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977B1 -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977B1
KR101700977B1 KR1020117019655A KR20117019655A KR101700977B1 KR 101700977 B1 KR101700977 B1 KR 101700977B1 KR 1020117019655 A KR1020117019655 A KR 1020117019655A KR 20117019655 A KR20117019655 A KR 20117019655A KR 101700977 B1 KR101700977 B1 KR 10170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ltraviolet
mass
oi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439A (ko
Inventor
히데토 우에다
고지 아베
아키오 나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1011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Abstract

과제
폭넓은 자외선 영역에 걸쳐 매우 우수한 자외선 방어 촉진 효과 (= 자외선 흡수능의 부스터 효과) 를 갖고, 또한, 사용성 (매끈함, 보송함, 끈적함이 없는 것 등) 이 우수한 저점도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a) 수용성 고분자를 0.01 ∼ 10 질량%, (b) 자외선 흡수제를 0.01 ∼ 30 질량% 함유하고, 화장료의 점도가 10,000 m㎩·s (B 형 점도계, 30 ℃) 이하이고, 수상이 45 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Description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WATER-IN-OIL-TYPE EMULSION SUNSCREEN COSMETIC}
본 발명은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폭넓은 자외선 영역에 걸쳐 매우 우수한 자외선 방어 촉진 효과를 갖고, 또한 사용성 (매끈함, 보송함, 끈적함이 없는 것 등) 이 우수한 저점도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선스크린 화장료에 의한 중요한 자외선 흡수 파장 영역은, UV-A 영역 (320 ∼ 400 ㎚) 과 UV-B 영역 (290 ∼ 320 ㎚) 이다. 종래, UV-A 영역의 자외선은 피부를 흑화시키지만, UV-B 영역의 자외선과 같이 선번 (sun burn) 을 일으켜,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었다. 그런데 최근, UV-B 영역의 자외선이 비교적, 피부의 표면 부분에 머무르는 데에 반하여, UV-A 영역의 자외선이 피부의 심부까지 달하고, 피부의 노화는 원래 피부암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때문에 UV-B 영역, UV-A 영역을 포함하는 폭넓은 자외선 영역에 걸쳐 자외선 방어 효과를 발휘하는 선스크린 화장료가 요구되게 되었다.
특히 근래에는 미백 붐도 있어, 최근에는 종래보다 더욱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한 선스크린 화장료가 요구되고 있다. 또 우수한 사용성 (끈적함이 없는 것 등) 도 겸비한 제품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시에 퍼짐이 무거워지지 않도록 저점도인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선스크린 화장료에 가까운 기술로서, 예를 들어 이하의 특허문헌 1 ∼ 3 에 기재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즉,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62930호 (특허문헌 1) 에는,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수용성 증점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용성 고분자 등),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 및 특정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가 촉촉한 사용성을 해치지 않고, 자외선 방어능,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선스크린 화장료는, 수중유형 유화 타입이기 때문에 사용성이 촉촉하여 좋은 반면, 유중수형 유화 타입에 비하면 내수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17379호 (특허문헌 2) 에는, 옥토크릴렌과, 소수화 처리를 실시한 이산화티탄 및/또는 산화아연을 유상 (외상) 에 병용 배합한 유중수형 유화계의 수상 (내상) 에,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을 중화하여 염으로서 배합 함으로써,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와 시간이 경과해도 변취 방지·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2 에는,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와 수용성 고분자를 병용함으로써, 자외선 흡수능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킨다 (= 자외선 흡수능의 부스터 효과) 라고 하는 것에 대한 기재·시사는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91094호 (특허문헌 3) 에는, 표면이 (디메티콘/메티콘) 코폴리머와 유기 티타네이트 및/또는 트리알콕시알킬실란으로 피복된 표면 처리 산화아연을 배합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가, 퍼짐성이 우수하고, 시간이 경과해도 분체의 분산 안정성,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3 에도,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와 수용성 고분자를 병용함으로써, 자외선 흡수능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킨다 (= 자외선 흡수능의 부스터 효과) 라고 하는 것에 대한 기재·시사는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629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173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91094호
본 발명은 폭넓은 자외선 영역에 걸쳐 매우 우수한 자외선 방어 촉진 효과를 갖고, 또한 사용성 (매끈함, 보송함, 끈적함이 없는 것 등) 이 우수한 저점도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유중수형 유화계에 있어서는, 분산상인 수상에 수용성 고분자 등의 분자량이 큰 수성 성분을 배합하면, 사용성면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에서 유래하는 끈적임을 발생시키기 쉽다는 염려나, 계 (系) 의 안정성 (밸런스) 등의 면에서, 수상에 수용성 고분자를 적극적으로 배합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었다.
