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389B1 -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389B1
KR102223389B1 KR1020190144451A KR20190144451A KR102223389B1 KR 102223389 B1 KR102223389 B1 KR 102223389B1 KR 1020190144451 A KR1020190144451 A KR 1020190144451A KR 20190144451 A KR20190144451 A KR 20190144451A KR 102223389 B1 KR102223389 B1 KR 102223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space
dust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김재석
(주)벤처도장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석, (주)벤처도장플랜트 filed Critical 김재석
Priority to KR102019014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01D46/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1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the excess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8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시설에서 차량이나 구조재와 같은 피도장물의 도장처리 시에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분진이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형태의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차 필터장치가 더 구비되어 미세분진이나 악취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2차 필터장치의 제작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Description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Dust and odor removal device of painting facility equipped with secondary filter device}
본 발명은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시설에서 차량이나 구조재와 같은 피도장물의 도장처리 시에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분진이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형태의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차 필터장치가 더 구비되어 미세분진이나 악취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2차 필터장치의 제작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구조재와 같은 피도장물의 도장처리 작업시에 도장용 도료나 미세분진 등이 공기 중에 확산되어 주변공기를 오염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형태의 도장부스를 설치하여 그 내부에 차량이나 철강구조재를 놓고 표면처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도장부스 내에서 피도장물의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공기 중에 확산되는 도료와 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은 인체에 매우 유해(有害)한 성분으로 이를 공기 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도록 정화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은 도장시설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하는 장치에 대해 등록특허 10-1603418호와 같이 출원인의 선행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 워터 분무공간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워터 분무노즐과, 상기 워터 분무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미세분진을 포집한 워터를 제거하는 폴링층과, 상기 폴링층을 통과한 공기가 하부에서 상측으로 이동시 와류를 발생하도록 와류공간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와류 형성용 방해판과, 상기 와류공간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측면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안내하는 안내로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휘발성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와류공간을 통과한 공기는 초미세 분진 및 워터의 제거를 위한 부직포를 통과한 후 상기 안내로로 이동하며, 상기 와류 형성용 방해판은 판상의 몸체 전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달성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는 복수의 단계를 거쳐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덕트를 통해 배출하고 있었지만,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분진 및 악취를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더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배출되는 공기에 미세분진 및 초미세분진을 모두 제거할 수 없는 문제와 함께 공기정화에 사용되는 필터부재의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하지 않아 공기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3418호.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등록일자 2016년 03월 08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장 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 중에 분진 및 악취를 효과적으로 1차 제거하고, 상기 공기를 2차 정화시킬 수 있는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 중 미세 분진을 워터로 포집하고, 그 미세분진을 포집한 워터를 여러 단계에 걸쳐 흡착 제거하여 분진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배출되는 공기를 2차 정화시켜 미세, 초미세분진 및 오염공기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차 필터장치의 필터부재를 간편하게 교체가능하여, 도장시설을 가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필터교체가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10)에 형성된 제거장치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 분진 및 악취를 여과 및 정화시켜 본체(110) 일측에 형성된 제거장치배출구(112)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거장치배출구(112)에는, 내부에 에어유입공간(S4)을 갖고 상기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장치유입구(211)로 재유입시켜 필터장치배출구(213) 방향으로 유도하는 필터케이스(210)와;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필터장치유입구(211)와 필터장치배출구(213) 사이에 장착시켜 에어정화공간(S5)을 더 구획하고, 상기 필터장치유입구(211)로 유입된 배출공기를 정화시켜 에어정화공간(S5)을 통해 필터장치배출구(213)로 배출하는 필터부재(220)가 포함된 2차 필터장치(200)가 더 설치되어 달성한다.
