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906B1 - 앉은 자세에서 동적 움직임을 보조하는 휠체어 - Google Patents

앉은 자세에서 동적 움직임을 보조하는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906B1
KR101694906B1 KR1020140153171A KR20140153171A KR101694906B1 KR 101694906 B1 KR101694906 B1 KR 101694906B1 KR 1020140153171 A KR1020140153171 A KR 1020140153171A KR 20140153171 A KR20140153171 A KR 20140153171A KR 101694906 B1 KR101694906 B1 KR 101694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eating bar
patient
body fram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709A (ko
Inventor
김익수
홍성태
양노열
임명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5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9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근골격계의 강직 및 경직에 대응하고, 구축을 예방하며, 욕창방지 및 근육의 통증과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를 위하여, 본체 프레임과, 신축가능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안착부와, 상기 발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 안착부의 급격한 신축 동작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앉은 자세에서 동적 움직임을 보조하는 휠체어{Wheel chair assisting dynamic movement in seating position}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환자의 앉은 자세에서 동적 움직임을 보조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지체부자유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탑승자가 이동할 때 탑승자 스스로 바퀴를 구동시키거나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통상 하측 좌, 우측으로 평행하게 하측 수평 프레임이 위치하여 하측 수평 프레임의 후방 외측으로 메인 바퀴가 장착된다.
또한, 하측 수평프레임의 상부에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연질의 시트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이 위치한다. 하측 수평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등받이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 프레임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며, 그 상단부를 절곡하여 손잡이가 마련한다. 시트 프레임의 상부에는 환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소정 높이로 팔걸이 프레임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휠체어에는 환자의 근골격계의 강직, 경직에 대응하지 못하고 구축을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의 근골격계의 강직, 경직에 대응하고, 구축을 예방하며, 욕창방지 및 근육의 통증과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과, 신축가능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안착부와, 상기 발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 안착부의 급격한 신축 동작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가 제공된다.
상기 발 안착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안착바와, 상기 제1안착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안착바와, 상기 제2안착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 안착부는, 상기 제1안착바 및 상기 제2안착바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안착바 및 상기 제2안착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발 안착부에 결합되며, 유체 완충기 또는 가스 완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근골격계의 강직 및 경직에 대응하고, 구축을 예방하며, 욕창방지 및 근육의 통증과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본체 프레임(100), 발 안착부(200) 및 완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0)은 휠체어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프레임(100)은 사용자의 둔부를 안착하는 좌석 프레임과,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석 프레임은 좌석이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좌석 프레임의 하단에는 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은 좌석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되 좌석 프레임보다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등받이 프레임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쿠션 또는 패널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발 안착부(200)는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발 안착부(200)는 본체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안착부(200)는 좌석이 위치되는 곳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발 안착부(200)는 성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핀,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본체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 안착부(200)는 신축할 수 있다. 예컨대, 발 안착부(200)는 환자의 다리 길이에 맞추기 위하여 또는 환자의 자세를 보조하기 위하여 신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발 안착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발 안착부(200)는 본체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안착바(210)와, 제1안착바(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안착바(220)와, 제2안착바(220)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바(210)는 원통, 또는 다각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핀,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본체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안착바(220)는 원통, 또는 다각형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안착바(220)는 일단부가 제1안착바(2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지지판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판은 환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으며, 대략 제2안착바(220)에 수직하게 배치된 넓은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안착바(210) 및 제2안착바(220)의 신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일예로, 제1안착바(210)가 제2안착바(220)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안착바(210)의 내경과 제2안착바(220)의 외경이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안착바(220)가 제1안착바(210)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2안착바(220)의 내경과 제1안착바(210)의 외경이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 안착부(200)는 제1안착바(210) 및 제2안착바(220)에 각각 결합되되 제1안착바(210) 및 제2안착바(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브라켓(230)은 제1안착바(210) 및 제2안착바(220)가 삽입되는 두 개의 홀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230)은 제1안착바(210)의 자유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브라켓(230)은 제2안착바(220)가 두 개의 홀 중 어느 한 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착바(220)가 가이드 브라켓(230)에 고정 결합되고, 제1안착바(210)가 가이드 브라켓(2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제1안착바(210) 또는 제2안착바(220)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발 안착부(200)가 신축될 수 있다. 이때, 제1안착바(210) 및/또는 제2안착바(220)의 이동 방향은 제1안착바(210) 및 제2안착바(220)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는 완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300)는 발 안착부(200)에 결합되어, 발 안착부(200)가 급격히 신축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는 과신전 반응을 할 수 있다. 이때, 발 안착부(200)가 어떠한 저항이나 완충 없이 신축한다면, 환자가 과신전 반응 시 자세가 급격히 변함에 따라 휠체어에서 낙상을 당할 수 있다. 완충부(300)는 이러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300)는 탄성부재 또는 유체 완충기 또는 가스 완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유체 완충기 및 가스 완충기는 내부에 가스 또는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완충기 및 가스 완충기는 기존 제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300)는 일단이 본체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발 안착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300)는 경우에 따라 본체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300)가 유체 또는 가스 완충기인 경우 본체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 프레임(1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300)는 발 안착부(200)의 신축 속도 또는 범위를 완충하는 것이므로 제2안착바(2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300)는 제2안착바(220)에 직접 결합되거나, 가이드 브라켓(2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완충부(300)는 일단이 제1안착바(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안착바(2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완충부(300)는 제1안착바(210) 및/또는 제2안착바(220)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안착바(210) 및 제2안착바(220)의 상대운동에 따라 신축하여 완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의 작동을 설명한다.
환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발 안착부(200)에 얹힌다. 그리고 환자가 과신전 반응으로 갑자기 다리를 피면, 제1안착바(210)가 환자의 발을 따라 회전하고, 제1안착바(210) 및 제2안착바(220)가 상대 이동하여 길어져 환자의 발이 발 안착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300)가 발 안착부(200)가 급격히 신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천천히 신장되도록하여 환자의 급격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의 과신전 반응이 종료되면, 발 안착부(200)는 수축되어 환자의 발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완충부(300)는 발 안착부(200)가 급격히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천천히 수축되도록하여, 환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프레임
200: 발 안착부
210: 제1안착바
220: 제2안착바
230: 가이드 브라켓
300: 완충부