그런데 이번에, 본 발명자들이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의 계에 있어서, 수상에 수용성 고분자를 배합한 결과 놀랍게도, 넓은 자외선 영역에 걸쳐 자외선 흡수능이 현격히 증대되고 (= 자외선 흡수능의 부스터 효과), 또한 사용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아 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수용성 고분자를 0.01 ∼ 10 질량%, (b) 자외선 흡수제를 0.01 ∼ 30 질량% 함유하고, 화장료의 점도가 10,000 m㎩·s (B 형 점도계. 30 ℃) 이하이고, 수상이 45 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폭넓은 자외선 영역에 걸쳐 매우 우수한 자외선방어 촉진 효과 (= 자외선 흡수능의 부스터 효과) 를 갖고, 또한 사용성 (매끈함, 보송함, 끈적함이 없는 것 등) 이 우수한 저점도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a) 성분으로서의 수용성 고분자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무기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는, 아라비아감, 트래거캔스검, 갈락탄,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타마린트검, 캐러브검, 카라야검, 카리기난, 펙틴, 한천, 퀸스씨드 (마르메로), 알게콜로이드 (해초 엑기스), 전분 (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실리진산 등의 식물계 수용성 고분자 ; 잔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리칸, 블르란 등의 미생물계 수용성 고분자 ; 콜라겐, 카세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수용성 고분자 등이 예시된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수용성 고분자 ;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용성 고분자 ;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이 예시된다.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카보폴) 등의 비닐계 수용성 고분자 ;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동 4,000,000, 동 600,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수용성 고분자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계 수용성 고분자 ;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수용성 고분자 이외에, 폴리에틸렌이민, 카티온 폴리머 등이 예시된다.
무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벤토나이트, 규산 AlMg (비검),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이 예시된다.
(a)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중에서도, 자외선 방어 향상 효과면에서, 천연 수용성 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식물계 수용성 고분자, 미생물계 수용성 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한천, 숙시노글리칸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a)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 화장료 중에서, 0.01 ∼ 1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 질량% 이다. 0.01 질량% 미만에서는 자외선 방어 향상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렵고, 한편 10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사용성, 제제의 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b) 성분으로서의 자외선 흡수제는, 화장료에 배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용성, 수용성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벤조산 (PABA),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에스테르,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등의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3,4,5-트리메톡시계피산3-메틸-4-[메틸비스(트리메틸실릭시)실릴]부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진, 디아니소일메탄,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4-(1,1-디메틸에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옥토크릴렌〔=2-시아노-3,3-디페닐-2-프로펜산-2-에틸헥실에스테르〕, 폴리실리콘-15〔=디메티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토크릴렌, 폴리실리콘-15 등이, (a) 성분과의 병용에 의한 자외선 방어능 촉진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시레이트,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하이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 페닐벤조이미다졸-5-술폰산 및 그 염, 페닐렌-비스-벤조이미다졸-테트라술폰산 및 그 염 등의 벤조이미다졸계 자외선 흡수제 ;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 3-(4'-메틸벤질리덴)-d,l-캄파, 3-벤질리덴-d,l-캄파,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벤조이미다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이, (a) 성분과의 병용에 의한 자외선 방어능 촉진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b)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 화장료 중에서 0.01 ∼ 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2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질량% 이다. 0.01 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자외선 방어능을 얻는 것이 어렵고, 한편 30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사용성, 제제의 안정성, 안전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b)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a) 성분과 (b) 성분을 함유하는데, 종래, 사용성 (끈적임 등) 등의 면에서 유중수형 유화계에 (a) 성분을 적극적으로 배합하는 것은 행해지지 않았었다. 본 발명에서는, 유중수형 유화계에 있어서, (b) 성분에 (a) 성분을 조합 배합함으로써, (b) 성분이 갖는 자외선 흡수능이 더욱 촉진된다 (= 자외선 흡수능의 부스터 효과) 라고 하는, 종래 예측되지 않았던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로써, (b) 성분이 종래에 비해 비교적 저배합이어도, 종래의 (b) 성분 고배합 레벨보다 현격히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유중수형 유화계에 흔히 있는 도포시의 기름기나 끈적임 등의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즉 자외선 방어 효과의 각별한 향상과 사용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에는, 추가로 내수성 향상 등의 면에서 소수성 분말을 배합해도 된다. 소수성 분말은, 분말 자체가 소수성인 것 뿐만 아니라, 친수성 분말 등이라도 분말 표면을 소수화 처리한 소수화 처리 분말도 포함한다.