또, 상기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는,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거장치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 워터 분무공간(S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워터분무노즐(122)과, 상기 워터 분무공간(S1)의 하부에 구비되어 미세 분진을 포집한 워터를 제거하는 폴링층(124)과, 상기 폴링층(124)을 통과한 공기가 하부에서 상측으로 이동시 와류를 발생하도록 와류공간(S2)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와류 형성용 방해판(132)과, 상기 와류공간(S2)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본체(11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된 제거장치배출구(112)로 안내하는 안내로(S3)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휘발성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층(142)을 포함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210)는, 에어유입공간(S4)에서 상광하협 형상으로 필터부재(220)가 장착되어 양측에 에어정화공간(S5)을 더 구획하여, 상기 에어유입공간(S4)의 상면에 형성된 필터장치유입구(211)에서 재유입되는 공기가 하향 이동되며 필터부재(220)를 통과해 에어정화공간(S5)으로 이동하고,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외면에서 에어포집공간(S6)을 형성하도록 에어포집커버(212)가 더 장착되면서 상기 에어포집공간(S6)과 에어정화공간(S5)이 정화통로(212a)로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에어포집커버(212)에 구비된 필터장치배출구(213)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210)에는, 바닥면에 설치되되 일측 보다 타측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케이스경사판(231)과; 상기 케이스경사판(23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배출하는 워터노즐(232)과; 상기 케이스경사판(231)의 타측에 형성되어 물을 수집하는 필터장치집수공간(233)과; 상기 필터장치집수공간(233)과 수조(160)를 연결하는 필터장치회수관(234)과; 상기 수조(160)와 워터노즐(232)을 연결하는 필터장치공급관(236) 및 필터장치펌프(235)로 구성된 2차워터수단(230)이 더 포함되어 달성한다.
또, 상기 필터케이스(210)에는, 전면 양측에 상광하협 형상을 갖게 필터설치홀(216)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설치홀(216)의 상,하부에 필터가이드롤러(218)가 회전가능하게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필터가이드롤러(218)에 지지되어 인출 또는 인입 이동하며, 필터부재(220)가 설치되는 필터거치틀(241)을 갖고. 상기 필터거치틀(24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설치홀(216)을 차폐하는 필터도어(240)가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210)에는, 에어유입공간(S4)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장착된 필터부재(220) 사이로 작업자가 출입가능하게 케이스도어(219)가 구비된다.
또, 상기 필터케이스(210)에는 필터장치유입구(211)의 하측에 위치되어 양측 필터부재(2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에어안내갓(217)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에어유입공간(S4) 양측에는 이중의 필터부재(220)가 각각 구비되되, 에어유입공간(S4)에 마주하는 필터부재(220)는 케이스도어(219)를 통해 작업자가 에어유입공간(S4)에 출입하여 교체하고, 에어정화공간과 마주하는 필터부재(220)는 필터거치틀(241)에 조립되어 필터도어(240)를 외부로 슬라이드 인출하여 교체하도록 구성되어 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장시설의 도장 처리 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 중의 분진을 워터를 분무하여 포집 한 후, 분진을 포집한 상태의 워터를 폴링층과 와류공간을 통과시키면서 제거한 다음에 활성탄층을 통과시켜 휘발성 악취를 제거하는 1차 제거와 함께 상기 1차 제거된 공기를 필터를 이용해 미세 및 초미세 먼지를 정화하는 2차 제거하므로 공기 중의 분진 포집 효율과 워터의 제거효율이 향상된다.
또, 2차 필터장치의 필터부재를 케이스도어를 열어 내부에서 교체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필터도어를 인출해 필터부재를 간편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도장시설을 가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필터교체가 가능해 사용 편의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2차 필터장치의 재유입되는 공기를 에어안내갓을 통해 필터부재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필터 정화 효율을 향상시켜 사용 편의성 및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필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필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필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필터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필터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인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는, 도장시설에서 차량이나 구조재와 같은 피도장물의 도장처리 시에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분진이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형태의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차 필터장치가 더 구비되어 미세분진이나 악취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2차 필터장치의 제작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따른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는 본체(0에 도장시설(1)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유입덕트(10)를 통해 유입되는 제거장치유입구(111)와, 내부에서 분진과 악취를 제거하여 정화 처리된 공기를 배출덕트(20)로 배출하는 제거장치배출구(112)가 형성되어, 상기 제거장치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물 분무를 통해 분진을 포집하는 워터스크러버부(120) 및 와류부(130)와,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부(140)가 구비되어 효율적으로 도장시설(1)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 정화를 수행하여 상기 