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470Y1 -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 Google Patents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470Y1
KR200344470Y1 KR20-2003-0029866U KR20030029866U KR200344470Y1 KR 200344470 Y1 KR200344470 Y1 KR 200344470Y1 KR 20030029866 U KR20030029866 U KR 20030029866U KR 200344470 Y1 KR200344470 Y1 KR 200344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ft
weaving
yarn
interv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태
Original Assignee
신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규태 filed Critical 신규태
Priority to KR20-2003-0029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밀도로 구성된 표면과 이면직물 사이에 위사의 개입으로 형성된 소정의 무늬가 일체로 되도록 직조하되, 상기 개입된 위사의 양 끝이 자유상태로 되게 구성함으로서, 무늬가 숨어있는 모양이면서도 표면과 이면으로 은은하게 투시되어 보이도록 한 숨어있는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직물을 직조 구성함에 있어서, 표면직물과 이면직물, 그리고 상기 표면과 이면직물 사이의 소정위치에 다수가닥의 위사가 무리를 이루어 규칙적(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을 유지하게끔 개입시키되, 상기 개입된 위사가 표리면 원단의 경사와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부분적으로 연결 직조되게 하여 연결부가 형성되게 하고,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위사는 그 중간부분을 절단하여 위사 가닥이 연결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흐트러지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한 표면직물과 이면직물의 조직밀도에 따라 연결부 및 위사가닥의 투시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게 되며, 위사가닥의 율동이나 변화는 표면직물과 이면직물의 마찰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특징이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직물의 표리면으로 내부에 연결 직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위사가닥으로 이루어진 장식부로 인하여 외부에서 바라볼 때 은은한 느낌이 들게 됨은 물론, 직물을 움직일 때마다 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된 위사가닥이 흔들려 움직이게 되어 생동감과 율동미를 한층 더 부각시킬 수 있게 되며, 더불어 직물의 장식성과 품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면직물과 표면직물, 그리고 중간에 개재된 장식부의 색상을 다르게 구비하거나, 또는 표면과 이면직물의 밀도를 다르게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장식부를 구성하는 위사를 고무사나 커버링사 또는 고신축사나 고수축사를 비롯하여 위사의 굵기나 질감, 특징 등등을 다양하게 선택사용하게 되면 장식부의 모양을 비롯하여 위사가닥의 모양도 한층 더 다양하고 새로워지는 등의 특징도 따르게 된다.

Description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structure of textile have a variable pattern}
본 고안은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장의 표면직물과 이면직물사이에 장식부가 일체로 개재되게끔 직조구성하여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장식부가 은은하게 투시되어 보이도록 하고, 또, 상기 장식부의 양단에 다수의 위사가닥이 자유상태로 연결 형성되게 하여 직물이 움직일 때 위사가닥이 흔들려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게 함으로서 장식성과 상기 장식부가 살아있는 듯한 시각적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직물은 단순히 위사와 경사를 평직, 또는 능직이나 주자직의 방법으로 엮어 직조 구성하며, 원사의 색상, 특성, 질감, 굵기 등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직조된다.
또한, 용도에 따라 홑겹으로 된 단일직물이나, 마치 두장의 원단을 붙여 연결시켜놓은 듯한 이중직, 또는 삼중직 등 다양한 형태의 원단도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원단들은 단순히 색상이나 원사의 굵기, 특성, 질감 등, 직물의 표면에 장식효과를 발휘할 뿐 장식부의 유동에 따른 생동감 등을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또한, 직물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각종 장식문양이 두장의 원단내부에 위치되게끔 일체로 직조 구성된 원단은 더더욱 찾아볼 수 없어 직물의 장식무늬 다양화에는 한계가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직물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표면직물과 이면직물사이에 다수의 위사로 된 위사군을 상하 규칙적(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이 유지되게끔 개입시켜 표면원단과 이면원단의 경사와 엮어 일체화시키되, 상기 개입된 위사군은 표리면 원단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끔 부분적으로 엮어 직조시켜 연결부를 구성하고, 상기 표리면직물의 경사와 엮이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위사는 절단시켜 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된 위사가닥으로 남아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위사 가닥이 자연스럽게 흐트러져 직물이 움직일 때마다 흔들리거나 가변되어 생동감과 장식성이 뛰어나게 하고, 또, 상기 위사가닥이 직물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은은하게 보이도록 함으로서 장식성과 품위를 극대화시킨 직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의 요부확대 단면예시도로서 장식부의 확대단면도를 나타낸 것임.