소수성 분말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 (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 4 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유기 분말이나, 트리메틸실세스키옥산 분말 등의 실리콘 분말 등이 예시된다.
소수화 처리 분말의 분말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탤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 (셀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파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 (소 석고), 인산칼슘, 불소어퍼타이트, 하이드록시어퍼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등), 질화 붕소 등의 무기 분말 ;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백색 안료 ; 산화철 (벵갈라), 티탄산철 등의 무기 적색계 안료 ;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 흑산화철, 카본 블랙, 저차 이산화티탄 등의 무기 흑색계 안료 ;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계 안료 ;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계 안료 ; 군청, 감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 이산화티탄 코티드 마이카, 이산화티탄 코티드 옥시염화비스무트, 이산화티탄 코티드 탤크, 착색 이산화티탄 코티드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魚鱗箔) 등의 펄 안료 ; 알루미늄 파우더, 카파 파우더 등의 금속 분말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분말 성분을 소수화 처리한 것이 사용된다.
소수화 처리 방법으로는,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되고, 그 방법은 상관없지만, 예를 들어, 기상법, 액상법, 오토클레이브법, 메카노케미컬법 등, 통상적인 표면 처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화 처리제를 원료 분말에 첨가하여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적당한 용매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에탄올, 자일렌, 휘발성 실리콘 등) 에 희석하여 첨가해도 되고, 혹은 직접 첨가해도 된다. 분말과 처리제의 혼합 교반에는, 볼밀, 포저사이트 볼밀, 진동 볼밀, 애트라이터, 포트밀, 라드밀, 판밀, 호모믹서, 호모디스퍼, 헨셸 믹서, 나우터 믹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분말 표면의 활성을 이용하여, 기상 반응에 의해 100 ℃ 이하의 저온에서 고리형 오르가노실록산을 분말 표면 상에서 중합시키는 방법 (일본 특허공보 평1-54380호) 이나, 상기 방법 후에 표면의 실리콘 폴리머의 Si-H 부분에 글리세롤모노알릴에테르 등의 팬던트기를 부가시키는 방법 (일본 특허공보 평1-54381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소수화 처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디메틸폴리실록산 코폴리머,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류를 사용한 처리 ; 옥틸트리에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 화합물을 사용한 처리 ;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을 사용한 처리 ; 상기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등을 사용한 금속 비누 처리 ; 퍼플루오로알킬인산디에탄올아민염, 퍼플루오로알킬트리메톡시실란 등을 사용한 불소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수성 분말은 발수성이 강하고, 실제로 유화물에 적용한 경우에도 물이나 땀에 강하며, 화장이 지워지는 일이 매우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다. 또 유화 입자가 치밀하여 장기 안정성도 가장 우수하다.
이들 소수성 분말은 1 종을 사용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 일반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소수성 분말이면 되고, 상기 예시한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방어면에서, 소수화 처리를 실시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을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소수화 처리를 한 이산화티탄으로는, 예를 들어, 「TTO-S-4」, 「TTO-V-4」 (모두 이시하라 산업 (주) 제조), 「MT-100 TV」, 「MT-014 V」 (모두 테이카 (주) 제조) 등을 시판품으로서 들 수 있고, 또, 소수화 처리를 한 산화아연으로는, 예를 들어, 「FZO-50」 (이시하라 산업 (주) 제조), 「MZ-700」 (테이카 (주) 제조), 「Z-Cote HP-1」 (바스후 (BASF) 사 제조) 등을 시판품으로서 들 수 있다.
