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817B1 - 연기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817B1
KR101698817B1 KR1020160119219A KR20160119219A KR101698817B1 KR 101698817 B1 KR101698817 B1 KR 101698817B1 KR 1020160119219 A KR1020160119219 A KR 1020160119219A KR 20160119219 A KR20160119219 A KR 20160119219A KR 101698817 B1 KR101698817 B1 KR 10169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water
dust
dust collect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형구
Original Assignee
여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형구 filed Critical 여형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10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50Intercepting solids by cleaning fluids (washers or scrubbers)

Abstract

본 발명은 초미세 먼지도 집진 가능하면서도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지속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 오염 방지가 도모될 수 있고, 집진용 물을 여과시켜 재사용 가능하게 하여 폐수방류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오염방지가 도모될 수 있도록 개선된 연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여 집진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집진외곽프레임(110)과, 연기유입구(121)와 직결되는 유입연기집진공(122)이 있는 금속집진필터수단(120)과, 상기 유입연기집진공(122) 상부 중앙에서 물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유입연기집진살수수단(130)과, 상기 유입연기집진공(122)에서 연기가 지그재그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연기유도판(128,128')과, 상기 금속집진필터수단(120) 외측에 구비되어 외곽집진공간부(142)가 형성되게 하고 하부연기출구(141)를 구비하여 외곽집진공간부(142)의 연기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되게 하는 연기하강유도부재(140)와, 상기 외곽집진공간부(142)의 연기가 회오리치도록 하는 스크류형 회오리발생수단(144)과, 상기 연기하강유도부재(140)와 집진외곽프레임(110)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연기상승로(143)와, 상기 외곽집진공간부(142)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배출연기집진살수수단(150)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외곽프레임(110) 하부에서 물속에 있는 먼지가 여과되게 하는 여과수단(200)과, 여과된 물을 다시 집진수단(100)으로 공급되게 하기 위한 집수수단(300)에 의해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으로서, 탁월한 집진 능력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어서 도시에서 설치할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기 집진장치{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flue gas}
본 발명은 주로 불한증막에서 목재를 연소시킬 때 발생 되는 연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연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에도 실내에 불한증막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불한증막에서는 장작불을 태워서 한증이 도모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장작불에서 발생 되는 연기에는 목재를 태우는 것이기 때문에 연기 속에는 많은 먼지나 분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기가 대기중으로 그대로 방출하게 되면 도심 먼지 공해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들은 이중필터나 메쉬판 및 여과필터 등을 이용하거나 에어샤워방법 등으로 집진 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령 진공청소기와 같은 것이므로 초미세 먼지와 같은 것을 집진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르거나 여과재를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고, 수시로 필터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면 무단으로 가동을 중지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 됨으로써 대기 오염을 크게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에 있어서 물속을 통과시켜 집진 되도록 하는 것도 있으나, 이는 많은 량의 연기를 연속으로 집진 처리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가령 방사능 입자 중에서 먼지 입자를 집진되게 하는 등의 소량 집진처리용으로만 적합하고, 많은 량을 연속적으로 집진되도록 하는 연속적이고 대량의 집진처리용으로는 매우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KR 20-0407392 Y1 2006.01.31 KR 10-2016-0044962 A 2016.04.26 KR 10-1549243 B1 2015.09.03 KR 10-0657202 B1 2006.12.14
본 발명은 초미세 먼지도 집진 가능하면서도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지속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 오염 방지가 도모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월등한 집진능력이 발휘되어 대기오염방지가 도모되고, 집진용 물을 여과시켜 연속으로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수 방류가 없도록 하여 환경오염 방지가 도모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여 집진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흡기관을 통해 연기가 유입되고 배기구를 일측에 구비하는 집진외곽프레임과,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는 연기유입구와 직결되는 유입연기집진공이 있는 금속집진필터수단과, 상기 유입연기집진공 상부 중앙에서 물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급수관과 노즐을 구비하여 연기에 물이 분사되게 하는 유입연기집진살수수단과, 상기 금속집진필터수단 외측으로, 하부연기출구가 있고 하부방향으로 연기가 이동되게 유도하는 연기하강유도부재를 구비하여 그 연기하강유도부재 내측으로 구성되는 외곽집진공간부와; 상기 연기하강유도부재와 집진외곽프레임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연기상승로와, 상기 외곽집진공간부 상부에 구비되는 급수관이 있고, 상기 급수관에서 하부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하측노즐이나 하측분사공 및 금속집진필터수단 