직물을 직조 구성함에 있어서,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 그리고 상기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사이의 소정위치에 다수가닥의 위사가 무리를 이루어 규칙적(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을 유지하게끔 개입시켜 연결 직조하되, 상기 개입된 위사가 표리면 직물(1)(2)의 경사와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부분적으로 연결 직조되게 하여 연결부(5)가 형성되게 하고,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위사는 그 중간부분을 절단하여 위사가닥(3)이 연결부(5)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흐트러지게 구성함으로서 연결부(5)와 위사가닥(3)으로 이루어진 장식부(4)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한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을 통하여 연결부(5) 및 위사가닥(3)으로 구성된 장식부(4)가 투시되어 보이도록 한 것으로, 장식부가 표면직물(1) 또는 이면직물(2)을 통하여 은은하게 비쳐지게 되며, 또, 상기 장식부(4)를 구성하는 위사가닥(3)이 일단부 만이 연결부(5)와 일체로 구성된 상태이므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직물이 흔들릴 때 매우 자연스럽게 흔들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생동감이 매우 뛰어나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직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 사이에 개입 직조되는 위사는 신축성이 없는 원사는 물론, 커버링사 나고무사, 또는 고신축사나 고수축사 등등을 비롯하여 굵기와 성질 등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원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위와 같은 원사 중 어느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원사를 선택하여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원사들 중에 고무사를 비롯한 고신축, 고수축사 등등을 위사로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위사가닥이 자연스럽게 수축되어 수축성이 없거나 적은 일반 원사를 위사로 사용하였을 때의 위사가닥과는 또 다른 느낌의 장식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은 가급적 저밀도로 직조하여 내부의 장식부(4)가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을 통하여 원활하게 비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의 밀도를 다르게 형성하게 되면, 직물을 표면에서 볼 때와 이면에서 볼 때 장식부(4)의 투시율이 달라지게되어 또 다른 새로운 장식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표면직물(1) 및 이면직물(2)을 마찰력이 적은 소재로 형성하게 되면 직물이 움직일 때마다 위사가닥의 움직임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생동감이 더욱 뛰어나게 되며 마찰력이 큰 소재로 제직하였을 경우에는 그만큼 더 위사가닥(3)의 움직임이 둔화되게 되어, 원단의 소재에 따라 장식부(4)의 투시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위사가닥(3)의 율동이나 변화는 표면직물과 이면직물의 특성, 즉 마찰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 내부에 연결직조된 연결부(5)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위사가닥(3)으로 이루어진 장식부(4)가 연결 설치되어 있어, 외부에서 바라볼 때 은은한 느낌이 들게 됨은 물론, 직물을 움직일 때마다 연결부(5)와 일체로 연결된 위사가닥이 흔들려 움직이게 되어 생동감과 율동미를 한층 더 부각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직물의 장식성과 품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면직물(2)과 표면직물(1), 그리고 중간에 개재된 장식부(4)의 색상을 다르게 구비하거나, 또는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의 밀도를 다르게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장식부(4)를 구성하는 위사를 고무사나 커버링사 또는 고신축사나 고수축사를 비롯하여 위사의 굵기나 질감, 특징 등등을 다양하게 선택사용하게 되면 장식부(4)의 모양을 비롯하여 위사가닥의 모양도 한층 더 다양하고 새로워지게 되는 등의 특징도 따르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급적 저밀도로 구성된 표면직물과 이면직물 사이에 고무사나 커버링사, 고신축사나 고 수축사 등등 과 같은 별도의 위사로 연결구성 및 가공된 장식부를 형성함으로서 외부에서 직물을 바라볼 때 장식부가 매우 은은하게 비쳐지게 되어 