소수성 분말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본 발명 화장료 중에 0.1 ∼ 5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0 질량%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20 질량% 이다. 배합량이 0.1 질량% 미만에서는 소수성 분말을 배합한 효과를 충분히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고, 한편 50 질량% 초과하면 사용성, 제제의 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점도가 10,000 m㎩·s (30 ℃, B 형 점도계) 이하의 저점도이고, 바람직하게는 6,000 m㎩·s 이하이다. 점도가 10,000 m㎩·s 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도포시의 퍼짐이 무거워져, 양호한 조작감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의 제형은, 크림 형상, 액상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가만히 정지시에는 2 층으로 나누어져, 사용시에 흔들어 사용하는 2 층 분산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저점도의 유화계에서는, 특히 수상에 분자량이 큰 수용성 고분자를 적극적으로 배합하는 것은 종래 없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고, 유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수상과 유상을 각각 70 ℃ 정도로 가온하고, 가온한 수상을 유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기로 유화하고, 그 후 실온까지 방랭시키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수상을 화장료 전체량에 대해 45 질량% 이하의 비율로 배합한다. 수상이 45 질량% 초과하면 화장료의 점도가 높아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 외용제로 사용되는 다른 임의 첨가 성분, 예를 들어, 유지, 밀랍류, 탄화수소유,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합성 에스테르유, 계면활성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분말 성분,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션, pH 조제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보조제, 향료, 물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 유기 변성 점토 광물을 배합해도 된다. 유기 변성 점토 광물로는,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 쿠오타니움 18 헥토라이트),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벤토나이트 (= 쿠오타니움 18 벤토나이트), 벤질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나,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염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옥타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염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디헥사데실디메틸암모늄염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변성 점토 광물을 배합하는 경우, 배합량은 화장료 중에 1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방부제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 소염제 (예를 들어, 글리실리진산 유도체, 글리틸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녹티올, 산화아연, 아란트인 등) ; 미백제 (예를 들어, 범의귀 추출물, 알부틴 등) ; 각종 추출물 (예를 들어, 오우바크, 황련, 자근, 작약, 자주쓴풀, 자작나무, 샐비어, 비파나무,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의이인, 수세미, 백합, 샤프란, 천궁, 생강,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조 등), 부활제 (예를 들어, 로열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 혈행 촉진제 (예를 들어, 노닐산와레닐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캅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틴크, 이크타몰, 타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크란데레이트, 신나리진, 트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 ; 항지루제 (예를 들어, 황, 티안톨 등) ; 항염증제 (예를 들어,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등)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합량은 모두 질량% 로 나타낸다.
1. 자외선 방어 촉진 효과, 점도
(실시예 1 ∼ 8, 대조예 1 ∼ 8)
자외선 흡수제에 수용성 고분자를 조합하는 것에 의한 자외선 흡수능 증대 효과 (= 자외선 흡수능의 부스터 효과) 에 대하여, 하기 표 2 ∼ 3 에 나타내는 조성의 저점도 시료를 사용하여 시험을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표 2 ∼ 3 중, 「대조예」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만,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지 않는 계이고, 「실시예」는 자외선 흡수제와 수용성 고분자를 병용한 계이다.
<자외선 방어 촉진 효과>
(시험 방법)
각 시료를 도포용 기판 상에 2 ㎎/㎠ 의 비율로 도포하고, 분광 광도계 (「U-4100」;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제조) 를 사용하여, 시료 중에 함유되는 각 자외선 흡수제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극대 흡수 파장 (λmax) (㎚) 에서의 자외선 흡광도 (abs.) 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표 2 ∼ 3 에 나타낸다. 자외선 흡광도의 값이 클수록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하다. 시료 중에 함유되는 각 자외선 흡수제의 λmax (㎚) 는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시료 배합되는 자외선 흡수제 λmax (㎚)
대조예 1, 실시예 1A, 1B
대조예 7, 실시예 7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311
대조예 2, 실시예 2A, 2B 옥토크릴렌 303
대조예 3, 실시예 3A, 3B 디메티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312
대조예 4, 실시예 4A, 4B
대조예 8, 실시예 8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302
대조예 5, 실시예 5A, 5B 페닐디벤조이미다졸테트라술폰산 2 나트룸 335
대조예 6, 실시예 6A, 6B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364
(자외선 흡수능 증가율)
각 대조예에 대한 각 실시예에서의 자외선 흡광도 (abs.) 의 증가율을, 측정값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실시예, 대조예와도 동일한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한 것끼리 대비하였다. 결과를 표 2 ∼ 3 에 나타낸다.