제거장치배출구(11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거장치유입구(111)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 워터 분무공간(S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워터분무노즐(122)과, 상기 워터 분무공간(S1)의 하부에 구비되어 미세 분진을 포집한 워터를 제거하는 폴링층(124)과, 상기 폴링층(124)을 통과한 공기가 하부에서 상측으로 이동시 와류를 발생하도록 와류공간(S2)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와류 형성용 방해판(132)과, 상기 와류공간(S2)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본체(11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된 제거장치배출구(112)로 안내하는 안내로(S3)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휘발성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층(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는 상부 일측에 제거장치유입구(111)가 형성되고, 본체(110)의 측면 하부 일측에 제거장치배출구(1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거장치유입구(111) 및 제거장치배출구(112)의 형성 위치는 워터스크러버부(120)와 와류부(130) 및 악취제거부(14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는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제거장치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하부로 안내하도록 제1벽부(115)에 의해 구획되는 워터 분무공간(S1)이 형성되고, 상기 워터 분무공간(S1)내에는 제거장치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공기 중의 분진을 포집하는 워터를 분무하는 워터스크러버부(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워터스크러버부(120)는 워터 분무공간(S1)의 상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배관(123)에 구비되는 복수의 워터분무노즐(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워터분무노즐(122)은 제거장치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에 워터를 분무하여 오염된 공기 중의 분진을 포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워터 분무공간(S1)의 하측에는 분진이 함유된 워터를 제거하는 폴링층(124)이 구비되며, 상기 폴링층(124)은 분진이 함유된 워터를 1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망체 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폴링(PALL RING)을 채워넣은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링층(124)의 하부에는 경사안내판(150)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판(150)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폴링층(124)에서 포집된 워터가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면 이동해 모이게 되는 제거장치집수공간(1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워터스크러버부(120)의 일측에는 폴링층(124)을 통과한 공기를 상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벽부(115)와 이격되며 상부 일측에 배출공(116a)이 형성되는 제2벽부(116)가 구비되어 구획되는 와류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와류공간(S2) 내에는 상기 제1벽부(115) 하단의 유입공(115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워터를 제거하는 와류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와류공간(S2)은 상기 폴링층(124)을 통과한 공기가 완전하게 워터가 제거된 상태가 아니므로 추가적으로 워터를 더 제거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와류부(130)는 와류공간(S2)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하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고 와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방해판(1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해판(132)은 판상의 몸체 전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상승 중에 방해판(132)에 접촉이 이루어져 2차적인 워터의 제거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워터의 입자가 커지면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된다.
즉, 공기 중의 워터는 방해판(132)과의 접촉을 통해 방해판(132)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며 수분 입자가 확대되면서 방해판(132)의 표면 또는 와류공간의 벽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와류공간(S2)의 하부에는 상기 폴링층(124)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안내판(150)이 연장형성되어 방해판(132)에서 포집된 워터가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되면 경사안내판(150)을 따라 이동하며 제거장치집수공간(152)으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제거장치집수공간(152)으로 모연 오염수는 드레인홀(152a)을 통해 제거장치배출관(154)을 따라 수조(160)로 집수되며, 상기 수조(160)에 채워진 오염수는 분진이 많이 함유된 것으로 바닥에는 분진이 가라앉으면서 침전물(161)이 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질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160)에는 제거장치회수관(170)이 구비되어 상기 배관(123)과 연결되며, 상기 제거장치회수관(170)에는 제거장치펌프(172)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상기 수조(160)에 집수된 오염수의 상층수를 제거장치펌프(172)로 강제 회수하여 워터분무노즐(122)로 분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워터 분무공간(S1)에 설치되는 배관(123)에는 수도관이 연결되어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여 복수의 워터분무노즐(122)을 통해 분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와류부(130)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공기는 악취제거부(140)를 통과하면서 휘발성 악취를 제거할 수 있지만, 초미세 분진 및 수액적의 추가적인 제거를 위한 부직포(180)를 통과하여 제거장치배출구(112)로 안내하는 안내로(S3)를 따라 본체(110)의 내측 하부로 공기를 안내한다.