외주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내측노즐이나 내측분사공이 구비되어 외곽집진공간부를 통과하는 연기에 물 분사가 되게 하는 배출연기집진살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집진필터수단은, 스크린통과, 상기 스크린통 외주면에 부착되게 고정되는 연통공이 다수 뚫린 타공통으로 구성되게 이루어지거나 상기 연통공 외측으로 충돌돌기부를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게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연기집진공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기 흐름이 되도록 하기 위해 금속집진필터수단 내주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일측 및 타측 연기유도판이 유입연기집진공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게 하되 지그재그로 구비되게 하거나, 외곽집진공간부에서 연기가 회오리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스크류형 회오리발생수단이 연기하강유도부재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회오리발생수단 내측으로 물통과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다수의 일측 및 타측 연기유도판이 유입연기집진공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지그재그로 구비되게 하는 동시에 외곽집진공간부에는 내측으로 물통과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스크류형 회오리발생수단이 연기하강유도부재 내주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외곽프레임 하부에 여과실이 있고 상기 여과실내에는 1차여과필터 및 2차여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수단이 있고, 상기 여과실에서 배수되는 물은 배수관과 배수펌프에 의해 집수수단의 집수실로 이송되어 3차여과필터를 통과하여 집수실에 저장된 후 송수관과 송수펌프에 의해 급수관으로 공급되어 유입연기집진공 및 외곽집진공간부에 살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연기출구로 배기되는 연기가 연기하강유도부재를 우회하여 배기 되도록 하기 위해 배기구의 연기 배기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부연기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게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기상승로와 연통되는 배기구 내측에 연기상승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물기차단턱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까지도 집진 될 수 있는 연기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하는데 한번 사용된 물을 다시 순환시켜 집진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도 매우 저렴하게 되므로 무단 중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대기 오염 방지가 크게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집진수단에서 집진하는데 사용된 물이 여과과정을 거친 후에 집수되게 하고 이를 집진수단으로 이송시켜 다시 집진하는 물로 계속 순환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물 절약이 도모되고 먼지를 흡착한 오염된 폐수를 폐수 처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폐수처리비용도 절약되고 폐수 방류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환경 오염 방지가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연기 집진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집진수단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집진수단의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집진수단 작용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 구성도,
도 5의 (a)는 도 4의 "Y" 부분 확대 단면 구성도이고, (b)는 (a)에 보인 연통공의 정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배출연기집진살수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일측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수단의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집진수단의 요부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집진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구분하여 집진수단(100)과, 여과수단(200)과, 집수수단(300)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집진수단(1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집진수단(100)은 흡기관(127)을 통해 연기가 유입되고 배기구(111)를 일측에 구비하는 집진외곽프레임(110)를 구비한다. 상기 집진외곽프레임(110)는 사각형태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진외곽프레임(110) 내부에는 금속집진필터수단(120)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금속집진필터수단(120)은, 흡기관(127)과 연결되는 연기유입구(121)와 직결되는 유입연기집진공(122)을 구비한다.
상기 유입연기집진공(122) 외측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통(123)과, 상기 스크린통(123) 외주면에 부착되게 고정되는 연통공(124)이 다수 뚫린 타공통(1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통(123)은 70~90메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연통공은 0.2~2mm의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통(123)과 타공통(125)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스크린통(123)과 타공통(125)은 스폿트용접이나 또는 다른 고정구(미도시됨)와 같은 것에 의해서 서로 밀착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원형이나 또는 사각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공통(125) 외주면에는 다수 뚫리게 되는 연통공(124) 외측에는 충돌돌기부(126)가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돌돌기부(126)는 가령 연통공(124)을 드릴로 뚫거나 프레스금형으로 천공시키게 되면 타공통(125)이 금속이기 때문에 연통공(125)(구멍)이 뚫리면서 재질 일부가 겉으로 밀려서 돌출되게 하여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충돌돌기부(126)를 별도로 구비되게 하여 연통공(125) 외주변에 부착되게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모든 연통공(125) 전부 외주변에 설치하지 않고 등간격적으로 일부에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금속집진필터수단(120) 내부에 구비되는 유입연기집진공(122)의 상부쪽 중앙에는 유입연기집진살수수단(130)을 구비한다.
