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458A -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 Google Patents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458A
KR20230149458A KR1020220048690A KR20220048690A KR20230149458A KR 20230149458 A KR20230149458 A KR 20230149458A KR 1020220048690 A KR1020220048690 A KR 1020220048690A KR 20220048690 A KR20220048690 A KR 20220048690A KR 20230149458 A KR20230149458 A KR 20230149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ilter
frame
dust collector
installed in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용
Original Assignee
신화크린텍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크린텍 ㈜ filed Critical 신화크린텍 ㈜
Priority to KR102022004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458A/ko
Publication of KR2023014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4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교체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되 는 제1 케이싱(10a) 및 상기 제1 케이싱(10a)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10b)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 상 기 제1 케이싱(10a)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케이싱(10a) 내부를 상기 유입덕트(11)와 연통되는 하부공간(13)및 상기 배출덕트(12)와 연통되는 상부공간(14)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플레이트(20); 상기 제1 케이싱(10a)의 상기 하부공간(1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필터유닛(30); 및 상기 제2 케이싱(10b) 내부에 설치되는 아우터로 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규격화된 프레임에 필터를 끼워서 사용하므로 필터 가공을 위한 과정이 크게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다 양한 필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플레이트 형상의 필터를 사용하여 다층구조로 배치되므로 사용환경 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Filter replaceabl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을 가진 섬유를 이용한 직조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공장과 같이 물건을 생산하는 산업현장에서는 용접가스나 분진 등으로 작업환경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분진은 기계의 손상을 불러 일으킬 뿐만 아니라 장기간 노출 시 작업자의 안전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 문에 산업현장에서는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집진기는 위와 같은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비로서,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어 기체 속에 부 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걸러내어 공기를 정화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집진기는 모든 원형필터가 구획판으로 연결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원형필터 만을 교체하더라도 전부 꺼내서 교체를 해야 하므로 필터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산업용 집진기는 원형필터를 사용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 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10-2014-0032245 (공고일자 2014년 03월 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기의 사각 프레임 내 필터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되어 다양한 필터를 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진기 필터 유지보수에 있어서, 슬라이드 및 수납공간을 이용하여 신속한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전면에 유입덕트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 출덕트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1 케이싱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케이싱 내부를 상기 유입덕트와 연통되는 하부공간 및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되는 상부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플레이트; 상기 제1 케이싱의 상기 하부공간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필터유닛; 및 상기 제2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아우터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은 일측 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케이싱의 내부공간은 상기 하부공간 및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규격화된 프레임에 필터를 끼워서 사용하므로 필터 가공을 위한 과정이 크게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필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플레이트 형상의 필터를 사용하여 다층구조로 배치되므로 사용환경 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의 이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필터 교체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를 도 시한 사시도, 단면도, 이면 사시도,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는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0a) 및 제1 케이싱(10a)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10b)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 제1 케이싱 (10a)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케이싱(10a) 내부를 유입덕트(11)와 연통되는 하부공간(13) 및 배출덕트(12)와 연통 되는 상부공간(14)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플레이트(20); 제1 케이싱(10a)의 하부공간(1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 수 개의 필터유닛(30); 및 제2 케이싱(10b) 내부에 설치되는 아우터로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싱(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집진기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및 도 4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0a); 및 제1 케 이싱(10a)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10b)으로 이루어진다.
제1 케이싱(10a)은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된다. 제1 케이싱(10a)은 후술 할 구획플레이트(20)에 의해 내부공간이 하부공간(13)과 상부공간(14)으로 구획되는데, 하부공간(13)은 유입덕 트(11)와 연통되고, 상부공간(14)은 배출덕트(12)와 연통된다. 그리고 제1 케이싱(10a)의 양측면 중 적어도 하 나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유입덕트(11)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곳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1 케이싱(10a) 전면에 설치된다. 배출덕트(12)는 유입덕트(11)로부터 유입되어 제1 케이싱(10a)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곳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이 직각삼각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유입덕트(11)와 평행하게 할수 있다.
도어(16)는 제1 케이싱(10a) 일측면의 개방된 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도어(16)를 열고 후술할 필터유닛
(30)을 탈착시킨다. 도어(16)의 내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16a)가 설치되는데, 이는 도어(16)가 제1 케이싱(10a)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열쇠를 가진 사람만이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 할을 한다.
한편, 제1 케이싱(10a)은 양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한쪽 측면에는 도어(16)가 힌지 결합되고, 다른 쪽 측면에는 밀폐플레이트(17)가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을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싱 (10a)이 설치되는 환경에 맞게 도어(16)가 설치될 위치를 자유로이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케이싱(10b)은 제1 케이싱(10a) 후방에 제1 케이싱(10a)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공간(13) 및 상부공간(1 4)과 연통된다. 제2 케이싱(10b)의 후방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8)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 케이싱(10b)은 제1 케이싱(10a)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구획플레이트(2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케이싱(10a) 내부 공간을 구획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구획플레이트(20)는 제1 케이싱(10a) 내부공간을 하부 공간(13)과 상부공간(14)으로 구획한다.
하부공간(13)은 유입덕트(11)와 연통되고, 필터유닛(30)이 설치되는 곳이다. 상부공간(14)은 배출덕트(12)와 연통된다.
따라서 케이싱(10) 내부의 공기흐름 순서는 유입덕트(11)를 통해 하부공간(13)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케이싱 (10b)의 내부 공간을 거쳐 상부공간(14)으로 이동된 뒤 배출덕트(12)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구획플레이트(20) 저면으로는 다수 개의 가이드슬릿(22)이 형성되어 후술할 필터유닛(30)을 고정시킨다. 필터유닛(30)은 제1 케이싱(10a)의 하부공간(13)에 설치되어 유입덕트(11)로부터 유입된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구성요소로서, ㄷ자 형태의 제1 프레임(32a) 및 상기 제1 프레임(32a)의 개방된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체 결되는 제2 프레임(32b)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32);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시
(34); 및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메시(34)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의 필터(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32)은 규격화된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가이드슬릿(22)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프레임(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제1 프레임(32a)과 제1 프레임(32a)의 개방된 부분에 나사 체결되어 탈착 가능한 제2 프레임(32b)으로 이루어진다.
메시(34)는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고, 한 쌍이 구비되어 후술할 필터(36) 양측에서 필터(36)를 고정시킨다. 필터(36)는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되 메시(34)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36)로는 카본 필터, 헤파 필터, 디미
스터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규격화된 프레임(32)에 원재료인 필터(36)를 끼워서 사용하므로 필터 가공을 위한 과정이 크게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필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 형상 의 필터(36)를 사용하여 다층구조로 배치되므로 사용환경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보조필터(38)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보조필터(3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 (10a)의 상부공간(14) 중 배출덕트(12)로 이어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보조필터(38)는 부가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필터로서, 주로 냄새 제거를 목적으로 하며 카본 필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아우터로터(40)는 제2 케이싱(10b)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공간(13)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부공간(14)으로 전달 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아우터로터(40)는 하부공간(13)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이동시키므로 오염물이 아우터로터
(40)에 걸리거나 쌓이는 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로터(40)는 캡(18)에 고정되어 캡(18)을 떼었을 시 제2 케이싱(10b)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보수를 하거나 교환을 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 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케이싱
10a: 제1 케이싱
10b: 제2 케이싱
11: 유입덕트
12: 배출덕트
13: 하부공간
14: 상부공간
16: 도어
16a: 록커
17: 밀폐플레이트
18: 캡
20: 구획플레이트
22: 가이드슬릿
30: 필터유닛
32: 프레임
32a: 제1 프레임
32b: 제2 프레임
34: 메시
36: 필터
38: 보조필터
40: 아우터로터
50: 필터교환지시부재
52: 회전판
54: 힌지핀
56: 인디케이터