이때, 상기 안내로(S3)에는 악취제거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악취제거부(140)는 상기 분진이 제거된 상태의 공기 중에 남아있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층(142)으로 이루어져 휘발성 악취 등은 상기 활성탄에 흡착되고 이후 제거장치배출구(112)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본체(110)의 제거장치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워터 분무공간(S1), 와류공간(S2), 안내로(S3)를 따라 제거장치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거장치배출구(112)에는 송풍팬(190)이 설치되는데, 설계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유입구 측에 송풍팬을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송풍팬(190)과 제거장치펌프(172)의 구동 제어는 별도의 제어반(미도시됨)에서 제어가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또,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본체(110) 내부의 폴링층(124)과 부직포(180) 또는 활성탄층(142)의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해 작업자가 본체(1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다수의 개폐도어(108)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개폐도어(108)는 상기 워터 분무공간(S1) 및 안내로(S3)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의 작동 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해 설명하면, 먼저 도장시설(1) 내에서 차량이나 구조재와 같은 피도장물(2)을 도장처리 작업하는 경우 도장용 도료나 미세분진 등이 도장시설(1) 내부의 공기 중에 확산된다.
이와 같은 도장시설(1)을 이용한 도장 처리시에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의 제어반을 구동시키면 본체(110)의 제거장치배출구(112)에 구비된 송풍팬(190)과 제거장치펌프(172)가 구동된다.
상기 송풍팬(190)의 구동에 따라 도장시설(1)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유입덕트(10)를 따라 제거장치유입구(111)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빨려들어 유입되며 워터 분무공간(S1)을 통과하게 되며 워터분무노즐(122)에서 분무되는 워터가 공기 중의 미세 분진을 포집한 상태로 폴링층(124)을 통과하게 되며, 폴링층(124)을 구성하는 폴링의 표면에 워터가 달라 붙게 된다.
상기 폴링층(124) 및 방해판(132)을 통해 제거된 수분 및 물방울은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하며 제거장치집수공간(152)으로 모이게 되며 이후 드레인홀(152a)을 통해 제거장치배출관(154)을 따라 수조(160)로 집수되어 침전물(161)을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60)에 집수된 오염수의 상층부를 제거장치펌프(172)로 강제 회수하여 워터분무노즐(122)로 분무하여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도장 작업 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 중의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한다.
그리고, 공기는 와류공간(S2)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해판(132)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한번 더 제거하게 되며, 공기는 부직포(180)를 통과하며 초미세 분진 및 수분의 추가적인 제거가 이루어진 후 안내로(S3)를 따라 본체(110)의 내측 하부로 이동하며 활성탄층(142)을 통과하면서 분진이 제거된 공기 중에 남아있는 악취를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정화처리된 공기는 제거장치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덕트(20)로 배출되는데, 상기 제거장치배출구(112)에는 정화처리된 공기를 2차로 정화하여 배출하는 2차 필터장치(200)가 더 장착된다.
이때, 상기 2차 필터장치(200)는 제거장치배출구(112)와 연결되는 배출덕트(20)를 이용해 상기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2차 필터장치(200)의 구성은, 크게 필터케이스(210) 내부에 필터부재(220)가 구비되어 정화공기를 다시 2차 정화하는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해 설명하면 먼저 필터케이스(210)는, 내부에 에어유입공간(S4)을 갖고 상기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를 통과해 제거장치배출구(112)로 배출된 공기를 필터장치유입구(211)로 재유입시켜 필터장치배출구(213) 방향으로 유도한다.
또, 필터부재(220)는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필터장치유입구(211)와 필터장치배출구(213) 사이에 장착시켜 에어유입공간(s4)의 양측에 에어정화공간(S5)을 더 구획되게 함으로써, 상기 필터장치유입구(211)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정화시켜 에어정화공간(S5)을 통해 필터장치배출구(213)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부재(220)는 필터케이스(210)의 에어유입공간(S4)에서 상광하협(上廣下夾) 형상으로 고정 설치된 필터거치틀(241)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외측방향에 에어정화공간(S5)을 각각 구획하는데, 상기 에어유입공간(S4)의 상면에 필터장치유입구(211)를 형성하여, 재유입되는 공기가 하향 이동되며 양측의 필터부재(220)를 통과해 에어정화공간(S5)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필터부재(220)는, 필터케이스(210)의 내부에 'ㄴ' 형상의 필터거치틀(241)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거치틀(241)에 필터부직포(222)와 필터암면(221)을 적층 시켜 구성되는데, 필터장치유입구(211)로 유입된 공기가 필터암면(221)과 필터부직포(222)를 통과해 에어정화공간(S5)으로 이동한다.