유입연기집진살수수단(130)은,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31)과, 물이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노즐(132)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132)에서 분사되는 물방울에 의해서 유입연기집진공(122)으로 유입되는 연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가 물방울에 흡착되어 제거되게 하는 것이다.
즉, 연기유입구(121)로 들어오는 연기는 유입연기집진공(122)로 유입되어 스크린통(123)과 타공통(125)의 연통공(124)을 통해 배기 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유입연기집진공(122)로 유입된 연기는 작은 연통공(124)으로는 신속하게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유입연기집진공(122)에서 잠시 체류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송수관(311)에 의해 물이 급수관(131)으로 공급되어 노즐(132)에서 분사되면 유입연기집진공(122)에서 잠시 체류하는 연기에 분사됨으로써 연기 속에 있는 먼지가 분사된 물입자(물방울)와 접촉되어 물입자가 먼지를 머금게 되고, 먼지를 머금거나 먼지입자가 묻은 물방울이 하부방향으로 떨어지게 됨으로써 유입연기집진공(122)에 있는 연기로부터 먼지가 1차적으로 제거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노즐(132)에서 분무 되는 물이 직하방으로도 분사되지만 사방으로도 분사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금속집진필터수단(120)의 스크린통(123) 상부 쪽의 내주면에 분사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스크린통(123) 내주면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물이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흘러 내리는 물에 연기속에 있는 먼지가 흡착되어 제거되는 2차적인 먼지제거작용이 발생되고, 이와 아울러서 스크린통(123) 내주면으로 달라붙게 되는 먼지입자를 씻어 내리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스크린통(123) 내주면에 묻거나 달라붙은 먼지입자가 물에 의해서 계속 씻겨져 내려가므로 스크린통(123)의 기능이 전혀 상실되지 않고 지속적이 집진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크린통(123)은 메쉬망으로 된 것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가 통과될 수 있고, 이때 통과되는 연기 속에 있는 먼지가 메쉬 구멍보다 큰 먼지입자이면 스크린통(123)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스크린통(123) 자체에 먼지입자가 묻게 되므로 스크린통(123)을 연기가 통과하는 과정에 연기 속에 있는 먼지입자가 제거되는 3차적인 먼지제거작용이 발생 된다.
즉, 스크린통(123)에 걸리거나 묻게 되는 먼지입자는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서 씻겨져 나가므로 스크린통(123)의 메쉬 구멍이 막히지 않게 되어 지속적인 집진 작용이 도모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적으로 스크린통(123) 내주면으로 흘러 내리는 물에도 먼지입자가 흡착되어 연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입자가 제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크린통(123)을 통과한 연기는 타공통(125)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다시 한번 그 내주면에 먼지입자가 달라붙게 되어 제거되는데, 이때 수많은 연통공(124)이 있어도 작은 직경의 연통공(124)으로 연기가 신속히 빠져나가지 못하게 됨에 따라 연기가 타공통(125) 내측에 머물면서 타공통(125) 내주면과 접촉되는 시간이 많게 되므로 연기 속에 있는 먼지입자가 타공통(125) 내주면에 많이 달라붙게 되거나 묻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타공통(125) 내주면에 묻게 되는 먼지입자는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크린통(125) 내주면에서 하부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물이 타공통(125) 내주면으로도 흘러내리게 되므로 먼지입자가 물과 함께 밑으로 흘러서 제거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연통공(124)이 먼지입자에 의해서 막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통공(124)이 막히지 않게 되므로 항상 양호하게 연통공(124)를 통과하게 되므로 집진 기능이 