(자외선 방어 효과)
각 실시예에서의 상기 자외선 흡수능 증가율로부터, 자외선 방어 효과를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A++ : 자외선 흡수능 증가율이 대조예에 비해 20 % 초과로 높아졌다
A+ : 자외선 흡수능 증가율이 대조예에 비해 10 % 초과 ∼ 20 % 높아졌다
A : 자외선 흡수능 증가율이 대조예에 비해 5 % 초과 ∼ 10 % 높아졌다
B : 자외선 흡수능 증가율이 대조예에 비해 0 % 초과 ∼ 5 % 높아졌다
C : 자외선 흡수능 증가율이 대조예와 동일하거나, 혹은 대조예에 비해 저하되었다.
<점도>
조제 후 각 시료를 진탕했을 때의 점도를 B 형 점도계〔「비스메트론 점도계」 (시바우라 시스템 (주) 제조), 회전수 12 rpm〕를 사용하여, 30 ℃ 에서 측정하였다.
Figure 112011065798539-pct00001
Figure 112011065798539-pct00002
또한 표 2 ∼ 3 중, 이하에 나타내는 화합물은 하기 제품을 사용하였다.
디메티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1) : 「파르소르 SLX」 (DSM 뉴트리숀 쟈판 (주) 제조),
페닐벤조이미다졸술폰산 (*2) : 「오소렉스 232」 (머크사 제조),
페닐디벤조이미다졸테트라술폰산 2 나트륨 (*3) : 「네오헤리판 AP」 (하만 앤드 레이마사 제조),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4) : 「치노소브 M」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표 2 ∼ 3 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UV-A 영역 (320 ∼ 400 ㎚), UV-B 영역 (290 ∼ 320 ㎚) 중 어느 자외선 흡수 파장 영역을 갖는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한 경우라도, 자외선 흡수제에 수용성 고분자를 병용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를 단독 배합한 경우에 비해, 자외선 방어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2.사용성
(실시예 9, 대조예 9)
하기 표 4 에 나타내는 실시예 9 (한천 배합 처방), 대조예 9 (한천 배합 없음) 의 사용성을 여성 패널 (10 명) 에게 사용하게 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각 평가 항목에 대하여, 대조예 9 보다 실시예 9 의 사용성이 개선되어 있는지 여부를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한, 대조예 9 에 비해 실시예 9 의 사용성이 저하되었다는 평가는 없었다.
(평가 기준)
A+ : 10 명 중 7 명 이상이 개선되었다고 회답
A : 10 명 중 5 명 이상이 개선되었다고 회답
B : 10 명 중 3 명 이상이 개선되었다고 회답
C : 10 명 중 2 명 이하가 개선되었다고 회답
Figure 112011065798539-pct00003
Figure 112011065798539-pct00004
표 5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한천 (수용성 고분자) 을 배합한 실시예 9 에서는, 한천을 배합하지 않은 대조예 9 에 비해 사용성이 개선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하에 추가로 처방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0 :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유액)
(배합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5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
(3) 올레핀 올리고머 10
(4) 디메틸폴리실록산 2
(5) 향료 적당량
(6) 트리스(폴리프로필렌글리콜-3 벤질에테르)구연산 5
(7)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5
(8)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5
(9) 유기 변성 점토 광물 0.1
(10) 소수화 처리 (실란 처리)·카티온 처리 산화아연 15
(11) 구상 수지 미립자 분말 (「간쓰파르」, 간쓰 화성사 제조) 3
(12) 이온 교환수 잔여
(13) 글리세린 3
(14) 한천 1
(15) 에데트산염 적당량
(16) 페녹시에탄올 0.5
(제조 방법)
(7), (8) 을 80 ℃ 에서 혼합 용해시키고, (1) ∼ (6) 의 유상에 첨가한다. 다음으로, (9) ∼ (11) 을 첨가하고, 디스퍼저에서 분산 혼합한다. (12) ∼ (16) 을 95 ℃ 에서 혼합 가열 용해시키고 난 후 유상에 디스퍼저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한 후, 25 ℃ 까지 급랭시켜 목적으로 하는 선스크린 유액을 얻는다.