상기 필터암면(221)은, 현무암이나 안산암과 같은 암석을 용융시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급랭하여 섬유화한 것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판이나 원통모양으로 성형한 것으로 분진 흡수 제거가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에어유입공간(S4)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장착된 필터부재(220) 사이로 작업자가 출입가능하게 케이스도어(219)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케이스도어(219)를 열어 에어유입공간(S4)으로 출입하여 필터부재(220)를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외면에는 에어포집공간(S6)을 형성하도록 에어포집커버(212)가 더 장착되는데, 상기 에어포집공간(S6)과 필터케이스(210) 내부의 에어정화공간(S5)이 정화통로(212a)로 상호 연통되어 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에어포집커버(212)로 이동 한 다음에 에어포집커버(212)의 타측에 형성된 필터장치배출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필터장치배출구(213)에는 필터장치배출덕트(25)를 더 연결시켜 상기 2차 필터장치(200)로 재 정화된 공기를 굴뚝 등으로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2차 필터장치(200)의 필터케이스(210) 바닥면에 2차워터수단(230)이 더 설치되어, 상기 유입된 공기 중의 초미세 및 미세분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해 에어유입공간(S4) 및 필터부재(22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2차워터수단(230)은, 필터케이스(210)의 바닥면에 케이스경사판(331)이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경사판(231)의 일측 상부에 워터노즐(232)이 설치되어 물을 배출하고, 케이스경사판(231)의 타측에는 물을 수집하는 필터장치집수공간(2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경사판(231)은 일측 보다 타측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워터노즐(232)에서 필터장치집수공간(233)으로 물이 원활하게 흘러 내리도록 하고, 상기 필터장치집수공간(233)과 수조(160)는 필터장치회수관(234)으로 연결하여 분진이 함유된 물이 수조(160)에 회수되게 하며, 상기 수조(160)에 집수된 오염수의 상층수를 필터장치펌프(235)로 강제 회수시켜 필터장치공급관(236)을 통해 워터노즐(232)로 분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필터장치공급관(236)에는 수도관이 연결되어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여 복수의 워터노즐(232)을 통해 분무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용 실시 예로서 첨부된 도4를 참조해 설명하면,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전면 양측에 상광하협 형상을 갖게 필터설치홀(216)이 형성시키고, 상기 필터설치홀(216)을 따라서 필터부재(220)가 구비된 필터거치틀(241)을 인출 및 인입되게 구성한다.
즉, 필터케이스(210)에는, 필터거치틀(241)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필터설치홀(216)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거치틀(241)이 인입된 상태에서 필터설치홀(216)을 차폐하기 위한 필터도어(240)가 구비되는데, 상기 필터도어(240)는, 필터거치틀(241)의 일측에 구비되어 기밀부재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필터설치홀(216)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차폐하는 방식이거나, 필터케이스(210)의 전면판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필터설치홀(216)의 내측 상,하부에는, 'V' 홈형상을 갖는 필터가이드롤러(218)가 회전가능하게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필터가이드롤러(218)의 V홈에 필터거치틀(241)의 상면과 하면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거치틀(241)을 보다 원활하게 인출 또는 인입 이동되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부재(220)가 포함된 필터거치틀(241)이 필터케이스(210)의 내부를 필터가이드롤러(218)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데 있어서, 에어유입공간(S4)과 에어정화공간(S5)을 상호 기밀되게 구획하기 위해 슬라이드 이동면을 따라 기밀부재를 더 구비시켜, 상기 필터거치틀(241)이 필터케이스(210) 내부로 인입되면 에어정화공간(S5)을 명확하게 구획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사용예로서, 필터케이스(210)의 필터장치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에어유입공간(S4)을 따라 직하강 되지 않고 양측에 구비된 필터부재(220)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양측이 하향 경사진 에어안내갓(217)을 필터장치유입구(211)의 하측에 더 구비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안내갓(217)에 부딪힌 공기가 양측 필터부재(220)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분진제거와 정화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안내갓(217)의 양측 선단부는 상광하협 형상을 갖는 필터부재(220)의 최하단부 간격보다 작게 형성시켜, 에어안내갓(217)의 상면에 적층되는 분진 덩어리가 필터부재(220)에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2차 필터장치(200)에 대량의 공기 또는 분진이 많이 포함된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등에 필터케이스(210) 내부에 적어도 이중의 필터부재(220)가 양측에 각각 형성시켜 오염 공기를 정화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때에는, 에어유입공간(S4)과 마주하는 필터부재(220)는 작업자가 케이스도어(219)를 열고 필터케이스(210)의 에어유입공간(S4)으로 출입하여 필터부재(220)를 보수 또는 교체하고, 에어정화공간(S5)과 마주하는 필터부재(220)는 작업자가 필터케이스(210)의 외부에서 필터도어(240)를 잡아당겨 필터부재(220)가 포함된 필터거치틀(241)을 외부로 슬라이드 인출하여 필터부직포(222) 및 필터암면(221)이 포함된 필터부재(220)를 보수 또는 교체하도록 한다.