마비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집진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크린통(123)의 유입연기집진공(122)에 연기가 체류하는 과정에 위쪽에서 분사되는 물방울에 먼지입자가 흡착되어 1차적으로 제거되는 작용이 발생되고, 스크린통(123)을 빠져나가려는 연기가 스크린통(123) 내주면으로 흘러내리는 물에 접촉되어 연기 속에 있는 먼지입자가 물에 흡착되는 2차적인 먼지제거 작용이 발생되는 것이고, 연기가 스크린통(123)을 빠져나갈 때 그 스크린통(123)을 연기가 통과하는 과정에 먼지입자가 스크린통(123)에 달라 붙게 되어 물에 의해 씻겨져 내려가서 제거되는 3차적인 먼지제거 작용이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금속집진필터수단(120) 외측에는 연기하강유도부재(140)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금속집진필터수단(120)과 연기하강유도부재(140) 사이에는 외곽집진공간부(1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기하강유도부재(140) 하부에는 하부연기출구(141)를 구비하여 외곽집진공간부(142)의 연기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연기출구(141)로 배기 되는 연기가 연기하강유도부재(140)를 우회하여 배기 되도록 하기 위해 배기구(111)의 연기 배기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부연기출구(14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기하강유도부재(140)와 집진외곽프레임(110) 내주면 사이에는 하부연기출구(141)에서 배출되는 연기가 이동되는 연기상승로(143)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곽집진공간부(142) 상부에 배출연기집진살수수단(150)이 설치된다.
배출연기집진살수수단(150)은, 급수관(151)이 있고, 상기 급수관(151)에서 하부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하측노즐(152) 및 금속집진필터수단(120) 외주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내측노즐(153)을 구비한다.
상기 급수관(15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관 일수 있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관 형태의 급수관(151) 내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다수의 하측분사공(152') 및 금속집진필터수단(120) 외주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내측분사공(153')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금속집진필터수단(120)을 통과하게 되는 연기는 외곽집진공간부(142)에서 연기하강유도부재(140)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연기가 열기를 가지고 있어서 상부방향으로 올라가려는 성질이 있는 반면에 연기하강유도부재(140)에 가로 막혀서 반강제적으로 밑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이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휀(400)이 연기를 흡입하여 배기관(410)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배기휀(400)의 흡입력이 외곽집진공간부(142)까지 작용됨으로써 외곽집진공간부(142)의 연기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연기출구(141)를 통해 연기상승로(143) 쪽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측노즐(153)에서 분무 되는 물이 금속집진필터수단(120) 상부 쪽의 타공통(125) 외주면 상부 쪽 외주면에 분사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타공통(125) 외주면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물이 흘러내리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서 타공통(123) 외주면에 달라 붙게 되는 먼지를 씻어 내리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타공통(125) 외주면에 묻거나 달라붙은 먼지가 물에 의해서 계속 씻겨져 내려가므로 연통공(124)이 막히지 않게 되므로 타공통(125)의 기능이 전혀 상실되지 않고 지속적이 집진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타공통(125) 외주면을 타고 물이 흘러 내려가게 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돌기부(126)에 물이 충돌하게 되고, 그로 인해 충돌돌기부(126)에 충돌된 물이 비산하게 된다.
