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70U -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 Google Patents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70U
KR20200001870U KR2020190000637U KR20190000637U KR20200001870U KR 20200001870 U KR20200001870 U KR 20200001870U KR 2020190000637 U KR2020190000637 U KR 2020190000637U KR 20190000637 U KR20190000637 U KR 20190000637U KR 20200001870 U KR20200001870 U KR 202000018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ventilation
aty
discharge por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주
Original Assignee
최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주 filed Critical 최용주
Priority to KR2020190000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870U/ko
Publication of KR20200001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4Sack- or bag-lik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자나 고구마, 양파 등의 농작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농작물의 껍질이 마대 원단에 접촉하여 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부에 덧대어지는 보강용 벨트의 사용량을 줄여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통풍마대로, ATY사(T1)와 모노사(T2)로 통풍부(12)와 보강부(14)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직조된 통기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측면(10); 상기 측면의 하부에 외곽이 봉제되며 중앙에 내부 배출구와 외부 배출구의 2중 배출구를 갖는 바닥면(20); 상기 측면(10)에서 상하방향으로 봉제되고 인접한 측면(10)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인양고리(32)를 형성하는 보강벨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Ventilating container bag for crops}
본 고안은 감자나 고구마, 양파 등의 농작물을 벌크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통풍마대로, 특히 농작물의 껍질이 마대 원단에 접촉하여 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부에 덧대어지는 보강용 벨트의 사용량을 줄이고 하부 배출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작공정을 단축하고, 내구성과 통기성 또한 우수한 반복 사용이 가능한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특허문헌 1의 이중 통풍마대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감자나 고구마, 양파 등과 같은 농산물의 운반 및 보관 도중 통기성의 확보와 더불어 표피의 손상으로 인한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통풍마대를 2중의 망사원단으로 제작하되, 외피는 합성섬유 등의 질긴 모노사로 직조된 망사원단을 사용하고, 내피는 농산물과의 접촉에도 불구하고 표피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천연 섬유인 황마사나 코아사로 직조한 망사원단을 사용한 것이며, 이들 내,외피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봉제사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의 경우 보풀이 많은 황마사나 코아사로 일어진 내피에 농작물이 접촉하게 되므로 농작물의 품질저하를 초래하지는 않으나, 마대 자체가 2중의 망사원단을 이루어져 있으므로 내,외피의 제작과 재단 및 이들의 결합공정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2의 농산물 포장 운반용 통풍 포대, 특허문헌 3의 농산물용 통풍 포대, 특허문헌 4의 통풍기능을 갖는 이중 톤백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특허문헌 2 내지 4 또한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원단이 농작물에 직접 접촉하여 농작물의 표면이 까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78299호(2015.09.09.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56955호(2013.04.16.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47521호(2014.09.29.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34818호(2014.08.20.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감자나 고구마, 양파 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을 운반 보관하기 위한 통풍마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농산물의 껍질이 마대 원단에 접촉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ATY사와 모노사로 통풍부와 보강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직조된 통기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측면;
상기 측면의 하부에 외곽이 봉제되며 중앙에 내부 배출구와 외부 배출구의 2중 배출구를 갖는 바닥면;
