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906B1 - 해충방지 야광톤백 - Google Patents

해충방지 야광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906B1
KR102019906B1 KR1020180059798A KR20180059798A KR102019906B1 KR 102019906 B1 KR102019906 B1 KR 102019906B1 KR 1020180059798 A KR1020180059798 A KR 1020180059798A KR 20180059798 A KR20180059798 A KR 20180059798A KR 102019906 B1 KR102019906 B1 KR 10201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yarn
wax
extract
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팍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팍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팍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5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산물과 식품 관련 제품을 담아 저장, 이동 및 하역시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종래 톤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 톤백에 쌀 등의 농산물을 담아 일반 창고에 보관할 경우, 각종 벌레, 쥐 등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농수산물이나 식품 포장 용기를 갉아먹거나 오염시킴으로써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식품 안전성의 문제를 야기함으로써 심한 경우 전량 폐기처분해야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쥐가 톤백 자체를 갉아먹음으로써 터진 부분을 통해 쌀 등의 농산물이 톤백 외부로 쏟아져 내리거나, 심한 경우 2단 구조로 쌓여 있던 톤백의 하단이 무너져 내리면서 상단에 있던 톤백까지 한꺼번에 무너져 내려 농산물 훼손은 물론 주변 작업자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창고 등의 시설비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벌레, 쥐 등의 접근 기피기능과 야광기능을 부여하여,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조명이 약하거나 없는 야간에도 하역 작업 등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의 해충방지 야광톤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충방지 야광톤백{A NOCTILUCENT TON BAG FOR PREVENTING VERMIN}
본 발명은 농수산물과 식품관련 제품을 담아 저장, 이동 및 하역시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종래 톤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 톤백에 쌀 등의 농산물을 담아 일반 창고에 보관할 경우, 각종 벌레, 쥐 등이 쉽게 접근하여 농수산물이나 식품 포장 용기를 갉아먹거나 오염시켜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식품 안전성 문제를 야기함으로써 심한 경우 전량 폐기처분 해야하는 문제를 일으켜 왔다.
또한 쥐가 톤백 자체를 갉아먹음으로써 터진 부분을 통해 쌀 등의 농산물이 톤백 외부로 쏟아져 내리거나, 심한 경우 2단 구조로 쌓여 있던 톤백의 하단이 무너져 내리면서 상단에 있던 톤백까지 한꺼번에 무너져 내려 농산물 훼손은 물론 주변 작업자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문제를 일으켰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창고 등의 저장 시설비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벌레, 쥐 등의 접근을 억제하고 야광기능을 부여하여,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조명이 약하거나 없는 야간에도 하역 작업 등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기능성 해충방지 야광톤백에 관한 것이다.
톤백(Ton bag)은 농수산물 또는 식품관련 제품 등을 대용량으로 담을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적재, 보관 및 운반시에 사용된다.
종래 개시된 톤백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4209(등록일자 2017.02.01)호의 '톤백'에는 톤백 자체의 통기성을 제공하고 톤백에 담겨져 있는 곡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톤백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4818(등록일자 2014.08.20)호의 '통풍기능을 갖는 이중 톤백'에는 통기성 저하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통풍기능을 갖는 이중 톤백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개시되어 있는 톤백에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는 있으나, 유통과정이나 창고 보관시에 유해 해충이나 쥐로부터 내용물의 충분한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해충이나 쥐 등에 의해 해마다 폐기처분되는 쌀 등의 농작물의 양이 상당하여 경제적인 측면에 있어 막대한 손해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창고 등의 저장시설을 개선하여야 그 비용이 상당하여 현실적으로 개선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쌀을 저장하고 있는 톤백의 경우, 쥐가 저장 창고로 들어와 톤백 자체를 갉아먹음으로써 톤백의 일부가 찢어지게 되고, 그 찢어진 틈을 통해 쌀이나 식품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2단 적층된 상태의 톤백 중 하단에 있던 톤백의 쌀이 외부로 유출될 경우, 상단에 적층된 톤백이 제대로 지지받지 못하다가 결국 무너져 내리게 된다. 상당한 하중의 톤백이 무너져 내릴 경우 농작물의 피해는 물론 주변에 작업자가 있을 경우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톤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충 또는 쥐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톤백의 농작물 등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톤백의 시인성을 높여 야간 또는 조명이 거의 없는 장소에서 작업을 하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해충방지 야광톤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4209(등록일자 2017.02.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4818(등록일자 2014.08.20)
본 발명은 종래 톤백이 갖고 있던, 해충 또는 쥐의 접근을 차단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농수산물이나 식품의 훼손 및 오염, 톤백 자체의 손상, 다단 적층 구조를 이루는 일부 톤백의 손상으로 인해 적층상태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톤백이 무너져 내림으로써 발생되는 농수산물이나 식품의 훼손 및 오염, 작업자의 피해 위험을 해소하며,
야간 또는 조명이 거의 없는 장소에서 하역 작업시 톤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자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해충방지 야광톤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직조되어 네개의 측면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은 개방되어 중공의 백(bag) 구조를 이루어 내용물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네개의 측면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세로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띠를 이루어 형성되되, 상기 개방된 상면 위로 한 쌍의 띠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구조를 이루는 제1리프팅 벨트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고리가 각각 상기 제1리프팅 벨트와 결합을 이루는 제2리프팅 벨트로 구성된 톤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10)는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40.0 ~ 80.0 wt%와,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또는 박하 오일(peppermint oil) 중 선택되는 제1성분(b1) 10.0 ~ 5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 마늘추출물, 양파추출물, 왕관초(Fritillaria imperialis)추출물, 대극(Euphorbia)추출물, 섬꽃마리속(Cynoglossum)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성분(b2) 10.0 ~ 50.0 wt%; 제충국 추출물 0.1 ~ 99.9 wt%와, 회향 추출물 0.1 ~ 99.9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3성분(b3) 10.0 ~ 50.0 wt%;의 혼합(b1+b2+b3)으로 조성되는 100.0 wt%의 해충방지제(B) 0.5 ~ 50.0 wt%와,