따라서, 연통공(124)으로 통해 외곽집진공간부(142) 쪽으로 배기되는 연기 속에 있는 먼지가 비산 되는 작은 물입자에 흡착되어 제거되는 4차적인 먼지제거작용이 발생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곽집진공간부(142)에서 연기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송수관(311)에 의해 물이 급수관(111)으로 공급되어 하측노즐(152)에서 분사되면 외곽집진공간부(142)에서 연기 속에 있는 먼지가 분사된 물입자(물방울)와 접촉되됨에 따라 물입자에 먼지가 흡착되어 하부방향으로 떨어지게 됨으로써 외곽집진공간부(142)에 있는 연기 속에 있는 먼지가 제거되는 것과 동시적으로 하측노즐(152)에서 분사되는 물이 연기하강유도부재(140)의 내주면에도 분사되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되면서 그 내주면에 달라붙게 되는 먼지입자가 하부방향으로 씻겨 내리게 되는 5차적인 먼지제거작용이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배기구(111)와 연결된 배기휀(400)에 의해서 연기를 빨아내서 배기관(410)으로 배기되게 하는 것이므로 하부연기출구(141)로 배출되는 연기는 연기상승로(143)를 통과하여 배기구(11)로 배기 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배기휀(400)의 강한 흡입력에 의해서 연기와 함께 물입자가 배기구(111)로 흡입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하부연기출구(141)로 배기되는 연기가 연기하강유도부재(140)를 우회하여 배기 되도록 하기 위해 배기구(111)의 연기배기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부연기출구(14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먼지가 흡착된 물입자가 배기구(111)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배기구(111)의 연기배기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부연기출구(141)가 구비됨에 따라 배기휀(400)의 강한 흡입력이 하부연기출구(141)까지 미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물보다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연기만 연기상승로(143)를 따라 이동되는데, 이때 도 3의 점선화살표 도시와 같이 연기하강유도부재(140)를 우회하여 연기가 배기구(111)로 배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배기구(111) 직하방에 위치하는 연기상승로(143)를 따라 상승되는 연기는 물기차단턱부(111a)에 부딪힌 다음에 배기구(111)로 배기 되므로, 이때 물입자가 물기차단턱부(111a)에 부딪히게 되어 가로막혀 버리게 되므로 배기구(111)로 거의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연기는 습기를 머금고 있는 것이므로 배기휀(400)에서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축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수배수관(420)을 통해 이후에 다시 설명되는 여과실(210)로 배수되어 여과되도록 함으로써 오염수 방출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집진외곽프레임(110) 하부에 여과수단(200)을 구비한다.
여과실(210)내에는 1차여과필터(220) 및 2차여과필터(230)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1차여과필터(220)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차여과필터(230)는 부직포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진외곽프레임(110)에서 낙하되는 물은 먼지가 흡착된 물이므로 1차 및 2차여과필터(220,230)에 의해서 물속에 흡착되어 있는 먼지성분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 1차 및 2차여과필터(220,230)는 서랍형태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1차 및 2차여과필터(220,230)를 정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세척함으로써 여과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여과실(210)에서 배수되는 물은 배수관(211)과 배수펌프(212)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집수수단(300)의 집수실(310)로 이송되어 3차여과필터(320)를 통과하여 집수실(310)에 저장되므로 먼지가 여과된 상태의 물(W)이 3차여과필터(320) 하부쪽의 집수실(310)에 저장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3차여과필터(320)는 활성탄이나 부직포가 채용되게 할 수 있으나, 스테인레스메쉬망(321)과 부직포(322)를 다수가 교대로 설치되게 하여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테인레스메쉬망(321)은 큰 먼지입자가 여과되게 하고 부직포(322)는 상대적으로 작은 먼지입자가 여과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3차여과필터(320)를 물이 통과되면 물에 흡착되어 있던 먼지입자가 거의 걸러지게 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집수실(310)에 저장된 물(W)은 먼지입자가 거의 제거된 상태의 물이 저장되는 것이며, 이러한 물(W)은 송수관(311)과 송수펌프(312)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연기집진살수수단(130) 및 배출연기집진살수수단(150)의 급수관(131,151)으로 이송되어 유입연기집진공(122) 및 외곽집진공간부(142)에 각각 물을 분사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여과작용과 집수 및 급수는 연속적으로 작용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집진외곽프레임(110)에서 집진하는데 사용된 물을 하수구로 버리는 것이 아니라 여과수단(200)에서 여과과정을 거친 물을 집수시킨 후에 다시 집진외곽프레임(110)로 이송시켜 다시 집진하는 물로 계속 순환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물 절약이 도모될 뿐만 아니라 먼지를 흡착한 오염된 폐수를 폐수처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폐수처리비용도 절약되고 폐수 방류를 하지 않게 되므로 환경오염방지가 도모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W)이 증발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보충이 필요 될 때에는 수도관(315)과 직결된 자동급수개폐장치(316)를 