장식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되고, 또, 장식부를 구성하는 위사가닥이 직물의 유동과 함께 흔들리거나 율동하게 되어 생동감과 장식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직물을 직조 구성함에 있어서,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 그리고 상기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사이의 소정위치에 다수가닥의 위사가 무리를 이루어 규칙적(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을 유지하게끔 개입시켜 연결 직조하되, 상기 개입된 위사가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과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부분적으로 연결 직조되게 하여 연결부(5)를 형성하고, 이 때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위사는 그 중간부분을 절단하여 위사가닥(3)이 연결부(5)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흐트러지게 구성함으로서 연결부(5)와 위사가닥(3)으로 이루어진 장식부(4)가 표면 및 이면직물(1)과(2)사이에 연결 직조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사이에 개입 직조되는 위사는 커버링사, 또는 고무사 중 어느 하나로 선택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 및 상기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 사이에 직조 연결되는 장식부(4)의 색상을 다르게 구성하거나, 표면직물(1)과 이면직물(2)의 밀도를 다르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KR20-2003-0029866U 2003-09-17 2003-09-17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KR200344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66U KR200344470Y1 (ko) 2003-09-17 2003-09-17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66U KR200344470Y1 (ko) 2003-09-17 2003-09-17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470Y1 true KR200344470Y1 (ko) 2004-03-10

Family

ID=4934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866U KR200344470Y1 (ko) 2003-09-17 2003-09-17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4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13B1 (ko) * 2006-05-23 2008-01-04 김상명 일방향 주름 직물의 제직 방법 및 그에 따른 일방향 주름 직물
KR20160144184A (ko) * 2015-06-08 2016-12-16 한현호 톤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13B1 (ko) * 2006-05-23 2008-01-04 김상명 일방향 주름 직물의 제직 방법 및 그에 따른 일방향 주름 직물
KR20160144184A (ko) * 2015-06-08 2016-12-16 한현호 톤백
KR101704209B1 (ko) * 2015-06-08 2017-02-07 한현호 톤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930678A (zh) 多色的三明治布及使用其製成的衣物
JP2006299442A (ja) 多重ガーゼのデザイン織成方法
US11408100B2 (en) Terry fabric with faux dobby and methods of making terry fabric with faux dobby
KR200344470Y1 (ko) 가변무늬를 가진 직물의 구조
JP2002004158A (ja) 衣料用ジャカードレース編地とその製造方法
KR100732209B1 (ko) 자카드 직물 및 그 제직 구조와 제직 방법
JP2007511670A (ja) 可変視覚効果織物
KR100590277B1 (ko) 자카드 직물 및 그 제직 구조와 제직 방법
JP2006336130A (ja) イグサ類の織成方法
CN202849668U (zh) 一种机织凹凸多臂组织
KR20040004296A (ko) 통풍 직물지
KR200379448Y1 (ko) 대나무 원단
CN211814802U (zh) 一种半透明编织面料
Mamdouh et al. Overview of different fabric structures
KR200362385Y1 (ko) 직물지
KR200247157Y1 (ko) 합성섬유제 광택 의장 직물지
CN211972588U (zh) 机织菱形变化组织
CN220265992U (zh) 一种纬剪花机织物、服用面料与装饰面料
KR20030060095A (ko) 입체 줄무늬 원단
CN210916471U (zh) 一种编织布料
CN216765183U (zh) 机织变化富贵阁组织
CN218910672U (zh) 一种梭织织物
JP4126429B2 (ja) シェニール糸と織物
KR100528746B1 (ko) 신축직물의 제조방법
JPH06280124A (ja) 柄織細幅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