Claims (5)

  1.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안착바와 상기 제1안착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안착바, 상기 제2안착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신축가능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한 발 안착부; 및
    상기 발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 안착부의 급격한 신축 동작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발 안착부의 제2안착바에 결합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유체 완충기 또는 가스 완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안착부는, 상기 제1안착바 및 상기 제2안착바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안착바 및 상기 제2안착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환자의 착석자세 동적 움직임을 지지하는 휠체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53171A 2014-11-05 2014-11-05 앉은 자세에서 동적 움직임을 보조하는 휠체어 KR101694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71A KR101694906B1 (ko) 2014-11-05 2014-11-05 앉은 자세에서 동적 움직임을 보조하는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71A KR101694906B1 (ko) 2014-11-05 2014-11-05 앉은 자세에서 동적 움직임을 보조하는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709A KR20160053709A (ko) 2016-05-13
KR101694906B1 true KR101694906B1 (ko) 2017-01-10

Family

ID=5602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171A KR101694906B1 (ko) 2014-11-05 2014-11-05 앉은 자세에서 동적 움직임을 보조하는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792B1 (ko) * 2022-07-01 2022-10-27 백승현 탑승자 자세 보정을 위한 휠체어용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928A (ja) 2001-10-17 2003-04-22 Kanto Auto Works Ltd 電動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
JP2006167099A (ja) * 2004-12-15 2006-06-29 Kanayama Machinery Kk 車椅子
JP2012205674A (ja) * 2011-03-29 2012-10-25 Kyb Co Ltd 車椅子の外付けフットレス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270A (ja) * 1995-09-28 1997-04-08 Atex Co Ltd 乗降を容易にした車椅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928A (ja) 2001-10-17 2003-04-22 Kanto Auto Works Ltd 電動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
JP2006167099A (ja) * 2004-12-15 2006-06-29 Kanayama Machinery Kk 車椅子
JP2012205674A (ja) * 2011-03-29 2012-10-25 Kyb Co Ltd 車椅子の外付けフットレ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709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863B2 (en) Walker with lift-assisting seat assembly
US20130069407A1 (en) Chair for easy-sitting and easy-rising motions
JP2017533069A (ja)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US3672722A (en) Invalid chair having adjustable headrest seat and footrest
JP2004141545A (ja) 座席構造
EP2862480A1 (en) Chair for protecting spine and back
US9775757B1 (en) Lift chair and seat
JP5823816B2 (ja) 腰掛の起立補助装置
JP2013526331A (ja) 多機能椅子
KR101613519B1 (ko) 종아리 받침부가 구비되는 소파
KR101694906B1 (ko) 앉은 자세에서 동적 움직임을 보조하는 휠체어
JP6923982B2 (ja) 起立補助椅子及び車椅子
JP4844910B2 (ja) 安楽座席
WO2019049401A1 (ja) 介護用椅子
KR101705046B1 (ko)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JP5239422B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6588482B2 (ja) 身体支持装置
KR20160080966A (ko) 접철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소파
CN107788736A (zh) 可调式椅背装置
RU153742U1 (ru) Кинетическое кресло
JP2016158864A (ja) 介護用車椅子
JP5783621B1 (ja) 介護用シャワーチェア
JP6224981B2 (ja) 移乗補助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介護器具
KR20140034998A (ko)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