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817B1 - 통풍 마대 - Google Patents
통풍 마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7817B1 KR101457817B1 KR1020130137030A KR20130137030A KR101457817B1 KR 101457817 B1 KR101457817 B1 KR 101457817B1 KR 1020130137030 A KR1020130137030 A KR 1020130137030A KR 20130137030 A KR20130137030 A KR 20130137030A KR 101457817 B1 KR101457817 B1 KR 101457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side surfaces
- mesh
- ventilation
- sew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나 감자 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을 수확하여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한 마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농산물의 운반 및 보관과정에서 변질이나 부패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호한 통풍성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충분한 구조적인 강도를 가져 인양 및 적층 시에도 마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인바, 4개의 측면과 상,하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에는 폐쇄가능한 배출구가 구비된 마대에 있어서; 상기 마대(T)의 전,후 측면(10,20)과 하면(60)은 하나의 망사 원단(N)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측면(30,40)은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M)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M)은 상하방향으로 통기 라인(L)을 갖도록 경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직조되며, 상기 전,후,좌,우 측면(10,20,30,40)의 모서리에 상방으로 연장된 인양용 벨트(70)가 봉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파나 감자 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을 수확하여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한 마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농산물의 운반 및 보관과정에서 변질이나 부패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호한 통풍성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충분한 구조적인 강도를 가져 인양 및 적층 시에도 마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256955호의 농산물 포장 운반용 통풍 포대, 실용신안공고 제1993-0003441호의 컨테이너 백, 특허 제123558호의 저온 저장용 톤 백, 일본특개평8-53143호의 그물 상 형성체, 특허 제456188호의 통풍 양곡마대, 공개특허 제1994-0006886호의 순환식 통풍 망을 이용한 건조용 마대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통풍 마대에 있어서는 마대 원단에 통기성의 확보를 위하여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 및 천공된 구멍의 터짐 방지를 위한 아이렛(Eye-let) 등의 마감처리에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마대 원단에 원활한 통기성의 확보를 위해 전체적으로 구멍을 형성함으로 인해 통풍 마대 자체의 인장 강도가 저하되어 농산물을 담고 인양하거나 다 단으로 적층하는 과정에서 마대 하단부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거나 마대 자체가 터져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으며, 통풍 마대를 망사 원단만으로 제작시에는 망사 원단의 특성상 배부름 현상과 같은 변형의 발생 및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갖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망사 원단과 마대 원단을 조합하여 양호한 통기성을 가지면서도 벌크 상태의 농산물을 인양하거나 보관하는데 지장이 없는 충분한 구조적인 강도를 갖는 개선된 형태의 통풍 마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4개의 측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에는 폐쇄가능한 배출구가 구비된 마대로; 상기 마대의 전,후 측면과 하면은 하나의 망사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측면은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원단은 상하방향으로 통기 라인을 갖도록 경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직조되며, 상기 전,후,좌,우 측면의 모서리에 상방으로 연장된 인양용 벨트가 봉제되는 통풍 마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망사 원단은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원단과 봉제되는 부위의 메시가 상대적으로 작은 변사부를 가지며, 상기 망사 원단과 수지필름사 원단 사이는 오버로크 형태로 봉제 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통기 라인 사이의 간격은 3~10cm이고, 상기 통기 라인의 폭은 0.5~2cm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통품 마대는 상면을 더 포함하며, 이 상면은 전,후 측면과 하면의 망사 원단보다 메시가 큰 