야광도료(C) 0.5 ~ 25.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D) 0.1 ~ 20.0 wt%;를 혼합(A+B+C+D)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5.0 ~ 3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28.0 ~ 80.0 wt%;
탄산칼슘(CaCO3) 0.1 ~ 20.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오가노니켈(OrganoNickel)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자외선 방지제 0.01 ~ 3.0 wt%;
SiO2, Al2O3, MgO, Ag, Zn, Ag,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이나 또는 콜로이드상 금(colloidal gol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항취제 0.01 ~ 3.0 wt%;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류, 이미다졸류 또는 아미노산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청제 0.01 ~ 3.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 데칸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할로겐계 난연제 0.01 ~ 3.0 wt%;
적린,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네이트계, 포스피네이트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계 난연제 0.01 ~ 3.0 wt%;
삼산화안티몬(Sb2O3) 0.01 ~ 3.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0.01 ~ 3.0 wt%;
모노글리세리드계 또는 폴리글리세리드계 중 선택되는 대전 방지제 0.5 ~ 1.0 wt%;
페놀계 또는 황계 중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 0.01 ~ 3.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한 얀(yarn)을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과 위사(weft threads)용 얀으로 이용하되,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을 일차적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이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을 두고 한 번은 올라가고 한 번은 내려가도록 교대로 교차하면서 직조하여 이루어진 직물을 재단, 봉제함으로써 제조된 해충방지 야광톤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지 야광톤백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로부터 제조된 해충방지제를 이용하여 해충방지 야광톤백을 제조함으로써 농수산물이나 식품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해충, 쥐 등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농수산물이나 식품의 저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톤백에 저장된 농산물 등이 해충, 쥐 등에 의해 훼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장 창고의 시설 개선이 없더라도 저장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시설 개선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식품 및 농협 RPC 저장소에 적용함으로써, 특히 "나라미" 등의 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쥐 등에 의한 톤백 훼손에 따른 안전 및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야광 기능을 가짐으로써 조명이 어둡거나 거의 없는 장소에서도 톤백 원단, 리프팅 벨트의 식별이 용이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포장, 하역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인적, 물적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지 야광톤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지 야광톤백을 이루는 직물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지 야광톤백(1)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지 야광톤백(1)은 합성수지로 직조되어 네개의 측면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은 개방되어 중공의 백(bag) 구조를 이루어 내용물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부(10)와,
상기 저장부(10)의 네개의 측면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세로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띠를 이루어 형성되되, 상기 개방된 상면 위로 한 쌍의 띠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구조를 이루는 제1리프팅 벨트(20)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고리가 각각 상기 제1리프팅 벨트(20)와 결합을 이루는 제2리프팅 벨트(3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10)는 2가지 실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로서,
상기 저장부(10)는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40.0 ~ 80.0 wt%와,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또는 박하 오일(peppermint oil) 중 선택되는 제1성분(b1) 10.0 ~ 5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 마늘추출물, 양파추출물, 왕관초(Fritillaria imperialis)추출물, 대극(Euphorbia)추출물, 섬꽃마리속(Cynoglossum)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성분(b2) 10.0 ~ 50.0 wt%; 제충국 추출물 0.1 ~ 99.9 wt%와, 회향 추출물 0.1 ~ 99.9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3성분(b3) 10.0 ~ 50.0 wt%;의 혼합(b1+b2+b3)으로 조성되는 100.0 wt%의 해충방지제(B) 0.5 ~ 50.0 wt%와,
야광도료(C) 0.5 ~ 25.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D) 0.1 ~ 20.0 wt%;를 혼합(A+B+C+D)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5.0 ~ 3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28.0 ~ 80.0 wt%;
탄산칼슘(CaCO3) 0.1 ~ 20.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오가노니켈(OrganoNickel)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자외선 방지제 0.01 ~ 3.0 wt%;
SiO2, Al2O3, MgO, Ag, Zn, Ag,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이나 또는 콜로이드상 금(colloidal gol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항취제 0.01 ~ 3.0 wt%;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류, 이미다졸류 또는 아미노산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청제 0.01 ~ 3.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 데칸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할로겐계 난연제 0.01 ~ 3.0 wt%;
적린,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네이트계, 포스피네이트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계 난연제 0.01 ~ 3.0 wt%;
삼산화안티몬(Sb2O3) 0.01 ~ 3.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0.01 ~ 3.0 wt%;
모노글리세리드계 또는 폴리글리세리드계 중 선택되는 대전 방지제 0.5 ~ 1.0 wt%;
페놀계 또는 황계 중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 0.01 ~ 3.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한 얀(yarn)을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으로 이용하되,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일차적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이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두고 한 번은 올라가고 한 번은 내려가도록 교대로 교차하면서 직조하여 이루어진 직물을 재단, 봉제함으로써 제조된다.
