470Y1 (ko) * 2003-09-17 2004-03-10 신규태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KR101457817B1 (ko) * 2013-07-04 2014-11-12 도창옥 통풍 마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774Y1 (ko) * 2003-06-10 2003-09-06 장 종 철 축광을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 작업 장갑
KR200344470Y1 (ko) * 2003-09-17 2004-03-10 신규태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KR101457817B1 (ko) * 2013-07-04 2014-11-12 도창옥 통풍 마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906B1 (ko) 2018-05-25 2019-09-11 주식회사 팍스코리아 해충방지 야광톤백
KR102306406B1 (ko) 2020-04-03 2021-09-28 김동영 지게차 결합형 톤마대 작업구
KR102575350B1 (ko) 2022-07-18 2023-09-06 오귀연 운반 및 저장이 용이한 조립식 수맥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184A (ko)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209B1 (ko) 톤백
US5785175A (en) Flexible bulk bag with improved base
KR101688098B1 (ko) 망사로 된 톤백 제작방법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GB2063816A (en) Bulk material container
KR20200001870U (ko)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US5570801A (en) Barless cargo container cover combination
US20080170813A1 (en) Automatically loadable poly mesh and closely woven produce bags
US5518314A (en) Flexible container
KR101434818B1 (ko) 통풍기능을 갖는 이중 톤백
KR101457817B1 (ko) 통풍 마대
KR200478299Y1 (ko) 이중 통풍 마대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KR101151448B1 (ko) 곡물 포대 및 그 제조방법
KR102326563B1 (ko)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KR200308347Y1 (ko) 배 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콘테이너 백
JPH01153487A (ja) 角型コンテナのコーナー用補助部材の製造法
KR200495734Y1 (ko) 컨테이너 백의 외피
KR102312193B1 (ko)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JP3010718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用キャップ
US11208260B2 (en) Bag for powdery bulk materials
FI63369B (fi) Flexibel behaollare
GB2277730A (en) A sack comprising sheets formed from flattened tubes of circularly woven fabric
JP2566514B2 (ja) 大形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55475Y1 (ko) 콘테이너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