망사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4개의 측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에는 폐쇄가능한 배출구가 구비된 마대로; 상기 마대의 측면은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대 원단은 상하방향으로 경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직조된 통기부와, 경사 사이가 밀착된 상태로 직조된 폐쇄부가 각각 소정의 폭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측면과 봉제되는 마대 원단의 좌우 양측은 폐쇄부로 이루어진 통풍 마대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하면, 좌,우 양측에 촘촘한 변사부를 갖는 망사 원단과 상하 방향으로 경사가 양쪽으로 밀려서 형성된 통기 라인을 갖는 마대 원단을 각각 통풍 마대의 전,후 측면과 바닥면 및 좌,우 측면을 이루도록 하고 이를 상호 오버로크 방식으로 봉제한 것으로, 사방의 측면 및 하면이 모두 양호한 통기성을 가지면서도 인장 강도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벌크 상태의 농산물을 인양하거나 보관하는데 지장이 없는 충분한 구조적인 강도를 갖는 통풍 마대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하면 4개의 측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마대 원단을 경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틈을 갖는 통기부와 경사 사이가 밀착된 폐쇄부가 각각 소정의 폭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부의 통기성 확보로 인한 인장강도 저하를 폐쇄부에서 보상하게 되어 마대 원단 자체의 인장강도나 변형은 없으면서도 균일한 통기성의 확보가 가능하므로 벌크 상태의 농산물을 인양하거나 보관하는데 지장이 없는 충분한 구조적인 강도를 갖는 통풍 마대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봉제 전 분해상태도,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마대 원단의 요부 확대 사진,
도 7은 망사 원단의 변사부 확대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봉제 전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정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통풍 마대용 마대 원단의 확대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봉제 전 분해상태도,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마대 원단의 요부 확대 사진,
도 7은 망사 원단의 변사부 확대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봉제 전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통풍 마대의 정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통풍 마대용 마대 원단의 확대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 및 이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T)는 4개의 측면(10,20,30,40)과 상,하면(50,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60)에는 폐쇄가능한 배출구(62)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마대의 전,후 측면(10,20)과 하면(60)은 하나의 망사 원단(N)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측면(30,40)은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M)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M)은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통기 라인(L)을 갖도록 경사(세로방향)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직조되며, 상기 전,후,좌,우 측면(10,20,30,40)의 모서리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인양용 벨트(70)가 봉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망사 원단(N)을 형성하는 원사(原絲)는 실을 뽑을 때 1.5~2mm정도의 굵은 통사(단사)로 뽑은 것을 사용하는데, 이 원사의 가닥 양쪽(어느 쪽)으로는 각을 둥글게 처리하여 농산물 또는 신체와의 접촉시 농산물이나 피부의 상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망을 짤 때는 안쪽(가운데 쪽; 도 7에서 n1 구역)으로는 통풍이 잘 되도록 경사 사이가 1~2mm정도 벌어지도록 직조하고, 좌우 양쪽 즉,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M)과 봉제되는 좌,우 양측 부위는 10cm정도의 폭만큼 경사 사이의 간격이 조밀하도록 촘촘하게 직조한 변사부(도 7에서 n2 구역)를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마대 원단(M)을 형성하는 원사는 실을 뽑을 때 1000데니아 필름을 2겹(겹사)으로 뽑아서 서로 와이어 꼬듯이 꼬아서 만든 것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인 마대 원단과 같은 형태로 경사와 위사를 교차하도록 직조하되 상하방향으로 통기 라인(L)을 갖도록 경사 사이의 간격이 0.5~2cm, 바람직하게는 1cm의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경사를 좌우 양쪽으로 밀어 통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망사 원단(N)과 마대 원단(M)은 공히 폴리프로필렌섬유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마대 원단(M)에 형성되는 통기 라인(L) 사이의 간격은 3~10cm를 이루고, 상기 통기 라인(L)의 형성으로 인해 마대 원단(M) 자체의 구조적인 강도 즉, 인장 강도 