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962A - 필터 교체형 집진기 - Google Patents

필터 교체형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962A
KR20160044962A KR1020140140115A KR20140140115A KR20160044962A KR 20160044962 A KR20160044962 A KR 20160044962A KR 1020140140115 A KR1020140140115 A KR 1020140140115A KR 20140140115 A KR20140140115 A KR 20140140115A KR 20160044962 A KR20160044962 A KR 2016004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ilter
frame
duct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333B1 (ko
Inventor
이동학
Original Assignee
이동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학 filed Critical 이동학
Priority to KR102014014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3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교체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0a) 및 상기 제1 케이싱(10a)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10b)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 상기 제1 케이싱(10a)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케이싱(10a) 내부를 상기 유입덕트(11)와 연통되는 하부공간(13) 및 상기 배출덕트(12)와 연통되는 상부공간(14)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플레이트(20); 상기 제1 케이싱(10a)의 상기 하부공간(1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필터유닛(30); 및 상기 제2 케이싱(10b) 내부에 설치되는 아우터로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규격화된 프레임에 필터를 끼워서 사용하므로 필터 가공을 위한 과정이 크게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필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플레이트 형상의 필터를 사용하여 다층구조로 배치되므로 사용환경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교체형 집진기 {FILTER-CHANGING TYP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필터 교체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 교체가 가능한 필터 교체형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공장과 같이 물건을 생산하는 산업현장에서는 용접가스나 분진 등으로 작업환경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분진은 기계의 손상을 불러 일으킬 뿐만 아니라 장기간 노출 시 작업자의 안전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는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집진기는 위와 같은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비로서,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어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걸러내어 공기를 정화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산업용 집진기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산업용 집진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종래의 산업용 집진기는 유입구(2) 및 배출구(3)가 형성되는 케이싱(1); 상기 케이싱(1)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원형필터(4); 원형필터(4)를 고정시키는 구획판(5); 및 상기 케이싱(1)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구(2)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배출구(3)로 배출시키는 로터(7)를 포함하는 모터(6)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집진기는 모든 원형필터(4)가 구획판(5)으로 연결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원형필터(4)만을 교체하더라도 전부 꺼내서 교체를 해야 하므로 필터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산업용 집진기는 원형필터(4)를 사용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2014-0032245 A1 (2014. 3. 1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각프레임 내에 필터가 내장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되고, 다양한 필터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필터 교체형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전면에 유입덕트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1 케이싱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케이싱 내부를 상기 유입덕트와 연통되는 하부공간 및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되는 상부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플레이트; 상기 제1 케이싱의 상기 하부공간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필터유닛; 및 상기 제2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아우터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은 일측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케이싱의 내부공간은 상기 하부공간 및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규격화된 프레임에 필터를 끼워서 사용하므로 필터 가공을 위한 과정이 크게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필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플레이트 형상의 필터를 사용하여 다층구조로 배치되므로 사용환경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산업용 집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의 이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필터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필터교환지시부재의 작동상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필터 교체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 단면도, 이면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도 6은 필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0a) 및 제1 케이싱(10a)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10b)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 제1 케이싱(10a)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케이싱(10a) 내부를 유입덕트(11)와 연통되는 하부공간(13) 및 배출덕트(12)와 연통되는 상부공간(14)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플레이트(20); 제1 케이싱(10a)의 하부공간(1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필터유닛(30); 및 제2 케이싱(10b) 내부에 설치되는 아우터로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싱(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0a); 및 제1 케이싱(10a)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10b)으로 이루어진다.
제1 케이싱(10a)은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된다. 제1 케이싱(10a)은 후술할 구획플레이트(20)에 의해 내부공간이 하부공간(13)과 상부공간(14)으로 구획되는데, 하부공간(13)은 유입덕트(11)와 연통되고, 상부공간(14)은 배출덕트(12)와 연통된다. 그리고 제1 케이싱(10a)의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유입덕트(11)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곳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1 케이싱(10a) 전면에 설치된다.
