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563B1 -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 Google Patents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563B1
KR102326563B1 KR1020190159669A KR20190159669A KR102326563B1 KR 102326563 B1 KR102326563 B1 KR 102326563B1 KR 1020190159669 A KR1020190159669 A KR 1020190159669A KR 20190159669 A KR20190159669 A KR 20190159669A KR 102326563 B1 KR102326563 B1 KR 10232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roup
warp
weav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879A (ko
Inventor
박만기
Original Assignee
박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기 filed Critical 박만기
Priority to KR1020190159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5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을 저장하는 톤백을 제작하기 위한 직물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다수개의 제1위사(11) 상에 꼬임형태로 제직한 제1경사(12)와, 제1경사(12) 상에 설정된 피치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하는 제1엮음사(13)를 제직하는 제1직물군(10); 상기 제1직물군(10)의 제1위사(11)와 서로 연결한 제2위사(21) 상에 꼬임형태로 제직한 제2경사(22)와, 제2경사(22) 상에 설정된 피치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하는 제2엮음사(23)를 제직하는 제2직물군(20); 상기 제1직물군(10) 보다 제2직물군(20)의 조밀도를 2배 이상으로 제직하고, 상기 제1직물군(10)에 비해 제2직물군(20)의 밀집력이 강화되어 벌어짐은 물론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지지군; 및 상기 제1위사(11)와 제2위사(11)의 연결 부위에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을 서로 연결하여 제직하는 연결경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톤백(Tone Bag)용도로 직물을 낫셀망 형태로 제직함에 따라, 저장물에 의한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하여 원가 손실과 경제성이 뛰어나고 저장물의 종류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면서 변질이나 부패를 방지하며, 강한 내구성으로 인해 톤백의 형태를 유지가 가능하여 적재의 효율성과 안전하게 저장, 운송을 도모하는 등 기능성 향상을 추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Tone bag fabric for stor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Tone bag thereof}
본 발명은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톤백(Tone Bag)용도로 직물을 낫셀망 형태로 제직함에 따라, 저장물에 의한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하여 원가 손실과 경제성이 뛰어나고 저장물의 종류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면서 변질이나 부패를 방지하며, 강한 내구성으로 인해 톤백의 형태를 유지가 가능하여 적재의 효율성과 안전하게 저장, 운송을 도모하는 등 기능성 향상을 추구하는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에 관한 것이다.
통상, 톤백(Tone Bag)은 농산물, 곡물, 비료, 광물, 화학원료 등과 같은 내용물을 대용량으로 담아 저장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내용물을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해 운반할 때 혹은 포장 등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톤백은 보통 상부가 개방된 자루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는 2개 내지 3개의 걸고리가 형성되고, 걸고리는 톤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되는 띠(벨트)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톤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처리할 때에는 먼저 톤백 내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지게차의 포크를 상단 걸고리에 걸고 이어서 차량에 상차 및 하차 또는 구내 운송하거나 포장기 기계 등으로 운반한다.