제2실시예로서,
상기 저장부(10)는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40.0 ~ 80.0 wt%와,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또는 박하 오일(peppermint oil) 중 선택되는 제1성분(b1) 10.0 ~ 5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 마늘추출물, 양파추출물, 왕관초(Fritillaria imperialis)추출물, 대극(Euphorbia)추출물, 섬꽃마리속(Cynoglossum)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성분(b2) 10.0 ~ 50.0 wt%; 제충국 추출물 0.1 ~ 99.9 wt%와, 회향 추출물 0.1 ~ 99.9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3성분(b3) 10.0 ~ 50.0 wt%;의 혼합(b1+b2+b3)으로 조성되는 100.0 wt%의 해충방지제(B) 0.5 ~ 50.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C) 0.1 ~ 20.0 wt%;를 혼합(A+B+C)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5.0 ~ 3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28.0 ~ 80.0 wt%;
탄산칼슘(CaCO3) 0.1 ~ 20.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오가노니켈(OrganoNickel)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자외선 방지제 0.01 ~ 3.0 wt%;
SiO2, Al2O3, MgO, Ag, Zn, Ag,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이나 또는 콜로이드상 금(colloidal gol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항취제 0.01 ~ 3.0 wt%;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류, 이미다졸류 또는 아미노산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청제 0.01 ~ 3.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 데칸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할로겐계 난연제 0.01 ~ 3.0 wt%;
적린,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네이트계, 포스피네이트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계 난연제 0.01 ~ 3.0 wt%;
삼산화안티몬(Sb2O3) 0.01 ~ 3.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0.01 ~ 3.0 wt%;
모노글리세리드계 또는 폴리글리세리드계 중 선택되는 대전 방지제 0.5 ~ 1.0 wt%;
페놀계 또는 황계 중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 0.01 ~ 3.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한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55.0 ~ 80.0 wt%와,
야광도료(B') 0.5 ~ 25.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C') 0.1 ~ 20.0 wt%;를 혼합(A'+B'+C')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5.0 ~ 3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우레탄(PU), 나일론(Nylon), 폴리에스터(Polyester)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28.0 ~ 80.0 wt%;
탄산칼슘(CaCO3) 0.1 ~ 20.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오가노니켈(OrganoNickel)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자외선 방지제 0.01 ~ 3.0 wt%;
SiO2, Al2O3, MgO, Ag, Zn, Ag,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이나 또는 콜로이드상 금(colloidal gol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항취제 0.01 ~ 3.0 wt%;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류, 이미다졸류 또는 아미노산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청제 0.01 ~ 3.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 데칸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할로겐계 난연제 0.01 ~ 3.0 wt%;
적린,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네이트계, 포스피네이트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계 난연제 0.01 ~ 3.0 wt%;
삼산화안티몬(Sb2O3) 0.01 ~ 3.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0.01 ~ 3.0 wt%;
모노글리세리드계 또는 폴리글리세리드계 중 선택되는 대전 방지제 0.5 ~ 1.0 wt%;
페놀계 또는 황계 중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 0.01 ~ 3.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2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한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으로 부터 직조된 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직물의 직조 방식은 'Tube 원단 방식'과 'Flat (평직) 원단 방식'이 적용되며, 이와 같은 직조 방식으로 제조된 직물을 재단 공정과 봉제 공정을 거침으로써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지 야광 톤백(1)이 완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직물은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세로방향으로, 상기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을 가로방향으로 한올씩 교대로 교차하면서 직조하되,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일차적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이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두고 한 번은 올라가고 한 번은 내려가도록 직조함으로써 완성된다.