통해 새로운 물이 보충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급수개폐장치(316)는 부구(316a)를 구비하여 일명 볼탑장치라고도 불리우고 있는 것으로서, 집수실(310)에 물(W)이 부족한 상태가 되면 자동급수개폐장치(316)가 개방되는 상태가 되면서 보충수출구(316b)를 통해서 자동으로 물 보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급수개폐장치(316)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 313은 드레인밸브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집진수단(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미 앞서 설명된 일실시예의 금속집진필터수단(120)의 유입연기집진공(122)에 다수의일측 연기유도판(128)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이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이면서도 지그재그로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외곽집진공간부(142)에는 스큐류형 회오리발생수단(144)이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연기집진공(122)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기 흐름이 되도록 하기 위해 금속집진필터수단(120) 내주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일측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128')이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지그재그 상태로 구비되게 한 것이다. 상기 다수의 일측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128')은 금속집진필터수단(120)의 내주면에 용접을 하여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기유입구(121)로 유입된 연기가 먼저 유입연기집진공(122)에서 최상부에 있는 일측 연기유도판(128)에 가로 막히는 상태가 되므로 수평방향인 도 9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유도되어 이동되는 상태가 된 다음에 다시 최상측에 있는 타측 연기유도판(128')에 가로 막히는 상태가 되므로 수평방향인 도 9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유도되어 이동되는 상태가 되므로 지그재그방향으로 연기가 이동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아울러서 최상부에 있는 일측 연기유도판(128)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 하부 쪽에 있는 다른 일측 연기유도판(128)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들에 의해서도 연기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일측 연기유도판(128)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에 의해서 연기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유입연기집진공(122)에서 연기가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써 유입연기집진공(122)에서의 집진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은 노즐(132)에서 분사되는 물방울이 최상부에 위치하는 일측 연기유도판(128)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에 떨어지게 되어 흐르게 되는데, 각각 유입연기집진공(122) 중심부쪽으로 흐르게 되어 아래쪽으로 낙하 되는 상태가 된다.
즉, 일측 연기유도판(128)에서 흐르는 물은 그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타측 연기유도판(128)으로 낙하되고, 반대로 일측 연기유도판(128)에서 흐르는 물은 그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타측 연기유도판(128)으로 낙하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일측 연기유도판(128)과 그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타측 연기유도판(128) 사이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낙차 폭이 커서 물이 일측 연기유도판(128)에서 타측 연기유도판(128')으로 떨어지는 순간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에서 일측 연기유도판(128)으로 물이 떨어지는 순간에 물이 튀게 되어 비산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입자가 비산되는 물입자에 흡착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는 연기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반복적으로 비산되는 물입자에 먼지가 흡착되기 때문에 연기가 유입연기집진공(122) 하부까지 이동되는 동안 먼지가 모두 물에 흡착되어 제거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 연기유도판(128)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에 의해 연기가 가로 막하게 되므로 연기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지만, 이동되는 연기 중에 일부는 유입연기집진공(122) 외측방향으로 밀려나서 금속집진필터수단(120)의 스크린통(123)과 타공통(125)의 연통공(124)을 통과하여 외곽집진공간부(142)로 배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유입연기집진공(122) 상부 쪽으로 유입되는 연기가 그 유입연기집진공(122) 하부쪽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고 금속집진필터수단(120)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연기가 고르게 퍼져서 외곽집진공간부(142)로 고르게 배출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외곽집진공간부(142)에서의 집진작용이 그 외곽집진공간부(142) 상부에서부터 발생됨에 따라 집진효율이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곽집진공간부(142)에서 연기가 회오리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스크류형 회오리발생수단(144)이 연기하강유도부재(140)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회오리발생수단(144) 내측으로 