배출덕트(12)는 유입덕트(11)로부터 유입되어 제1 케이싱(10a)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곳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이 직각삼각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유입덕트(11)와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도어(16)는 제1 케이싱(10a) 일측면의 개방된 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도어(16)를 열고 후술할 필터유닛(30)을 탈착시킨다. 도어(16)의 내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16a)가 설치되는데, 이는 도어(16)가 제1 케이싱(10a)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열쇠를 가진 사람만이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케이싱(10a)은 양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한쪽 측면에는 도어(16)가 힌지 결합되고, 다른 쪽 측면에는 밀폐플레이트(17)가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을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싱(10a)이 설치되는 환경에 맞게 도어(16)가 설치될 위치를 자유로이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케이싱(10b)은 제1 케이싱(10a) 후방에 제1 케이싱(10a)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공간(13) 및 상부공간(14)과 연통된다. 제2 케이싱(10b)의 후방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8)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 케이싱(10b)은 제1 케이싱(10a)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구획플레이트(2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케이싱(10a) 내부 공간을 구획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구획플레이트(20)는 제1 케이싱(10a) 내부공간을 하부공간(13)과 상부공간(14)으로 구획한다.
하부공간(13)은 유입덕트(11)와 연통되고, 후술할 필터유닛(30)이 설치되는 곳이다.
상부공간(14)은 배출덕트(12)와 연통된다.
따라서 케이싱(10) 내부의 공기흐름 순서는 유입덕트(11)를 통해 하부공간(13)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케이싱(10b)의 내부 공간을 거쳐 상부공간(14)으로 이동된 뒤 배출덕트(12)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구획플레이트(20) 저면으로는 다수 개의 가이드슬릿(22)이 형성되어 후술할 필터유닛(30)을 고정시킨다.
필터유닛(30)은 제1 케이싱(10a)의 하부공간(13)에 설치되어 유입덕트(11)로부터 유입된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구성요소로서, ㄷ자 형태의 제1 프레임(32a) 및 상기 제1 프레임(32a)의 개방된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프레임(32b)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32);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시(34); 및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메시(34)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의 필터(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32)은 규격화된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가이드슬릿(22)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프레임(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제1 프레임(32a)과 제1 프레임(32a)의 개방된 부분에 나사 체결되어 탈착 가능한 제2 프레임(32b)으로 이루어진다.
메시(34)는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고, 한 쌍이 구비되어 후술할 필터(36) 양측에서 필터(36)를 고정시킨다.
필터(36)는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되 메시(34)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36)로는 카본 필터, 헤파 필터, 디미스터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규격화된 프레임(32)에 원재료인 필터(36)를 끼워서 사용하므로 필터 가공을 위한 과정이 크게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필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 형상의 필터(36)를 사용하여 다층구조로 배치되므로 사용환경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보조필터(38)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보조필터(3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10a)의 상부공간(14) 중 배출덕트(12)로 이어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보조필터(38)는 부가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필터로서, 주로 냄새 제거를 목적으로 하며 카본 필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아우터로터(40)는 제2 케이싱(10b)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공간(13)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부공간(14)으로 전달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아우터로터(40)는 하부공간(13)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이동시키므로 오염물이 아우터로터(40)에 걸리거나 쌓이는 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로터(40)는 캡(18)에 고정되어 캡(18)을 떼었을 시 제2 케이싱(10b)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보수를 하거나 교환을 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필터교환지시부재의 작동상태도이다.
필터교환지시부재(50)는 배출덕트(12)에 설치되어 필터(36)의 교환주기를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필터교환지시부재(50)는 배출덕트(12)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판(52); 배출덕트(12)와 회전판(52)에 연결되는 힌지핀(54); 힌지핀(54) 끝단에 고정되는 인디케이터(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판(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덕트(12) 내부 공간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힌지핀(54)은 회전판(52)의 일단과 고정되고, 배출덕트(12)에 연결되어 회전판(52)을 회전동작시킨다. 힌지핀(54)은 회전판(52) 중 배출덕트(12)의 배출구와 인접한 끝단의 반대쪽 끝단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전판(52)이 배출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힌지핀(54)의 양단 중 적어도 한쪽 끝단은 배출덕트(12)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출덕트(12)를 관통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회전판(52)이 힌지핀(54)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동작 된다.
인디케이터(56)는 배출덕트(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힌지핀(54)의 끝단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화살표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필터교환지시부재(50)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필터(36)가 깨끗한 상태에서는 케이싱(10) 내부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여 배출덕트(12)로 배출되는 공기도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52)이 크게 개방되고,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56) 역시 경사각(θ)이 크다. 반면, 필터(36)에 오염물이 많이 걸려있을 경우 케이싱(10) 내부의 공기 흐름 역시 원할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배출덕트(12)로 배출되는 공기량 역시 감소된다. 따라서 회전판(52)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게 개방되고, 인디케이터(56) 역시 경사각(θ)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디케이터(56)를 확인함으로써 필터(36)의 교환주기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별도의 센서 등이 불필요하므로 전기적인 작업이 최소화되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케이싱 10a: 제1 케이싱
10b: 제2 케이싱 11: 유입덕트
12: 배출덕트 13: 하부공간
14: 상부공간 16: 도어
16a: 록커 17: 밀폐플레이트
18: 캡 20: 구획플레이트
22: 가이드슬릿 30: 필터유닛
32: 프레임 32a: 제1 프레임
32b: 제2 프레임 34: 메시
36: 필터 38: 보조필터
40: 아우터로터 50: 필터교환지시부재
52: 회전판 54: 힌지핀
56: 인디케이터