상기 해충방지 야광톤백(1)의 저장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이 각각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한올씩 교대로 교차하면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은 해충방지 기능과, 야광기능을 모두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은 각기 다른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은 해충, 쥐 등의 접근을 억제하기 위한 기피 기능을 갖는다. 상기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은 야광도료가 포함되어 야간 시인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의 기능성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에 시인성을 부여하고, 상기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에 기피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은 쥐가 기피하는 오렌지색 또는 노란색 계열의 야광도료를 사용함으로써, 쥐의 접근 기피 현상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이와 같은 색상이 반영된 직물을 예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의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은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40.0 ~ 80.0 wt%와,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또는 박하 오일(peppermint oil) 중 선택되는 제1성분(b1) 10.0 ~ 5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 마늘추출물, 양파추출물, 왕관초(Fritillaria imperialis)추출물, 대극(Euphorbia)추출물, 섬꽃마리속(Cynoglossum)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성분(b2) 10.0 ~ 50.0 wt%; 제충국 추출물 0.1 ~ 99.9 wt%와, 회향 추출물 0.1 ~ 99.9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3성분(b3) 10.0 ~ 50.0 wt%;의 혼합(b1+b2+b3)으로 조성되는 100.0 wt%의 해충방지제(B) 0.5 ~ 50.0 wt%와,
야광도료(C) 0.5 ~ 25.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D) 0.1 ~ 20.0 wt%;를 혼합(A+B+C+D)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5.0 ~ 3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28.0 ~ 80.0 wt%;
탄산칼슘(CaCO3) 0.1 ~ 20.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오가노니켈(OrganoNickel)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자외선 방지제 0.01 ~ 3.0 wt%;
SiO2, Al2O3, MgO, Ag, Zn, Ag,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이나 또는 콜로이드상 금(colloidal gol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항취제 0.01 ~ 3.0 wt%;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류, 이미다졸류 또는 아미노산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청제 0.01 ~ 3.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 데칸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할로겐계 난연제 0.01 ~ 3.0 wt%;
적린,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네이트계, 포스피네이트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계 난연제 0.01 ~ 3.0 wt%;
삼산화안티몬(Sb2O3) 0.01 ~ 3.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0.01 ~ 3.0 wt%;
모노글리세리드계 또는 폴리글리세리드계 중 선택되는 대전 방지제 0.5 ~ 1.0 wt%;
페놀계 또는 황계 중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 0.01 ~ 3.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의 바인더 수지(A) 70.0 wt%와,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및 박하 오일(peppermint oil)을 동 중량비율로 배합 조성한 제1성분(b1) 3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및 콜린(choline:C5H14NO)을 동 중량비율로 배합 조성한 제2성분(b2) 30.0 wt%; 제충국(Tanacetum cinerariifolium) 추출물 50.0 wt%와, 회향 추출물 5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3성분(b3) 40.0 wt%;의 혼합(b1+b2+b3)으로 조성되는 해충방지제(B) 15.0 wt%와,
야광도료(C) 10.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의 윤활제(D) 5.0 wt%를 혼합(A+B+C+D)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형 마스터배치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마스터배치 15.0 wt%; 폴리프로필렌(PP) 60.0 wt%; 탄산칼슘(CaCO3) 15.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자외선 방지제 1.0 wt%;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의 항균·항취제 1.0 wt%;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의 방청제 1.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의 할로겐계 난연제 1.0 wt%; 포스포네이트계의 난연제 1.0 wt%; 삼산화안티몬(Sb2O3) 1.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와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를 1:1 중량 비율로 혼합 조성한 가소제 2.0 wt%; 모노글리세리드계의 대전 방지제 1.0 wt%; 페놀계의 산화 방지제 1.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을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제2실시예의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은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40.0 ~ 80.0 wt%와,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또는 박하 오일(peppermint oil) 중 선택되는 제1성분(b1) 10.0 ~ 5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 마늘추출물, 양파추출물, 왕관초(Fritillaria imperialis)추출물, 대극(Euphorbia)추출물, 섬꽃마리속(Cynoglossum)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성분(b2) 10.0 ~ 50.0 wt%; 제충국 추출물 0.1 ~ 99.9 wt%와, 회향 추출물 0.1 ~ 99.9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3성분(b3) 10.0 ~ 50.0 wt%;의 혼합(b1+b2+b3)으로 조성되는 100.0 wt%의 해충방지제(B) 0.5 ~ 50.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C) 0.1 ~ 20.0 wt%;를 혼합(A+B+C)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5.0 ~ 3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28.0 ~ 80.0 wt%;
탄산칼슘(CaCO3) 0.1 ~ 20.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오가노니켈(OrganoNickel)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자외선 방지제 0.01 ~ 3.0 wt%;
SiO2, Al2O3, MgO, Ag, Zn, Ag,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이나 또는 콜로이드상 금(colloidal gol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항취제 0.01 ~ 3.0 wt%;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류, 이미다졸류 또는 아미노산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청제 0.01 ~ 3.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 데칸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할로겐계 난연제 0.01 ~ 3.0 wt%;