물통과공간(14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형 회오리발생수단(144)은 경우에 따라서는 회오리발생수단(144)이라고만 명칭하여 설명될 수도 있고, 이러한 회오리발생수단(144)은 용접에 의해서 연기하강유도부재(140) 내주면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측노즐(152)에서 분사되는 물방울은 일부가 회오리발생수단(144) 상부쪽에 모여져서 하부 쪽으로 흐르게 되고, 일부 물방울은 물통과공간(145)을 통과하여 하측방향으로 낙하 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배기휀(400)의 흡입력이 하부연기출구(141)에 작용됨에 따라 외곽집진공간부(142)에 있는 연기가 하부연기출구(141) 쪽으로 당겨지게 빨림력이 발생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스크류형 회오리발생수단(144)에 연기가 유도되어 하부방향으로 빨려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외곽집진공간부(142) 내에서 연기가 회오리치는 상태가 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외곽집진공간부(142)의 연기 중에 일부는 물통과공간(145)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으나 회오리치는 연기의 회전력이 연기의 자연 이동력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극히 일부 연기만 물통과공간(145)으로 빠져 나가는 상태가 되고 거의 모든 연기는 스크류형 회오리발생수단(144)에 유도되어 회오리치는 상태로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협소한 공간인 외곽집진공간부(142) 내에서 연기가 회오리치면서 물입자와 충돌하게 되므로 연기 속에 있는 먼지입자가 물입자에 더욱 잘 흡착되거나 스며들수 있게 되므로 집진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기유입구(121)로 유입되는 연기 유입량에 따라 유압연기집진공(122)에 다수의 일측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128')만 설치되게 하거나, 또는 외곽집진공간부(142)에 회오리발생수단(144)만 설치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한 다수의 일측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128')과 회오리발생수단(144) 모두를 설치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0:집진수단 110:집진외곽프레임
111:배기구 111a:물기차단턱부
120:금속집진필터수단 121:연기유입구
122:유입연기집진공 123:스크린통
124:연통공 125:타공통
126:충돌돌기부 127:흡기관
128,128':연기유도판 130:유입연기집진살수수단
131:급수관 132:노즐
140:연기하강유도부재 141:하부연기출구
142:외곽집진공간부 143:연기상승로
144:회오리발생수단 145:물통과공간
150:배출연기집진살수수단 151:급수관
152:하측노즐 152':하측분사공
153:내측노즐 153':내측분사공
154:지지대 200:여과수단
210:여과실 211:배수관
212:배수펌프 220:1차여과필터
230:2차여과필터 300:집수수단
310:집수실 311:송수관
312:송수펌프 320:3차여과필터
313:드레인밸브 315:수도관
316:자동급수개폐장치 400:배기휀
410:배기관 420:응축수배수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물을 이용하여 집진 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흡기관(127)을 통해 연기가 유입되고 배기구(111)를 일측에 구비하는 집진외곽프레임(110)과, 상기 흡기관(127)과 연결되는 연기유입구(121)와 직결되는 유입연기집진공(122)이 있는 금속집진필터수단(120)과, 상기 유입연기집진공(122) 상부 중앙에서 물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급수관(131)과 노즐(132)을 구비하여 연기에 물이 분사되게 하는 유입연기집진살수수단(130)과, 상기 금속집진필터수단(120) 외측으로, 하부연기출구(141)가 있고 하부방향으로 연기가 이동되게 유도하는 연기하강유도부재(140)를 구비하여 연기하강유도부재(140) 내측으로 구성되는 외곽집진공간부(142)와, 상기 연기하강유도부재(140)와 집진외곽프레임(110)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연기상승로(143)와, 상기 외곽집진공간부(142) 상부에 구비되는 급수관(151)이 있고, 상기 급수관(151)에서 하부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하측노즐(152)이나 하측분사공(152') 및 금속집진필터수단(120) 외주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내측노즐(153)이나 내측분사공(153')이 구비되어 외곽집진공간부(140)를 통과하는 연기에 물이 분무 되게 하는 배출연기집진살수수단(150)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연기집진공(122)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기 흐름이 되도록 하기 위해 금속집진필터수단(120) 내주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일측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128')이 유입연기집진공(122)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게 하되 지그재그로 구비되게 하거나, 외곽집진공간부(142)에서 연기가 회오리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스크류형 회오리발생수단(144)이 연기하강유도부재(140)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회오리발생수단(144) 내측으로 물통과공간(145)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다수의 일측 및 타측 연기유도판(128,128')이 유입연기집진공(122)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지그재그로 구비되게 하는 동시에 외곽집진공간부(142)에는 내측으로 물통과공간(145)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스크류형 회오리발생수단(144)이 연기하강유도부재(140) 내주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연기출구(141)로 배기되는 연기가 연기하강유도부재(140)를 우회하여 배기 되도록 하기 위해 배기구(111)의 연기 배기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부연기출구(141)가 구비되게 구성되고, 연기상승로(143)와 연통되는 배기구(111) 내측에 연기상승로(143) 방향으로 돌출되는 물기차단턱부(111a)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집진장치.