(실시예 11 :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유액)
(배합 성분) (질량%)
(1) 트리메틸실록시규소 0.2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5
(3) 경질 이소파라핀 15
(4) 테트라이소부탄 15
(5) 디메틸폴리실록산 3
(6) 향료 적당량
(7) 2-에틸헥산 2-에틸헥실 2
(8)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
(9) 옥토크릴렌 2
(10) 소수화 처리 (실란 처리)·카티온 처리 산화아연 18
(11) 가교형 실리콘·그물형 실리콘 공중합체 2
(12) 이온 교환수 잔여
(13) 글리세린 3
(14) 한천 0.5
(15) 에데트산염 적당량
(16) 페녹시에탄올 0.3
(제조 방법)
(1) ∼ (11) 을 디스퍼저에서 분산 혼합한다. (12) ∼ (16) 를 95 ℃ 에서 혼합 가열 용해하고 난 후 유상에 디스퍼저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한 후, 25 ℃ 까지 급랭시켜 목적으로 하는 선스크린 유액을 얻는다.
(실시예 12 :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유액)
(배합 성분) (질량%)
(1) 트리메틸실록시규소 0.2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5
(3) 시클로메티콘 30
(4) 디메틸폴리실록산 3
(5) 향료 적당량
(6) 2-에틸헥산산 2-에틸헥실 2
(7)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
(8) 옥토크릴렌 2
(9) 소수화 처리 (실란 처리)·카티온 처리 산화아연 18
(10) 가교형 실리콘·그물형 실리콘 공중합체 2
(11) 이온 교환수 잔여
(12) 글리세린 2
(13) 숙시노글리칸 0.5
(14) 에데트산염 적당량
(15) 페녹시에탄올 0.3
(제조 방법)
(1) ∼ (10) 을 디스퍼저에서 분산 혼합한다. (11) ∼ (15) 를 혼합 용해 하고 난 후 유상에 디스퍼저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목적으로 하는 선스크린 유액을 얻는다.
(실시예 13 : 다상 선스크린 유액)
(배합 성분) (질량%)
(1)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5
(2) 이소스테아르산 0.2
(3)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5
(4) 4-(1,1-디메틸에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
(5) 트리스(폴리프로필렌글리콜-3 벤질에테르)구연산 5
(6)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5
(7) 폴리옥시부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2
(8)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0.5
(9) 소수화 처리 산화아연 10
(10) 실리콘 수지 미립자 분말 2
(「토스파르 2000B」; 모멘티브 파포멘스 마테리알즈사 제조)
(11) 구연산 0.04
(12) 구연산나트륨 0.06
(13) 디프로필렌글리콜 2
(14) 메틸글루코스 1
(15)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1
(16) 식염 0.1
(17) 숙시노글리칸 0.5
(18) 페녹시에탄올 적당량
(19) 이온 교환수 잔여
(제조 방법)
(1) ∼ (4) 의 유상을 (11) ∼ (19) 의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O/W 제제를 얻었다. 이 제제를 (5) ∼ (10) 의 유상 중에 서서히 첨가 후, 호모 믹서에서 교반하여, 목적으로 하는 샘플을 얻는다.
(실시예 14 :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배합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
(2)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20
(3)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
(4)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3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
(6) 이소스테아르산 0.5
(7) 알킬 변성 실리콘 수지 피복 이산화티탄 10
(8) 팔미트산덱스트린 피복 이산화티탄 5
(9) 팔미트산덱스트린 피복 탤크 5
(10) 바늘 형상 미립자 이산화티탄 1
(11) 팔미트산덱스트린 피복 벵갈라 0.5
(12) 팔미트산덱스트린 피복 황산화철 1.6
(13) 팔미트산덱스트린 피복 흑산화철 0.1
(14) 구상 무수 규산 5
(15) 무수 규산 피복 마이카 1
(16) 구연산나트륨 적당량
(17) 클라라 엑기스 1
(18) 한천 0.5
(19) 정제수 잔여
(제조 방법)
(1) ∼ (6) 을 디스퍼저에서 혼합한 유상에, (7) ∼ (13) 을 디스퍼저에서 분산 혼합한다. (14) ∼ (19) 를 95 ℃ 에서 혼합 가열 용해하고 난 후 유상에 디스퍼저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고,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한 후, 25 ℃ 까지 급랭시켜 목적으로 하는 유화 파운데이션을 얻는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저점도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폭넓은 자외선 영역에 걸쳐 매우 우수한 자외선 방어 촉진 효과를 갖고, 또한 사용성 (매끈함, 보송함, 끈적함이 없는 것 등) 이 우수하다.