따라서, 2차 필터장치(200)에 분진이 비교적 많이 함유된 오염공기가 유입되거나 보다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터부재(220)를 이중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케이스도어(219) 및 필터도어(240)를 이용해 작업자가 필터부재(220)를 간편하게 보수 및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유입덕트 20. 배출덕트
25. 필터장치배출덕트 100.,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110. 본체 120. 워터스크러버부
130. 와류부 140. 악취제거부
150. 경사안내판 160. 수조
200. 2차 필터장치 210. 필터케이스
211. 필터장치유입구 212. 에어포집커버
213. 필터장치배출구 216. 필터설치홀
217. 에어안내갓 218. 필터가이드롤러
219. 케이스도어 220. 필터부재
221. 필터암면 222. 필터부직포
230. 2차워터수단 231. 케이스경사판
232. 워터노즐 240. 필터도어
241. 필터거치틀 S1. 워터분무공간
S2. 와류공간 S3. 안내로
S4. 에어유입공간 S5. 에어정화공간
S6. 에어포집공간

Claims (8)

  1. 본체(110)에 형성된 제거장치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 분진 및 악취를 여과 및 정화시켜 본체(110) 일측에 형성된 제거장치배출구(112)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거장치배출구(112)에는,
    내부에 에어유입공간(S4)을 갖고 상기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장치유입구(211)로 재유입시켜 필터장치배출구(213) 방향으로 유도하는 필터케이스(210)와;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필터장치유입구(211)와 필터장치배출구(213) 사이에 장착시켜 에어정화공간(S5)을 더 구획하고, 상기 필터장치유입구(211)로 유입된 배출공기를 정화시켜 에어정화공간(S5)을 통해 필터장치배출구(213)로 배출하는 필터부재(220)가 포함된 2차 필터장치(200)가 더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210)는, 에어유입공간(S4)에서 상광하협 형상으로 필터부재(220)가 장착되어 양측에 에어정화공간(S5)을 더 구획하여, 상기 에어유입공간(S4)의 상면에 형성된 필터장치유입구(211)에서 재유입되는 공기가 하향 이동되며 필터부재(220)를 통과해 에어정화공간(S5)으로 이동하고,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외면에서 에어포집공간(S6)을 형성하도록 에어포집커버(212)가 더 장착되면서 상기 에어포집공간(S6)과 에어정화공간(S5)이 정화통로(212a)로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에어포집커버(212)에 구비된 필터장치배출구(213)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필터케이스(210)에는,
    바닥면에 설치되되 일측 보다 타측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케이스경사판(231)과; 상기 케이스경사판(23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배출하는 워터노즐(232)과; 상기 케이스경사판(231)의 타측에 형성되어 물을 수집하는 필터장치집수공간(233)과; 상기 필터장치집수공간(233)과 수조(160)를 연결하는 필터장치회수관(234)과; 상기 수조(160)와 워터노즐(232)을 연결하는 필터장치공급관(236) 및 필터장치펌프(235)로 구성된 2차워터수단(23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100)는,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거장치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 워터 분무공간(S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워터분무노즐(122)과, 상기 워터 분무공간(S1)의 하부에 구비되어 미세 분진을 포집한 워터를 제거하는 폴링층(124)과, 상기 폴링층(124)을 통과한 공기가 하부에서 상측으로 이동시 와류를 발생하도록 와류공간(S2)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와류 형성용 방해판(132)과, 상기 와류공간(S2)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본체(11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된 제거장치배출구(112)로 안내하는 안내로(S3)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휘발성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층(142)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210)에는,
    전면 양측에 상광하협 형상을 갖게 필터설치홀(216)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설치홀(216)의 상,하부에 필터가이드롤러(218)가 회전가능하게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필터가이드롤러(218)에 지지되어 인출 또는 인입 이동하며, 필터부재(220)가 설치되는 필터거치틀(241)을 갖고. 상기 필터거치틀(24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설치홀(216)을 차폐하는 필터도어(240)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210)에는,