Claims (5)

  1.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0a) 및 상기 제1 케이싱(10a)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10b)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
    상기 제1 케이싱(10a)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케이싱(10a) 내부를 상기 유입덕트(11)와 연통되는 하부공간(13) 및 상기 배출덕트(12)와 연통되는 상부공간(14)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플레이트(20);
    상기 제1 케이싱(10a)의 상기 하부공간(1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필터유닛(30) 및
    상기 제2 케이싱(10b) 내부에 설치되는 아우터로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케이싱(10a)은 일측면에 도어(16)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케이싱(10b)의 내부공간은 상기 하부공간(13) 및 상기 상부공간(14)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형 집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30)은, ㄷ자 형태의 제1 프레임(32a) 및 상기 제1 프레임(32a)의 개방된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프레임(32b)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32);
    상기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시(34) 및
    상기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메시(34)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의 필터(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형 집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20)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가이드슬릿(22)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2)은 상기 가이드슬릿(2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형 집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양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도어(16)가 힌지결합되고, 다른 하나에 밀폐플레이트(1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형 집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12)에 필터교환지시부재(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필터교환지시부재(50)는, 상기 배출덕트(12)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판(52);
    상기 배출덕트(12)와 상기 회전판(52)에 연결되는 힌지핀(54) 및
    상기 힌지핀(54) 끝단에 고정되는 인디케이터(5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형 집진기.
KR1020140140115A 2014-10-16 2014-10-16 필터 교체형 집진기 KR101623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115A KR101623333B1 (ko) 2014-10-16 2014-10-16 필터 교체형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115A KR101623333B1 (ko) 2014-10-16 2014-10-16 필터 교체형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62A true KR20160044962A (ko) 2016-04-26
KR101623333B1 KR101623333B1 (ko) 2016-05-23

Family

ID=5591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115A KR101623333B1 (ko) 2014-10-16 2014-10-16 필터 교체형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3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817B1 (ko) 2016-06-10 2017-01-23 여형구 연기 집진장치
KR101989176B1 (ko) * 2018-03-28 2019-06-13 김광수 배기가스 정화형 가정용 보일러배기관
KR20190142093A (ko) * 2018-06-15 2019-12-26 (주)공존에스앤티 차량용 미세먼지 측정 및 저감 시스템
KR102084953B1 (ko) * 2019-09-18 2020-05-26 문동석 배기가스 정화용 집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743Y1 (ko) 2006-09-26 2006-12-06 주식회사 텔콤 이동통신기지국용 공기정화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817B1 (ko) 2016-06-10 2017-01-23 여형구 연기 집진장치
KR101989176B1 (ko) * 2018-03-28 2019-06-13 김광수 배기가스 정화형 가정용 보일러배기관
KR20190142093A (ko) * 2018-06-15 2019-12-26 (주)공존에스앤티 차량용 미세먼지 측정 및 저감 시스템
KR102084953B1 (ko) * 2019-09-18 2020-05-26 문동석 배기가스 정화용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333B1 (ko) 201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333B1 (ko) 필터 교체형 집진기
CN102946970A (zh) 隔离装置
US7445123B1 (en) Ceramic filter with a ceramic filter core cleaning device
KR20160052735A (ko) 자석 여과 장치
DK2756874T3 (en) A filter device
JP5689255B2 (ja) 空気清浄用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アイソレーター装置
KR101104076B1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102151583B1 (ko) 다목적 공기청정기
CN212881736U (zh) 一种工业废气处理用活性炭吸附设备
CN211536835U (zh) 切削液净化回收处理设备
JP7336093B2 (ja) 微少粉塵・ヒューム捕集装置および汚染空気回収機構
JP6073592B2 (ja) 空気清浄化装置のフィルタ装着機構
KR20230149458A (ko)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KR20170011642A (ko) 상업용 복합 정수필터
JP4982704B2 (ja) 気体浄化装置
TWI590863B (zh) Oil purification machine with a recovery mechanism
KR20100128994A (ko) 필터장치
KR20120126732A (ko)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JP2013071019A (ja) 集塵機の目詰まり表示装置
JP3169267U (ja) 汚水浄化装置
CN216149248U (zh) 一种全自动除尘器
CN213615919U (zh) 一种环保防尘砂轮机
CN210528538U (zh) 污水处理用板式过滤膜
CN204841347U (zh) 蜂窝状活性炭吸附装置
CN213253475U (zh) 袋式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