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를 생략하는 대신 통기 라인(L) 좌,우측의 경사를 양쪽으로 밀어서 벌려주는 방식으로 통기 라인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통기 라인(L)은 또 통풍 마대(T) 측면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마대(T)의 인양시 측면(30,40)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해서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망사 원단(N)과 마대 원단(M) 사이 즉, 전,후 측면(10,20)과 바닥(60) 및 좌우 측면(30,40) 사이는 오버로크(overlock; 휘갑치기) 형태로 봉제되어 외부에서 상기 측면 사이 및 측면과 바닥 사이에 벌어진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 오버로크 봉제선(S1) 내측에는 일직선 상태로 다시 한 번 직선 봉제선(S2)을 형성하여 통풍 마대(T)의 내부에 채워진 농산물의 하중에 의해 받게 되는 압력으로부터 측면(10,20,30,40)과 바닥면(60) 간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좌,우 측면(10,20,30,40)의 모서리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인양용 벨트(70)가 상기 오버로크 봉제선(S1) 및 직선 봉제선(S2)에 의해 봉제 되는데, 상기 인양용 벨트(70)는 망사 원단(N)과 마대 원단(M)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봉제함으로써 통풍 마대(T)의 모서리 외관이 깔끔한 상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T)는 상면(5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상면(50)은 측면(10,20,30,40)과 하면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인장력을 크게 받는 부분이 아니며, 농산물 등을 담기 위하여 쉽게 벌어질 수 있어야 하므로 전,후 측면(10,20)과 하면(60)을 형성하는 망사 원단(N)보다 메시가 크고 유연한 재질의 망사 원단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T)의 하면(60)에 형성되는 배출구(62)는 통상적인 톤백 마대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로프를 당겨서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것에 의해 배출구(62)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상술한 실시 예의 통풍 마대는 좌,우 양측에 촘촘한 변사부(n2)를 갖는 망사 원단(N)이 전,후 측면(10,20)과 하면(60)을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경사가 양쪽으로 밀려서 형성된 통기 라인(L)을 갖는 마대 원단(M)이 좌,우 측면(30,40)을 형성하게 되므로 측면(10,20,30,40)과 하면(60)의 원활한 통기성이 확보되면서도 기존의 일반 마대 원단으로 만들어진 톤백 마대에서와 거의 같은 인장 강도를 갖게 됨으로써 농산물을 담고 들어올리거나 다단으로 적층하여 운반 또는 보관하게 되더라도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거나 터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측면 상호 간 및 측면과 하면 사이는 오버로크 봉제선(S1) 및 직선 봉제선(S2)에 의해 견고하게 봉제 됨과 동시에 인양용 벨트(70)가 동시에 봉제 됨으로써 벌크 상태의 농산물을 인양하거나 보관하는데 지장이 없는 충분한 구조적인 강도를 갖는 통풍 마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 및 이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 및 사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T)는 기본적으로 4개의 측면(10,20,30,40)과 하면(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60)에는 폐쇄가능한 배출구(62)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측면(10,20,30,40)은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M)으로 이루어지되, 이 마대 원단(M)은 상하방향으로 경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직조된 통기부(O)와, 경사 사이가 밀착된 상태로 직조된 폐쇄부(P)가 각각 소정의 폭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측면과 봉제되는 마대 원단(M)의 좌우 양측은 폐쇄부(P)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마대 원단(M)을 형성하는 원사는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며, 일반적인 마대 원단과 같은 형태로 경사와 위사를 교차하도록 직조하되 상하방향으로 교대로 통기부(O)와 폐쇄부(P)가 각각 5~10cm 내외의 폭을 갖도록 경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직조함으로써 통풍성의 확보 및 구조적인 강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기부(O)의 폭이 폐쇄부(P)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통풍 마대의 전 영역에 걸쳐 충분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통기부(O)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및 도 12의 실물 사진에서와 같이 마대 원단(M)을 형성하는 경사 사이에 틈(g)이 벌어져 있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마대 원단(M)의 직조시 통기부(O)에서는 경사 사이의 간격을 2~3mm정도 이격시킨 상태에서 위사를 직교되게 공급하면서 직조하면 되며, 폐쇄부(P)에서는 경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위사와 직조시키면 된다.