한편, 이와 같은 톤백 중에서 곡물, 감자, 양파 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을 위해 사용되는 톤백은 농산물의 운반 및 보관 과정에서 톤백 내부와 외기 사이에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져야만 톤백 내부에 담긴 농산물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톤백 자체가 통기성을 갖도록 제작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303호(선행문헌 1),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8890호(선행문헌 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는 위사들과 경사들로 직조되는 마대에 있어서, 마대의 둘레에 적어도 2개의 경사와 1개의 위사가 연속하여 직조된 적어도 하나의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벌크물을 수용하는 마대 둘레에 하나의 위사와 직조되는 경사를 복수본으로 하는 복수본 경사 보강부를 마대직물 제조시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마대의 형상을 유지시켜 일정한 공간에 마대의 적재량을 증가시키고 보강부가 마대의 강도를 증대시켜 더욱 많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에 관한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1에 의하면, 내부에 곡물 등의 내용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측면부의 상부를 조임끈으로 조여 밀봉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상기와 같이 조여진 경우에는 톤백에 통풍성이 확보되지 않아 농산물의 변질이 쉽기 때문에 농산물을 장시간 저장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2는 상부가 개방되는 자루 형 본체와; 상기 본체 외면에 하부 재봉띠가 재봉 되고 상부 걸고리는 톤백 상단으로 돌출되는 여러 개의 고리수단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톤백에 있어서, 상기 고리수단 전체 내부에 탄성을 가진 심재를 내장하여 걸고리와 본체가 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담긴 톤백의 고리에 대한 지게차 포크의 삽입과 벗김을 보조 인력 없이도 내용물 처리(톤백의 운반, 적재, 상하 차 등)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내용물 담기 전 톤백에 대한 내용물 충진도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할 수 있는 톤백에 관한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2에 의하면, 복수본의 경사 보강부를 형성함에 있어, 보강부와 망사직물 간의 재봉 면적이 커서 톤백의 생산 단가를 현격히 줄이지는 못하게 된다. 즉, 보강부를 통해 톤백의 적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보강부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보강부를 망사직물에 조밀하게 재봉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인건비 상승은 물론 원가 손실과 경제성이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선행문헌들에 의하면 톤백의 내부에 채소나 곡물 등의 내용물이 담긴 톤백은 직사각형의 파렛트에 안착되어 저장되는데, 양파나 감자와 같이 외주면이 둥근 내용물이 톤백 내부에 저장될 경우 톤백의 외주면이 둥글게 부풀어 올라 빈번히 터짐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303호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공개일자: 2006. 03. 02.)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8890호 " 톤백"(공개일자: 2011. 09. 20.)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톤백(Tone Bag)용도로 직물을 낫셀망 형태로 제직함에 따라, 저장물에 의한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하여 원가 손실과 경제성이 뛰어나고 저장물의 종류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면서 변질이나 부패를 방지하며, 강한 내구성으로 인해 톤백의 형태를 유지가 가능하여 적재의 효율성과 안전하게 저장, 운송을 도모하는 등 기능성 향상을 추구하는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농산물을 저장하는 톤백을 제작하기 위한 직물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1위사 상에 꼬임형태로 제직한 제1경사와, 제1경사 상에 설정된 피치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하는 제1엮음사를 제직하는 제1직물군; 상기 제1직물군의 제1위사와 서로 연결한 제2위사 상에 꼬임형태로 제직한 제2경사와, 제2경사 상에 설정된 피치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하는 제2엮음사를 제직하는 제2직물군; 상기 제1직물군 보다 제2직물군의 조밀도를 2배 이상으로 제직하고, 상기 제1직물군에 비해 제2직물군의 밀집력이 강화되어 벌어짐은 물론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지지군; 및 상기 제1위사와 제2위사의 연결 부위에 제1직물군과 제2직물군을 서로 연결하여 제직하는 연결경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직물군과 제2직물군과 연결경사는 300~600 데니아로, 폴리에틸렌사 또는 폴리에틸렌사를 합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상기 직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톤백으로서, 