적린,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네이트계, 포스피네이트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계 난연제 0.01 ~ 3.0 wt%;
삼산화안티몬(Sb2O3) 0.01 ~ 3.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0.01 ~ 3.0 wt%;
모노글리세리드계 또는 폴리글리세리드계 중 선택되는 대전 방지제 0.5 ~ 1.0 wt%;
페놀계 또는 황계 중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 0.01 ~ 3.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의 바인더 수지(A) 70.0 wt%와,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및 박하 오일(peppermint oil)을 동 중량비율로 배합 조성한 제1성분(b1) 3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및 콜린(choline:C5H14NO)을 동 중량비율로 배합 조성한 제2성분(b2) 30.0 wt%; 제충국(Tanacetum cinerariifolium) 추출물 50.0 wt%와, 회향 추출물 5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3성분(b3) 40.0 wt%;의 혼합(b1+b2+b3)으로 조성되는 해충방지제(B) 25.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의 윤활제(C) 5.0 wt%;를 혼합(A+B+C)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형 마스터배치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마스터배치 15.0 wt%; 폴리프로필렌(PP) 60.0 wt%; 탄산칼슘(CaCO3) 15.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자외선 방지제 1.0 wt%;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의 항균·항취제 1.0 wt%;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의 방청제 1.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의 할로겐계 난연제 1.0 wt%; 포스포네이트계의 난연제 1.0 wt%; 삼산화안티몬(Sb2O3) 1.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와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를 1:1 중량 비율로 혼합 조성한 가소제 2.0 wt%; 모노글리세리드계의 대전 방지제 1.0 wt%; 페놀계의 산화 방지제 1.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을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펠릿형 마스터배치를 구성하는 상기 바인더 수지는 마스터배치 구성 성분간의 결합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40.0 wt% 미만인 경우에는 성분간의 결합기능이 떨어지고, 8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도 상승에 따른 균일 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바인더 수지의 사용량은 펠릿형 마스터배치의 전체 중량에 대해 40.0 ~ 8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펠릿형 마스터배치를 구성하는 상기 해충방지제는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또는 박하 오일(peppermint oil) 중 선택되는 제1성분(b1) 10.0 ~ 5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 마늘추출물, 양파추출물, 왕관초(Fritillaria imperialis)추출물, 대극(Euphorbia)추출물, 섬꽃마리속(Cynoglossum)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성분(b2) 10.0 ~ 50.0 wt%;
제충국 추출물 0.1 ~ 99.9 wt%와, 회향 추출물 0.1 ~ 99.9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3성분(b3) 10.0 ~ 5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성분(b1) 30.0 wt%; 제2성분(b2) 30.0 wt%; 및 제3성분(b3) 40.0 wt%;의 혼합으로 해충방지제가 조성된다.
상기 해충방지제는 펠릿형 마스터배치를 구성하는 전체 배합비의 0.5 ~ 25.0 wt%를 차지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0.5 wt% 미만인 경우에는 해충기피 효과가 미미하고, 5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조단가의 상승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해충방지제의 사용량은 펠릿형 마스터배치의 전체 중량에 대해 0.5 ~ 5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성분을 구성하는 계피 오일(cinnamon oil)에는 cinnamaldehyde, cinnamyl acetate, cinnamyl alcohol, eugenol, carvacrol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식품 뿐만 아니라 곡물 보존을 위한 살충, 항균활성 기능을 갖는다. 상기 계피는 녹나무과(Lauraceaefamily)에 속하는 Cinnamomum 속인 열대성 상록수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을 말한다.
상기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은 유칼립투스의 잎이나 가지를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해 추출하는 것으로서, 무색 또는 엷은 노란색의 유동액으로 강하고 싱싱한 시트로넬라와 같은달콤한 발삼향이 나는 특징이 있고, 방부제, 항바이러스, 살균제, 탈취제, 거담제, 곰팡이균 살균제, 살충제로 사용된다.
상기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은 Cymbopogon nardus (Jowitt)와 Cymbopogon winterianus (Rendal)을 증기 증류시킨 추출물로써, 모기 퇴치 등에 사용되며 실론과 자바 2 종류의 오일이 있다.
상기 실론 시트로넬라 오일은 따뜻하고, 감귤 향과 나무향이 나며, 연노랑에서 진노랑색을 띠고, 상기 자바는 신선한 레몬 향이 나며 색상은 실론 시트로넬라 오일 보다 더 짙다.
상기 박하 오일(peppermint oil)은 해충 기피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박하(Mentha arvensis)는 허브 식물로써,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아로마 테라피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져 왔고 피로회복에 있어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피부 질환 예방에 효능이 있어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제2성분을 구성하는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은 고추의 붉은 색소, 과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들로서, 고추의 붉은 색소에는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이 포함되어 있고, 과피에는 아데닌(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곤충 또는 유해동물들이 기피하는 냄새를 유발하는 상기 마늘추출물, 양파추출물, 왕관초(Fritillaria imperialis)추출물, 대극(Euphorbia)추출물 및 섬꽃마리속(Cynoglossum)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제3성분은 제충국 추출물 0.1 ~ 99.9 wt%와, 회향 추출물 0.1 ~ 99.9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충국 추출물 50.0 wt%와, 회향 추출물 5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제충국(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추출물은 대표적인 흡즙성 해충 방제용 제제로서 살충성분은 체충국의 꽃에서 추출된 pyrethrin류 화합물이다. 제충국에 함유된 pyrethrin류 화합물은 pyrethrin I, pyrethrin II, cinerin I, cinerin II 그리고 jasmolin I, jasmolin II 등이 있으며, 이 중 pyrethrin I과 II가 주요 살충활성을 지닌 물질이다. pyrethrin은 해충의 신경전달물질시스템에 교란을 일으켜 신경을 마비시킴으로써 살충력을 갖는다.
상기 회향(Foeniculum vulgare) 추출물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높은 살균 및 살충활성을 갖는 팔각회향(Illicium verum Hooker filius) 추출물을 사용한다.