Claims (4)

  1. (a) 한천, 숙시노글리칸, 또는 한천 및 숙시노글리칸을 0.05 ∼ 5 질량%, (b) 자외선 흡수제를 0.01 ∼ 30 질량% 함유하고, 화장료의 점도가 10,000 m㎩·s (30 ℃, B 형 점도계) 이하이고, 수상이 45 질량% 이하인, 상기 (b) 성분이 갖는 자외선 흡수능을 촉진시킨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진탕시켜 사용하는 2 층 분산형의 화장료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 점도가 10,000 m㎩·s (30 ℃, B 형 점도계) 이하이고, 수상이 45 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에, (a) 한천, 숙시노글리칸, 또는 한천 및 숙시노글리칸을 0.05 ∼ 5 질량%, (b) 자외선 흡수제를 0.01 ∼ 30 질량% 함유함으로써, 상기 (b) 성분이 갖는 자외선 흡수능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의 자외선 방어능 증대 방법.
  4. 삭제
KR1020117019655A 2009-01-27 2010-01-27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KR101700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15023 2009-01-27
JPJP-P-2009-015023 2009-01-27
PCT/JP2010/051008 WO2010087354A1 (ja) 2009-01-27 2010-01-27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439A KR20110112439A (ko) 2011-10-12
KR101700977B1 true KR101700977B1 (ko) 2017-01-31

Family

ID=4239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655A KR101700977B1 (ko) 2009-01-27 2010-01-27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89345B2 (ko)
EP (1) EP2392312B1 (ko)
JP (1) JP4902752B2 (ko)
KR (1) KR101700977B1 (ko)
CN (1) CN102300549B (ko)
AU (2) AU2010208982A1 (ko)
ES (1) ES2620053T3 (ko)
HK (1) HK1161541A1 (ko)
WO (1) WO20100873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327B1 (ko) * 2018-10-23 2019-08-26 이기호 차열 중간막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0297A1 (ja) * 2010-12-28 2012-07-05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2201664A (ja) * 2011-03-28 2012-10-22 Shiseido Co Ltd 日焼け止め化粧料
JP5546056B2 (ja) 2011-08-31 2014-07-09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BR102012000372B1 (pt) * 2012-01-06 2018-12-18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De Produtos Para Saúde Ltda composição cosmética aquosa de protetor solar e uso da mesma, método cosmético para aplicação da referida composição, método cosmético para prevenir e controlar a oleosidade da pele, método cosmético para proteger a pele dos danos causados pela radiação ultravioleta, e produto cosmético
EP2953605A4 (en) * 2012-12-24 2016-03-02 Unilever Nv USE OF A COSMETIC COMPOSITION
JP5834037B2 (ja) * 2013-03-08 2015-12-16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6166089B2 (ja) * 2013-03-29 2017-07-19 株式会社コーセー 粉体化粧料
JP2015117236A (ja) * 2013-11-12 2015-06-25 株式会社コーセー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6456815B2 (ja) * 2014-04-24 2019-01-23 株式会社 資生堂 スキンケア化粧料
US9713582B2 (en) 2015-04-13 2017-07-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ed cosmetic composition
JP6113899B2 (ja) * 2015-09-30 2017-04-12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WO2017057675A1 (ja) *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EP3636246A4 (en) * 2017-06-08 2021-03-10 Shiseido Co., Ltd. COSMETIC PREPARATION WITH WATER-IN-OIL EMULSION
JP2020105074A (ja) * 2018-12-11 2020-07-09 ロレアル 二相サンケア組成物
JP7267159B2 (ja) * 2019-09-12 2023-05-0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表面処理酸化亜鉛粒子及び塗布用組成物
CN115551463A (zh) * 2020-05-14 2022-12-30 花王株式会社 油包水型乳化防晒化妆品
FR3115199B1 (fr) * 2020-10-16 2024-03-08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cosmétiques
WO2022005894A1 (en) 2020-06-30 2022-01-06 L'oreal Water in oil emulsion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KR102269866B1 (ko) * 2020-10-30 2021-06-28 한국콜마주식회사 수분감이 극대화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118103018A (zh) * 2021-11-10 2024-05-28 株式会社资生堂 油包水型乳化化妆料
US20230293399A1 (en) * 2022-03-16 2023-09-21 SAV Consultants LLC Sunscreen-active mixtures, methods of forming treated mixtures for sunscreen compositions,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forming sunscreen composi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3516A (ja) * 2002-08-28 2004-03-18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3081A (ja) 1985-07-29 1988-05-18 Shiseido Co Ltd 改質粉体