지지군의 활용도를 높여 내부에 수용되는 농산물의 하중에 의해 벌어짐을 차단하도록 상기 직물의 제직된 방향으로부터 90°로 회전시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톤백은 제1직물군, 제2직물군, 연결경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덧대어 지지력을 더욱 강화하는 지지띠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은 톤백(Tone Bag)용도로 직물을 낫셀망 형태로 제직함에 따라, 저장물에 의한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하여 원가 손실과 경제성이 뛰어나고 저장물의 종류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면서 변질이나 부패를 방지하며, 강한 내구성으로 인해 톤백의 형태를 유지가 가능하여 적재의 효율성과 안전하게 저장, 운송을 도모하는 등 기능성 향상을 추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된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을 나타내는 사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을 통해 제작된 톤백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도 5의 농산물 저장 톤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농산물을 저장하는 톤백을 제작하기 위한 직물 및 그 톤백에 관하여 제안한다. 특히 톤백(Tone Bag)을 제작하기 위한 직물로, 저장물에 의한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하고, 강한 내구성으로 인해 톤백의 형태를 유지가 가능하여 적재의 효율성과 안전하게 저장, 운송을 도모하는 등 기능성 향상을 추구하는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은 편직기로 제직하는 바,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 편직기는 구동부, 실안내구, 침판, 안내롤러 등으로 구성되고, 구동부는 체인벨트의 캠운동으로 실안내구의 왕복운동을 유발한다. 실안내구는 그물망을 이루는 각각의 실들을 설정된 경로로 이송하고, 침판은 실안내구와 연동하면서 격자형 편물인 그물망 제편(製編)을 조력하며, 안내롤러는 그물망에 적절한 장력을 부가하면서 귄취롤러로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직물군(10)은 다수개의 제1위사(11) 상에 꼬임형태로 제직한 제1경사(12)와, 제1경사(12) 상에 설정된 피치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하는 제1엮음사(13)를 제직한다. 제1직물군(10)은 도 2 및 도 3처럼 제1위사(11), 제1경사(12), 제1엮음사(13)로 이루어지는데, 제1위사(11)는 다수의 실, 즉 후술하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횡방향(橫方向)으로 설정된 등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제1경사(12)는 실, 즉 후술하는 폴리에스테르사를 꼬임(loop)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종방향(縱方向)으로 설정된 피치(pitch)로 진행을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경사(12)는 꼬임(loop)형태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위사(11)와 제1위사(11)의 사이를 면밀하게 결속되도록 서로 꼬아 고정한다. 이로 인해 제1위사(11)와 제1경사(12)는 도 3처럼 전체적으로 사각형 격자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엮음사(13)는 제1위사(11)와 제1경사(12)로 인해 형성된 사각형 격자 상에 제1경사(12)와 제1경사(12)의 사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한다.
이처럼, 상기 제1직물군(10)은 도 1 및 도 2처럼 제1위사(11), 제1경사(12), 제1엮음사(13)를 통하여 다소 간격이 넓은 낫셀망 형태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직물군(20)은 상기 제1직물군(10)의 제1위사(11)와 서로 연결한 제2위사(21) 상에 꼬임형태로 제직한 제2경사(22)와, 제2경사(22) 상에 설정된 피치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하는 제2엮음사(23)를 제직한다. 제2직물군(20)은 상기 제1직물군(10)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바, 도 2 및 도 4처럼 제2위사(21), 제2경사(22), 제2엮음사(23)로 이루어진다. 제2위사(21)는 상기 제1직물군(10)의 제1위사(11)와 서로 연결되고 다수의 실, 즉 후술하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횡방향(橫方向)으로 설정된 등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제2경사(22)는 실, 즉 후술하는 폴리에스테르사를 꼬임(loop)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종방향(縱方向)으로 설정된 피치(pitch)로 진행을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경사(22)는 꼬임(loop)형태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위사(21)와 제2위사(21)의 사이를 면밀하게 결속되도록 서로 꼬아 고정한다. 이로 인해 제2위사(21)와 제2경사(22)는 도 4처럼 전체적으로 사각형 격자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엮음사(23)는 제2위사(21)와 제2경사(22)로 인해 형성된 사각형 격자 상에 제2경사(22)와 제1경사(22)의 사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한다.