상기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봉제되고 인접한 측면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인양고리를 형성하는 보강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보강부는 위사로 모노사만 사용되고 경사로 모노사와 ATY사가 사용되며, 상기 통풍부는 위사와 경사로 모노사와 ATY사가 사용되되 상기 보강부는 통풍부보다 위사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통풍부는 위사와 경사로 사용된 ATY사가 모노사에 의해 망목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망사 원단이 단일(홑겹) 구조를 이루면서도 보강부와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농산물의 운반 및 보관 과정에서 요구로 하는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보강부는 보강 벨트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마대의 외측에 보강 벨트를 덧대주는 작업을 줄일 수 있고, 하부의 배출구도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견고한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이의 제작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ATY사와 모노사를 병용함으로써 마대 내부에 농산물이 담긴 상태에서 이를 인양할 경우 마대 원단을 형성하는 모노사는 ATY사의 내측으로 묻히게 됨으로써 표면에 보풀이 많이 형성된 ATY사만이 농작물 표면에 접촉하게 되어 농작물의 껍질이 까지는 등의 현상이 없어 농작물의 운반과 보관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통풍마대의 사시사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통풍마대의 저면 사시사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통풍마대의 바닥면 확대사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통풍마대의 측면 하부 및 통풍부와 보강부의 확대사진,
도 5는 ATY사와 일반 필라멘트사를 대비한 확대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통풍마대의 실물 사진이 개시되어 있는바, 본 실시 예에 의한 통풍마대(1)는 대체로 4개의 측면과 하나씩의 바닥면 및 상면(상부 덮개)를 갖는 육면체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ATY사(T1)와 모노사(T2)로 통풍부(12)와 보강부(14)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직조된 통기성 망사 원단으로 이루어진 측면(10)과;
상기 측면(10)의 하부에 외곽이 봉제되며 중앙에 내부 배출구(22)와 외부 배출구(24)의 2중 배출구조를 갖는 바닥면(20)과;
상기 측면(10)에서 상하방향으로 봉제되고 인접한 측면(10)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인양고리(32)를 형성하는 보강벨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면 중 부호 40은 측면(10)의 상부 테두리에 둘러지는 보강 테두리이고, 부호 50은 일반적인 망사원단으로 이루어진 상부 덮개(더플)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측면(10)을 형성하는 망사 원단은 도 4의 확대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TY사(T1)와 모노사(T2)로 통풍부(12)와 보강부(14)가 상,하 교대로 형성되도록 직조된 통기성 원단이며, 상기 통풍부(12)와 보강부(14)는 대체로 각각 5~10cm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보강부(14)의 폭보다 통풍부(12)의 폭이 좀 더 넓은 폭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마대의 측면 전체가 필요로 하는 충분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보강부(14) 또한 상기 통풍부(12)보다는 약하지만 소정의 통기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부(14)는 도 4의 우측 하부 확대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사(좌우 방향)로 모노사(T2)만 사용되고 경사(상하 방향)로 모노사(T2)와 ATY사(T1)가 사용되며, 상기 통풍부(12)는 도 4의 우측 상부 확대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사와 경사로 모노사(T2)와 ATY사(T1)가 혼용되되 상기 보강부(14)는 통풍부(12)보다 위사(모노사(T2)만 사용됨)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통풍부(12)는 위사와 경사로 사용된 ATY사(T1)가 모노사(T2)에 의해 사각형의 망목(M)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망사 원단이 평직(Plain weave)으로 직조되되 보강부(14)는 위사가 모노사(T2)만으로 조밀하게 직조되어 있어 종래의 통풍마대에서 요구로 하는 인장강도를 갖도록 별도의 보강 벨트를 수평방향으로 덧대지 않아도 원단 자체가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통풍부(12)는 위사와 경사가 모노사와 ATY사의 혼용으로 이루어지되 수평방향으로 직조되는 위사는 ATY사(T1)의 위아래로 모노사(T2)가 밀착되도록 직조되어 ATY사(T1)의 폭이 좁아지면서 하나의 ATY사(T1)와 2개의 모노사(T2)가 이루는 폭이 망목(M)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망목 구조를 이루며, 경사는 상기 위사와는 반대로 하나의 모노사(T2) 양측으로 2개의 ATY사(T1)가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어 원단에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될때 즉, 마대 내부에 농작물이 채워진 상태이거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대를 인양하게 되면 위사와 경사를 이루는 모노사(T2)와 ATY사(T1)에 동시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굵기가 가는 모노사(T2)는 상대적으로 굵기가 굵은 ATY사(T1)의 내부에 묻히게 되며 이에 의해 고구마나 감자 또는 양파 등의 농작물에는 ATY사(T1) 만이 접촉하게 되는바, ATY사(T1)는 표면에 보풀(루프)이 무수하게 형성되어 있는 특성이 있으므로 농작물의 껍질이 까지지 않아 농작물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ATY사(Air Textured Yarn)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멀티 필라멘트사(T)의 단점인 딱딱한 촉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압으로 섬유 표면을 연속으로 두드려 필라멘트를 엉기게 