Claims (3)

  1. 전면에 유입덕트(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배출덕트(12)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0a) 및 상기 제1 케이싱(10a) 후방에 위치되는 제2 케이싱(10b)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
    상기 제1 케이싱(10a)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케이싱(10a) 내부를 상기 유입덕트(11)와 연통되는 하부공간 (13) 및 상기 배출덕트(12)와 연통되는 상부공간(14)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플레이트(20);
    상기 제1 케이싱(10a)의 상기 하부공간(1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필터유닛(30) 및 상기 제2 케이싱(10b) 내부에 설치되는 아우터로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케이싱(10a)은 일측면에 도어(16)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케이싱(10b)의 내부공간은 상기 하부공간(13) 및 상기 상부공간(14)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30)은, ㄷ자 형태의 제1 프레임(32a) 및 상기 제1 프레임(32a)의 개방된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프레임(32b)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32);
    상기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시(34) 및
    상기 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메시(34)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의 필터(36)를 포함하여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 가능한 집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20)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가이드슬릿(22)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2)은 상기 가이드슬릿(2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KR1020220048690A 2022-04-20 2022-04-20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KR20230149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690A KR20230149458A (ko) 2022-04-20 2022-04-20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690A KR20230149458A (ko) 2022-04-20 2022-04-20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458A true KR20230149458A (ko) 2023-10-27

Family

ID=8851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690A KR20230149458A (ko) 2022-04-20 2022-04-20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4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245A (ko) 2012-09-06 2014-03-14 크린에어테크(주)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245A (ko) 2012-09-06 2014-03-14 크린에어테크(주)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24563B (zh) 过滤器单元
KR102349165B1 (ko) 필터 어셈블리
KR102039474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춘 안전 펜스
RU2685347C2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для удаления веществ, загрязняющих воздух, из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и 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и/или игровой автомат, оборудованный таким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ем
CN110013724B (zh) 一种可移动式便于零部件清洁的工业除尘设备
CA2788812C (en) Dust collector
KR101623333B1 (ko) 필터 교체형 집진기
DE102008034901A1 (de) Moduleinsatz zum Einbau in einen Flüssigkeitsfilter
KR20230149458A (ko) 필터 교체가 가능한 집진기
KR101104076B1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US6962621B2 (en) System for simultaneously removing dust and volatile toxic organic compounds
US6001151A (en) Filter assemblies
CN218357971U (zh) 焊接烟尘净化设备
KR20170055423A (ko) 실내 공기 및/또는 신선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이동식 정화 장치 및 방법
KR20130016676A (ko) 공기정화용 필터패키지
KR101687958B1 (ko) 흡연 부스용 필터링 장치
KR20100128994A (ko) 필터장치
KR20190128285A (ko) 공기청정기
JP4982704B2 (ja) 気体浄化装置
KR101366975B1 (ko) 입자 필터장치
KR200385793Y1 (ko) 습식도장유니트
KR101784259B1 (ko) 블레이드형 공기 정화장치
KR20100061971A (ko) 모빌랙의 집진장치.
NO861773L (no) Filteranordning for rensing av gassformig medium.
CN111111917B (zh) 净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