이처럼, 상기 제2직물군(20)은 도 1 및 도 2처럼 제2위사(21), 제2경사(22), 제2엮음사(23)를 통하여 제1직물군(10) 보다는 다소 간격이 좁은 낫셀망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군은 상기 제2직물군(20)에 의해 밀집력을 통한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제직한다. 지지군은 제1직물군(10)과 직물군(20)에 대한 직물의 조밀도를 지칭한다. 이러한 지지군은 도 1 및 도 2처럼 제1직물군(10) 보다는 제2직물군(20)의 밀집력을 강화하여 벌어짐은 물론 지지력을 강화되도록 제직한다. 이는 지지군은 제2직물군(20)의 제2위사(21), 제2경사(22), 제2엮음사(23)로부터 이에 대비되는 제1직물군(10)의 제1위사(11), 제1경사(12), 제1엮음사(13)의 개수보다 2배 이상으로 제직하여 밀집도 및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경사(30)는 상기 제1위사(11)와 제2위사(11)의 연결 부위에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을 서로 연결하여 제직한다. 연결경사(30)는 도 3처럼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사용한다. 연결경사(30)는 실, 즉 후술하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종방향(縱方向)으로 꼬임(loop)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제1직물군(10)의 제1위사(11), 제1엮음사(13)와 제2직물군(20)의 제1위사(21), 제1엮음사(23)를 면밀하게 결속되도록 서로 꼬아 고정한다. 이는 연결경사(30)는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의 경계부위에 꼬임(loop)형태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위사(11), 제1엮음사(13)와 제1위사(21), 제1엮음사(23)의 사이를 면밀하게 결속되도록 서로 꼬아 고정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과 연결경사(30)는 300~600 데니아로, 폴리에틸렌사 또는 폴리에틸렌사를 합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과 연결경사(30)는 폴리에틸렌사 또는 합사한 폴리에틸렌사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폴리에틸렌사는 표면이 매끄러워 연성과 가공성이 좋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과 연결경사(30)는 300~600 데니아(denier) 사이에서 데니아를 굵게 채택한 폴리에틸렌사 또는 데니아를 얇게 채택하여 폴리에틸렌사를 합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 연결경사(30)를 300~600 데니아의 폴리에틸렌사로 제직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 연결경사(30)중 어느 한 직물군이나 연결경사를 300~600 데니아에서 데니아를 얇게 하여 폴리에틸렌사를 합사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상기 직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톤백(50)은 지지군의 활용도를 높여 내부에 수용되는 농산물의 하중에 의한 벌어짐을 차단하도록 90°방향으로 회전시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농산물 저장용 톤백(50)은 상기의 직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특히 감자, 양파 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을 위해 저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면서 농산물의 하중에 의한 벌어짐을 차단하기 위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의 제직된 직물은 지지군의 활용도를 높여 내부에 수용되는 농산물의 하중에 의한 벌어짐을 차단하기 위해 90°방향으로 회전시켜 제작한다.
이는 지지군, 즉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의 제1ㆍ2위사(11,21), 제1ㆍ2경사(12,22), 제1ㆍ2엮음사(13,23)가 서로 얽혀 그 사이를 면밀하게 결속되도록 서로 꼬아 고정하여 밀집력 및 지지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90°방향으로 회전시켜 톤백(50)을 제직함에 따라 도 6 및 도 7에서 좌우방향으로 농산물의 하중에 의한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직물군(20)의 제2위사(21), 제2경사(22), 제2엮음사(23)로부터 이에 대비되는 제1직물군(10)의 제1위사(11), 제1경사(12), 제1엮음사(13)의 개수보다 2배 이상으로 제직하여 밀집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톤백(50) 제작시 상기의 직물을 90°방향으로 회전시켜 직물의 제직방향으로 인한 지지력으로 인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톤백(50)은 제1직물군(10), 제2직물군(20), 연결경사(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덧대어 지지력을 더욱 강화하는 지지띠(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톡백(50)은 상기 지지군의 활용도를 높여 좌우방향으로 농산물의 하중에 의한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함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터짐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띠(40)를 더 구비한다. 지지띠(40)는 도 6 및 도 7처럼 상기의 직물을 90°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제1직물군(10), 제2직물군(20), 연결경사(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덧대어 상하방향으로의 지지력을 더욱 더 강화하여 농산물의 하중에 의한 터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톤백(Tone Bag)용도로 직물을 낫셀망 형태로 제직함에 따라, 저장물에 의한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하여 원가 손실과 경제성이 뛰어나고 저장물의 종류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면서 변질이나 부패를 방지하며, 강한 내구성으로 인해 톤백의 형태를 유지가 가능하여 적재의 효율성과 안전하게 저장, 운송을 도모하는 등 기능성 향상을 추구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제1직물군 11: 제1위사