하여 루프(보풀; R)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섬유 표면이 부드러운 촉감을 갖도록 한 것으로, 이 ATY사(T1)로 직조된 마대(1)의 측면(10) 내부에 껍질이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는 고구마나 감자 양파 등의 농작물이 접촉하여 마찰력을 받게 되더라도 보풀이 완충작용을 하여 농작물의 껍질이 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노사(T2)는 낚시줄과 같은 모노 필라멘트사를 의미하는데, 이는 인장강도가 우수한 나일론사나 PE사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종래에도 농작물의 마대자루(커피 원두 운반용) 등에 미세한 보풀을 갖는 방적사나 ATY사를 적용하고는 있으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모노사와 혼용하는 경우는 없으며, 본 고안에서와 같은 대형 마대(톤백, 벌크 백)에 모노사와 혼용하여 제작한 예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면(20)의 외부 배출구(24)는 바닥면(20)의 중앙이 십자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4개의 삼각형 절개판(24a,24b,24c,24d)과, 상기 바닥면(20)의 외곽에서 상기 각 절개판(24a,24b,24c,24d)의 중심부를 향하여 봉제되며 내측 말단에 배출구 조임끈(25)이 끼워지는 고리가 형성된 4개의 보강벨트(26a,26b,26c,26d)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구 조임끈(25)를 당겨서 조이는 것에 의해 외부 배출구(24)가 폐쇄되고 배출구 조임끈(25)을 풀어주는 것에 의해 외부 배출구(24)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면(20)도 측면(10)을 형성하는 망사형 통풍 원단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실물사진에서는 일반적인 모노사로 직조된 망사 원단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술한 외부 배출구(24)는 망사형 원단으로 제작된 바닥면(20)에 십자형으로 절개를 하고 여기에 4개의 보강벨트를 방사상으로 덧대어 배출구 조임끈(25)으로 조여주는 것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십자형으로 절개된 각 절개판(24a~24d)을 따로 접어서 봉제하거나 각 절개판의 외곽에 별도의 보강테를 두르거나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고도 폐쇄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개방 상태에서 완전한 개방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닥면에 배출구를 갖는 망사형 마대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배출구(22)는 실물사진상으로는 잘 보여지지 않으나, 이는 외부 배출구(24)를 형성하는 절개판(24a~24d)의 외곽에 외접하는 직경으로 원통형 망사 원단 또는 일반 PP마대 원단의 일단을 봉제(도 3에 부호 27로 도시된 원형 봉제선 참조)하고 중간 부분의 외측에 조임끈을 부착하여 조임끈을 조여주는 것에 의해 폐쇄되고, 조임끈을 풀어주는 것에 의해 개방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중 배출구조를 갖 원단는 마대에서 바닥면에 형성되는 내부 배출구의 구조는 본 고안이 속한 마대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세부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상기 외부 배출구(24)의 조임끈(2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별도의 스톱퍼(28)가 구비되어 있어 조임끈(25)의 결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배출구(24)의 개방시 조임끈(25)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결박상태가 쉽게 풀리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실물 사진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인접하는 측면(10)의 내측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형태유지용 보강대가 부착되되 상기 형태유지용 보강대는 측면(10)의 보강부(14)에 봉제됨으로써 마대(1) 내부에 농작물이 채워져 인양되거나 적치되는 경우 내부의 압력에 의해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 마대의 형태가 변형(배부름 현상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 유지용 보강대를 적용한 통풍마대는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1 : 통풍마대
10 : 측면
12 : 통풍부
14 : 보강부
20 : 바닥면
22 : 내부 배출구
24 : 외부 배출구
30 : 보강 벨트
32 : 인양고리
40 : 보강 테두리
50 : 상부 덮개
T : 필라멘트사
T1 : ATY사
T2 : 모노사
M : 망목
R : 루프(보풀)

Claims (5)

  1. ATY사(T1)와 모노사(T2)로 통풍부(12)와 보강부(14)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직조된 통기성 원단으로 이루어진 측면(10);
    상기 측면(10)의 하부에 외곽이 봉제되며 중앙에 내부 배출구(22)와 외부 배출구(24)의 2중 배출구를 갖는 바닥면(20);
    상기 측면(10)에서 상하방향으로 봉제되고 인접한 측면(10)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인양고리(32)를 형성하는 보강벨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보강부(14)는 위사로 모노사(T2)만 사용되고 경사로 모노사(T2)와 ATY사(T1)가 사용되며, 상기 통풍부(12)는 위사와 경사로 모노사(T2)와 ATY사(T1)가 사용되되 상기 보강부(14)는 통풍부(12)보다 위사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통풍부(12)는 위사와 경사로 사용된 ATY사(T1)가 모노사(T2)에 의해 망목(M)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풍부(12)는 위사와 경사가 모노사(T2)와 ATY사(T1)의 혼성으로 이루어지되 수평방향으로 직조되는 위사는 ATY사(T1)의 위아래로 모노사(T2)가 밀착되도록 직조되어 ATY사(T1)의 폭이 좁아지면서 하나의 ATY사(T1)와 2개의 모노사(T2)가 이루는 폭이 망목(M)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망목 구조를 이루며, 경사는 하나의 모노사(T2) 양측으로 2개의 ATY사(T1)가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4. 