    에어유입공간(S4)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장착된 필터부재(220) 사이로 작업자가 출입가능하게 케이스도어(21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210)에는 필터장치유입구(211)의 하측에 위치되어 양측 필터부재(2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에어안내갓(217)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210)의 에어유입공간(S4) 양측에는 이중의 필터부재(220)가 각각 구비되되,
    에어유입공간(S4)에 마주하는 필터부재(220)는 케이스도어(219)를 통해 작업자가 에어유입공간(S4)에 출입하여 교체하고, 에어정화공간과 마주하는 필터부재(220)는 필터거치틀(241)에 조립되어 필터도어(240)를 외부로 슬라이드 인출하여 교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20190144451A 2019-11-12 2019-11-12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2223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451A KR102223389B1 (ko) 2019-11-12 2019-11-12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451A KR102223389B1 (ko) 2019-11-12 2019-11-12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389B1 true KR102223389B1 (ko) 2021-03-08

Family

ID=7518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451A KR102223389B1 (ko) 2019-11-12 2019-11-12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716B1 (ko) * 2023-03-27 2023-07-20 (주)램폴 페인트 분진 포집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840B1 (ko) * 2014-08-19 2015-11-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료 미세먼지 및 VOCs 처리장치
KR20150139120A (ko) * 2014-06-02 2015-12-11 (주) 벤처도장플랜트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852126B1 (ko) * 2016-03-18 2018-06-04 주식회사 에스시알엠 도장 부스용 집진기
KR102036483B1 (ko) * 2019-07-31 2019-10-25 주식회사 청림환경 자동차 정비공장 도장부스용 여과흡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120A (ko) * 2014-06-02 2015-12-11 (주) 벤처도장플랜트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603418B1 (ko) 2014-06-02 2016-03-15 (주) 벤처도장플랜트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570840B1 (ko) * 2014-08-19 2015-11-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료 미세먼지 및 VOCs 처리장치
KR101852126B1 (ko) * 2016-03-18 2018-06-04 주식회사 에스시알엠 도장 부스용 집진기
KR102036483B1 (ko) * 2019-07-31 2019-10-25 주식회사 청림환경 자동차 정비공장 도장부스용 여과흡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716B1 (ko) * 2023-03-27 2023-07-20 (주)램폴 페인트 분진 포집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418B1 (ko)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0745810B1 (ko) 세정집진장치
KR101462398B1 (ko) 미세먼지 포집용 스크러버 장치
US6969428B2 (en) Self-cleaning system for dry recovery of processing mists in automatic machines for spraying paints
US9545645B2 (en) Paint spray booth
KR100652528B1 (ko)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US4175933A (en) Dust filter apparatus
US20150101589A1 (en) Cooking exhaust filter system
US68173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grease, smoke and odor from exhaust systems
KR102223389B1 (ko)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20220029021A (ko) 오염공기 및 유해분진의 통합처리를 위한 집진장치
US6962621B2 (en) System for simultaneously removing dust and volatile toxic organic compounds
JP2005314972A (ja) トンネル坑内空気浄化装置及び坑内空気換気方法
KR101918000B1 (ko) 집진설비
KR101862147B1 (ko) 집진설비
KR102541711B1 (ko) 집진 시스템
KR20200006712A (ko) 미세분진과 악취 제거를 위한 선회유동형 복합 약액 세정 탈취기
KR101698817B1 (ko) 연기 집진장치
KR102220442B1 (ko) 텐터 후단의 배기가스용 습식 스크러버
KR101408308B1 (ko) 도장 부스 장치
KR102395319B1 (ko) 습식 집진기
JP2559199B2 (ja) 溶接排煙集塵装置
CN108443891A (zh) 高效环保型生活垃圾焚化装置
US3648439A (en) Buoyant filter mass
CN110280120A (zh) 治理挥发性有机物的移动式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