팔각회향(Illicium verum Hooker filius)은 대회향 또는 스타아니스(star anise)라 불리며 중국 남부 및 북 베트남에 서식한다. 탁엽이 없는 모크렌과(Magnoliaceae)에 속하는 상록수 Illicium verum의 과실로, 8개의 골돌과가 방사상으로 퍼져 팔각형을 이루며 적갈색을 띄고 주로 향신료로 사용된다.
펠릿형 마스터배치를 구성하는 상기 윤활제는 상기 해충방지제의 분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0.1 wt% 미만인 경우에는 분산 효과가 미미하고, 2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무의미하므로 상기 윤활제의 사용량은 펠릿형 마스터배치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 2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의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은 강도 향상을 목적으로, 제1혼합물에 유리섬유를 더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마스터배치 10.0 ~ 35.0 wt%; 수지 60.0 ~ 85.0 wt%; 유리섬유 5.0 ~ 20.0 wt%의 배합비로 조성한 후, 용융, 방사시켜 제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스터배치 20.0 wt%; 수지 70.0 wt%; 유리섬유 10.0 wt%의 배합비로 조성한 후, 용융, 방사시켜 강도를 향상시킨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제조한다.
제2실시예의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은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55.0 ~ 80.0 wt%와,
야광도료(B') 0.5 ~ 50.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C') 0.1 ~ 20.0 wt%;를 혼합(A'+B'+C')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10.0 ~ 4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우레탄(PU), 나일론(Nylon), 폴리에스터(Polyester)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60.0 ~ 90.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2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방사하여 제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의 바인더 수지(A') 70.0 wt%와,
야광도료(B') 25.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의 윤활제(C') 5.0 wt%;를 혼합(A'+B'+C')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형 마스터배치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펠릿형 마스터배치 35.0 wt%와 폴리프로필렌(PP) 6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혼합물을 190 ℃에서 용융, 방사하여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을 제조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야광도료는 오랜지(Orange), 엘로우(Yellow), 블루(Blue), 그린(Green), 레드(Red), 바이올렛(Violet)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축광도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야광도료의 종류에 특별히 한정을 두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형광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은 신축성 향상을 목적으로, 제2혼합물을 조성하는 수지를 사용함에 있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나일론(Nylon), 폴리에스터(Polyester) 중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리프팅 벨트(20)와 제2리프팅 벨트(3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부텐,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설폰, 액정 중합체, 폴리에틸렌-코-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환형 폴리올레핀,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A) 80.0 ~ 95.0 wt%와,
Poly(ethylene-co-butyl acrylate-co-glycidyl methacrylate)(E-BA-GMA) 100중량부에 대해 Dicumyl peroxide(DCP) 0.25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융혼합된 DCP modified E-BA-GMA 75.0 ~ 85.0 wt%; Triazole-PVOH 15.0 ~ 2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열가소성탄성체(energetic thermoplastic elastomer, ETPE)(B) 5.0 ~ 20.0 wt%의 혼합물(A+B)로부터 제조된 고강도 탄성벨트로서, 높은 신축성과 강도로 인해 안정적으로 해충방지 야광톤백(1)의 운반이 가능하다.
상기 열가소성탄성체의 구성 성분 중 Triazole-PVOH의 함량이 15.0 wt% 미만이거나 또는 25.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탄성회복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상기 Triazole-PVOH의 사용량은 열가소성탄성체의 전체 함량에 대해 15.0 ~ 25.0 wt%의 범위 내에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지 야광톤백은 톤백 주변으로 해충, 쥐 등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농산물, 가공식품의 저장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저장 창고의 시설 개선을 위한 막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농협 RPC 저장소의 장기간 보관하는 나라미 저장에 사용하거나 식품 회사의 완성품 저장에 사용함으로써 해충, 쥐 등에 의해 폐기처분되는 농산물, 식품의 상당량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야광 기능을 가짐으로써 조명이 어둡거나 거의 없는 장소에서도 톤백 원단, 리프팅 벨트의 식별이 용이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포장, 하역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인적, 물적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1 : 해충방지 야광톤백
10: 저장부
20: 제1리프팅 벨트
30: 제2리프팅 벨트

Claims (3)

  1. 합성수지로 직조되어 네개의 측면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은 개방되어 중공의 백(bag) 구조를 이루어 내용물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부(10)와,
    상기 저장부(10)의 네개의 측면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세로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띠를 이루어 형성되되, 상기 개방된 상면 위로 한 쌍의 띠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구조를 이루는 제1리프팅 벨트(20)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고리가 각각 상기 제1리프팅 벨트와 결합을 이루는 제2리프팅 벨트(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저장부(10)는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40.0 ~ 80.0 wt%와,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또는 박하 오일(peppermint oil) 중 선택되는 제1성분(b1) 10.0 ~ 5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 마늘추출물, 양파추출물, 왕관초(Fritillaria imperialis)추출물, 대극(Euphorbia)추출물, 섬꽃마리속(Cynoglossum)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성분(b2) 10.0 ~ 50.0 wt%; 제충국 추출물 0.1 ~ 99.9 wt%와, 회향 추출물 0.1 ~ 99.9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3성분(b3) 10.0 ~ 50.0 wt%;의 혼합(b1+b2+b3)으로 조성되는 100.0 wt%의 해충방지제(B) 0.5 ~ 50.0 wt%와,
    야광도료(C) 0.5 ~ 25.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D) 0.1 ~ 20.0 wt%;를 혼합(A+B+C+D)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5.0 ~ 3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28.0 ~ 80.0 wt%;
    탄산칼슘(CaCO3) 0.1 ~ 20.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오가노니켈(OrganoNickel)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자외선 방지제 0.01 ~ 3.0 wt%;