AU691205B2 (en) * 1993-10-02 1998-05-14 Procter & Gamble Company, The Cosmetic make-up compositions
JP3850202B2 (ja) * 1999-06-11 2006-11-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2001226222A (ja) * 2000-02-15 2001-08-21 Kose Corp 乳化化粧料
DE10007486A1 (de) * 2000-02-18 2001-08-23 Bas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mittelzubereitungen
JP4046313B2 (ja) 2001-01-12 2008-02-13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乳化化粧料
JP4860045B2 (ja) * 2001-02-28 2012-01-25 株式会社コーセー 油中水型化粧料
JP4919543B2 (ja) * 2001-05-31 2012-04-18 株式会社コーセー 油中水型乳化化粧料
DE102004002997A1 (de) * 2004-01-19 2005-08-04 Beiersdorf Ag Dünnflüssige W/O Emulsionen ohne O/W-Emulgatoren
JP4683536B2 (ja) * 2005-03-11 2011-05-18 株式会社資生堂 日焼け止め乳化化粧料
JP4611839B2 (ja) * 2005-08-10 2011-01-12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皮膚外用剤
JP4566124B2 (ja) * 2005-12-14 2010-10-20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7161648A (ja) * 2005-12-14 2007-06-28 Shiseido Co Ltd 微粒子酸化亜鉛分散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4991161B2 (ja) * 2006-02-17 2012-08-01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組成物
JP5288521B2 (ja) 2006-02-20 2013-09-11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WO2007114463A1 (ja) * 2006-03-30 2007-10-11 Ajinomoto Co., Inc. 変性粘土鉱物
JP2007291094A (ja) 2006-03-31 2007-11-08 Kose Corp 油中水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2008162930A (ja) 2006-12-27 2008-07-17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5230954B2 (ja) * 2007-02-15 2013-07-10 株式会社コーセー 油中水乳化型日焼け止め料
DE102007027030A1 (de) * 2007-06-08 2008-12-11 Evonik Goldschmidt Gmbh Stabile, niedrigviskos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Esterquats und/oder Dialkylqua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3516A (ja) * 2002-08-28 2004-03-18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327B1 (ko) * 2018-10-23 2019-08-26 이기호 차열 중간막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2312A4 (en) 2015-03-18
KR20110112439A (ko) 2011-10-12
CN102300549B (zh) 2014-08-20
AU2016222398A1 (en) 2016-09-22
AU2010208982A1 (en) 2011-08-25
AU2016222398B2 (en) 2018-09-20
EP2392312B1 (en) 2016-12-21
ES2620053T3 (es) 2017-06-27
HK1161541A1 (en) 2012-07-27
EP2392312A1 (en) 2011-12-07
JP2010195773A (ja) 2010-09-09
US20120134939A1 (en) 2012-05-31
JP4902752B2 (ja) 2012-03-21
CN102300549A (zh) 2011-12-28
US9789345B2 (en) 2017-10-17
WO2010087354A1 (ja)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977B1 (ko)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JP4980071B2 (ja) 改質粉体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JP4560122B2 (ja) 酸化チタン分散体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4991161B2 (ja) 化粧料組成物
JP5554308B2 (ja) 日焼け止め水中油型乳化化粧料
CN108289812B (zh) 防晒化妆品
JP5260060B2 (ja) 微粒子酸化チタン分散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7295797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7161648A (ja) 微粒子酸化亜鉛分散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4866066B2 (ja) 化粧料
KR20170038664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3843627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5694818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0270073A (ja) 化粧料組成物
KR20210129735A (ko) 왁스 블렌드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WO2020054590A1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TWI802788B (zh) 含有蠟摻合物之彩色化妝品組成物的製造方法
KR20210036849A (ko)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JP2021080251A (ja) 皮膚外用剤
JPH107517A (ja) 化粧料
CN117979948A (zh) 液态油性组合物及包含所述组合物的化妆料
JP2010077032A (ja) 酸化チタン分散体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20200047247A (ko)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 및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9734A (ko) 왁스 블렌드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