청구항 1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0)의 외부 배출구(24)는 바닥면(20)의 중앙이 십자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4개의 삼각형 절개판(24a,24b,24c,24d)과, 상기 바닥면(20)의 외곽에서 상기 각 절개판(24a,24b,24c,24d)의 중심부를 향하여 봉제되며 내측 말단에 배출구 조임끈(25)이 끼워지는 고리가 형성된 4개의 보강벨트(26a,26b,26c,26d)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구 조임끈(25)를 당겨서 조이는 것에 의해 외부 배출구(24)가 폐쇄되고 배출구 조임끈(25)을 풀어주는 것에 의해 외부 배출구(24)가 개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5. 청구항 1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측면(10) 내측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형태유지용 보강대가 부착되되 상기 형태유지용 보강대는 측면(10)의 보강부(14)에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KR2020190000637U 2019-02-14 2019-02-14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KR202000018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37U KR20200001870U (ko) 2019-02-14 2019-02-14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37U KR20200001870U (ko) 2019-02-14 2019-02-14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70U true KR20200001870U (ko) 2020-08-24

Family

ID=7223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637U KR20200001870U (ko) 2019-02-14 2019-02-14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87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434B1 (ko) 2020-12-03 2021-06-23 백현덕 마대용 폴리에틸렌 적층시트 및 그 적층시트를 이용한 마대의 제조방법
KR102332697B1 (ko) * 2021-04-21 2021-12-01 주식회사 아성섬유 통기성 직물 및 그 제직방법
WO2023150805A3 (en) * 2022-02-01 2023-09-28 Lionel Mantzivis An improve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55B1 (ko) 2011-02-24 2013-04-25 주식회사 서진마대 농산물 포장 운반용 통풍 포대
KR101434818B1 (ko) 2013-07-05 2014-08-26 한상학 통풍기능을 갖는 이중 톤백
KR101447521B1 (ko) 2014-02-17 2014-10-10 서정욱 농산물용 통풍 포대
KR200478299Y1 (ko) 2014-06-26 2015-09-15 최용주 이중 통풍 마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55B1 (ko) 2011-02-24 2013-04-25 주식회사 서진마대 농산물 포장 운반용 통풍 포대
KR101434818B1 (ko) 2013-07-05 2014-08-26 한상학 통풍기능을 갖는 이중 톤백
KR101447521B1 (ko) 2014-02-17 2014-10-10 서정욱 농산물용 통풍 포대
KR200478299Y1 (ko) 2014-06-26 2015-09-15 최용주 이중 통풍 마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434B1 (ko) 2020-12-03 2021-06-23 백현덕 마대용 폴리에틸렌 적층시트 및 그 적층시트를 이용한 마대의 제조방법
KR102332697B1 (ko) * 2021-04-21 2021-12-01 주식회사 아성섬유 통기성 직물 및 그 제직방법
WO2022225139A1 (ko) * 2021-04-21 2022-10-27 주식회사 아성섬유 통기성 직물 및 그 제직방법
WO2023150805A3 (en) * 2022-02-01 2023-09-28 Lionel Mantzivis An improve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870U (ko)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KR101235558B1 (ko) 저온 저장용 톤백
US5108196A (en) Relating to bulk containers
KR101688098B1 (ko) 망사로 된 톤백 제작방법
KR101704209B1 (ko) 톤백
JP4385041B2 (ja) 貝類の養殖篭
KR200478299Y1 (ko) 이중 통풍 마대
KR101457817B1 (ko) 통풍 마대
US5518314A (en) Flexible container
KR200475490Y1 (ko) 보강 커버를 구비한 망사 톤백 구조
KR102326563B1 (ko)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KR101935827B1 (ko) 작업안정성이 강화된 측면 개방형 직립톤백
KR101434818B1 (ko) 통풍기능을 갖는 이중 톤백
US20140212070A1 (en) Bulk bag with lift loops
KR101419790B1 (ko) 벨크로 타입 마대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JP2007099372A (ja) 自立式収容体及び自立枠体
JP2968193B2 (ja) 自立開口、折りたたみ自在の箱状容器
US20040217250A1 (en) Flexible pallet
KR102443880B1 (ko) 묶기 좋은 농수산물 포장망 및 그 제조방법
JPS5811700Y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200014030A (ko) 보강벨트를 갖는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5908B1 (ko) 그린커버
GB2277730A (en) A sack comprising sheets formed from flattened tubes of circularly woven fabric
JP2020132202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