    SiO2, Al2O3, MgO, Ag, Zn, Ag,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이나 또는 콜로이드상 금(colloidal gol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항취제 0.01 ~ 3.0 wt%;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류, 이미다졸류 또는 아미노산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청제 0.01 ~ 3.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 데칸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할로겐계 난연제 0.01 ~ 3.0 wt%;
    적린,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네이트계, 포스피네이트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계 난연제 0.01 ~ 3.0 wt%;
    삼산화안티몬(Sb2O3) 0.01 ~ 3.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0.01 ~ 3.0 wt%;
    모노글리세리드계 또는 폴리글리세리드계 중 선택되는 대전 방지제 0.5 ~ 1.0 wt%;
    페놀계 또는 황계 중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 0.01 ~ 3.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한 얀(yarn)을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으로 이용하되,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일차적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이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두고 한 번은 올라가고 한 번은 내려가도록 교대로 교차하면서 직조하여 이루어진 직물을 재단, 봉제함으로써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지 야광톤백.
  2. 합성수지로 직조되어 네개의 측면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은 개방되어 중공의 백(bag) 구조를 이루어 내용물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부(10)와,
    상기 저장부(10)의 네개의 측면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세로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띠를 이루어 형성되되, 상기 개방된 상면 위로 한 쌍의 띠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구조를 이루는 제1리프팅 벨트(20)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고리가 각각 상기 제1리프팅 벨트와 결합을 이루는 제2리프팅 벨트(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저장부(10)는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40.0 ~ 80.0 wt%와,
    계피 오일(cinnamon oil),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lemon eucalyptus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또는 박하 오일(peppermint oil) 중 선택되는 제1성분(b1) 10.0 ~ 50.0 wt%; 캡산틴(capsanthin:C40H56O3), 베타-카로틴(β-carotene:C40H56), 루테인(lutein:C40H55O2), 크립토잔틴(cryptoxanthin:C40H56O), 아데닌(adenine:C5H5N5), 베타인(betaine:C5H11NO2), 콜린(choline:C5H14NO), 마늘추출물, 양파추출물, 왕관초(Fritillaria imperialis)추출물, 대극(Euphorbia)추출물, 섬꽃마리속(Cynoglossum)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성분(b2) 10.0 ~ 50.0 wt%; 제충국 추출물 0.1 ~ 99.9 wt%와, 회향 추출물 0.1 ~ 99.9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3성분(b3) 10.0 ~ 50.0 wt%;의 혼합(b1+b2+b3)으로 조성되는 100.0 wt%의 해충방지제(B) 0.5 ~ 50.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C) 0.1 ~ 20.0 wt%;를 혼합(A+B+C)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5.0 ~ 3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28.0 ~ 80.0 wt%;
    탄산칼슘(CaCO3) 0.1 ~ 20.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오가노니켈(OrganoNickel)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자외선 방지제 0.01 ~ 3.0 wt%;
    SiO2, Al2O3, MgO, Ag, Zn, Ag,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이나 또는 콜로이드상 금(colloidal gol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항취제 0.01 ~ 3.0 wt%;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류, 이미다졸류 또는 아미노산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청제 0.01 ~ 3.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 데칸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할로겐계 난연제 0.01 ~ 3.0 wt%;
    적린,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네이트계, 포스피네이트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계 난연제 0.01 ~ 3.0 wt%;
    삼산화안티몬(Sb2O3) 0.01 ~ 3.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0.01 ~ 3.0 wt%;
    모노글리세리드계 또는 폴리글리세리드계 중 선택되는 대전 방지제 0.5 ~ 1.0 wt%;
    페놀계 또는 황계 중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 0.01 ~ 3.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한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과,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A') 55.0 ~ 80.0 wt%와,
    야광도료(B') 0.5 ~ 25.0 wt%와,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윤활제(C') 0.1 ~ 20.0 wt%;를 혼합(A'+B'+C')하여 고압압출기를 통해 펠릿으로 제조된 마스터배치 5.0 ~ 30.0 wt%;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우레탄(PU), 나일론(Nylon), 폴리에스터(Polyester)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수지 28.0 ~ 80.0 wt%;
    탄산칼슘(CaCO3) 0.1 ~ 20.0 wt%;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오가노니켈(OrganoNickel)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자외선 방지제 0.01 ~ 3.0 wt%;
    SiO2, Al2O3, MgO, Ag, Zn, Ag, 콜로이드상 은(colloidal silver) 또는 콜로이드상 금(colloidal gold)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항균·항취제 0.01 ~ 3.0 wt%;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아미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류, 이미다졸류 또는 아미노산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청제 0.01 ~ 3.0 wt%;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 데칸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할로겐계 난연제 0.01 ~ 3.0 wt%;
    적린, 포스페이트계, 포스포네이트계, 포스피네이트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인계 난연제 0.01 ~ 3.0 wt%;
    삼산화안티몬(Sb2O3) 0.01 ~ 3.0 wt%;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 디메틸프탈레이트(DMP), 디에틸프탈레이트(DE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페닐프탈레이트(DP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0.01 ~ 3.0 wt%;
    모노글리세리드계 또는 폴리글리세리드계 중 선택되는 대전 방지제 0.5 ~ 1.0 wt%;
    페놀계 또는 황계 중 선택되는 산화 방지제 0.01 ~ 3.0 wt%;를 혼합하여 조성된 제2혼합물을 170 ~ 190 ℃에서 용융 후 필름형태로 연신한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을 이용하여 제조되되,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일차적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이 상기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을 두고 한 번은 올라가고 한 번은 내려가도록 교대로 교차하면서 직조하여 이루어진 직물을 재단, 봉제함으로써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지 야광톤백.