12: 제1경사 13: 제1엮음사
20: 제2직물군 21: 제2위사
22: 제2경사 23: 제3엮음사
30: 연결경사 40: 지지띠
50: 톤백(Tone bag)

Claims (5)

  1. 농산물을 저장하는 톤백을 제작하기 위한 직물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1위사(11) 상에 꼬임형태로 제직한 제1경사(12)와, 제1경사(12) 상에 설정된 피치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하는 제1엮음사(13)를 제직하는 제1직물군(10);
    상기 제1직물군(10)의 제1위사(11)와 서로 연결한 제2위사(21) 상에 꼬임형태로 제직한 제2경사(22)와, 제2경사(22) 상에 설정된 피치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엮어 고정하는 제2엮음사(23)를 제직하는 제2직물군(20);
    상기 제1직물군(10) 보다 제2직물군(20)의 조밀도를 2배 이상으로 제직하고, 상기 제1직물군(10)에 비해 제2직물군(20)의 밀집력이 강화되어 벌어짐은 물론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지지군; 및
    상기 제1위사(11)와 제2위사(11)의 연결 부위에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을 서로 연결하여 제직하는 연결경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물군(10)과 제2직물군(20)과 연결경사(30)는 300~600 데니아로, 폴리에틸렌사 또는 폴리에틸렌사를 합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4. 청구항 1의 직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톤백(50)으로서, 지지군의 활용도를 높여 내부에 수용되는 농산물의 하중에 의해 벌어짐을 차단하도록 상기 직물의 제직된 방향으로부터 90°로 회전시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저장 톤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톤백(50)은 제1직물군(10), 제2직물군(20), 연결경사(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덧대어 지지력을 더욱 강화하는 지지띠(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저장 톤백.
KR1020190159669A 2019-12-04 2019-12-04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KR10232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669A KR102326563B1 (ko) 2019-12-04 2019-12-04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669A KR102326563B1 (ko) 2019-12-04 2019-12-04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879A KR20210069879A (ko) 2021-06-14
KR102326563B1 true KR102326563B1 (ko) 2021-11-12

Family

ID=7641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669A KR102326563B1 (ko) 2019-12-04 2019-12-04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0805A2 (en) * 2022-02-01 2023-08-10 Lionel Mantzivis An improve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232Y1 (ko) 2001-03-10 2001-10-06 주식회사 다룸 생태 섬유돌망태
KR101933013B1 (ko) 2018-08-23 2019-03-15 허석규 폐수 슬러지 톤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002Y1 (ko) * 1995-04-17 1998-12-01 박찬경 강화 콘테이너 백
KR20060018303A (ko) 2004-08-24 2006-03-02 이광주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
KR20110008890U (ko) 2010-03-12 2011-09-20 곽윤환 톤백
KR101704209B1 (ko) * 2015-06-08 2017-02-07 한현호 톤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232Y1 (ko) 2001-03-10 2001-10-06 주식회사 다룸 생태 섬유돌망태
KR101933013B1 (ko) 2018-08-23 2019-03-15 허석규 폐수 슬러지 톤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879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8196A (en) Relating to bulk containers
US4610028A (en) Bulk containers
US4807299A (en) Bulk containers
JPH0220499B2 (ko)
KR101397623B1 (ko)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US7269978B2 (en) Mesh for bags or packaging
KR102326563B1 (ko) 농산물 저장 톤백 제작용 직물 및 그 톤백
KR20200001870U (ko) 농작물 운반용 통풍마대
KR101073492B1 (ko) 원형 베일러 결속네트 직조용 권취장치
JP2511374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US5415614A (en) Manufacture of bulk bags
KR200478299Y1 (ko) 이중 통풍 마대
CN109476417A (zh) 柔性容器
KR101457817B1 (ko) 통풍 마대
KR0128002Y1 (ko) 강화 콘테이너 백
JP3119799U (ja) 農産物輸送用フレキシブルメッシュ容器
JPH01153487A (ja) 角型コンテナのコーナー用補助部材の製造法
JP3237292U (ja) 角形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CN211112446U (zh) 一种加固无边缝麻袋
RU2818162C1 (ru)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хранения насыпных грузов
WO2005040502A1 (en) Net-like bag
CN211339909U (zh) 一种编织网结构及编织袋
KR20060018303A (ko)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
JPS5811700Y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FI68956C (fi) Dragkedja foersett med vaevda baerband och laosdelar som aer vaevda pao d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