또, 본 실시 예에서는 마대의 제작시 마대 원단(M)의 통기부(O)를 마대 측면(10,20,30,40)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마대(T)의 인양시 측면(10,20, 30,40)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해서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통기부(O)의 경사 사이가 벌어진 것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저하된 것은 통기부(O)와 교대로 형성된 폐쇄부(P)에서 경사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형성된 것에 의해 보상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마대 원단의 인장강도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위 폭당 통기부(O)를 형성하는 경사의 수보다 폐쇄부(P)를 형성하는 경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통풍 마대를 인양할 경우 마대의 측면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하여 통기부(O)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경사의 수가 많은 폐쇄부(P)가 이를 보상할 수 있게 됨으로써 통풍 마대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확보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인장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마대 원단(M) 사이 즉, 전,후 측면(10,20)과 바닥(60) 및 좌우 측면(30,40) 사이는 오버로크(overlock; 휘갑치기) 형태로 봉제되어 외부에서 상기 측면 사이 및 측면과 바닥 사이에 벌어진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 오버로크 봉제선(S1) 내측에는 일직선 상태로 다시 한 번 직선 봉제선(S2)을 형성하여 통풍 마대(T)의 내부에 채워진 농산물의 하중에 의해 받게 되는 압력으로부터 측면(10,20,30,40)과 바닥면(60) 간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좌,우 측면(10,20,30,40)의 모서리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인양용 벨트(70)가 상기 오버로크 봉제선(S1) 및 직선 봉제선(S2)에 의해 봉제 되는데, 상기 인양용 벨트(7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대 원단(M)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봉제함으로써 통풍 마대(T)의 모서리 외관이 깔끔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인양용 벨트(70)를 마대 원단(M)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봉제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T)는 상면(5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상면(50)은 측면(10,20,30,40)과 하면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인장력을 크게 받는 부분이 아니며, 농산물 등을 담기 위하여 쉽게 벌어질 수 있어야 하므로 비교적 메시가 크고 유연한 재질의 망사 원단으로 제작하면 된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통풍 마대(T)의 하면(60)에 형성되는 배출구(62)는 통상적인 톤 백 마대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로프를 당겨서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것에 의해 배출구(62)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 예의 통풍 마대는 4개의 측면(10,20,30,40)과 하면(60)을 형성하는 마대 원단(M)이 모두 소정 간격의 통기부(O)와 폐쇄부(P)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면(10,20,30,40)과 하면(60)의 원활한 통기성이 확보되면서도 기존의 일반 마대 원단으로 만들어진 톤백 마대에서와 거의 같은 인장 강도를 갖게 됨으로써 농산물을 담고 들어올리거나 다단으로 적층하여 운반 또는 보관하게 되더라도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거나 터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측면 상호 간 및 측면과 하면 사이는 오버로크 봉제선(S1) 및 직선 봉제선(S2)에 의해 견고하게 봉제 됨과 동시에 인양용 벨트(70)가 동시에 봉제 됨으로써 벌크 상태의 농산물을 인양하거나 보관하는데 지장이 없는 충분한 구조적인 강도를 갖는 통풍 마대를 제공할 수 있다.
10,20,30,40 : 측면(전,후,좌,우)
50 : 상면
60 : 하면
62 : 배출구
70 : 인양용 벨트
T : 통풍 마대
L : 통기 라인
M : 마대 원단
N : 망사 원단
O : 통기부
P : 폐쇄부
50 : 상면
60 : 하면
62 : 배출구
70 : 인양용 벨트
T : 통풍 마대
L : 통기 라인
M : 마대 원단
N : 망사 원단
O : 통기부
P : 폐쇄부
Claims (7)
- 4개의 측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에는 폐쇄가능한 배출구가 구비된 마대에 있어서;