KR1020160119219A 2016-06-10 2016-09-19 연기 집진장치 KR101698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063 2016-06-10
KR20160072063 2016-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817B1 true KR101698817B1 (ko) 2017-01-23

Family

ID=5799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219A KR101698817B1 (ko) 2016-06-10 2016-09-19 연기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285A (zh) * 2017-03-29 2017-08-18 毛国武 小型烟筒烟气过滤除尘装置
KR20180116489A (ko) 2017-04-14 2018-10-2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미세분진 포집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059Y1 (en) * 1979-04-25 1981-02-09 Kwang Moon Park Smoke clarifier of chimney
CN2650857Y (zh) * 2003-10-31 2004-10-27 莫少强 油烟净化装置
KR200407392Y1 (ko) 2005-11-07 2006-01-31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이중필터 구조 집진기
KR100657202B1 (ko) 2006-05-22 2006-12-14 주식회사 데콘엔지니어링 물 집진기를 이용한 방사능 집진장치
JP2010538819A (ja) * 2007-09-18 2010-12-16 ア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触媒担体、これを用いた排気ガス浄化用担体コンバ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8066A (ko) * 2010-09-14 2012-03-22 이엔비나노텍(주) 습식 집진장치
KR101549243B1 (ko) 2014-03-26 2015-09-03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탈락 분진을 집진하는 에어 샤워 부스
KR20160044962A (ko) 2014-10-16 2016-04-26 이동학 필터 교체형 집진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059Y1 (en) * 1979-04-25 1981-02-09 Kwang Moon Park Smoke clarifier of chimney
CN2650857Y (zh) * 2003-10-31 2004-10-27 莫少强 油烟净化装置
KR200407392Y1 (ko) 2005-11-07 2006-01-31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이중필터 구조 집진기
KR100657202B1 (ko) 2006-05-22 2006-12-14 주식회사 데콘엔지니어링 물 집진기를 이용한 방사능 집진장치
JP2010538819A (ja) * 2007-09-18 2010-12-16 ア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触媒担体、これを用いた排気ガス浄化用担体コンバ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8066A (ko) * 2010-09-14 2012-03-22 이엔비나노텍(주) 습식 집진장치
KR101549243B1 (ko) 2014-03-26 2015-09-03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탈락 분진을 집진하는 에어 샤워 부스
KR20160044962A (ko) 2014-10-16 2016-04-26 이동학 필터 교체형 집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285A (zh) * 2017-03-29 2017-08-18 毛国武 小型烟筒烟气过滤除尘装置
KR20180116489A (ko) 2017-04-14 2018-10-2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미세분진 포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220B1 (ko) 연무 필터 방식의 공기 청정장치
US3582051A (en) Smoke cleaning apparatus
KR101698817B1 (ko) 연기 집진장치
KR101733239B1 (ko)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WO2019085212A1 (zh) 油烟处理装置和烹饪系统
JP6749146B2 (ja) 湿式ガス状物質処理装置
KR101921428B1 (ko) 주방용 후드 환기 장치
KR101611538B1 (ko)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CN1774600B (zh) 自洁式过滤器组件
JPH0440205A (ja) 循環水の浄化装置
KR101862147B1 (ko) 집진설비
KR102483447B1 (ko) 숯불 클리너 장치
CN208212787U (zh) 一种废气水喷淋处理设备
KR101918000B1 (ko) 집진설비
CN215085611U (zh) 一种化工生产用除尘装置
CN206121418U (zh) 一种旋流水膜多管复合型湿式除尘器
JP3664569B2 (ja) 調理排気浄化装置、及び、調理機器用フード装置、及び、調理機器
CN106196212A (zh) 管状油烟分离清洗器
KR20160007268A (ko) 이동식 필터 백 재생장치
KR102223389B1 (ko)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20180110388A (ko) 유증기 처리장치
CN112902266A (zh) 多功能空气净化机
TWI622736B (zh) Unpowered oil smoke dust odor separator
JP6030360B2 (ja) オイルミスト捕集装置
CN105944547B (zh) 一种烟气超低排放吸收塔装置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