  3. 청구항 2에 있어서,
    경사(warp threads)용 얀(yarn)(101)은 제1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유리섬유 5 ~ 20 wt%를 더 첨가하여 조성한 후, 용융, 방사시켜 강도를 향상시킨 것이며,
    위사(weft threads)용 얀(yarn)(102)은 제2혼합물을 조성하는 수지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나일론(Nylon), 폴리에스터(Polyester) 중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 하여 신축성을 향상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지 야광톤백.
KR1020180059798A 2018-05-25 2018-05-25 해충방지 야광톤백 KR10201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98A KR102019906B1 (ko) 2018-05-25 2018-05-25 해충방지 야광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98A KR102019906B1 (ko) 2018-05-25 2018-05-25 해충방지 야광톤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906B1 true KR102019906B1 (ko) 2019-09-11

Family

ID=6794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98A KR102019906B1 (ko) 2018-05-25 2018-05-25 해충방지 야광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3098A (zh) * 2019-10-09 2020-01-03 江苏万纳普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乙烯改性专用阻燃增效功能母粒及其制备方法
KR20230099514A (ko) 2021-12-27 2023-07-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충성을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KR20230099513A (ko) 2021-12-27 2023-07-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충성을 지속적으로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818B1 (ko) 2013-07-05 2014-08-26 한상학 통풍기능을 갖는 이중 톤백
KR101704209B1 (ko) 2015-06-08 2017-02-07 한현호 톤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818B1 (ko) 2013-07-05 2014-08-26 한상학 통풍기능을 갖는 이중 톤백
KR101704209B1 (ko) 2015-06-08 2017-02-07 한현호 톤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3098A (zh) * 2019-10-09 2020-01-03 江苏万纳普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乙烯改性专用阻燃增效功能母粒及其制备方法
KR20230099514A (ko) 2021-12-27 2023-07-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충성을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KR20230099513A (ko) 2021-12-27 2023-07-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충성을 지속적으로 발현하는 저장 농산물용 기능성 방향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906B1 (ko) 해충방지 야광톤백
US9655359B2 (en) Solid core microcapsula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5307805B2 (ja) 部分的に協力剤を備える殺虫性バリヤ
US20040034149A1 (en) Essential oils in plastic film
DE112017005695T5 (de) Antimikrobielle Gasfreisetzungsmittel und -systeme und Verfahren zur Verwendung derselben
CN102362019B (zh) 纺织品
CN102149860A (zh) 灭除昆虫的纺织品
Ibrahim Essential oil nanoformulations as a novel method for insect pest control in horticulture
US20060034898A1 (en) Method for using FIFRA-exempt substances, materials exhibiting antimicrobial, insecticidal, biocidal and/or odor controlling properties having one or more of these substances coated thereon and/or incorporated therein, and products that are made using these materials
US20130005688A1 (en) Insecticidal composition
US20190037846A1 (en) Insecticidal Polymer Matrix Comprising PBO and DM
US5843215A (en) Insect repellent coatings
CN106998673A (zh) 用于土壤熏蒸的自粘膜
López et al. New Insights into biopesticides: Solid and liquid formulations of essential oils and derivatives
CN101848638A (zh) 具有二相反抵抗杀虫物体的空间
WO2013171118A2 (en) A strong insecticidal net
JP4944289B2 (ja) ミカンキイロアザミウマ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EP1582555A1 (de) Thermoplastische photobiologische Kunststofffolie
CA2802515A1 (en) Double walled rodent repellent bag
KR200322572Y1 (ko) 쌀벌레 방지용 항균 중포장 지대
EP2531037A1 (en) A botanical pesticide for agriculture/horticulture crops
Kim et al. Insect repellency and crop productivity of essential oil films
CN108812663A (zh) 2-壬酮作为二化螟雌虫驱避剂组分的用途及驱避剂
Navarro et al. Natural nontoxic insect repellent packaging materials
JP2023048473A (ja) 害虫防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