상기 마대(T)의 전,후 측면(10,20)과 하면(60)은 하나의 망사 원단(N)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측면(30,40)은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M)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M)은 상하방향으로 통기 라인(L)을 갖도록 경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직조되며, 상기 전,후,좌,우 측면(10,20,30,40)의 모서리에 상방으로 연장된 인양용 벨트(70)가 봉제되고, 상기 망사 원단(N)은 안쪽(n1)으로는 통풍이 잘 되도록 경사 사이가 1~2mm정도 벌어지도록 직조되며, 수지필름사로 직조된 마대 원단(M)과 봉제되는 좌,우 양측 부위는 메시가 상기 안쪽(n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변사부(n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마대.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사 원단(N)과 마대 원단(M) 사이는 외측의 오버로크 봉제선(S1)과 내측의 직선 봉제선(S2)으로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마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 라인(L) 사이의 간격은 3~10cm이고, 상기 통기 라인(L)의 폭은 0.5~2c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마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풍 마대는 상면(50)을 더 포함하며, 이 상면(50)은 전,후 측면(10,20)과 하면(60)을 형성하는 망사 원단(N)보다 메시가 크고 유연한 또 다른 망사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마대.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8164 | 2013-07-04 | ||
KR20130078164 | 2013-07-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7817B1 true KR101457817B1 (ko) | 2014-11-12 |
Family
ID=5228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7030A KR101457817B1 (ko) | 2013-07-04 | 2013-11-12 | 통풍 마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781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4184A (ko) * | 2015-06-08 | 2016-12-16 | 한현호 | 톤백 |
CN114104529A (zh) * | 2021-12-08 | 2022-03-01 | 徐州久山塑业有限公司 | 一种集装袋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67890A (ja) * | 1996-03-30 | 1997-10-14 | Nippon Matai Co Ltd | 通気性に優れた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ーバッグ |
KR20040019122A (ko) * | 2002-08-21 | 2004-03-05 | 이경희 | 통풍 양곡마대 |
KR20120097079A (ko) * | 2011-02-24 | 2012-09-03 | 주식회사 서진마대 | 농산물 포장 운반용 통풍 포대 |
-
2013
- 2013-11-12 KR KR1020130137030A patent/KR1014578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67890A (ja) * | 1996-03-30 | 1997-10-14 | Nippon Matai Co Ltd | 通気性に優れた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ーバッグ |
KR20040019122A (ko) * | 2002-08-21 | 2004-03-05 | 이경희 | 통풍 양곡마대 |
KR20120097079A (ko) * | 2011-02-24 | 2012-09-03 | 주식회사 서진마대 | 농산물 포장 운반용 통풍 포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4184A (ko) * | 2015-06-08 | 2016-12-16 | 한현호 | 톤백 |
KR101704209B1 (ko) * | 2015-06-08 | 2017-02-07 | 한현호 | 톤백 |
CN114104529A (zh) * | 2021-12-08 | 2022-03-01 | 徐州久山塑业有限公司 | 一种集装袋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08196A (en) | Relating to bulk containers | |
US7353773B2 (en) | Pet bed with chopped memory foam filler | |
KR101457817B1 (ko) | 통풍 마대 | |
ES2751169T3 (es) | Pantalla de invernadero | |
KR20200001870U (ko) |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 |
CN113337947A (zh) | 一种编织包及其制造方法 | |
KR101704209B1 (ko) | 톤백 | |
US6474396B1 (en) | Knitted mesh with relief band and method | |
KR200478299Y1 (ko) | 이중 통풍 마대 | |
US8360642B2 (en) | Super air permeability and reinforced seams of peanuts bag (APC BAG-SBA) | |
EP1686067A1 (en) | Vegetable bag | |
KR101337793B1 (ko) | 직조된 리본 및 그 리본의 사용방법 | |
KR102326563B1 (ko) |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 |
JPH0717594A (ja)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
JP7216415B2 (ja) | 布団側地の製造方法及び布団の製造方法 | |
KR101218099B1 (ko) | 그린커버 | |
KR20170061111A (ko) | 마대와 마대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 |
CN209383907U (zh) | 窗帘布与挂钩布带经向共存一体织造成型织物 | |
JP2968193B2 (ja) | 自立開口、折りたたみ自在の箱状容器 | |
JP3237292U (ja) | 角形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
KR100856049B1 (ko) | 차광이 가능한 농업용 보온시트 구조 | |
JPH01153487A (ja) | 角型コンテナのコーナー用補助部材の製造法 | |
KR102459612B1 (ko) | 수납 가방 | |
CN211365522U (zh) | 一种缝线多层纸袋 | |
KR100930300B1 (ko) | 단열용 원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